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325A - 소형 조립식 저수조 - Google Patents

소형 조립식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325A
KR20210076325A KR1020190167367A KR20190167367A KR20210076325A KR 20210076325 A KR20210076325 A KR 20210076325A KR 1020190167367 A KR1020190167367 A KR 1020190167367A KR 20190167367 A KR20190167367 A KR 20190167367A KR 20210076325 A KR20210076325 A KR 20210076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ter tank
horizontal
frame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희영
Original Assignee
권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희영 filed Critical 권희영
Priority to KR102019016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325A/ko
Publication of KR2021007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6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side walls
    • B65D88/528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side walls all side walls detached from each other to collaps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age (AREA)

Abstract

일정 두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바닥패널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다각형의 수조바닥을 이루고; 상기 수조바닥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의 외벽패널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어 수조외벽을 형성하며; 상기 외벽패널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외벽패널의 연결부에는 모서리부 패널이 설치되어 상기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외벽패널을 고정하는 소형 조립식 저수조를 제공함으로써, 수조 설치 시 패널고정에서 용접 및 라이닝 작업 없이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설치시간 및 수고가 감소하는 한편, 수조 크기에 비례하여 수조외벽에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치되었던 보강 및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수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우수한 내구성과 내식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형 조립식 저수조{Small prefabricated water tank.}
본 발명은 사육수 또는 생활용수 등이 저장될 수 있는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ㄷ자 또는 ㄱ자 단면 구조를 가지는 패널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수조외벽을 형성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수조외벽은 이중의 층구조로 이루어져 내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소형 조립식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저수조란 발전소, 중대형 건축물 및 폐수 종말 처리장, 양식장, 수영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물이나 약품 및 폐수 등의 기타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수조이다. 저수조는 크게는 지하저수조, 고가수조로 구분할 수 있고, 재질에 따라 스테인레스 패널수조, SMC수조, FRP수조, 콘크리트 수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저수조는 저장되는 유체의 종류나 저장량 및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재질은 코팅막은 압축강도가 좋고, 신축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약품성, 내오존성에 잘 견디는 특성을 가져야 하고 수조 구조는 보수점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수질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콘크리트 저수조가 널리 사용된다. 콘크리트 저수조는 콘크리트로 벽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복수개의 스테인레스 패널을 서로 용접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패널은 수직 및 수평으로 배치되는 스테인레스 지주에 용접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저수조는 외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도 있으나 지하에 매립형태로 공사되는 것이 많다. 특히, 매립되는 콘크리트 저수조 중에서 일면이 개방되도록 매립 설치되는 것이 있으며, 성토를 파내고 사면이 모두 폐쇄되도록 매립 설치되는 것도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의 수밀성을 가지나, 양생할 때 불규칙적으로 발생되는 미세균열 및 이음 부분의 작업불량, 그리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갈라짐 등으로 구조체 내외부로 균열이 생기고 이를 통해 누수가 발생한다. 이 누수는 크랙을 더욱 심화시켜 향후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능을 손상시킨다.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 패널을 라이닝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용접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천공, 굴곡, 및 뒤틀링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저수조 보수 시, STS(Stainless)라이닝, PE(Polyethylene)라이닝, 등은 구조물에 앙카 등을 촘촘이 심어 콘크리트 구조물을 훼손할 수 있고 구조물과 판재사이가 이격이 있어 수분이 항상 잔존하여 구조물의 노후화가 계속 진행된다. 특히, 배근해놓은 철근 등이 수분에 노출되어 구조물의 수명이 오히려 줄어들 수 있는 요인들이 지적 되어 왔다.
또한, 폴리우레아 방수시에도 기존 방식은 박리와 물때가 끼고, 변색이 되어 적용에 적절치 않았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산성 및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지는 에폭시 수지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적용되고 있다.
특히,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유리섬유와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서 일명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수지로서 내산성이 요구되는 탱크조에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 및 FRP 수지는 내산성이 우수하여 저장 탱크의 콘크리트를 보호하고 방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코팅 도막을 형성하는 방수 공법에 사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높은 강도를 갖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사용 수명이 긴 장점이 있으나, 별도의 라이닝 등과 같은 처리 없이 사용될 경우 저장물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침투하여 균열이 생기기 쉽고 이러한 균열은 저장물의 누수로 이어지게 된다.
