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573B1 - 오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오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573B1
KR101755573B1 KR1020170025342A KR20170025342A KR101755573B1 KR 101755573 B1 KR101755573 B1 KR 101755573B1 KR 1020170025342 A KR1020170025342 A KR 1020170025342A KR 20170025342 A KR20170025342 A KR 20170025342A KR 101755573 B1 KR101755573 B1 KR 101755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wastewater
drum
filter
was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순
김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청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청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청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2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9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combination of movements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7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29/7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조 내에 여과드럼과 스크래퍼를 설치하고 스크래퍼의 회전력과 진동력으로 오수의 오염물질을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한 오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수를 여과하는 중앙 여과부(20); 상기 여과부(20) 일측에 형성되어 여과부(20) 내로 오수를 유입시키는 오수유입부(30); 상기 여과부(20) 일측에 형성되어 여과부(20)에서 여과된 오수를 배출시키는 오수배출부(40); 상기 여과부(20) 내부에 설치되어 오수를 여과시키는 여과드럼(1); 상기 여과드럼(1)에 설치되어 오수의 오염물질을 걸러내고 여과시키는 여과필터(3); 오수 여과장치를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오수 여과장치{Filtering Apparatus For Waste water}
본 발명은 오수의 여과처리를 위한 오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조 내에 여과드럼과 스크래퍼를 설치하고 스크래퍼의 회전력과 진동력으로 오수의 오염물질을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한 오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 공사장 등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수, 폐수 등의 오염수(이하, 오수로 통칭한다.)에는 많은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그대로 배출시킬 경우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므로 오수 배출현장과 시설에는 이들을 제거하기 위한 오수 여과장치가 설치된다.
오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여과장치는 대부분 여과조에 오수를 넣고 압착하여 여과필터로 오염물질을 걸러 여과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압착방식은 작업효율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한 여과식 처리 방식외에 화학적 처리, 전기적 처리 등의 다양한 오수 여과처리 방식들이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을 참고문헌을 통해 간략히 정리하여 보면 하기와 같다.
참고문헌1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여과용 드럼을 원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여과용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원수를 상기 여과용 드럼의 외주면으로 흐르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여과용 드럼의 구멍을 통과한 여과수를 상기 여과용 드럼 내에서 상기 원수조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고 상기 여과용 드럼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한 원수 내의 협잡물을 상기 원수조의 하부에서 상기 원수조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도록 구성된 하폐수 여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2에;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협잡물(挾雜物)을 함유하는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관이 연통된 외통부 및 상기 외통부에 수납되며 상기 폐수중의 협잡물이 걸러진 처리수를 방출시키는 내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3에;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유입된 오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 그리고 상기 필터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필터부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기 오염물질을 탈착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필터부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회전되는 프레임 골조, 상기 필터부 내측면에 형성된 오수의 유입구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프레임골조에 연결되어, 유입된 상기 오수가 부딪쳐 상기 프레임골조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충돌판 그리고 상기 프레임골조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필터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솔을 