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901Y1 -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 Google Patents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901Y1
KR200450901Y1 KR2020100001696U KR20100001696U KR200450901Y1 KR 200450901 Y1 KR200450901 Y1 KR 200450901Y1 KR 2020100001696 U KR2020100001696 U KR 2020100001696U KR 20100001696 U KR20100001696 U KR 20100001696U KR 200450901 Y1 KR200450901 Y1 KR 200450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waterproof plate
plate
reinforcement
f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배
Original Assignee
인성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성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성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1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9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9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04C2/3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with a frame of other materials, e.g. fibres,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UBR(Unit Bach Room) 조립공법에 사용되는 욕실의 방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욕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방수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방수판 성형틀에 안착 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방수 바닥판; 상기 방수 바닥판의 하면에 접합되어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방수판 보강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은 사전에 미리 제작하여 욕실의 크기만큼 잘라서 사용하고 또한, 종래의 조립식 욕실의 장점인 누수방지, 균일한 품질 확보 유지보수의 편리성 등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점으로 지적된 욕실바닥의 공명현상이 발생 되지 않으며 양호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Stopwater plate wiht reinforcement}
본 고안은 UBR(Unit Bach Room) 조립공법에 사용되는 욕실의 방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욕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방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의 바닥에는 방수구조가 필수적으로 시공되어야 하며 시공방법으로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이 있다.
습식공법은 사면이 벽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바닥에 액체방수공사에 의해 방수층을 형성한 후 그 표면에 바닥 타일 공사를 실행하고 벽면에도 액체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벽 타일 공사를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습식공법의 시공은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사시간이 길어지고 시공의 난이도가 높으며 동절기의 영하의 기온에서는 시공이 불가능하다. 또한, 균일한 품질확보가 어렵고 시간이 지나면 방수층의 균열로 인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건식공법은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공법인 UBR(Unit Bach Room) 조립공법을 말하는데, 상기한 건식공법은 습식공법에 비해 시공방법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양호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있고 습식공법에 비해 공사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식공법에 사용되는 방수판을 제작할 때 모두 방수판 성형틀에 의하여 제작하므로 방수판 성형틀을 포함하여 방수판 제작 생산설비를 투자하여야 하므로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욕실의 형상이 다른 경우 그에 해당하는 방수판 성형틀을 제작하여야 함으로 전체적인 공사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UBR(Unit Bach Room) 조립공법은 방수판의 하부에 시멘트 몰탈을 충진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한데, 시멘트 몰탈을 충진함에 있어서 시멘트 몰탈의 충진된 상태가 밀실 하게 안된 경우와 시멘트 몰탈의 경화에 따른 수축에 의해 방수판과 시멘트 몰탈 사이에 생기는 공간에 의하여 공명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수판의 하단에 우레탄을 발포하여 사용하였으나 우레탄의 재로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제작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며, 우레탄을 과다하게 발포할 경우 방수판이 부풀어 올라 욕실바닥의 구배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게 되어 재 공사를 하여야 함으로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제작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식 욕실에 사용되는 방수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방수판 성형틀의 제작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크기의 방수판을 제작할 수 있으며 방수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방수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방수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방수판 성형틀(100)에 안착 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방수 바닥판(200); 상기 방수 바닥판(200)의 하면에 접합 되어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방수판 보강재(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방수 바닥판(200)을 시멘트 몰탈층(400)에 시공시 상기 시멘트 몰탈층(400)이 경화 및 수축함에 따라 상기 방수 바닥판(200)의 하면과 상기 시멘트 