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501Y1 -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501Y1
KR200415501Y1 KR2020060005023U KR20060005023U KR200415501Y1 KR 200415501 Y1 KR200415501 Y1 KR 200415501Y1 KR 2020060005023 U KR2020060005023 U KR 2020060005023U KR 20060005023 U KR20060005023 U KR 20060005023U KR 200415501 Y1 KR200415501 Y1 KR 200415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filter medium
fixed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의구
Original Assignee
장의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의구 filed Critical 장의구
Priority to KR2020060005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5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수, 하천, 하수도, 폐수처리시설 등에서 오염된 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고농도 혼탁수를 추출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부로부터 원수를 유입하는 펌프수단; 펌프수단에 의해 유입된 원수가 중공형상을 반경방향으로 통과함에 따라 여과가 일어나는 여과수단; 여과수단의 축선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해 압축하고, 복원력을 가해 여과수단이 복원되도록 하는 압축수단; 및 압축수단의 압축동작 또는 여과동작에 따라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제 1, 2 토출공(33, 48)중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펌프, 배출, 여과장치, 섬유, 스펀지, 여과재, 퇴출수, 혼탁수

Description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Water purifier using a compression type textile fil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중 흡수부(20) 내부 구성이 압축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질 여과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질 여과장치가 압축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흡수부(20) 내부 구성이 복원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 여과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솔레노이드, 11 : 마개,
12 : 교류자석, 14 : 솔레노이드 하우징,
16 : 복원 스프링, 20 : 흡수부,
22 : 고정외관, 24 : 통수공,
25 : 고정홈, 26 : 중심공,
27 : 가동 내관, 28 : 고정원판,
30 : 섬유여과재, 31 : 스펀지 여과재,
32 : 수중펌프 격실, 33 : 제 1 토출공,
34 : 흡입공, 35 : 내공,
39 : 가동원판, 40 : 수중펌프,
42 : 분배 밸브, 44 : 밸브 스프링,
46 : 밸브 격실, 48 : 제 2 토출공,
50 : 펌프하우징, 100 : 수질 여과장치,
120 : 배출탱크, 130 : 전기선,
150 : 스위치, 160 : 배출관,
200 : 피여과물(연못).
본 고안은 수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수, 하천, 하수도, 폐수처리시설 등에서 오염된 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고농도 혼탁수를 추출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생활하수에 포함된 유기물, 질소, 인 등은 제거, 정화한 후 하천이나 공공수역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종 생활하수는 정화되지 아니한 채로 그대로 방류되어 생태계의 원천인 하천, 호수 등의 오염 주원 인이 되고 있다. 특히 인구밀도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 등으로 인해 도시인근 및 강 하류지역의 수질은 점차 악화되고 있다. 이러한 오염된 하천이나 호수를 위해서 여러 종류의 하천 정화용 여과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여과장치는 모래 등으로 충진된 여과탱크 내에 일정압력으로 부유물질이 혼합된 물을 통과시키면서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어왔다. 그리고, 모래 이외에도 안스라사이트, 활성탄, 점토류, 분쇄 자철광, 석류석, 불활성메디아 등과 같은 입자상 물질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여과재는 구입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여과장치와 설치면적이 매우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여과재를 사용할 경우, 여과시 수중입자의 포획공간이 표층부근에 한정되어 여과 후 여과탱크 내 모래 등 위에 물과 분리된 부유물질이 쌓이므로 이러한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부유물질이 포함된 모래를 새로운 모래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청소를 제때 못하면 여과탱크내의 오염된 모래를 통과한 처리수가 여과탱크를 거치지 않은 하천수보다 오염도가 더 높아져서 오염된 처리수를 방류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여과재를 사용할 경우, 여과장치의 설치, 가동 및 유지, 관리에 있어서 많은 인력과 에너지가 요구되어 비경제적이고, 제대로 관리되지 못할 경우 오염된 처리수를 방류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여과재를 사용하는 대신 여과사를 이용한 여과장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여과사를 이용한 여과장치는 원수에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는 과정과 여과사에서 오염물질을 분리시키는 공정이 이원화되어 이루어지므로 원수처리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많은 용량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원수처리시설이 필요하므로 처리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결함이 있다. 또한 여과사를 세정하기 위해서 세정조로 보내 세정한 후 다시 여과조로 보내는 과정이 추가되어 번거롭고, 이러한 여과사의 운반과정에서 압축공기가 필요하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제조, 분사하는 장치나 단계가 더 필요하다.
