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904Y1 -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904Y1
KR200415904Y1 KR2020060005251U KR20060005251U KR200415904Y1 KR 200415904 Y1 KR200415904 Y1 KR 200415904Y1 KR 2020060005251 U KR2020060005251 U KR 2020060005251U KR 20060005251 U KR20060005251 U KR 20060005251U KR 200415904 Y1 KR200415904 Y1 KR 200415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athroom
waterproof plate
mold body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60005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9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0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6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res or inserts, e.g. pins, mandrel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0Removing moulded articles
    • B29C2043/503Removing moulded articles using ejector pins,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9Sanitar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하부금형부와, 상부금형부를 갖는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부는; 수평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벽부로 이루어지며 상부로 개방되는 금형틀과, 상기 금형틀의 바닥부상에 각각 설치되되 상호 연접한 상태로 상부로 개방되며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제 1,2금형본체와, 상기 제 1,2금형본체가 제공하는 내부공간에 장착되며 욕실방수판 저면을 성형할 금형면을 이루는 다수의 코어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금형본체는, 제 1금형본체와 별도로 제작된 것으로서 그 내부공간에 코어금형이 고정된 상태로 금형틀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상기 제 2금형본체를 금형틀에 장착할 때 제 2금형본체의 장착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금형틀의 바닥부에는 안내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금형본체에는 상기 안내부에 가이드되 피안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는, 하부금형부 금형면의 넓이 조절이 간단하여 제작할 욕실방수판의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요구되는 사이즈에 쉽게 맞출 수 있으며, 또한 사용이 오래되더라도 열에 의한 코어간의 간격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제품의 품질이 항상 처음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Mold device for forming waterproof panel in bathroom}
도 1은 일반적인 욕실방수판의 일 예를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제 2금형본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이용해 서로 다른 사이즈의 욕실방수판을 제작하는 제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욕실방수판 12:바닥판 13:배수로
15:리브(rib) 16:배수구멍 17:금형장치
19:상부금형부 21:하부금형부 23:금형틀
23a:내부공간 25a:제 1금형본체 25b:제 2금형본체
25c:코어장착공간 25e:암나사구멍 26a,26b:코어금형
27a:슬릿 27b:고정볼트 41:금형장치
42:하부금형부 43:금형틀 43a:이젝트핀관통구멍
43b:내벽면 43c:바닥부 45a:제 1금형본체
45b:제 2금형본체 45c:이젝트핀관통구멍 45d:가이드핀수용홈
45e:바닥부 45f:아이볼트 47a:코어금형
47b:코어금형 47c:슬릿 47d:이젝트핀가이드구멍
49:내부공간 51:가이드핀
본 고안은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식공법을 통한 욕실의 시공에는 욕실방수판이 사용된다. 상기 욕실방수판은 욕실 바닥면적과 같은 면적을 갖도록 미리 성형된 방수성 판넬로서 시공시 욕실의 바닥에 매설되고 그 위에 타일이 부착된다.
도 1에 상기한 욕실방수판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욕실방수판(11)은 욕실의 바닥에 깔릴 수 있도록 사각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욕실방수판(11)의 대략 바닥판(12) 중앙부에는 배수구멍(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멍(16)의 측부에는 배수구멍(16)을 향하는 배수로(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수로(13)의 바닥면이나 바닥판(12)은 배수구멍(16)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상기 욕실방수판(11)의 저면에는 다수의 리브(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15)는 욕실방수판(1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력에 의해 바닥판(12)이 눌려 벤딩되거나 온도변화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 욕실방수판(11)은 공지의 성형용 프레스장치로 제작된다. 즉 상기 욕실방수판의 상면 및 저면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금형면 사이에 성형재료(예컨대, FRP)를 위치시킨 상태로 하부금형에 대해 상부금형을 고온 고압으로 눌러 제작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상하부금형에 의해 제작되는 욕실방수판(11)은, 상하부금형의 크기가 달라지지 않는 한 동일한 규격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다른 사이즈의 방수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사이즈의 금형을 다시 제작하여야 한다. 그러나 금형을 욕실방수판의 종류별로 제작한다는 것은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져 현실적이지 못하다.