포함하는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기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4에; 내부공간 양측면에 측벽면을 관통하여 회전축이 설치되며 일측에 결합된 공급관을 통해 슬러지가 내부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고 타측에 결합된 배출관에 의해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조와, 외주면에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처리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며, 원통형 하부 일부가 상기 처리조에 수용된 오폐수가 침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의 일측이 회전축 내부로 관통되어 처리수 수용공간까지 연장 형성되는 드럼필터와, 상기 드럼필터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필터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드럼필터 외주면에 형성되는 타공보다 작은 미세구멍을 가지는 메쉬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여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5에;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개방된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접하면서 회전하고, 외주면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망이 형성된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드럼의 선단부가 접하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로 처리할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식 여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6에; 일측 원형면이 막혀 있고 반대측 원형면은 열려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며, 원통 옆면에는 슬러지를 걸러내는 스크린망이 장착되는 회전드럼; 회전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장치; 중심축이 고정되고, 오수가 유입되고 스크린망을 통과한 여과수가 모이는 간이 수조 안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개구를 가리지 않도록 설치되고 간이 수조 안에서 오수와 여과수가 섞이지 않도록 차단하는 격벽; 격벽과 개구 사이의 틈을 막도록, 격벽에 개구의 내측면과 겹치도록 설치되는 시일링판; 회전드럼의 외부 상측으로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여과수를 분사하여 스크린망에 달라붙은 슬러지를 제거하는 분사장치; 회전드럼의 내부에 분사 장치와 마주하여 설치되어 떨어지는 슬러지를 받아내는 슬러지받이; 슬러지 받이와 연결되어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드럼 스크린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7에; 팜(palm ; 열대과실의 야자류) 등의 식물열매에 열수(熱水)를 가하여 착유(窄油) 작업을 하는 등의 식품공업에서 발생하는 식품공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이 하천이나 바다로 유입되기전에 폐수를 정화처리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폐수처리과정 중에서 필요한 공정인 폐수 중의 고체성물질과 액체성물질을 분리처리하는 공정에 사용하기 위한 폐수처리용 연속식 고액분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8에; 협잡물을 함유한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 유입구가 형성된 외통부와, 상기 외통부 내에 배치되며 폐수 중의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내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폐수 유입구에는 유입되는 폐수에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 형성기가 구성된 여과틀 탈리식 폐수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2612호, 2008.10.16.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7644호, 2010.12.31. (참고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6018호, 2011.05.23. (참고문헌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5039호, 2015.03.10. (참고문헌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9830호, 2016.01.27. (참고문헌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9439호, 2011.01.19. (참고문헌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7483호, 2008.03.27. (참고문헌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6552호, 2011.07.06.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오수를 압착하여 오염물질을 걸려 여과하는 오수 여과장치는 오수의 유입후 압착, 여과과정을 거친 후 다시 오수를 유입하고 압착, 여과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요구하므로 작업연속성이 부족하여 작업효율성과 생산성이 저조하였다.
또한 여과용 드럼을 회전시켜서 원심력 등에 의해 오염물질을 여과시키는 방식은 여과시간 경과에 따라 여과드럼의 필터에 오염물질이 누적되고 또 이러한 오염물질 누적 등으로 인해 여과효율이 저조한 등의 문제가 있었다.
즉, 여과 과정에서 오염물질을 걸러 여과시키는 필터에 오염물질이 끼여 여과기능이 저하되고, 또 이러한 여과필터의 기능저하는 여과효율성을 떨어뜨렸다.
