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691Y1 -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691Y1
KR200415691Y1 KR2020060004884U KR20060004884U KR200415691Y1 KR 200415691 Y1 KR200415691 Y1 KR 200415691Y1 KR 2020060004884 U KR2020060004884 U KR 2020060004884U KR 20060004884 U KR20060004884 U KR 20060004884U KR 200415691 Y1 KR200415691 Y1 KR 200415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leaf spring
lower support
desk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2020060004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6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6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Abstract

본 고안은, 상판이 고정된 상측 지지부재가, 다리발에 연결된 하측 지지부재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케 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상기 상측 지지부재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여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부재(14)의 외면에 끼워지는 제1삽입부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외면에 끼워지는 제2삽입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상단에 걸리는 캡부재(24)를 구비하되, 상기 제1삽입부(24a)에는 중간 절곡부를 가진 판 스프링(26)이 결합되고, 상기 상측 지지부재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중간 절곡부가 걸리는 엠보싱부(14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책상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책상의 제조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도1은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가 적용된 책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높이조절장치 부분의 종단면도,
도3은 도1의 높이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4의 (a) 내지 (c)는 도3의 캡부재의 내부를 보인 절단 사시도 및 조립 상태도(제1실시예),
도5의 (a) 내지 (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캡부재의 내부를 보인 절단 사시도 및 조립 상태도(제2실시예),
도6의 (a) 내지 (c)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의 작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상판 14 : 상측 지지부재
18 : 하측 지지부재 20 : 높이조절장치
22 : 고정부재 24 : 캡부재
26 : 판 스프링 28 : 스프링 고정캡
본 고안은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상판에 다리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책상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가 다수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는, 상판이 고정된 상측 지지부재(또는 상측 관부재)가, 다리발에 연결된 하측 지지부재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케 되고, 조절부재(대체로 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상기 상측 지지부재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여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 롤러 등을 사용한 다양한 형태의 높이조절장치가 책상의 다리에 결합되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높아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서는 조절부재가 끼워지는 구멍을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찾아서 끼워 상측 지지부재를 고정하여야 하므로 높이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책상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책상의 제조비용을 줄이는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는, 상판이 고정된 상측 지지부재가, 다리발에 연결된 하측 지지부재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케 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상기 상측 지지부재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여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부재의 외면에 끼워지는 제1삽입부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외면에 끼워지는 제2삽입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상단에 걸리는 캡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제1삽입부에는 중간 절곡부를 가진 판 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상측 지지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중간 절곡부가 걸리는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삽입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걸리는 수용 걸림부과,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부와 상기 중간 절곡부가 노출되게 안착되어 걸리는 노출 걸림부를 가지는 판 스프링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걸림부의 양벽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중간 절곡부를 남기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부를 덮어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캡이 끼워져 있다.
상기 제1삽입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이 수용되어 걸리는 수용 걸림부과, 상기 판 스프링의 중간 절곡부가 노출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수용 걸림부의 중간에 형성된 절곡부 걸림구멍이 형성된 판 스프링 결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측 지지부재에는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일측 외면이 버링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버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링 돌출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나사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의 제2삽입부에는 상기 버링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부풀게 형성된 팽출성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측 지지부재 의 외면과의 사이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팽출성형부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상기 상측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고정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장치(20)는 상판(12)이 고정된 상측 지지부재(14)가, 다리발(16)에 연결된 하측 지지부재(18)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케 된 책상에 적용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20)는 고정부재(22 : 도2에 도시)에 의해 상기 하측 지지부재(18)와 상기 상측 지지부재(14)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여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상측 지지부재(14)는 상기 하측 지지부재(18)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수직부(14a), 상기 이 수직부(14a)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책상 상판의 일측 저면에 힌지결합된 수평부(14b)로 이루어진다. 이 상측 지지부재(14)는 원통 파이프로 되어 있으며, 상판(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양 수직부(14a)는 지지대(3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판(12)의 하측에는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대(3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측 지지부재(18)는 상기 다리발(16)과 일체로 되어 있으며, 책상의 후측에 좌우 2개가 결합되어 있는데 원통 파이프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하측 지지부재(18)는 보강부재(36)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상기 높이조절장치(20)는 상기 상측 지지부재(14)와 하측 지지부재(18)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2)와, 상기 상측 지지부재(14)의 외면에 끼워지는 한편 상기 하측 지지부재(18)의 외 면에 끼워져 하측 지지부재(18)의 상단에 걸리는 통형태의 캡부재(24)를 구비한다.
상기 캡부재(24)는,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지지부재(14)의 외면에 끼워지는 제1삽입부(24a)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18)의 외면에 끼워지는 제2삽입부(24a)를 구비하여 상기 하측 지지부재(18)의 상단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1삽입부(24a)에는 중간 절곡부(26a)를 가진 판 스프링(26)이 결합된다.