특히 시공현장에는 여러 가지 변수가 있어 욕실의 바닥면적이 약간씩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아무리 다양한 사이즈를 구비한다 하더라도 욕실방수판이 바닥면에 정확히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필요할 때마다 종류별로 제작하지 않고, 그 대신 최소사이즈의 기본금형을 제작하고 상기 기본금형의 테두리부에 추가금형을 필요한 만큼씩 밀착 구성하여 면적을 확장하는 방식을 따른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금형장치(17)는, 성형용 프레스장치(미도시)의 다이(미도시)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금형부(21)와, 상기 하부금형부(21)의 연직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금형부(21)측으로 하강하여 하부금형부(21)의 금형면에 대기하고 있는 원료를 압착하는 상부금형부(19)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금형부(21)는,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며 상부로 개방되고 내부공간(23a)을 제공하는 금형틀(23)과, 상기 금형틀(23)의 내부공간(23a)에 수용 고정되되 상호 마주한 상태로 밀착하여 그 내부에 코어장착공간(25c)을 갖는 제 1금형본체(25a) 및 제 2금형본체(25b)와, 상기 제 1,2금형본체(25a,25b)가 제공하는 코어장착공간(25c)에 배치되는 다수의 코어금형(26a,26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금형(26a,26b)은 대략 육면체의 형태를 취하며 이웃 코어금형과 밀착한 상태로 제 1,2금형본체(25a,25b)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제 2금형본체(25b)에 고정되는 코어금형(26b)은 고정볼트(27b)를 통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금형본체(25b)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암나사구멍(25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볼트(27b)는 각각의 코어금형(26b)을 하향 통과하여 암나사구멍(25e)에 나사 결합함으로서 코어금형(26b)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코어금형(26a,26b)의 사이에는 슬릿(2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27a)은 방수판 저면의 리브(15)를 성형하기 위한 공간이다.
여하튼, 도 2에 도시한 금형장치는 폭이 W, 길이가 L1인 방수판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즉 길이가 L1인 방수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길이가 P인 제 1금형본체 (25a)에, 길이가 A인 제 2금형본체(25b)를 조합한 것이다. 상기 제 2금형본체(25b)는 전체 길이 L1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 1금형본체(25a)측으로 화살표 F방향 가압력을 제공받고 있다. 상기 제 2금형본체(25b)를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제 2금형본체(25b)와 금형틀(23)의 내벽면 사이에 별도의 쐐기(미도시)가 박힌다.
도 3는 폭이 W이고 길이가 L2 (L2 < L1)인 방수판을 제작하기 위한 조합 예이다. 이와같이, 길이가 L2인 방수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길이가 P인 제 1금형본체(25a)에 길이가 B인 제 2금형본체(25b)를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 밀착시킴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금형부(19)에는 하부금형부(21)에서와 같이 다수의 코어금형(26a,26b)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하부금형부(21)의 사이즈와 대응하여 그 넓이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금형부(19)의 사이즈 조절은 일반적인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는, 특히 하부금형부에 있어서 금형본체의 길이(L1,L2)를 조절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테면 욕실방수판의 성형 사이즈를 변경할 필요가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하부금형부를 도 3에 도시한 하부금형부로 변경하여야 할 경우, 먼저 제 2금형본체(25b)에 고정되어 있는 코어금형(26b)을 일일이 떼어내야 한다.
