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859A -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859A
KR20190088859A KR1020180078802A KR20180078802A KR20190088859A KR 20190088859 A KR20190088859 A KR 20190088859A KR 1020180078802 A KR1020180078802 A KR 1020180078802A KR 20180078802 A KR20180078802 A KR 20180078802A KR 20190088859 A KR20190088859 A KR 20190088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filtration
treatment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원
Original Assignee
(주)스텝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텝이엔지 filed Critical (주)스텝이엔지
Publication of KR2019008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33/00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유입관이 마련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처리조에 설치된 회전축이 지지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배출구를 이루며 처리조에 설치된 회전실링지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처리대상수를 여과하는 드럼형의 필터부재와, 상기 처리조에 지지되며 필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형의 필터부재를 역세하기 위한 필터세척유닛과, 상기 처리조에 지지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필터세척유닛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이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래퍼를 구비한 필터부재의 세척이물배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equipment of rotatable filtering type}
본 발명은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처리대상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벨트 또는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연속으로 여과할 수 있고, 여과벨트, 드럼형 필터부재의 폐색 시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용도의 물, 즉 용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수는 필요에 따라 여과처리하여 재 이용하고 있다.
산업용수로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공정에서 냉각수를 이용하고 있다. 이때 냉각수는 통상 순수를 재활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도금강판에서 떨어진 미세한 아연분말 등과 같은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냉각수가 순환하면서 열교환기 등과 설비의 내부에 축적되어 잦은 고장을 유발함은 물론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냉수수중의 이물질이 용융아연도금강판에 재 부착되어 표면결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과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막히게 되어 용융아연도금강판을 균일한 온도로 냉각시킬 수 없으므로 제품불량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이 포함된 냉각수가 고압으로 분사될 경우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이 변형 또는 손상되어 생산품질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3900호에는 용융아연도금강판용 냉각수의 이물질 여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여과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함체 형상으로 일측 상부 면에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측 하부 면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중간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쪽으로 분리하기 위한 격벽이 마련되고 타측 상부 면에는 냉각수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탱크와; 상기 유입공의 위치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표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여과필터와; 상기 탱크의 일측 면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냉각수 방향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종래의 여과장치에 설치된 여과필터는 카트리지 구조의 백필터(bag filter)로 이루어져 있어서, 단순히 냉각수를 통과시키면서 필터로 이물질을 여과할 뿐 필터의 역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여과필터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여과장치의 운용이 번거롭고, 그만큼 냉각수의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3900호: 용융아연도금강판용 냉각수의 이물질 여과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처리대상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벨트 또는 드럼형 필터부재를 회전시키면서 연속으로 처리대상수를 여과함과 동시에 여과벨트, 드럼의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과벨트, 드럼형 필터부재의 역세척으로 인하여 여과벨트, 드럼형 필터부재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처리대상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유도배출할 수 있으므로 여과필터의 막힘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는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유입관이 마련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처리조에 설치된 회전축이 지지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배출구를 이루며 처리조에 설치된 회전실링지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처리대상수를 여과하는 드럼형의 필터부재와,
상기 처리조에 지지되며 필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형의 필터부재를 역세하기 위한 필터세척유닛과,
상기 처리조에 지지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필터세척유닛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이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세척이물배출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세척유닛은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과 안접되게 설치되어 세척수를 필터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보조세척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수용하며 배출관과 연결된 처리수액조가 더 구비되며, 필터부재가 설치된 처리조의 하부측에는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유닛을 더 구비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는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처리대상수를 여과하는 메인여과유닛과;
상기 메인여과유닛에 걸러져 상기 처리조의 하부로 침강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여과유닛은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면에 유입구가 형성된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를 상하방향으로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벨트와, 상기 여과벨트가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벨트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여과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한 역세척부를 구비하며,