스테인레스 수조는 주거용 아파트 및 업무용 빌딩 등과 같이 생활용수의 사용이 많은 건축물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고가수조 또는 저가수조로 사용된다. 스테인레스 수조는 소정 두께의 스테인리스 판을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한 후 프레스 성형과 절곡 가공하여 단위패널을 성형하고, 이 단위패널의 각변을 용접에 의해 상호 접합하여 사각 함체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그 내부에는 담수되는 물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 단위패널의 모서리마다 가로 세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스테인레스 앵글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보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원자재의 가공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가공 후 보관 및 운반이 난해하며 용접에 숙련된 작업자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783757호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2380호에는 콘크리트 구조를 보강한 저수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ㄷ자형 및 ㄴ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패널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수조외벽을 형성하고 상기 패널은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구성은 게시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170286호에는 복수 개의 스테인레스 패널들이 육면체 또는 원통 형상의 물탱크 골격을 유지하면서 조립되어 ST구조물(110)이 완성되는 제1단계; 상기 ST구조물(110)의 외측에 와이어메쉬(130)가 용접되는 제2단계; 거푸집 (F)을 생성하고, 상기 거푸집(F)의 내부에 소정의 깊이로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제3단계; 상기 ST구조물(110)의 바닥부에 위치한 와이어메쉬(130)가 상기 제3단계에 채워진 콘크리트의 내부에 잠기도록, 와이어메쉬(130)가 접합된 ST구조물(110)을 상기 거푸집(F)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4단계; 상기 거푸집(F)과 상기 ST구조물(110)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양생되어 ST구조물(110)의 외측에 CC구조물(120)이 일체화되는 제5단계; 및 상기 CC구조물(120)에서 거푸집(F)을 분리하여 ST구조물(110)과 CC구조물(120)이 일체화된 물탱크를 제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물탱크 제조방법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783757호에는 기초 콘크리트 작업에 따른 바닥면이 시공되는 제1단계; 바닥면의 상측면에 사전 제작된 벽체, 기둥, 보 및 슬래브에 해당되는 콘크리트 내장 라이닝 블록이 저수조 구조물로 조립 설치되는 제2단계; 벽체, 기둥, 보 및 슬래브의 내측 이음부 및 모서리부에 해당되는 콘크리트 내장 라이닝 블록의 해당부위에 압출용접을 통한 이음 연결 및 핀 홀 테스트를 통한 실링 테스트가 진행되는 제3단계; 저수조 구조물의 내측에 해당되는 바닥면의 상측면에 소정 높이로 콘크리트가 타설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상측에 바닥용 라이닝 시트가 함침 및 설치되는 제4단계; 및 벽체 및 기둥에 해당되는 콘크리트 라이닝 블록과 바닥용 라이닝 시트의 접촉부위에 압출용접을 통한 이음 연결 및 핀 홀 테스트를 통한 실링 테스트가 진행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내장 라이닝 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내장 라이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 시공방법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2380호에는 패널의 길이 방향에 리브와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돌기의 표면에 단열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임의 길이로 절단된 단위패널을 구성하고, 이 단위패널을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수조의 각 변에 길이 방향 으로 설치하며, 측판의 단위패널을 외부에서 보강하는 보강부를 구성함으로서, 단위패널 길이를 연장하여 단위패널의 수를 줄이고, 내부 보강을 위한 구조를 간소화하며, 단위패널과 단열부를 일체화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패널수조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29512호에는 콘크리트 내면이 보강된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배수지, 침전조, 식수용 저수조, 음용수 저장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물탱크의 내부 수조 표면에 프라이머, 폴리우레탄폼, 폴리우레아에 의한 순차적인 적층으로 이루어지는 코딩에 의해 우수한 방수성을 부여하여 코팅면에 곰팡이 및 이끼 발생이 없으며, 콘크리트의 균열발생이 없고, 수중에서 코팅막이 시간 경과에 따른 경시변화가 없으며, 단가가 저렴하면서 반영구적으로 가능한 콘크리트 내면이 보강된 저수조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대부분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저수조에서 설치 시 라이닝 작업과 용접작업으로 설치 시간과 수고가 크고, 수조 크기에 비례하여 수조외벽에는 수압을 견딜 수 있는 지지구조물과 보강재를 설치해야함으로 설치 비용이 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ㄷ자 단면 구조 및 ㄴ자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는 패널이 연결되어 외향으로 골형태의 지지구조를 이루고 상기 패널 내부는 이중의 층구조로 형성되는 소형 조립식 저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두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바닥패널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다각형의 수조바닥을 이루고; 상기 수조바닥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의 외벽패널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어 수조외벽을 형성하며; 상기 외벽패널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외벽패널의 연결부에는 모서리부 패널이 설치되어 상기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외벽패널을 고정하는 것인 소형 조립식 저수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조 설치 시 패널고정에서 용접 및 라이닝 작업 없이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설치시간 및 수고가 감소하는 한편, 수조 크기에 비례하여 수조외벽에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치되었던 보강 및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수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우수한 내구성과 내식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형 조립식 저수조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조바닥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몰딩재 설치원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패널 측단면절개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내부패널 측단면절개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외벽패널을 나타낸다.