코어금형(26b)을 들어내기 위해서는 각 코어금형(26b)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볼트(27b)를 풀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런데 사용하던 코어금형(26b)과 코어금형의 사이(슬릿(27a)의 하부)에는 얼마간의 합성수지가 침투해 있으므로 코어금형(26b)이 서로에 대해 접착되어 고정볼트(27b)를 풀었다고 코어금형(26b)을 바로 들어낼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여하튼 다수의 코어금형(26b)을 분리하였다면 도 2의 제 2금형본체(25b)를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하던 쐐기를 분해하고 제 2금형본체(25b)를 금형틀(23)로부터 들어낸다. 그 후 도 2의 (길이 B를 갖는) 제 2금형본체(25b)를 금형틀(25) 내부에 설치하고 쐐기로 화살표 F방향으로 지지시킨 후 고정볼트(27b)로 필요한 개수만큼의 코어금형(26b)을 다시 결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하부금형부(2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코어금형(26b)을 일일이 분리하여 들어내고, 원하는 사이즈의 제 2금형본체로 교체한 후, 교체한 금형본체에 코어금형을 다시 장착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팅은 숙련자를 포함한 3명 내지 4명이 무려 9시간 정도의 작업을 하여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하부금형부로부터 성형이 완료된 방수판을 금형면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이젝트핀(eject pin)이 사용된다. 상기 이젝트핀은 성형용 프레스장치의 하부다이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하는 수직핀으로서, 상기 하부금형부를 향하여 상향 이동함으로써 그 상단부로 방수판을 밀어 올리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금형장치는, 코어금형(26b)이 생산할 방수판의 사이즈에 맞추어 제 2금형본체에 하나하나 조립 고정되므로, (비록 이웃하는 코어금형(26b)이 서로에 대해 밀착하고 있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씩 뒤틀리고 그에 따라 처음의 위치에서 미세하게 비켜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금형본체 에는 이젝트핀을 적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즉, 제 2금형본체(25b) 및 금형틀(23)에 이젝트핀관통구멍(미도시)을 가공하고 각각의 코어금형(26b)을 이젝트핀이 돌출될 위치에 맞추어 (즉, 이젝트핀관통구멍에 비켜) 정밀하게 조립하였다 하더라도, 상기한 이유로 코어금형이 이젝트핀을 약간씩 막을 경우 이젝트핀의 사용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하부금형부 금형면의 넓이 조절이 간단하여 제작할 욕실방수판의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요구되는 사이즈에 쉽게 맞출 수 있으며, 또한 사용이 오래되더라도 열에 의한 코어간의 간격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제품의 품질이 항상 처음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욕실 시공시 욕실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는 욕실방수판을 제작하는 것으로서, 프레스성형기의 하부 다이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금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연직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금형부로 하강하여 하부금형부의 금형면에 준비된 원료를 압착하여 상기 욕실방수판을 성형하는 상부금형부를 갖는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부는; 수평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벽부로 이루어지며 상부로 개방되는 금형틀과, 상기 금형틀의 바닥부상에 각각 설치되되 상호 연 접한 상태로 상부로 개방되며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제 1,2금형본체와, 상기 제 1,2금형본체가 제공하는 내부공간에 장착되며 욕실방수판 저면을 성형할 금형면을 이루는 다수의 코어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금형본체는, 제 1금형본체와 별도로 제작된 것으로서 그 내부공간에 코어금형이 고정된 상태로 금형틀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상기 제 2금형본체를 금형틀에 장착할 때 제 2금형본체의 장착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금형틀의 바닥부에는 안내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금형본체에는 상기 안내부에 가이드되 피안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2금형본체는 금형틀 내부에서 상호 마주하며 연접한 상태로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제 2금형본체는 상기 금형틀의 벽부 내측면에 면접되어 제 1금형본체 측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호 연접한 상태의 상기 제 1,2금형본체는 수평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사각의 벽부로 이루어진 하나의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 2금형본체의 바닥부는 생산할 