또 여과드럼의 회전에 의해 오수의 유입과 배수가 이루어지고 오염물질이 걸러지게 됨으로써 오수의 여과시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조하며, 여과드럼 회전으로 기계안정성이 불안정하여 여과장치의 내구성이 약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고정된 여과드럼 외부로 여과필터를 설치하고, 여과드럼 내부에서 스크래퍼를 회전작동되게 설치하여 스크래퍼의 회전력과 진동력에 의해 오수의 여과가 이루어지게 하고 또 여과필터에 오염물질이 누적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안정된 여과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우수한 여과성능을 발휘하는 새로운 오수 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스크래퍼의 회전력과 진동력에 의해 오염물질이 걸러지고 여과되는 동시에 여과필터의 오염물질이 누적되지 않고 털어져 모이게 함으로써 오염물질의 누적으로 인한 여과성능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여과드럼 외부로 여과필터를 손쉽게 교체결합할 수 있게 하고, 여과드럼의 여과필터로부터 걸러진 오염물질을 간편하게 수거, 배출시킬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토목, 건축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부 청소는 물론 부품의 교체, 수리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등 보수,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중앙 여과부 양측에서 오수를 유입시키는 오수유입부, 여과된 오수를 배출시키는 오수배출부; 상기 오수유입부에 연통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오수배출부에 연통되는 지지판 사이에 다수의 연결봉을 일정 간격을 두고 원통형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결봉 외측과 지지판 외측으로 여과필터를 결합한 여과드럼; 상기 여과드럼 내부에 설치되어 여과작업을 수행하는 스크래퍼;로 이루어진 오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액츄에이터에 연동되는 회전축에 아암과 탄력부재를 고정설치하고 그 끝에 탄력소재로 된 긁게판을 탄력 작동되게 결합하여 회전력과 진동력으로 여과필터의 여과작업을 수행케 하고, 상기 긁게판은; 상기 연결봉과 여과필터에 접촉하여 이들로부터 오염물질을 털어내고 이와 동시에 오수유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오수를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여과드럼 바깥으로 밀어내면서 여과필터를 강제로 통과시켜 여과작업을 수행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여과드럼 내 스크래퍼의 회전력과 진동력에 의해 오염물질이 걸러지는 동시에 여과필터로부터 털어지므로 오염물질 누적으로 인한 여과성능의 저하없이 지속적이고 안정된 여과작업을 통해 우수한 여과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설치가 용이하게 하여 토목, 건축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과필터의 교체 등, 청소가 손쉽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걸러진 오염물질을 간편하게 수거, 배출시킬 수 있으며, 부품의 교체, 수리를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보수, 유지, 관리 등에도 매우 유리한 이점 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오수유입부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오수배출부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일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A방향 일부 단면도
도 6은 도 1의 B방향 일부 단면도
도 7은 도 1의 C방향 일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중 여과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중 여과드럼을 발췌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중 여과드럼을 발췌한 사시도
도 11, 도12는 본 발명 중 여과드럼의 일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중 여과드럼의 구성을 보인 일요부 발췌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 중 스크래퍼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 중 스크래퍼의 구성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
본 발명은 여과조 내부에 여과드럼를 설치하고 여과드럼에는 스크래퍼를 회전작동되게 설치하여 스크래퍼의 회전력과 진동력으로 오수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는 오수 여과장치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오수 여과장치는 여과조 일측에 오수유입구를 형성하고 그 반대측에 여과조에서 여과된 오수를 배출시키는 오수배출구를 형성한다.
상기 여과조는 내부에 여과드럼을 고정 설치하고 여과드럼 내에는 회전력과 진동력을 부여하여 여과필터로 여과작업을 수행하는 스크래퍼를 설치한다.
상기 여과조에는 여과드럼의 여과필터로부터 걸러진 오염물질을 수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오염물질 배출트랩을 설치한다.
상기 여과조는 기대의 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내부 청소 및 부품의 교체,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으며, 관련된 공지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오수 여과장치는 여과조(10)의 중앙 여과부(20) 양측으로 일측에는 오수유입부(30)를 형성하고 그 반대측에는 여과부(20)에서 여과시킨 오수를 배출시키는 오수배출부(40)를 형성하여 오수유입부(30)를 통해 유입된 오수를 여과부(20)를 통과시켜 여과후 배출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여과조(10)는 원통 형태 등으로 구성하며, 내부 여과부(20)와 그 양측 오수유입부(30) 및 오수배출부(40)는 플랜지(21)(31)(41)로 서로 체결하여 분리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체결부에는 누수발생을 방지하도록 당연히 씨일(Seal)구조로 구성한다.
상기 여과조(10)의 오수유입부(30)는 기대(60) 상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오수유입부(30)에 결합되는 여과부(20)에는 바퀴(50)를 설치하여 기대(60)상의 레일(50)을 따라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내부 청소 및 부품 교체 및 수리 등의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더욱 상세히 살펴볼 것이다.
상기 여과조(10)의 중앙 여과부(20)는 내부에 여과드럼(1)을 설치하고 여과드럼(1)에는 여과필터(2)를 결합한다.