상기 역세척부에 의한 여과필터의 역세 시 여과벨트로부터 탈리되는 이물질이 유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물질배출부로 유도하기 위해 여과조의 외측에 설치되는 이물질유도패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된 처리대상수를 1차로 여과하는 서브여과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서브여과유닛은 상기 처리조 내부에 설치되어 처리대상수유입관과 연결되며 하부가 개방된 전처리조와, 상기 전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전처리조의 내부로 길게 늘어뜨려져 상기 전처리조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와 접촉하는 다수의 섬유상여재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여과조의 상방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여과벨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여과조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벨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체인과,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체인과, 상기 제 1체인을 상기 여과벨트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시키고 상기 제 2체인을 상기 여과벨트의 타측 가장자리와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체인에 결합되는 제 1어테치먼트와, 상기 제 2체인에 결합되는 제 2어테치먼트와, 상기 제 1어테치먼트와 상기 제 2어테치먼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 1체인과 상기 제 2체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벨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탄성력으로 잡아당기는 제 1탄성부재와,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벨트의 타측 가장자리를 탄성력으로 잡아당기는 제 2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처리대상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벨트를 회전시키면서 연속으로 처리수를 여과함과 동시에 여과벨트 또는 필터부재를 역세척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운용이 간편하며, 장치의 중단 없이 계속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단면도로서, 처리조의 내부에 위치된 필터부재에 의해 대상처리수가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단면도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입단면도이고,
도 7는 도 6에 도시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측단면도,
도 8는 도 6에 도시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평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회전여과식 수처리장치(100)는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된 처리조(110)와, 상기 처리조(110)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축(111)에 드럼형의 필터부재(120)의 일측이 지지되고, 개방된 필터부재(120)의 타측이 처리조(110)에 설치된 회전실링부(130)와 제 2필터프레임(122)를 지지하는 가이드롤러(12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120)의 개방된 부위가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부(125)를 이루게 된다. 상기 회전축(111)은 처리조(110)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12)에 의해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된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일측에 회전축(111)과 결합되며 처리대상수가 직접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필터프레임(121)과, 이와 대응되는 측에 설치된 원통형의 제 2필터프레임(122)과 이들을 연결하는 제 3필터프레임(123)을 구비하며, 상기 제1,2필터프레임(121)(122)의 사이의 외주면에는 처리 대상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24)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124)는 제 1,2,3필터프레임(121)(122)(123)의 외주면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결합 및 분리구조는 원주방향으로 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된다. 이 연결부는 지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연결부에 의해 양단부가 연결되어 제1,2,3필터프레임(121)(122)(123)을 감싸는 필터(124)의 양측 단부는 별도의 밴드에 의해 제1,2필터프레임(121)(122)에 밀착된다. 상기 필터(124)의 일측에는 제 1,2필터프레임(121)(122)에 대해 필터(12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지공이 형성되고, 이 지지공은 제1,2필터프레임에 형성된 지지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124)는 필터의 손상 또는 마모 시 필터프레임에 대해 필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필터부재(12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처리 대상수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처리대상수의 수압에 의해 필터링 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상기 필터부재(120)의 개방된 타측을 지지하는 회전실링부(130)는 처리조(110)에 상기 필터부재(12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실링베이스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베이스부(131)는 처리조(110)의 일측에 처리조(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베이스부(131)에는 상기 필터부재(120)의 제 2필터프레임(122)에 밀착되는 실부재(139)가 설치된다. 상기 실링베이스부(131)에는 실부재(139)를 상기 제2필터프레임(122)에 밀착함과 아울러 제 2필터프레임(122)을 지지하기 위한 가압실링부재(133)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실링부재(133)는 상기 실링베이스부(131)에 지지된 실부재(139)의 내주면을 실링베이스부(131)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134)와, 상기 가압부(134)의 외측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35)를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부(135)와 실링베이스부(131)가 설치된 처리조(110)에는 상기 가압실링부재(133)를 상기 제2필터프레임(122)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유닛(136)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 2필터프레임(122)은 실부재(139)와 밀착되는 단부가 필터부재(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평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136)은 상기 플랜지부(135)를 관통하여 이와 대응되는 처리조(110)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가지는 고정부재(137)들과, 각 헤드부와 플렌지부(135) 사이의 고정부재(137)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138)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재(137)와 이에 지지된 탄성스프링(138)은 상기 플랜지부(135)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압유닛(136)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플랜지부(135)와 실링베이스부(131)의 사이에 패킹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처리조(110)에 플랜지부(135)를 볼트 결합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조(110)에 지지되며 필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드럼형의 필터부재(120)를 역세하기 위한 필터세척유닛(140)과, 상기 처리조(110)에 지지되어 상기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필터세척유닛(140)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이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스크래퍼(151)를 포함하는 필터부재의 세척이물배출유닛(150)을 구비한다.