도 7은 외벽패널이 외부패널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원리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외벽패널 측단면 절개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외벽패널이 외부패널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원리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모서리부 패널과 외벽패널 연결원리를 나타낸다.
종래의 저수조는 대부분 콘크리트 패널을 하나 이상 연결하여 용접하고 수직 및 수평으로 배치되는 스테인레스 지주에 용접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콘크리트 저수조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갈라짐 등으로 내외부로 균열이 생기기 쉽고, 상기 용접작업은 고도의 작업자가 실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조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별도의 보강 구조물의 설치 없이도 수압을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식성이 우수한 소형 조립식 저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소형 조립식 저수조와 관련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형 조립식 저수조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소형 조립식 저수조는 일정 두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바닥패널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다각형의 수조바닥(300)을 이루고; 상기 수조바닥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의 외벽패널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어 수조외벽(100)을 형성하며; 상기 외벽패널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외벽패널의 연결부에는 모서리부 패널(200)이 설치되어 상기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외벽패널을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조바닥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수조바닥(300)은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부에 일정 두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판형의 바닥패널(310)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바닥패널(310)은 외측부에 설치되는 외부패널(311)과 내부패널(312)로 이루어진다. 외부패널(311)의 어느 한 측면에는 외벽패널 하부 프레임이 수용 및 고정되는 끼움홈과 돌출프레임이 형성되어 상부를 향해 함입된 구조를 이루고, 하나 이상의 타측면에는 하부 일정깊이로 함몰된 구조의 몰딩수용홈이 수용된다.
외부패널은 외벽패널이 외부패널 어느 한 측면과 연결될 수 있도록 수조바닥 외측부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몰딩수용홈은 계단형태의 정단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패널(312)은 양 측면부에 상기 외부패널과 동일한 몰딩수용홈이 형성된다. 이에 하나 이상의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이 연결되는 경우, 몰딩수용홈이 마주하도록 연결되어 몰딩작업이 가능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재(313)를 상기 몰딩 수용홈에 충전처리시킴으로써, 이웃하는 바닥패널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칭하는 몰딩재는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패널 측단면절개 확대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패널의 제조는 외부패널 프레임 성형틀을 마련하고 상기 성형틀의 끼움홈 프레임에는 함입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단면구조가 ㄷ자형상을 갖는 철재구조물(30)을 수용시키고 판형 프레임에는 판형 구조의 내부지지재(20)가 수용되도록 한다.
이후, 성형틀에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reinforced plastic) 수지를 주입하여 외부프레임(10)이 상기 철재구조물 및 내부지지재를 둘러싸며 외부패널의 전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부지지재(20)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경질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인 경질우레탄은 단열성, 우수한 강도, 상용성등으로 외부패널의 구조물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reinforced plastic)재질로 상기 내부지지재를 둘러싸도록 다수번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용어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은 인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섬유보강수지(纖柔補强樹脂)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바람직하게는 보강재인 유리섬유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페놀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면서 적층ㅇ경화한 복합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섬유강화 플라스틱은 작업성이 좋고 가볍고 질기며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하중강도가 높아 강도대비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기존의 하부프레임에 무게추 설치나 하부프레임이 철골격에 플라스틱을 코팅시킴으로써 하중을 공급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작은 부피로 형성해도 충분한 하중을 유지는 물론 적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인발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프레임의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간소화되어 생산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섬유강화 플라스틱을 형성하는 보강재로 유리섬유는 촙드 스트랜드 매트(chopped Straand Mat), 로빙 크로스(Rovin Cloth), 얀 크로스(Yarn Colth), 서페이스 매트 (Surface Mat)가 있는데 이들 중에 적정한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종류의 것을 복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내부패널 측단면절개 확대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내부패널의 제조는 상기 외부패널 제조와 동일하게 내부패널 프레임 성형틀을 마련하고 상기 성형틀에 판형 구조의 내부지지재(20)가 수용되도록 하고, 성형틀에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reinforced plastic) 수지를 주입하여 외부프레임(10)이 상기 내부지지재를 둘러싸며 내부패널의 전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닥패널은 내부지지재 및 외부프레임으로 형성된 이중구조로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여 수압에 의한 바닥부의 휨현상이 없다. 이에 설치되는 지면부는 기존토양에 석분을 깔아 바닥 수평을 맞추기 위한 작업만을 수행한 후, 수조바닥을 설치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콘크리트와 같은 별도의 바닥처리를 생략하고 토양상부에 설치할 수 있어 바닥공사에 따른 비용 및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패널의 철재구조물의 두께는 2 내지3mm로 형성하고, 내부지지재는 30 내지 100mm로 형성되며, 외부프레임은 4내지5mm의 두께로 적층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외벽패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외벽패널(110)은 일정 높이로 형성된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의 양 말단부에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이 연결되어 평면상 단면이 ㄷ자구조를 이룬다.