상기 여과드럼(1)은 오수유입부(30) 측으로 플랜지부(11)를 형성하여 여과부(20)와 오수유입부(30)의 플랜지(21)(31) 사이에 결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플랜지부(11)에는 오수유입부(30)로부터 여과부(20) 내 여과드럼(1) 내부로 오수를 유입시킬 수 있게 유입구멍(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오수유입부(30)에는 외부로부터 오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공급라인(32)을 형성하며, 상기 오수공급라인(32)을 통해 오수유입부(30) 내로 공급된 오수를 상기 여과드럼(1) 내로 보내기 위해 여과드럼(1)의 플랜지부(11)에 형성된 유입구멍(12)과 연통되는 통공(61)을 지지프레임(6)에 형성한다.
상기 지지프레임(6)은 오수유입부(30)에 설치되어 스크래퍼(4)(4')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축(5)을 회전지지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상기 여과드럼(1)은 오수유입부(30)와 연통되는 플랜지부(11)와 함께 타측 오수배출부(40)와 연통되는 지지판(13) 사이를 다수의 연결봉(2,2')으로 원형통체로 연결하여 구성하며, 여과드럼(1) 외측으로 여과필터(3)를 설치한다.
상기 연결봉(2,2')은 원형 봉체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 통체으로 연결하여 여과드럼(1)을 구성한다.
상기 연결봉(2,2')을 구성하는 원형 봉체 또는 원형 관체 등으로 실시할 수 있고 그 재질에 특별히 구애받지 않으며, 그 규격(직경) 역시 오수의 성격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상기한 연결봉(2,2')으로 구성되는 여과드럼(1)을 다시 살펴보면, 상기 여과드럼(1)은 도시한 예와 같이 오수유입부(30) 측 플랜지부(11)와 오수배출부(40) 측의 지지판(13) 사이에 다수의 연결봉(2,2')을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2,2')이 결합되는 오수배출부(40) 측의 지지판(13)에는 여과드럼(1)에서 여과된 오수를 오수배출부(40)로 보낼 수 있도록 오수배출부(40)와 연통되는 배출구멍(14)을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여과드럼(1)은 여과부(20)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여과드럼(1)과 여과부(20) 사이 공간을 통해 여과된 오수를 배출시키게 하고 상기 여과부(20)는 오수유입부(30) 측으로는 여과드럼(1)의 플랜지부(11)에 의해 폐쇄되고, 타측 오수배출부(40) 측으로는 여과된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연통시킨다.
상기와 같이 일측에 오수유입부(30)와 연통되고 다른 일측으로 오수배출부(40)와 연통되는 중앙 여과부(20)의 여과드럼(1)에는 외측에 여과필터(3)를 설치하고 내부에 스크래퍼(4,4')를 회전작동되게 설치한다.
상기 여과필터(3)는 도 10에 도시한 예와 같이 여과드럼(1)의 연결봉(2,2') 외측과 오수배출부(40) 측 지지판(14) 외측에서 이들 전부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여과필터(3)는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미세한 크기의 매쉬(MESH)로 이루어진 망체로 구성하며, 금속재는 물론 합성섬유재 등의 다양한 소재로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여과드럼(1)의 연결봉(2,2') 외측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결합할 수 있는 여러 소재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여과필터(3)의 매쉬 크기, 형상 등 역시 오수의 성격이나 오수여과 작업환경 등에 따라 달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여과필터(3)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봉(2,2') 외부 전체와 오수배출부(40) 측의 고정판(13) 외측으로 결합하여 오수유입부(30)로부터 공급된 오수를 여과드럼(1) 내 스크래퍼(4,4')의 회전력과 진동력에 의해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면서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여과작용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오수유입부(30)와 오수배출부(40) 사이에 설치된 여과조(10)의 여과드럼(1) 내에 스크래퍼(4,4')를 회전축(5)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를 위해 여과드럼(1) 양측 오수유입부(30)와 오수배출부(40) 측에는 회전축(5)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6,6')을 각각 설치하고 여기에 회전축(5)을 회전지지하는 씨일(Seal)구조의 회전지지부(부호생략)를 설치한다.