그리고, 종래의 여과장치는 주로 평면여과로서 단위 수처리양에 비해 방대한 용적이 필요하며, 세척수와 압축공기를 대량으로 사용하고 이에 따른 수처리 양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하천이나, 호수 등에 잠수시켜 놓음으로서 자동적으로 여과와 고농도 혼탁수를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피여과물(200)로부터 고농도 혼탁수를 분리하기 위해 고가의 필터를 사용하는 대신 저렴하게 생산하여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피여과물이 배관을 따라 흐르는 각종 공업시설, 산업시설 등에서 배관의 중간영역에 설치함으로서 고농도 혼탁수를 분리 배출해 낼 수 있는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원수를 유입하는 펌프수단;
펌프수단에 의해 유입된 원수가 중공형상을 반경방향으로 통과함에 따라 여과가 일어나는 여과수단;
여과수단의 축선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해 압축하고, 복원력을 가해 여과수단이 복원되도록 하는 압축수단; 및
압축수단의 압축동작 또는 여과동작에 따라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제 1, 2 토출공(33, 48)중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수단은, 중공 원통 형상의 스펀지 여과재(31);
스펀지 여과재(31)의 원주 둘레를 감싸는 섬유여과재(30);
스펀지 여과재(31)의 일단에 고정되는 환형의 고정원판(28); 및
스펀지 여과재(31)의 타단에 고정되는 환형의 가동원판(39);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여과수단을 내부에 수용하며, 표면에 다수의 통수공(24)이 형성된 고정외관(22)을 더 포함하고,
고정외관(22)의 내면에는 고정원판(28)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25)이 더 형성된 것이 적합하다.
또한, 스펀지 여과재(31)의 중심으로는 압축수단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복수의 내공(35)이 관통 형성된 가동내관(27)이 더 설치되고,
가동내관(27)의 외경에는 가동원판(39)의 내경이 고정되어 일체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스펀지 여과재(31)는 가동내관(27)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수단은 솔레노이드(10)일 수 있다.
또한, 고정외관(22)은 반원형 단면을 갖는 한쌍의 고정외관(2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전환수단은, 제 1, 2 토출공(33, 48) 사이의 이동 위치에 따라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전환하는 분배밸브(42);
분배밸브(42)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밸브 스프링(44);으로 구성되고,
분배 밸브(42)의 일단이 고정원판(28)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위치함으로서 압축수단의 복원력이 밸브 스프링(44)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10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못, 하천, 배수지, 탱크등과 같은 피여과물(200)내에 본 고안의 수질 여과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수질 여과장치(100)는 외부에 다수의 통수공(24)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분리된 고농도 혼탁수는 퇴출수로서 별도의 배출관(160)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여과된 깨끗한 물은 제 1 토출공(33)을 통해 피여과물(200)로 재공급된다.
스위치(150)는 작업자가 필요할 때마다 동작시켜 수질 여과장치(100)를 가동할 수 있고, 또는 일정시간마다 동작되도록 타이머(미도시)를 내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위치(150)의 신호는 전기선(130)을 통해 수질 여과장치(130)로 공급된다. 도 7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전기선(130)을 통해 별도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배출관(160)을 통해 배출되는 고농도 혼탁수는 배출탱크(120)로 수집되어 별도로 처리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질 여과장치(100)는 대략적으로 원통 형상이며, 일단부터 솔레노이드(10), 흡수부(20) 및 수중펌프(40)가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0)는 대략 일단을 마감하는 마개(11)와 교류자석(12) 및 솔레노이드 하우징(14)과 복원 스프링(1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교류자석(12)에 전원이 인가되면, 복원스프링(16)을 압축 변형시키면서 가동내관(27)을 잡아 당기게 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1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사항이며,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균등부재로 얼마든지 대치될 수 있다.