상기 제1삽입부(24a)에는 상기 판 스프링(26)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걸리는 수용 걸림부(24c)과, 상기 판 스프링(26)의 타단부와 상기 중간 절곡부(26a)가 노출되게 안착되어 걸리는 노출 걸림부(24d)를 가지는 판 스프링 결합홈(G)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 걸림부(24d)의 양벽에는 슬라이딩 홈(24e)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24e)에는 상기 판 스프링(26)의 중간 절곡부(26a)를 남기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부를 덮어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캡(28)이 끼워진다.(도4의 (c)참조).
상기 캡부재(24)의 제2삽입부(24b)에는 후술하는 하측 지지부재의 버링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부풀게 형성된 팽출성형부(24f)가 형성되어 상기 하측 지지부재(18)의 외면과의 사이에 소정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2)는 상기 팽출성형부(24f)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18)와 상기 상측 지지부재(14)를 통과하여 고정된다. 상기 팽출성형부(24f)에는 상기 고정부재(22)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지지부재(14)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기 고정부재(22)의 후술하는 꼭지부가 끼워지는 다수의 구멍(14c)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판 스프링(26)의 중간 절곡부(26a)가 걸리도록 엠보싱부(14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부(14d)는 상측 지지부재(파이프)의 외면의 일부가 요입된 형태로서 상기 판 스프링(26)의 중간 절곡부(26a)의 폭방향 전체가 파이프의 접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14c)은 판 스프링의 중간 절곡부(26a)보다 충분히 작게 되어 있다. 상기 구멍(14c)과 엠보싱부(14d)의 간격은 캡부재(24)에 끼워지는 판스프링(26)의 설치 위치 및 상기 팽출성형부(24f)에 형성된 구멍의 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하측 지지부재(18)에는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일측 외면이 버링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버링 돌출부(18a)가 형성되고, 상기 버링 돌출부(18a)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부재(22)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구멍(1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2)는 나사부재(스크류)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지지부재(14)의 구멍(14c)에 끼워지는 꼭지부(22a)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18)의 나사구멍(18b)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22b)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부(22b)의 단부에는 렌치등의 공구가 끼워지도록 육각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 스프링(26)은 상기 중간 절곡부(26a)에서 양측으로 플랜지 형태를 이루며 연장되어 그 단부가 절곡된 형태로서, 판 스프링(26)의 일단은 상기 수용걸림부(24c)에 끼워지고, 판 스프링(26)의 타단은 상기 노출 걸림부(24d)에 안착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캡(2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캡(28)은 수평 플랜지(28a)와 수직 플랜지(28b)를 가진 ㄱ자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수평 플랜지(28a)의 양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24e)에 끼워지는 돌출띠(28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 플랜지(28b)는 스프링 고정캡 (28)이 조립되었을 때에 상기 제1삽입부(24a)와 제2삽입부(24b)의 경계부의 턱부에 일치된다(도4의 (c) 참조).
도4의 (b)는 상기 판 스프링(26)이 캡부재(24)의 판 스프링 결합홈(G)이 끼워진 상태이고, 도4의 (c)는 상기 스프링 고정캡(28)이 슬라이딩 홈(24e)를 따라 끼워져 상기 판 스프링(26)을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스프링 고정캡(28)은 하측 지지부재(18)의 상단에 의해 받쳐져서 하측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고정부재(22)의 꼭지부가 상측 지지부재(14)의 구멍(14c)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책상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22)를 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도6의 (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26)이 상측 지지부재(14)의 외면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상측 지지부재(14)를 위 아래로 움직인다. 상기 상측 지지부재(14)가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26)의 중간 절곡부(26a)가 엠보싱부(14d)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스냅(snap)이 걸리면서 '딸깍'하는 소리를 내며 정위치임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멍(14c)은 판 스프링의 중간 절곡부(26a)보다 충분히 작으므로 상기 중간 절곡부(26a)는 상기 구멍(14c)에는 걸리지 않는다.