도시한 예와 같이 일측 지지프레임(6)은 오수유입부(30)에 설치하여 회전축(5)을 회전지지하게 하고, 여과드럼(1) 플랜지부(11)의 유입구멍(12)에 연통하는 통공(61)을 형성하여 오수를 여과드럼(1)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한다.
또 오수배출부(40) 측으로는 여과부(20) 내측에 설치하여 회전축(5)을 회전지지하게 하고, 여과드럼(1) 지지판(13)의 배출구멍(14)에 연통하는 통공(61')을 형성하여 여과드럼(1) 내부에서 여과된 오수를 오수배출부(40) 측으로 보낼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오수배출부(40) 측 지지프레임(6')은 오수배출부(40) 내측에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지지프레임(6,6')에는 도시한 예와 같이 베어링하우징 등의 회전지지부를 형성하여 회전축(5)을 회전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6,6')에 회전지지되는 회전축(5)은 일측 오수유입부(30) 내부를 통과하여 외측 액츄에이터(7)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오수유입부(30) 내부를 통과하는 회전축(5)에는 오수유입부(30) 내 오수에 침수되지 않도록 도시한 예와 같이 씨일(Seal) 구조의 보호관(51) 내부에 설치하여야 함은 당연하며, 상기 씨일(Seal) 구조의 보호관(51)은 도시한 예외에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액츄에이터(7)의 설치방향은 경우에 따라 오수배출부(40) 측으로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여과드럼(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5)에는 수개의 스크래퍼(4,4')를 설치하여 여과드럼(1)을 구성하는 연결봉(2,2')과 여과필터(3) 내측에서 이들과 회전과정에서 접촉하여 오수를 여과필터(3) 측으로 강제 밀어내어 여과시키고 여과필터(3)에 걸러진 오염물질이 여과필터(3)에 누적되지 않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스크래퍼(4,4')는 회전축(5)상에 보스(41)를 끼워 설치하고, 보스(41)에 아암(42)을 형성하여 여기에 코일스프링 등의 탄력부재(43,43')과 긁게판(44,44')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스크래퍼(4,4')의 구성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회전축(5) 상에 아암(42)이 형성된 보스(41)를 끼워 체결볼트(도시 생략) 등으로 고정시켜 회전축(5)과 함께 회전작동되게 결합한다.
상기 보스(41)에 형성되는 아암(42)은 원판형의 단일체로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긁게판(44,44')의 개수 등에 따라 수개로 나누어 형성하는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긁게판(44,44')을 십자 방향으로 4개 형성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그 개수는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아암(42)에는 탄력부재(43,43')로 긁게판(43,43')을 탄력적으로 연결하여 결합한다.
상기 탄력부재(43,43')는 도시한 예와 같이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성하여 아암(42)과 긁게판(44,44') 사이에서 회전방향으로 유연성과 복원력을 갖는 탄력성을 부여토록 한다.
상기 탄력부재(43,43')에 결합되는 긁게판(44,44')은 도시한 예와 같이 대략 사각판체 형상 등으로 구성하되, 부드러우면서 마찰계수가 높고 탄력성을 갖는 고무 재질 등으로 두텁지 않는 탄력재질로 구성하여 회전과정에서 연결봉(2,2')에 걸려 탄력적으로 휘어지게 구성한다.
즉, 탄력적으로 연결봉(2,2')을 타고 넘어 극복할 수 있는 재질과 두께 등으로 구성하여 회전과정에서 여과드럼(1)의 연결봉(2,2')과 여과필터(3)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오염물질을 긁어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긁게판(44,44')은 도 14와 같이 그 끝이 연결봉(2,2')을 지나 연결봉(2,2') 외측 여과필터(3) 내측면과 접촉되게 하고, 회전과정에서 여과필터(3) 내면을 긁으면서 탄력적으로 연결봉(2,2')을 타고 넘을 수 있게 한다.
