KR200416780Y1 -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 - Google Patents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780Y1
KR200416780Y1 KR2020060005061U KR20060005061U KR200416780Y1 KR 200416780 Y1 KR200416780 Y1 KR 200416780Y1 KR 2020060005061 U KR2020060005061 U KR 2020060005061U KR 20060005061 U KR20060005061 U KR 20060005061U KR 200416780 Y1 KR200416780 Y1 KR 200416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door frame
hinge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만석
Original Assignee
고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만석 filed Critical 고만석
Priority to KR2020060005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7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7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용 문틀의 힌지측에 방화문의 힌지측 가장자리가 걸리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방화문의 힌지가 파손되더라도 방화문이 열리지 않는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는, 현관 방화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방화문의 힌지측과 문틀의 힌지측이 서로 힌지 연결되고, 방화문의 개폐측과 문틀의 개폐측에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에서 힌지의 파손으로 현관 방화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현관의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힌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방화문이 닫힌 상태에서 방화문 힌지측 가장자리가 걸리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화문, 문틀, 힌지

Description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STRUCTURE OF DOORFRAME FOR ENTRANCE FIREPROOF DOOR}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현관 방화문 및 그 문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현관 방화문 및 그 문틀에서 힌지를 파손시키고 방화문의 힌지측이 문틀의 힌지측으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문틀
11 문틀 개폐측
12 문틀 힌지측
13 돌출부
2 방화문
21 방화문 개폐측
22 방화문 힌지측
3a,3b 상부 및 하부 힌지
4 잠금장치
본 고안은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용 문틀의 힌지측에 방화문의 힌지측 가장자리가 걸리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방화문의 힌지가 파손되더라도 방화문이 열리지 않는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현관 방화문 및 그 문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통상 아파트 현관에는 철재의 방화문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현관 방화문(2)은 현관에 고정된 문틀(1)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문틀(1)에 힌지(3a,3b)로 연결된다. 즉, 방화문(2)은 그 힌지측(22)이 문틀(1)의 힌지측(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방화문(2) 및 문틀(1)의 힌지측의 반대측, 즉 문틀 개폐측(11)과 방화문 개폐측(21)에는 잠금장치(4)가 설치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화문(2)은 잠금장치(4)가 잠긴 상태에서도 방화문(2)의 힌지(3a,3b)가 파손되면 방화문 힌지측(22)이 문틀 힌지측(12)로부터 벌어지면서 방화문이 열리는 단점을 갖는다. 도 4는 일반적인 현관 방화문 및 그 문틀에서 힌지를 파손시키고 방화문의 힌지측이 문틀의 힌지측으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개념 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방화문용 문틀의 힌지측에 방화문의 힌지측 가장자리가 걸리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방화문의 힌지가 파손되더라도 방화문이 열리지 않는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는, 현관 방화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방화문의 힌지측과 문틀의 힌지측이 서로 힌지 연결되고, 방화문의 개폐측과 문틀의 개폐측에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에서 힌지의 파손으로 현관 방화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현관의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힌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방화문이 닫힌 상태에서 방화문 힌지측 가장자리가 걸리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현관의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관 방화문(2)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방화문(2)의 힌지측(22)과 문틀(1)의 힌지측(12)이 서로 힌지 연결되고, 방화문(2)의 개폐측(21)과 문 틀(1)의 개폐측(11)에 잠금장치(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및 하기에서 '힌지측'은 방화문(2)과 문틀(1)이 힌지(3a,3b)로 연결된 측의 방화문(2)과 문틀(1)의 높이변을 의미한다. 그리고, '개폐측'은 방화문(2)과 문틀(1)이 힌지(3a,3b)로 연결된 측의 반대쪽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는 잠금장치(4)가 잠긴 상태에서 힌지(3a,3b)의 파손으로 현관 방화문(2)이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문틀 힌지측(12)에는 방화문 힌지측(22)의 외측이 걸리기 위한 돌출부(13)이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문틀 힌지측(12)에는 방화문(2)이 닫힌 상태에서 방화문 힌지측(22)의 외측 가장자리가 걸리기 위한 돌출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의 돌출된 높이는 상기 방화문(2)의 개폐 회전시 방화문 힌지측(22)이 간섭되지 않으면서 방화문(2)이 닫힌 상태에서는 돌출부(13)에 방화문 힌지측(22)의 외측 가장자리가 걸리게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돌출부(13)는 문틀 힌지축(12)에 외측 모서리를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돌출부(13)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문틀의 단면 형상이 방화문 힌지측(22)이 마주보며 안착되는 안착턱부(12a)와, 방화문 힌지측(22) 가장자리의 내측이 걸리기 위한 걸림턱부(12b)와, 상기 걸림턱부(12b)로부터 실내측으로 연장된 돌출턱부(12c)로 형성된 문 틀 힌지측(12)이 형성된 실시예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문틀 힌지측(12)에 돌출부(13)이 형성됨으로써 방화문 힌지측(22) 가장자리는 상기 안탁턱부(12a)에 안착되어 그 가장자리 내측은 상기 걸림턱부(12b)에 걸리고 그 가장자리 외측은 상기 돌출부(13)에 걸려 잠금장치(4)가 잠긴 상태에서는 힌지(3a,3b)를 파손시키더라도 방화문(2)이 방화문 힌지측(22)에서 열리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는 방화문용 문틀의 힌지측에 방화문의 힌지측 가장자리가 걸리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방화문의 힌지가 파손되더라도 방화문이 열리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현관 방화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방화문의 힌지측과 문틀의 힌지측이 서로 힌지 연결되고, 방화문의 개폐측과 문틀의 개폐측에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잠금장치가 잠긴 상태에서 힌지의 파손으로 현관 방화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현관의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힌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방화문이 닫힌 상태에서 방화문 힌지측 가장자리가 걸리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의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
KR2020060005061U 2006-02-23 2006-02-23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 KR200416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061U KR200416780Y1 (ko) 2006-02-23 2006-02-23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061U KR200416780Y1 (ko) 2006-02-23 2006-02-23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780Y1 true KR200416780Y1 (ko) 2006-05-22

Family

ID=4176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061U KR200416780Y1 (ko) 2006-02-23 2006-02-23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7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13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200413716Y1 (ko) 현관 방화문과 그 문틀의 구조
KR200396859Y1 (ko) 여닫이, 미닫이 방식을 병용한 안전 방범창
KR200416780Y1 (ko) 현관 방화문용 문틀의 구조
KR20120004113U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102049651B1 (ko) 방충망의 힌지 결합구조
KR200401544Y1 (ko) 회전형 자물쇠용 걸고리
KR100985753B1 (ko)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20110029989A (ko) 고중량 도어 고정장치
KR200464215Y1 (ko) 창호
KR100755514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JP5580039B2 (ja) 引き戸用換気装置
KR200360335Y1 (ko) 창문
KR200416653Y1 (ko) 방충망을 갖는 이중창
KR100596455B1 (ko) 건축용 창호 구조
KR102170543B1 (ko)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KR20090046755A (ko)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KR20130136665A (ko) 폴딩도어용 경첩
KR101971776B1 (ko) 문폭을 확보토록 한 안전도어
JP4077802B2 (ja) ドアの反止具
KR200206313Y1 (ko)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KR200368421Y1 (ko) 여닫이 출입문용 방범장치및 분리 회동형 방충장치의케이스
KR20170142607A (ko)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KR200433604Y1 (ko) 방범창 및 방충망의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