몰탈층(40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공명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일측면이 상기 다수개의 방수판 보강재(300) 중 이웃한 방수판 보강재(300)와 이격되며 상기 방수 바닥판(200)의 하면에 접합 고정되는 다수개의 공명 방지 리브(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 보강재(300)의 재질은 FRP 스크랩(scrap)을 분쇄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방수판 보강재(300)는 상호 교차하여 다수개의 격자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공명 방지 리브(500)의 하단은 상기 방수판 보강재(300)의 하단 높이 보다 낮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은 사전에 미리 제작하여 욕실의 크기만큼 잘라서 사용하고 또한, 종래의 조립식 욕실의 장점인 누수방지, 균일한 품질 확보 유지보수의 편리성 등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점으로 지적된 욕실바닥의 공명현상이 발생 되지 않으며 양호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판 성형틀과 방수 바닥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판 보강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명 방지 리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바닥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판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판 성형틀과 방수 바닥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판 보강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명 방지 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 바닥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판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욕실 공법 중 건식공법에서 사용되는 UBR(Unit Bach Room) 욕실조립공법에 사용되는 방수판과 체결되어 사용되는 방수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욕실의 바닥크기와 동일한 크기인 방수판 성형틀(100)이 형성된다. 방수판 성형틀(100)은 내부가 중공된 형상이다. 즉 내부가 개방되고 외주면을 따라 방수 바닥판 안착면(110)을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수판 성형틀(100)에 안착이 되는 방수 바닥판(200)이 구비된다. 방수 바닥판(2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방수판 성형틀(100)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한다. 즉, 방수 바닥판(200)은 조립식 욕실에 사용되는 방수판과 체결되어 사용되는데, 방수 바닥판(200)은 사전에 제작되어 방수판 성형틀(100)의 크기에 따라 절단되어 사용된다. 방수바닥판(200)의 재질은 자유롭게 성형이 가능하고 강도가 우수한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방수 바닥판(200)의 하면에는 방수 바닥판(200)과 접합되어 고정되는 방수판 보강재(300)가 형성된다. 방수판 보강재(300)은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방수판 보강재(300)는 다수개 형성되는데, 이는 상호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방수판 보강재(300)는 좌우방향으로 나열되고, 수직방향으로는 다른 다수개의 방수판 보강재(300)가 형성되어 상호 교차하여 형성된다. 이는 방수판 보강재(300)의 강도를 향상 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방수 바닥판(200)의 뒤틀림과 휨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방수판 보강재(3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다. FRP(Fiber Reinforced Plastic), SMC(Sheet Molding Compound), PVC(Polyvinyl Chloride) 등 방수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어떠한 것을 써도 무방하다
이때, 방수판 보강재(300)에 사용되는 FRP는 산업폐기물인 FRP 스크랩(scrap)을 분쇄하고, 분쇄된 FRP 스크랩(scrap)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호 혼합하여 방수판 보강재(300)의 재질로 사용된다. 따라서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방수 바닥판(200)은 시멘트 몰탈층(400)에 시공된다. 그러나 시멘트 몰탈층(400)에 방수 바닥판(200)을 시공하는 경우 방수판 보강재(300)에 시멘트 몰탈이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게 되면, 시멘트 몰탈층(400)이 경화 및 수축함에 따라 방수 바닥판(200)의 하면과 경화된 시멘트 몰탈층(400)의 상면 사이에는 빈 공간부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빈 공간부가 형성된 후 조립식 욕실을 완성하게 되면 바닥에는 상기 빈 공간부로 인해 공명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조립식 욕실의 바닥에 물이 떨어지거나, 사람이 상기 조립식 욕실 바닥을 걸어 다니는 경우 상기 빈 공간부로 인하여 소리가 울리는 공명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공명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 바닥판(200)의 하면에는 방수 바닥판(200)과 접합 고정되어 상기 빈 공간을 축소시키는 다수개의 공명 방지 리브(500)가 형성된다. 즉, 공명 방지 리브(500)는 상단이 방수 바닥판(200)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이 시멘트 몰탈층(400)에 밀착하거나 시멘트 몰탈층(400)에 묻힘으로써 상기 빈 공간을 축소시키게 된다. 공명 방지 리브(500)는 방수판 보강재(300)가 교차함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격자에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공명 방지 리브(500)는 적어도 일측면이 상기 격자를 형성하는 방수판 보강재(300)의 벽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며 설치된다. 공명 방지 리브(500)는 격자로 형성된 방수판 보강재(300)의 각각의 격자형 공간부(510)에 형성되는데, 공명 방지 리브(500)는 격자부 공간부(5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공명 방지 리브(500)의 전후면 및 양측면이 각각 방수판 보강재(300)의 벽면과 이격되거나, 공명 방지 리브(500) 전후면 만이 방수판 보강재(300)의 벽면과 이격되거나, 공명 방지 리브(500) 양측면 만이 방수판 보강재(300)의 벽면과 이격될 수 있다. 공명 방지 리브(500)의 형상과 크기는 상기 빈 공간부를 축소시켜 공명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라면 그 어떠한 형상과 크기라도 무방하다.