이 과정에서 긁게판(44,44') 끝은 여과필터(3) 내면을 문질러 오염물질을 긁어 내게 하고 또 연결봉(2,2')을 탄력적으로 극복하면서 연결봉(2,2')과 함께 여과필터(3) 측으로 진동력을 부여하여 오염물질을 털어내게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다시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긁게판(44,44')은 그 끝과 여과필터(3) 내측면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5와 같이 탄력부재(43) 끝에 브라켓(45)을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45)에 조립볼트(46)로 긁게판(44,44')의 조절공(47)에 체결하여 조절공(47) 위치에 따라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한 긁게판(44,44')의 길이조절 구조는 다양한 구조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탄력부재(43,43') 끝의 긁게판(44,44')은 연결봉(2,2')과 여과필터(3)에 접촉하여 이들로부터 오염물질을 털어내고 또 이와 동시에 오수유입부(30)로부터 공급되는 오수를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여과드럼(1) 바깥으로 밀어내면서 여과필터(3)를 강제로 통과시켜 여과작업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후술한다.
상기한 스크래퍼(4,4')는 도시한 예와 같이 대략 +자형태 4방향으로 형성하는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회전축(5) 상에 수개를 설치한다.
도시한 설치 개수의 예는 3개의 스크래퍼(4,4')를 설치한 경우로서, 각 스크래퍼(4,4')는 회전축(5) 상에서 긁게판(44,44')이 서로 일렬로 겹치지 않고 360°고른 방향에서 연결봉(2,2')과 여과필터(3)에 접촉할 수있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오수가 여과되는 여과드럼(1) 하부에는 여과드럼(1)으로부터 걸리진 오염물질을 수거할 수 있도록 오염물질 배출드랩(8)을 형성한다.
오염물질 배출트랩(8)은 도시한 예와 같이 여과필터(3) 하부에 오염물질이 모이는 주머니(81)를 형성하여 여과드럼(1) 내부의 오염물질이 모이게 하고, 주머니(81) 끝에는 모인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탈착마개(82)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오염물질 배출트랩(8)은 여과필터(3)와 동일하게 망체 등으로 구성하고 여과드럼(1) 내부와 연통되는 통공(도시생략)을 형성하여 그 하부로 주머니(81)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오염물질 배출트랩(8)은 여과드럼(1) 내부와 연통되는 통공을 통해 오염물질이 비중에 의해 여과드럼(1) 하부로 몰려 통공을 통해 주머니(81) 내로 이동하게 되고 주머니(81)는 오수배출부(40) 측으로 배치되어 주머니(81) 내에서 오염물질은 남고 오수만 배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오수배출부(40)에는 여과드럼(1)에서 여과시킨 오수의 배수를 위한 오수배출관(4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오수배출부(40)와 플랜지(41)(21)로 결합되는 여과부(20)는 바퀴(50)를 설치하고 기대(60)상의 레일(7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내부 청소 및 부품의 교체,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한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과 함께 구성 등을 통해 다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오수의 여과처리를 위해 회전축(5)을 회전구동시킨 상태에서 일측 오수공급라인(32)을 통해 오수유입부(30) 내로 오수를 공급시키면 오수는 오수유입부(30)를 통해 여과부(20)내 여과드럼(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여과드럼(1) 내로 유입된 오수는 회전하는 회전하는 스크래퍼(4,4')의 원심력에 의해 강제로 여과드럼(1) 내부에서 바깥으로 밀려나가면서 여과필터(3)를 통과하여 여과부(20)의 배출공간으로 밀려나게 되고,
또 오수배출부(40)측의 지지판(13) 측으로도 밀려나면서 배출구멍(14)을 통해 배출되어 이들 외측에 결합된 여과필터(3)에 의해 오염물질은 걸러지고 여과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오수가 여과필터(3)를 통해 배출되면서 여과필터(3)에는 오수의 오염물질이 걸러지게 되는 데, 이러한 오염물질은 회전하는 스크래퍼(4,4') 끝의 긁게판(44,44')에 의해 여과필터(3) 내측면을 긁어주게 되어 여과필터(3)에 의해 누적될 수 있는 오염물질을 긁어내게 된다.