흡수부(200)는 반원형인 한쌍의 고정외관(22)으로 구성된다. 고정외관(22)은 수중에서 부식을 막기위해 방청금속판 또는 스테인레스 판재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다수의 통수공(24)이 규칙적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수공(24)을 통해 피여과물(200)의 원수가 흡입된다. 이러한 고정외관(22)의 착탈 구조(예를 들어, 경첩 등)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사항이므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외관(22)의 내경에는 3개의 고정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홈(25)에는 고정원판(28)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움직임없이 단단하게 고정된다
고정원판(28)은 환형 디스크 형상이며, 가장자리는 고정홈(25)에 끼워져 고정된다. 고정원판(28)은 3개가 등간격으로 축선방향을 따라 위치하며, 중심으로는 가동내관(27)이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3장의 고정원판(28) 사이사이에는 섬유여과재(30)가 위치하며, 섬유여과재(30)의 내부에는 중공 원통 형상의 스펀지 여과재(31)가 위치한다.
가동내관(27)은 일단이 복원스프링(16)가 밀착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10)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솔레노이드(10)의 내경 속으로 끌려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가동내관(27)은 철관 또는 스테인레스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내관(27)에는 여과재(30, 31)를 통과한 물이 수중펌프(4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공(35)이 다수 관통 형성되어 있다.
수중펌프 격실(32)에는 중심에 흡입공(34)이 형성되어 가동내관(27)의 중심공(26)과 연통된다. 그리고, 일측으로는 축선 방향을 따라 작은 직경의 밸브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중펌프 격실(32)의 외면으로는 제 1 토출공(33)이 형성되어 여과동 작시 여과수가 배출된다.
수중펌프(40)는 펌프 하우징(50) 내부에 위치하며, 흡입공(34)으로부터 여과수를 흡입하여 토출공(33, 48) 측으로 토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수중펌프(40)의 세부 구성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밸브 격실(46)에는 밸브 스프링(44)이 구비되고, 밸브 스프링(44)에 밀착하여 분배밸브(42)가 조립된다. 분배 밸브(42)의 일단은 제 1, 2 토출공(33, 48)의 분배 영역에 설치되어 이동 위치에 따라 토출되는 물의 방향을 제 1 토출공(33)으로 전환하거나 제 2 토출공(48)으로 전환하는 구성을 갖는다.
분배밸브(42)의 타단은 봉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중펌프 격실(32)의 밸브구멍(36)내에 삽입된다. 분배밸브(42)의 타단은 충분한 길이를 갖춤으로써 여과동작시 고정원판(28)상의 구멍을 통해 가동원판(39)까지 닿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중 흡수부(20) 내부 구성이 압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장의 고정원판(28)은 고정외관(22)에 고정되고, 2장의 가동원판(39)은 가동내관(27)에 용접이나 끼움고정등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솔레노이드(10)가 인가되면, 가동내관(27)이 솔레노이드(10)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원판(39)도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고정원판(28)과 가동원판(39)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사이에 설치된 섬유여과재(30)와 스펀지 여과재(31)를 압축하게 된다. 즉, 도 2는 고농도 혼탁수를 취출하기 위해 여과재(30, 31)를 압축하여 쥐어짜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질 여과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질 여과장치(100)는 여과동작을 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여과재(30, 31)는 최대로 늘여져 있으며, 피여과물(200)로부터의 원수가 흡입되어 여과된 뒤 제 1 토출공(33)으로 배출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질 여과장치가 압축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된 솔레노이드(10)에 의해 가동내관(27)은 이동(도 4를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로 인해, 여과재(30, 31)는 압축 상태가 된다. 이 때, 여과재(30, 31) 내부에 잔존하던 각종 오염물질들이 고농도 혼탁수가 되어 수중펌프(40) 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분배밸브(44)의 타단이 가동원판(39)으로부터 떨어져 자유단이 되고, 분배밸브(44)의 일단에 작용하는 밸브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분배 밸브(42)는 좌측(도 4 기준)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수중펌프(40)와 제 1 토출공(33) 사이의 통로가 폐쇄되고, 수중펌프(40)와 제 2 토출공(48) 사이가 연통된다. 여과 동작이나 압축동작과 상관없이 수중펌프(40)는 항시 회전하기 때문에 발생된 고농도 혼탁수는 역류되는 일 없이 제 2 토출공(48)으로 배출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흡수부(20) 내부 구성이 복원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펀지 여과재(31)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며, 반경 방향 둘레에는 섬유여과재(30)가 감싸고 있다. 그리고, 축선방향을 따라 스펀지 여과재(31)의 일단에는 고정원판(28)이 위치하고, 타단에는 가동원판(39)이 위치한다. 고정원판(28)의 외경은 가동원판(39)의 외경보다 크고, 고정원판(28)의 내경도 가동원판(39)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고정원판(28)의 내경을 통해서는 가동내관 (27)이 자유롭이 이동 가능하고, 가동원판(28)의 이동에 따라 그 가장자리가 고정외관(22)의 내경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 여과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와 같은 흡수부(20)의 구조는 한개만이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 2, 3, 4와 같이 2개가 직렬로 설치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3개가 직렬로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3개 이상의 직렬 연결이나 직렬 연결된 복수개를 병렬로 연결하는 등 다양한 구성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동작은 여과동작과 압축동작으로 구분되며 우선 여과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수중펌프(40)가 회전하면 통수공(24)을 통해 원수가 유입된다. 유입된 원수는 1차로 섬유여과재(30)를 지나면서 일부 불순물 입자나 오염물질이 여과된다. 연이어 스펀지 여과재(31)를 지나면서 2차 여과가 일어난다.