욕실방수판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형틀의 바닥부에는 제작된 욕실방수판을 하부금형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하부다이로부터 상향 이동하는 이젝트핀을 제 1,2금형본체측으로 통과시키는 다수의 이젝트핀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금형본체의 바닥부에는 상기 이젝트핀관통구멍을 통과한 이젝트핀을 금형코어측으로 통과시키는 제 2이젝트핀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금형의 사이에는 상기 제 2이젝트핀관통구멍을 상향 통과한 이젝트핀이 그 내부를 따라 상향 이동하는 이젝트핀가이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금형본체에는, 제 2금형본체를 금형틀로부터 들어낼 수 있도록 외부의 힘을 가하는 걸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금형틀의 바닥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이고, 상기 피안내부는 상기 제 2금형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핀을 수용하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41)는, 성형용 프레스장치(미도시)의 다이(미도시)에 장착되는 하부금형부(42)와, 상기 하부금형부(42)의 연직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금형부(42)측으로 하강하여 하부금형부(42)의 금형면에 준비되어 있는 원재료를 압착하여 누르는 상부금형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금형부(42)는 사각의 바닥부(43c)와 상기 바닥부(43c)의 테두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소정 내부공간(49)을 제공하는 금형틀(43)과, 상기 금형틀(43)의 내부공간(49)에 상호 마주하며 밀착한 상태로 고정되는 제 1금형본체(45a) 및 제 2금형본체(45b)와, 상기 제 1금형본체(45a)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코어금형(47a)과, 상기 제 2금형본체(45b)에 장착되는 다수의 코어금형(47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금형본체(45a)와 제 2금형본체(45b)는 금형틀(43)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하나의 사각틀을 구성한다. 특히 제 1,2금형본체(45a,45b)의 외측면은 금형틀(43)의 내벽면(43b)에 밀착한다. 따라서 제 1금형본체(45a)와 제 2금형본체(45b)가 금형틀(43)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벌어질 염려가 없다. 즉, 도 2에서 설명한 별도의 쐐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형틀(43)의 바닥부(43c)에 있어서 제 2금형본체(45b)가 안착되는 부위에는 두 개의 가이드핀(5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핀(51)은 수직으로 연장된 봉형부재로서 금형틀(43)에 대한 제 2금형본체(45b)의 안착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제 2금형본체(45b)가 금형틀(43) 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견고히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제 2금형본체(45b)의 저면에 상기 가이드핀(51)이 삽입되는 가이드핀수용홈(45d)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핀(51)의 측부에는 다수의 이젝트핀관통구멍(43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핀관통구멍(43a)은 성형용 프레스장치(미도시)의 하부다이에 설치된 상태로 수직으로 승강하는 다수의 이젝트핀(미도시)이 상향 통과하는 구멍이다. 상기 이젝트핀(미도시)은 공지의 것으로서 방수판의 성형이 완료된 후 상승하여 하부금형으로부터 제품을 떼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젝트핀의 구동 메카니즘도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금형본체(45b)의 바닥부(45e)에도 다수의 이젝트핀관통구멍(45c)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젝트핀관통구멍(45c)은 금형틀(43)의 이젝트핀관통구멍(43a)과 일직선을 이루며 상부로 이동하는 이젝트핀을 상향 통과시킨다.
특히 상기 제 2금형본체(45b)에 장착되는 다수의 코어금형(47b)의 인접부위에는 이젝트핀가이드구멍(47d)이 형성된다. 상기 이젝트핀가이드구멍(47d)은 각각의 이젝트핀관통구멍(45c)에 대응 위치하는 수직 통로로서 상부로 이동한 이젝트핀(미도시)이 슬릿(47c)의 공간에 충진되어 형성된 리브(rib)를 위로 밀어내도록 하는 통로이다.
도면부호 45f는 공지의 아이볼트이다. 상기 아이볼트(45f)는 금형작업시에는 제거하고, 필요시 제 2금형본체(45b)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제 2금형본체(45b)의 해당 위치에 장착되어 예컨대 호이스트를 통해 제 2금형본체(45b)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아이볼트(45f)는 호이스트의 후크를 걸수 있는 걸이수단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제 2금형본체(45b)와 하나의 세트로 사용하는 제 2금형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 5a에 도시한 제 2금형본체(45b)의 벽두께(K2) 및 도 5b에 도시한 제 2금형본체의 벽두께(K3)가 도 5a에 도시한 제 2금형본체(45b)의 벽두께(K1)보다 두껍다.