즉, 회전하는 스크래퍼(4,4') 끝에 설치된 긁게판(44,44')은 회전력으로 여과필터(3) 내측면과 접촉하면서 그 회전력과 마찰에 의해 끝이 살짝 휘면서 여과드럼(1) 외측의 여과필터(3)를 긁어주게 되고, 또 여과드럼(1)을 구성하는 연결봉(2,2')에 접촉하면서 이들과 부딪히게 된다.
상기 연결봉(2,2')에 접촉하는 긁게판(44,44')은 회전축(5)과 탄력부재(43,43')로 연결되어 연결봉(2,2')에 탄력적으로 충돌하고 또 자체 탄력소재로 되어 연결봉(2,2')을 탄력적으로 타고 넘어면서 연결봉(2,2')을 건드려 여과드럼(1) 전체에 진동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은 여과드럼(1)에 결합된 여과필터(3)에 진동력을 부여하여 여과필터(3)에 묻은 오염물질을 털어주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스크래퍼(4,4')의 긁게판(44,44')이 마모나 훼손되는 등의 경우에는 긁게판(4,4')을 길이를 조절하여 여과필터(3)와 긁게판(44,44')이 적당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염물질 여과과정을 통해 여과된 오수는 오수배출부(40)의 오수배출라인(42)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오수 여과 과정에서 스크래퍼(4,4')의 긁게판(44,44')에 의해 여과필터(3)로부터 탈락된 오염물질은 진행방향인 오수배출부(40) 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로 모여 여과드럼(1)의 여과필터(3) 하부측 통공을 통해 오염물질 배출트랩(8)에 모이게 된다.
여과드럼(1) 내부에서 여과필터(3)에 의해 걸러지고 또 스크래퍼(4,4')에 의해 여과필터(3)로 부터 탈락된 오염물질은 여과드럼(1) 내에 머물게 되는데 이러한 오염물질은 입자의 비중이 커서 배출압력을 받는 오수배출부(40)를 향해 아래로 몰리게 되고 이에 따라 여기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서 오염물질 배출트랩(8)의 주머니(81)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모인 주머니(81)에 모인 오염물질은 탈착마개(82)를 열어서 수거, 제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오염물질의 처리와 청소 및 수리 등을 위해 일측 오수배출부(40)를 여과부(20)로부터 분리하여 간단히 오염물질을 배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여과부(20)는 오수유입부(30)로부터 분리한 후 바퀴(50)를 기대(60)상의 레일(70)을 따라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동시켜 분리, 조립할 수 있으므로 내부 청소는 물론 이들의 조립, 분리가 용이하여 수리 및 유지, 관리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0:여과조 20:여과부
30:오수유입부 40:오수배출부
50:바퀴 60:기대
1:여과드럼 11:플랜지부
12:유입구멍 13:지지판
14:배출구멍
2,2':연결봉 3:여과필터
4,4':스크래퍼(Scrapper) 41:보스
42: 아암 43,43':탄력부재
44,44':긁게판 45:브라켓
46:조절볼트 47:조절공
5:회전축 51:보호관
6,6':지지프레임
61:공급구멍 61':배출구멍
7:액츄에이터(Actuator)
8:오염물질 배출트랩
81:주머니 82:탈착마개

Claims (9)

  1. 중앙 여과부(20) 양측에서 오수를 유입시키는 오수유입부(30), 여과된 오수를 배출시키는 오수배출부(40);
    상기 오수유입부(30)에 연통되는 플랜지부(11)와 상기 오수배출부(40)에 연통되는 지지판(13) 사이에 다수의 연결봉(2,2')을 일정 간격을 두고 원통형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결봉(2,2') 외측과 지지판(13) 외측으로 여과필터(3)를 결합한 여과드럼(1);
    상기 여과드럼(1) 내부에 설치되어 여과작업을 수행하는 스크래퍼(4,4');로 이루어진 오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4,4')는; 액츄에이터(7)에 연동되는 회전축(5)에 아암(42)과 탄력부재(43,43')를 고정설치하고 그 끝에 탄력소재로 된 긁게판(44,44')을 탄력 작동되게 결합하여 회전력과 진동력으로 여과필터(3)의 여과작업을 수행케 하고,