스펀지 여과재(31)를 통과한 여과수는 내공(35)을 통해 가동내관(27)의 내부로 이동한다. 그 후, 축선방향을 따라 수중펌프(40) 방향으로 이동한다. 수중펌프(40)를 통과한 여과수는 제 1 토출공(33)을 통해 배출된다. 제 1 토출공(33)은 피여과물(200) 속에 그대로 노출된 것이기 때문에 깨끗한 여과수는 다시 호수로 되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여과동작이 계속됨에 따라 피여과물(200) 내의 물은 수회 이상 순환 여과처리를 받게 된다. 이로서, 각종 오염물질은 여과재(30, 31)에 누적적으로 모이게 된다.
이하에서는 압축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스위치(150)를 동작시키면 솔레노이드(10)로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면, 발생된 자력에 의해 가동내관(27)이 솔레노이드(1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고정된 고정원판(28)에 비해 가동원판(39)은 가동내관(27)과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도 2 참조). 따라서, 고정원판(28)과 가동원판(39)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그 사이에 위치하던 여과재(30, 31)는 압축작용을 받게 된다.
양단에서 압축력이 작용함에 따라 여과재(30, 31)는 부피가 줄어들면서 쥐어 짜지게 된다. 특히, 솔레노이드(10)에 교류를 인가하여 작동 한계치에 도달하면 교류전원의 특성(60Hz)에 의해 가동내관(27)에 진동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진동은 여과재(30, 31)까지 전달되어 여과재(30, 31)로부터 오염물질이 분리되는 것을 촉진하게 한다. 따라서, 여과재(30, 31)에 묻어 있거나 내부에 잔존하던 각종 오염물질이 분리되어 주변의 물을 고농도 혼탁수로 만들어 버린다. 수중펌프(40)는 중단없이 계속 동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만들어진 고농도 혼탁수는 수중펌프(40) 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도 4와 같이, 분배밸브(42)의 타단은 자유단이 되고, 일단으로는 밸브스프링(44)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분배밸브(42)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수중펌프(40)와 제 2 토출공(48)을 연통시키고, 제 1 토출공(33)을 폐쇄시킨다.
따라서, 고농도 혼탁수는 제 2 토출공(48)을 통해 배출된다. 제 2 토출공(48)에는 도 6과 같이 배출관(160)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고농도 혼탁수는 피여과물(200)에 섞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탱크(120)에 수집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어느 정도 유지된 후 스위치(150)를 끄면 솔레노이드(10)가 다시 복원되면서 여과재(30, 31)도 복원되고, 제 1 토출공(33)도 개방된다. 즉, 여과동작이 다시 시작되는 상태가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여과장치(100)는 조작자가 스위치(150)를 조작하여 필요시마다 가동할 수도 있고, 타이머(미도시)를 조작하여 일정주기(예를 들어, 하루에 30분씩) 마다 가동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질 여과장치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하나의 전기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원 고안의 각종 구성부품은 방청성과 내구성을 감안하여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할 수도 있고,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로 가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에 의하면, 하천이나, 호수 등에 잠수시켜 놓음으로서 자동적으로 여과와 고농도 혼탁수를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여과물로부터 고농도 혼탁수를 분리하기 위해 고가의 필터를 사용하는 대신 저렴하게 생산하여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비용, 운영비용 등이 저렴하다는 경제성이 있다.