도 4 를 참조하면 공명 방지 리브(500)의 하단은 방수판 보강재(300)의 하단 높이 보다 낮게 돌출 형성되어야 한다. 공명 방지 리브(500)의 높이가 방수판 보강재(300)의 높이 보다 높아지면, 방수판 보강재(300)의 사이에 시멘트 몰탈(400)이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방수 바닥판(200)과 접합되어 고정되는 방수판 보강재(300)는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방수 바닥판(200)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고 방수 바닥판(2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방수 바닥판(200)의 내구성은 향상되고, 누수 및 파손의 위험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하자보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방수판 성형틀 110 : 바닥판 안착면
200 : 방수 바닥판 300 : 방수판 보강재
400 : 시멘트 몰탈층 500 : 공명 방지 리브
510 : 격자부 공간부

Claims (5)

  1. 삭제
  2. 방수판 성형틀(100)에 안착 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방수 바닥판(200);
    상기 방수 바닥판(200)의 하면에 접합되어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방수판 보강재(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수 바닥판(200)을 시멘트 몰탈층(400)에 시공시 상기 시멘트 몰탈층(400)이 경화 및 수축함에 따라 상기 방수 바닥판(200)의 하면과 상기 시멘트 몰탈층(40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공명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일측면이 상기 다수개의 방수판 보강재(300) 중 이웃한 방수판 보강재(300)와 이격되며 상기 방수 바닥판(200)의 하면에 접합 고정되는 다수개의 공명 방지 리브(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 보강재(300)의 재질은 FRP 스크랩(scrap)을 분쇄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방수판 보강재(300)는 상호 교차하여 다수개의 격자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 방지 리브(500)의 하단은 상기 방수판 보강재(300)의 하단 높이 보다 낮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KR2020100001696U 2010-02-17 2010-02-17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KR200450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696U KR200450901Y1 (ko) 2010-02-17 2010-02-17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696U KR200450901Y1 (ko) 2010-02-17 2010-02-17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901Y1 true KR200450901Y1 (ko) 2010-11-09

Family

ID=4447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696U KR200450901Y1 (ko) 2010-02-17 2010-02-17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90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434Y1 (ko) 2003-08-21 2003-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식 욕실 방수판
KR200344290Y1 (ko) * 2003-12-16 2004-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욕실 방수층 구조
KR200415904Y1 (ko) 2006-02-25 2006-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KR100759586B1 (ko) 2004-12-21 2007-09-18 김원대 욕실용 바닥방수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434Y1 (ko) 2003-08-21 2003-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식 욕실 방수판
KR200344290Y1 (ko) * 2003-12-16 2004-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욕실 방수층 구조
KR100759586B1 (ko) 2004-12-21 2007-09-18 김원대 욕실용 바닥방수판
KR200415904Y1 (ko) 2006-02-25 2006-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욕실방수판 제작용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132B1 (ko) 조립식 온돌패널
CN109057412B (zh) 聚氨酯卫浴底盘及其生产方法
KR100539333B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200450901Y1 (ko)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
CN109057230A (zh) 反打成型的卫浴底盘及其制造方法
KR2009008366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118881B1 (ko) 화장실 시공용 형틀체 및 이를 이용한 화장실 바닥층 시공방법
KR101547685B1 (ko) Eps벽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46305B1 (ko) 에어 단열 건축자재
JP5350200B2 (ja) 地中埋設箱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79372Y1 (ko) 거푸집
KR20210076325A (ko) 소형 조립식 저수조
JP7451843B2 (ja)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KR100878587B1 (ko) 수조(水曹)용 패널
US7018577B2 (en) Panel l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600500B1 (ko) 암거 가설용 튜브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암거 시공방법
JP2012067526A (ja) 既設コンクリート製u字溝を補強又は再活用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構造体
KR101447243B1 (ko) 방수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4233816B2 (ja) 構築用軽量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素材
KR200450085Y1 (ko) 복합재 물탱크
KR101040684B1 (ko) 건축용 내외장재
CN215211051U (zh) 一种预制围护结构端部造型组合
CN216892346U (zh) 一种微桩土工格栅
KR101813013B1 (ko) 매립용 거푸집
JP6859013B2 (ja) コンクリート製筺体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筺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