    상기 긁게판(44,44')은; 상기 연결봉(2,2')과 여과필터(3)에 접촉하여 이들로부터 오염물질을 털어내고 이와 동시에 오수유입부(30)로부터 공급되는 오수를 회전에의한 원심력으로 여과드럼(1) 바깥으로 밀어내면서 여과필터(3)를 강제로 통과시켜 여과작업을 수행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드럼(1) 양측 오수유입부(30)와 오수배출부(40) 측에 지지프레임(6,6')을 각각 형성하여 회전축(5)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5)은 여과드럼(1) 외측의 액츄에이터(7)로 회전구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여과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25342A 2017-02-27 2017-02-27 오수 여과장치 KR101755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342A KR101755573B1 (ko) 2017-02-27 2017-02-27 오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342A KR101755573B1 (ko) 2017-02-27 2017-02-27 오수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573B1 true KR101755573B1 (ko) 2017-07-11

Family

ID=5935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342A KR101755573B1 (ko) 2017-02-27 2017-02-27 오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5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8376A (zh) * 2018-09-13 2018-12-25 张艳平 一种多功能污水处理装置
CN117398762A (zh) * 2023-12-13 2024-01-16 广州蓝清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工厂污水处理循环利用设备
CN118477762A (zh) * 2024-07-11 2024-08-13 山东奥克特饲料添加剂有限公司 一种添加剂过滤用旋转式转鼓离心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099B1 (ko) 2013-09-11 2014-02-13 윤미자 드럼 스크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099B1 (ko) 2013-09-11 2014-02-13 윤미자 드럼 스크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8376A (zh) * 2018-09-13 2018-12-25 张艳平 一种多功能污水处理装置
CN109078376B (zh) * 2018-09-13 2021-04-23 山东水文水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污水处理装置
CN117398762A (zh) * 2023-12-13 2024-01-16 广州蓝清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工厂污水处理循环利用设备
CN117398762B (zh) * 2023-12-13 2024-03-26 广州蓝清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工厂污水处理循环利用设备
CN118477762A (zh) * 2024-07-11 2024-08-13 山东奥克特饲料添加剂有限公司 一种添加剂过滤用旋转式转鼓离心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379B1 (ko) 협잡물 제거용 진동 스크린
KR200417966Y1 (ko) 롤링 회전구조를 갖는 협잡물 제거용 드럼스크린
KR100920689B1 (ko)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WO2010076853A1 (ja) 汚染ガスの水洗式除塵浄化方法
JP2006521919A (ja) 液体から細かい被濾過物を除去する装置
JP4303790B2 (ja) 向流清浄に関するろ過装置
KR101370394B1 (ko) 협잡물 제거용 드럼 스크린
JP2002301401A (ja) 磁気フィルタ
US10688420B2 (en) Enhanced momentum cleaning device for rotating belt screens and filters
KR101755573B1 (ko) 오수 여과장치
KR101448298B1 (ko) 수처리 여과장치에 사용되는 여과필터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US6578714B2 (en) Mobile washer with fluid reclamation system
KR101951862B1 (ko)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
KR20190088859A (ko)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KR102305739B1 (ko) 슬러지 탈수기의 오수 재생 장치
CN213965427U (zh) 一种便于清洗的污水处理装置
KR960037103A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그 방법
CN108939668B (zh) 一种工厂污水废渣分离设备
KR100279350B1 (ko) 여과장치 및 역세척 방법
CN215313114U (zh) 一种受污染底泥处理机构
CN221647892U (zh) 一种具有防堵功能的upvc管道
KR100975694B1 (ko) 오폐수 여과장치
CN114146470B (zh) 一种污水过滤装置及污水过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