그리고, 피여과물이 배관을 따라 흐르는 각종 공업시설, 산업시설 등에서 배관의 중간영역에 설치함으로서 고농도 혼탁수를 분리 배출해 낼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 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8)

  1. 외부로부터 원수를 유입하는 펌프수단;
    상기 펌프수단에 의해 유입된 원수가 중공형상을 반경방향으로 통과함에 따라 여과가 일어나는 여과수단;
    상기 여과수단의 축선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해 압축하고, 복원력을 가해 상기 여과수단이 복원되도록 하는 압축수단; 및
    상기 압축수단의 압축동작 또는 여과동작에 따라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제 1, 2 토출공(33, 48)중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중공 원통 형상의 스펀지 여과재(31);
    상기 스펀지 여과재(31)의 원주 둘레를 감싸는 섬유여과재(30);
    상기 스펀지 여과재(31)의 일단에 고정되는 환형의 고정원판(28); 및
    상기 스펀지 여과재(31)의 타단에 고정되는 환형의 가동원판(3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을 내부에 수용하며, 표면에 다수의 통수공(24)이 형성된 고정외관(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외관(22)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원판(28)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25)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 여과재(31)의 중심으로는 상기 압축수단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복수의 내공(35)이 관통 형성된 가동내관(27)이 더 설치되고,
    상기 가동내관(27)의 외경에는 상기 가동원판(39)의 내경이 고정되어 일체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 여과재(31)는 상기 가동내관(27)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단은 솔레노이드(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외관(22)은 반원형 단면을 갖는 한쌍의 고정외관(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제 1, 2 토출공(33, 48) 사이의 이동 위치에 따라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전환하는 분배밸브(42);
    상기 분배밸브(42)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밸브 스프링(44);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배 밸브(42)의 일단이 상기 고정원판(28)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위치함으로서 상기 압축수단의 복원력이 상기 밸브 스프링(44)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KR2020060005023U 2006-02-23 2006-02-23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KR200415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023U KR200415501Y1 (ko) 2006-02-23 2006-02-23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023U KR200415501Y1 (ko) 2006-02-23 2006-02-23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501Y1 true KR200415501Y1 (ko) 2006-05-03

Family

ID=4176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023U KR200415501Y1 (ko) 2006-02-23 2006-02-23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5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86B1 (ko) * 2012-08-28 2013-03-19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생태연못의 수질정화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질정화필터장치
KR102540690B1 (ko) 2023-01-16 2023-06-05 심성구 배수지 유출구 설치용 정밀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86B1 (ko) * 2012-08-28 2013-03-19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생태연못의 수질정화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질정화필터장치
KR102540690B1 (ko) 2023-01-16 2023-06-05 심성구 배수지 유출구 설치용 정밀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522B1 (ko) 싱크대용 정수기
US4350590A (en) Filtration system
US5242587A (en) Filter with porous media and electrostatic and magnetic plates
US8734641B2 (en) Tertiary wastewater filtration using inclined filter media and internal reverse flow backwashing of filter disks
US5891332A (en) Magnetic filtr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200415501Y1 (ko) 압축식 여과재를 이용한 수질 여과장치
KR101023138B1 (ko) 여과칼럼
KR20160104393A (ko)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CN209188314U (zh) 一种环保渣土车清洗系统
KR101510571B1 (ko) 정수기필터구조
JPH10337429A (ja) 圧縮洗浄による池水ろ過方法及び装置
KR101129487B1 (ko) 산업 용수를 위한 정수 시스템의 전처리 여과장치
KR100475365B1 (ko) 구형 섬유여과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755573B1 (ko) 오수 여과장치
KR100933941B1 (ko) 자동식 액체연료 여과장치
KR101226656B1 (ko) 여과 시와 여재 세척 시에 여재 밀도의 조절이 가능한 여과 장치
WO2021199130A1 (ja) 濾過装置、及び濾過装置による水処理方法
KR200321407Y1 (ko) 간이 정수장치
RU18216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ных стоков дорог
KR101081709B1 (ko)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KR100900054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825466B1 (ko) 배관의 녹 및 스케일 방지장치
JP3157177U (ja) ろ過装置
RU216678U1 (ru) Магнитный фильтр
KR100598135B1 (ko) 수중 자동세척식 호소수 여과장치 및 그 세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