상기 외벽패널은 함입되는 프레임이 외향하도록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벽패널의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의 외측면이 맞닿도록 하나 이상의 외벽패널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벽패널이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경우, 고정장치(S)를 매개로 이웃하는 외벽패널이 연결될 수 있도록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 측면에는 고정장치 수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의 일 구현예로서 볼트와 너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벽패널 세로 슬래이프 프레임 하부에는 외부패널의 돌출 프레임에 끼워질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는 외벽패널이 외부패널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원리도를 나타낸다. 이에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의 하부는 외벽패널 끼움홈에 삽입되고 수용홈에는 외벽패널의 돌출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외벽패널 측단면 절개 확대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외벽패널의 제조는 외벽패널 프레임 성형틀을 마련하고 상기 성형틀에 평단면구조가 ㄷ자형의 내부지지재가 수용되도록 하고, 성형틀에 섬유감화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하여 외부프레임이 상기 내부지지재를 둘러싸도록 성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모서리부 패널과 외벽패널 연결원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모서리부 패널은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과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ㄴ자형 단면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모서리부 패널은 함입된 프레임이 외향하도록 설치되고 모서리부 패널의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과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 측면은 고정장치를 매개로 외벽패널의 가로 및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수조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의 수조외벽 구조가 형성되고 사육수 및 양식생물 또는 음용수 및 생활용수 등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장치 구현예인 볼트 및 너트로 고정은 현장에서 조립작업이 용이함으로 종래의 콘크리트 또는 스테인레스 수조 작업에서 용접 및 라이닝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작업의 수고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벽패널이 하나 이상 고정되어 세로 프레임이 외부를 향해 골구조를 형성함으로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사육수 및 생활용수의 강한 수압을 견딜 수 있는 지지구조물 역할을 한다.
이에 대형으로 제작되는 수조에서도 보강구조나 지지구조물을 별도로 설치를 하지 않아도 수압에 의해 외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순환 여과조 및 대형 양어수조의 경우 매립구조로 이루어져야 수압을 견딜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매립하지 않은 5미터 이상 높이의 저수조에도 별도의 지지구조물 설치 없이 수압을 견딜 수 있다.
또한, 조립 후 해체가 가능하며 용도 변경이 생길 경우 기존 제품의 이동 설치가 용이하여 자원 재활용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저수조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및 작업 시간을 줄임으로써 건물에 설치되는 저수조부터 양식장 저수조 설치 산업 종사자들에게 이익과 편익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수조외벽 110: 외벽패널
200: 모서리부 패널 300: 수조바닥
310: 바닥패널 311: 외부패널
312: 내부패널 10: 외부프레임
20: 내부지지재 30: 철재구조물
S: 고정장치

Claims (4)

  1. 일정 두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바닥패널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되어 다각형의 수조바닥을 이루고; 상기 수조바닥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의 외벽패널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어 수조외벽을 형성하며;
    상기 외벽패널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외벽패널의 연결부에는 모서리부 패널이 설치되어 상기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외벽패널을 고정하며, 상기 외벽패널은 일정높이로 형성된 가로슬래이트 프레임의 양말단부에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이 연결되어 ㄷ자의 평면단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조립식 저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은 외부패널과 내부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패널의 어느 한 측면에는 외벽패널 하부 프레임이 수용되는 끼움홈과 돌출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부 함입 구조를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하부 일정 깊이로 함몰된 구조의 몰딩수용홈이 수용되며, 내부패널의 양 측면부에는 상기 외부패널과 동일한 구조의 몰딩수용홈이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외부 패널 또는 내부패널이 연결되어 몰딩수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조립식 저수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패널은 함입부가 상향하도록 ㄷ자형상을 갖는 철재구조물과 판형의 내부지지재와 상기 철재구조물 및 내부지지재를 둘러싸며 외부프레임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패널은 판형의 내부지지재를 외부프레임이 적층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조립식 저수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수용홈에는 실리콘 재질의 몰딩재를 충전처리시켜 상기 이웃하는 외부패널 및 내부패널을 고정하며, 상기 외부프레임은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지지재는 경질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조립식 저수조