이와 같이 중간 절곡부(26a)가 엠보싱부(14d)에 걸리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 (22)는 상기 구멍(14c)에 위치하게 되므로, 도시하지 않은 공구(육각렌치)로 고정부재(22)를 회전시켜 고정부재의 꼭지부(22a)가 구멍(14c)에 들어가게 하면 상측 지지부재(14)가 고정된다(도6의 (c) 참조). 이때, 고정부재(22)의 나사부(22b)와 꼭지부(22a)의 경계부(턱부)가 상측 지지부재(14)의 외벽을 누르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측 지지부재(14)의 외면과 하측 지지부재(18)의 내면이 밀착하는 마찰력도 상, 하측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한편, 본 고안의 캡부재에는 도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고정 캡이 없는 실시예(제2실시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캡부재(124)의 제1삽입부(124a)에는 상기 판 스프링(26)이 수용되어 걸리는 수용 걸림부(124c)과, 상기 판 스프링(26)의 중간 절곡부(26a)가 노출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수용 걸림부(124c)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부 걸림구멍(124d)이 형성된 판 스프링 결합홈(G')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삽입부(124b)등의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의하면, 책상의 높이를 정해진 호칭 치수에 맞도록 사용자가 대략적으로 조절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판 스프링에 의한 스냅식으로 위치를 인지하여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가 팽출성형부의 내부로 들어가므로 고정부재의 노출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종래의 높이조절장치에 비해 고정부재를 풀고 난 후에 다른 사전 행동없이 단순히 책상 상판을 들어 올리는 동작만으로 높이 조절이 되므로 매우 편리하며, 간단한 구조로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판이 고정된 상측 지지부재가, 다리발에 연결된 하측 지지부재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케 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상기 상측 지지부재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여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부재의 외면에 끼워지는 제1삽입부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외면에 끼워지는 제2삽입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상단에 걸리는 캡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제1삽입부에는 중간 절곡부를 가진 판 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상측 지지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중간 절곡부가 걸리는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걸리는 수용 걸림부과,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부와 상기 중간 절곡부가 노출되게 안착되어 걸리는 노출 걸림부를 가지는 판 스프링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걸림부의 양벽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중간 절곡부를 남기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부를 덮어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캡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이 수용되어 걸리는 수용 걸림부과, 상기 판 스프링의 중간 절곡부가 노출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수용 걸림부의 중간에 형성된 절곡부 걸림구멍이 형성된 판 스프링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부재에는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일측 외면이 버링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버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링 돌출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나사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의 제2삽입부에는 상기 버링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부풀게 형성된 팽출성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측 지지부재의 외면과의 사이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팽출성형부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상기 상측 지지부재를 통과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20060004884U 2006-02-22 2006-02-22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0415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884U KR200415691Y1 (ko) 2006-02-22 2006-02-22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884U KR200415691Y1 (ko) 2006-02-22 2006-02-22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691Y1 true KR200415691Y1 (ko) 2006-05-04

Family

ID=4176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884U KR200415691Y1 (ko) 2006-02-22 2006-02-22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69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757B1 (ko) 2012-11-05 2014-02-07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1400683B1 (ko) 2013-04-19 2014-05-29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20180075768A (ko) * 2016-12-26 2018-07-05 계양전기 주식회사 간극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다리 프레임 모듈
KR102341142B1 (ko) * 2021-09-23 2021-12-17 강준기 교구 프레임 높이 조절장치
KR102341155B1 (ko) * 2021-09-23 2021-12-17 강준기 교구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757B1 (ko) 2012-11-05 2014-02-07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1400683B1 (ko) 2013-04-19 2014-05-29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20180075768A (ko) * 2016-12-26 2018-07-05 계양전기 주식회사 간극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다리 프레임 모듈
KR101954914B1 (ko) * 2016-12-26 2019-03-07 계양전기 주식회사 간극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다리 프레임 모듈
KR102341142B1 (ko) * 2021-09-23 2021-12-17 강준기 교구 프레임 높이 조절장치
KR102341155B1 (ko) * 2021-09-23 2021-12-17 강준기 교구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691Y1 (ko)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US10034524B2 (en) Umbrella quick frame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US8967565B2 (en) Mount bracket for slide assembly
US7441733B2 (en) Support device for a child vehicle safety seat
US9345333B2 (en) Armrest, in particular for office chairs
US8107666B2 (en) Embedded sound box
US11015365B2 (en) Fence system and method
KR10057239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EP1552213A1 (en) Mounting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dem
JP5421465B2 (ja) キャップ取付け構造
KR102330104B1 (ko) 악취차단이 가능한 배수트랩
KR10123535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JP5587587B2 (ja) エンドブラケット
KR200404876Y1 (ko)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JP2008080109A (ja) 高さ調整装置を具える肘掛
JP3136656U (ja) 靴収納庫用棚板及び靴収納庫
KR20090032740A (ko) 스크류에 의해 트렌치커버가 결합되는 트렌치
JP5367391B2 (ja) 建具
KR100325923B1 (ko) 학생용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12306Y1 (ko) 학생용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JP6864864B2 (ja) 排水栓装置
KR200378288Y1 (ko) 슬라이딩장치
KR20230125917A (ko) 차단봉
JP4641197B2 (ja) ブレーカの押しボタン構造
KR200420623Y1 (ko) 파이프 연결부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