이와같이 벽두께를 달리한 것은, (제 2금형본체(45b)가 금형틀(43)의 내벽면(43b)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길이(L1,L2,L3)가 서 로 다른 욕실방수판을 생산할 수 있는 사이즈의 금형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벽두께가 다양한 여러 종류의 제 2금형본체를 구비해 놓을수록 여러 크기의 방수판을 제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각각의 제 2금형본체에는 코어금형(26a)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코어금형(26a)은 제 2금형본체(45b)에 대해 붙박이로 고정되어 (거의 분해되지 않고) 사용된다. 즉 상기 코어금형(26a)은 생산할 방수판의 크기가 달라질 때마다, 제 2금형본체로부터 분리되거나 및 재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제 2금형본체(45b)에 고정된 상태로, 금형틀(23)의 내부에 제 2금형본체(45b)와 함께 통째로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생산할 욕실방수판의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코어금형을 일일이 분해 및 재조립하는 과정이 없으므로 그만큼 장치의 세팅이 간단하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이용해 서로 다른 사이즈의 욕실방수판을 제작하는 제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하부금형부(42)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길이가 L1이고 폭이 W인 방수판을 제작하기 위해 세팅된 하부금형부(42)의 모습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금형틀(43)의 내부에 제 1,2금형본체(45a,45b)가 상호 밀착한 상태로 끼워져 있다. 특히 상기 제 2금형본체(45b)의 외측면은 금형틀(43)의 내벽면으로부터 지지력을 받아 제 1금형본체(45a)와 긴밀히 밀착하고 있다.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에는 제 2금형본체(25b)를 제 1금형본체(25a)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쐐기를 사용하였었다.
상기 상태에서 길이가 L1인 방수판을 제작하다가, 필요에 따라 길이가 L2인 방수판을 제작하여야 할 경우, 도 6a에 사용하던 제 2금형본체(45b)를 금형틀(43)로부터 들어내고 그 자리에 도 5a에 도시한 금형본체를 앉힌다. 이 때 각 제 2금형본체(45b)에 코어금형(47b)이 미리 고정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 6b에 도시한 제 2금형본체(45b)의 벽두께(K2)가 도 6a의 제 2금형본체의 벽두께(K1)보다 두꺼움은 당연하다.
마찬가지로 더 짧은 길이(L3)의 방수판을 제작하여야 할 경우, 사용하던 제 2금형본체를 들어내고 도 5b에 도시한 제 2금형본체(45b)를 장착한다. 도 5b에 도시한 제 2금형본체(45b)를 장착한 결과 도 6c에 도시한 바와같이 길이가 L3인 방수판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는, 미리 준비된 (코어금형이 장착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제 2금형본체를 선택 적용하여 원하는 사이즈의 욕실방수판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는, 하부금형부 금형면의 넓이 조절이 간단하여 제작할 욕실방수판의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요구되는 사이즈에 쉽게 맞출 수 있으며, 또한 사용이 오래되더라도 열에 의한 코어간의 간격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제품의 품질이 항상 처음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 다.

Claims (7)

  1. 욕실 시공시 욕실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는 욕실방수판을 제작하는 것으로서, 프레스성형기의 하부 다이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금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연직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금형부로 하강하여 하부금형부의 금형면에 준비된 원료를 압착하여 상기 욕실방수판을 성형하는 상부금형부를 갖는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부는;
    수평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벽부로 이루어지며 상부로 개방되는 금형틀과,
    상기 금형틀의 바닥부상에 각각 설치되되 상호 연접한 상태로 상부로 개방되며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제 1,2금형본체와,
    상기 제 1,2금형본체가 제공하는 내부공간에 장착되며 욕실방수판 저면을 성형할 금형면을 이루는 다수의 코어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금형본체는,
    제 1금형본체와 별도로 제작된 것으로서 그 내부공간에 코어금형이 고정된 상태로 금형틀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상기 제 2금형본체를 금형틀에 장착할 때 제 2금형본체의 장착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금형틀의 바닥부에는 안내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금형본체에는 상기 안내부에 가이드되 피안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금형본체는 금형틀 내부에서 상호 마주하며 연접한 상태로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제 2금형본체는 상기 금형틀의 벽부 내측면에 면접되어 제 1금형본체 측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호 연접한 상태의 상기 제 1,2금형본체는 수평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사각의 벽부로 이루어진 하나의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 