KR1020190167367A 2019-12-16 2019-12-16 소형 조립식 저수조 KR20210076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367A KR20210076325A (ko) 2019-12-16 2019-12-16 소형 조립식 저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367A KR20210076325A (ko) 2019-12-16 2019-12-16 소형 조립식 저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325A true KR20210076325A (ko) 2021-06-24

Family

ID=7660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367A KR20210076325A (ko) 2019-12-16 2019-12-16 소형 조립식 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63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417A1 (ko) * 2022-07-08 2024-01-11 정태영 복합소재로 제작된 경량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80Y1 (ko) 2000-03-31 2000-08-16 이진협 스테인리스 패널수조
KR101129512B1 (ko) 2012-02-15 2012-03-22 주식회사 영성위아 콘크리트 내면이 보강된 저수조
KR101783757B1 (ko) 2016-01-29 2017-10-11 삼원폴리텍(주) 콘크리트 내장 라이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80Y1 (ko) 2000-03-31 2000-08-16 이진협 스테인리스 패널수조
KR101129512B1 (ko) 2012-02-15 2012-03-22 주식회사 영성위아 콘크리트 내면이 보강된 저수조
KR101783757B1 (ko) 2016-01-29 2017-10-11 삼원폴리텍(주) 콘크리트 내장 라이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저수조 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170286호에는 복수 개의 스테인레스 패널들이 육면체 또는 원통 형상의 물탱크 골격을 유지하면서 조립되어 ST구조물(110)이 완성되는 제1단계; 상기 ST구조물(110)의 외측에 와이어메쉬(130)가 용접되는 제2단계; 거푸집 (F)을 생성하고, 상기 거푸집(F)의 내부에 소정의 깊이로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제3단계; 상기 ST구조물(110)의 바닥부에 위치한 와이어메쉬(130)가 상기 제3단계에 채워진 콘크리트의 내부에 잠기도록, 와이어메쉬(130)가 접합된 ST구조물(110)을 상기 거푸집(F)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4단계; 상기 거푸집(F)과 상기 ST구조물(110)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양생되어 ST구조물(110)의 외측에 CC구조물(120)이 일체화되는 제5단계; 및 상기 CC구조물(120)에서 거푸집(F)을 분리하여 ST구조물(110)과 CC구조물(120)이 일체화된 물탱크를 제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물탱크 제조방법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417A1 (ko) * 2022-07-08 2024-01-11 정태영 복합소재로 제작된 경량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4415A (ko) 보강부를 갖는 저장탱크
KR20100009802A (ko) Pc옹벽패널을 이용한 완전 pc 조립 저류조
CN203701416U (zh) 夹芯板
KR20210076325A (ko) 소형 조립식 저수조
KR100539333B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US20150211203A1 (en) Modular foundation resistant to ground movement
US8091728B2 (en) Wet well apparatus with base form and installation method regarding same
KR101090147B1 (ko) 커튼식 방파제 시공방법
KR100840086B1 (ko)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시공공법
KR102072937B1 (ko) 양식장용 조립식 사육수 저수조
KR101636511B1 (ko) 건축물용 지하 집수정
US20100115691A1 (en) Basin, eleme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basin
CN102587418B (zh) 一种塑料电力电缆井
AT506563A2 (de) Pufferspeicher für den wärmeträger zumindest eines wärmeverbrauchers
KR100726388B1 (ko) 저수조의 내부 라이닝 구조
KR100620363B1 (ko)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KR100848566B1 (ko) 복합 구조재 밸브실 및 그 시공방법
JP5932345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外装木造建築物の建築方法
KR102440815B1 (ko) 웨이브형 조립블록을 이용한 내진성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0993548B1 (ko) 조립식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 시공 방법
JP2006233579A (ja) 構造物の基礎
KR200450085Y1 (ko) 복합재 물탱크
CN103758278A (zh) 夹芯板
KR100848550B1 (ko) 복합 구조재 저류조 시공방법
KR200450901Y1 (ko) 방수판 보강재 구비 frp 방수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