2금형본체의 바닥부는 생산할 욕실방수판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틀의 바닥부에는 제작된 욕실방수판을 하부금형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하부다이로부터 상향 이동하는 이젝트핀을 제 1,2금형본체측으로 통과시키는 다수의 이젝트핀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금형본체의 바닥부에는 상기 이젝트핀관통구멍을 통과한 이젝트핀을 금형코어측으로 통과시키는 제 2이젝트핀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금형의 사이에는 상기 제 2이젝트핀관통구멍을 상향 통과한 이젝트핀이 그 내부를 따라 상향 이동하는 이젝트핀가이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금형본체에는, 제 2금형본체를 금형틀로부터 들어낼 수 있도록 외부의 힘을 가하는 걸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금형틀의 바닥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이고, 상기 피안내부는 상기 제 2금형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핀을 수용하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KR2020060005251U 2006-02-25 2006-02-25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KR200415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251U KR200415904Y1 (ko) 2006-02-25 2006-02-25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251U KR200415904Y1 (ko) 2006-02-25 2006-02-25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904Y1 true KR200415904Y1 (ko) 2006-05-10

Family

ID=4176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251U KR200415904Y1 (ko) 2006-02-25 2006-02-25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90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12B1 (ko) 2006-08-25 2007-06-28 박재열 욕실방수판금형
KR200450901Y1 (ko) 2010-02-17 2010-11-09 인성산업주식회사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KR101159107B1 (ko) 2010-09-20 2012-06-22 주식회사 성일 욕실 방수판용 금형장치
KR20190138489A (ko) * 2018-06-05 2019-12-13 김민성 금형 도금장치
KR20220006163A (ko) * 2020-07-07 2022-01-17 (주) 와이 디 티 욕실 방수판의 사이즈조절을 위한 금형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12B1 (ko) 2006-08-25 2007-06-28 박재열 욕실방수판금형
KR200450901Y1 (ko) 2010-02-17 2010-11-09 인성산업주식회사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KR101159107B1 (ko) 2010-09-20 2012-06-22 주식회사 성일 욕실 방수판용 금형장치
KR20190138489A (ko) * 2018-06-05 2019-12-13 김민성 금형 도금장치
KR102164550B1 (ko) 2018-06-05 2020-10-12 김민성 금형 도금장치
KR20220006163A (ko) * 2020-07-07 2022-01-17 (주) 와이 디 티 욕실 방수판의 사이즈조절을 위한 금형구조
KR102428925B1 (ko) * 2020-07-07 2022-08-05 (주) 와이 디 티 욕실 방수판의 사이즈조절을 위한 금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904Y1 (ko)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KR101427521B1 (ko) 콘크리트 용기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US20230019683A1 (en) Device for producing concrete slabs
KR101340672B1 (ko) 주조용 주형의 정 위치 안내용 코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목형
JP2015071243A (ja) 熱硬化性樹脂成形品成形用の金型およびこの金型を用いた熱硬化性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KR100658011B1 (ko) 패널 성형 방법 및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형 장치
KR100732712B1 (ko) 욕실방수판금형
KR101179388B1 (ko) 금형조립체
KR102275070B1 (ko) 인서트물 고정 구조가 구비된 사출 금형장치
KR100959025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제조방법
US11780114B2 (en) Device for pressing a non-hardened concre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articles
CN211105814U (zh) 一种斜面活块式茶砖压制模具
KR200389842Y1 (ko) 사출물의 부착방지장치가 구비된 금형장치
KR100663269B1 (ko) 상형금형의 언더컷 성형장치
KR101159107B1 (ko) 욕실 방수판용 금형장치
KR100530028B1 (ko) 향상된 제품 취출성을 갖는 사출금형 구조
KR20080004359U (ko) 금형 조립체
KR100278088B1 (ko) 조립식 타일블럭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86404B1 (ko) 욕실 방수판용 금형장치
CN210308635U (zh) 一种易碎件成型模具
CN216230004U (zh) 一种混凝土立方体试块模具
KR200430188Y1 (ko) 욕실방수판금형
KR0142111B1 (ko) 문양블록 성형장치
JPH03133609A (ja) 圧縮成形金型
KR101679621B1 (ko) 처마 시공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