상기 필터세척유닛(140)은 처리조(110)에 지지되며 필터부재(120)의 내측 상부에 제1세척수공급관(141)이 설치되고, 이 제1세척수공급관(141)에는 상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제1분사노즐(142)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1세척수공급관(141)에 설치되는 제1분사노즐(142)들은 후술하는 세척이물배출유닛(150)의 스크래퍼(151)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세척유닛(140)은 상기 제1분사노즐(142)과 대응되는 측의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보조세척부(1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척부(145)는 상기 필터부재(12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세척수공급관(146)과, 상기 제2세척수공급관(146)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2분사노즐(147)들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세척부(145)는 필터부재((120)의 외부측에서 이의 내측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필터부재(12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세척이물배출유닛(150)은 필터부재(12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처리조(110) 또는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필터부재(120)의 외주면 즉, 상기 제1분사노즐(142)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이탈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스크래퍼(151)와, 상기 스크래퍼(151)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의 유도배출하기 위한 슈트(152)와, 상기 슈트(152)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물배출관(153)을 구비한다. 상기 스크래퍼(151)는 필터부재(120)와의 접촉 시 필터부재(1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랙시블한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필터부재(120)의 제2필터프레임(122)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가이드돌기부(126)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돌기부(126)는 처리조(11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27)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또는 처리조(110)의 전면에는 상기 필터부재(120)의 배출구(125)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수용하며 배출관(116)과 연결된 처리수액조(115)가 더 구비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수 액조(115)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하여 처리대상수가 배출관(116)을 처리수액조(115)로 유입된 후, 필터부재(1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외측인 처리조(110)의 내부측으로 배출되면서,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 처리조(110)의 유입관(113)을 통하여 배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재의 세척은 상기 보조세척부(145)의 제 2분사노즐(147)들로부터 세척수가 고압으로 필터부재에 분사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0)가 설치된 처리조(110)의 하부측에는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유닛(1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침전물배출유닛(160)은 처리조(110)의 하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스크류피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110)의 내부에는 필터부재(120)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필터링이 이루어진 수위를 감지하는 제 1스위감지센서(171)와 필터부재(120)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처리조 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됨으로서 필터부재(120)의 세척이 필요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수위감지센서(172)와, 상기 제 1,2수위감지센서(171)(172)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필터세척유닛(140) 또는 보조세척부(145)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7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필터세척유닛(140) 및 보조세척부(145) 뿐만아니라 구동모터(112) 및 침전물베출유닛(160)을 포함하는 수처리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여과식 수처리장치(100)는 처리조(110)의 유입관(113)을 통하여 처리 대상수가 상기 처리조(110)의 내부로 유입됨과 아울러 구동모터(112)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1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처리조(110)의 내부로 유입된 처리대상수는 처리조(110)의 내부에 채워지는 수두의 차이에 의해 필터부재(120)를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동되면서 필터링 된다. 이와 같이 필터링 된 처리수는 회전실링부(130)에 의해 처리조(110)에 대해 실링 및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필터부재(120)의 타측단부 측에 마련된 배출부(125)를 통하여 처리수액조(115)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필터부재(120)에 의해 대상처리수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재(120)의 타측 단부는 회전실링부(130)에 의해 실링되어 있으므로 처리조(110)의 내의 대상처리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실링부재(133)의 플랜지부(135)는 고정부재(137)에 의해 지지된 탄성스프링(138)에 의해 처리조(110) 측으로 가압합으로써 실부재(139)를 제2필터프레임(122)에 가압하게 되므로 실링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조(110) 내의 대상처리수가 필터부재(120)에 의해 필터링 되는 과정에서 필터부재(120)에 이물이 부착되게 되므로 필터부재(120)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필터부재(120)에 대상처리수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지속적인 제거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지속적인 필터부재(120)의 세척이 세척이물배출유닛(15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세척이물배출유닛(150)에 의한 필터부재(12)의 이물제거는 필터세척유닛(140)의 제1세척수공급관(141)에 설치된 제1분사노즐(142)들을 통하여 필터부재(12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기 세척이물배출유닛(150)의 스크래퍼(151)가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스크랩핑하게 된다.
따라서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필터부재(12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스크래퍼(151)와 슈트(152)를 통하여 일부의 세척수와 같이 이물배출관(153)으로 배출된다.
상기 필터부재(120)에 의해 이물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측에 설치된 보조세척부(145)의 제 2분사노즐(147)에 의해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되어 필터부재(120)에 부착된 이물을 필터부재(120)의 내측으로 분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120)를 세척하기 위한 필터세척유닛(140) 및 보조세척부(145)은 작동은 정상적으로 필터링이 이루어져 제 1스위감지센서(171)에 의해 감지된 대상처리수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로 낮은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2수위감지센서(172)에 의해 필터부재(120)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필터세척유닛(140) 및 보조세척부(145)이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필터세척유닛(140) 및 보조세척부(145)가 작동함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조(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120)의 일측이 개방되어 배출부(125)가 마련되고, 처리조(110)의 내부의 대상처리수가 회전하는 필터부재(120)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처리조(110)의 처리대상수의 수압이 필터부재에 작용하여 지속적인 처리대상수의 필터링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필터에 상대적으로 큰 수압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필터부재(12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여과식 수처리 장치는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처리조(10)와, 처리조(10)의 내부로 유입된 처리대상수를 1차로 여과하는 서브여과유닛(20)과, 서브여과유닛(20)을 통과한 처리대상수를 2차로 여과하는 메인여과유닛(30)과, 서브여과유닛(20) 및 메인여과유닛(30)에 걸러져 처리조(10)의 하부로 침강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부(150)를 구비한다.
처리조(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처리조(10)의 하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물질이 하부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처리조(10)는 지지프레임(미도시)이 설치되어 지면에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처리조(10)의 일측에는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유입관(13)이 설치된다. 처리대상수유입관(13)을 통해 처리대상수가 처리조(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처리대상수는 산업용수, 특히 용융아연도금 공정의 냉각수일 수 있다. 또한, 처리대상수로 하수 또는 폐수, 중수, 상수일 수 있다.
처리조(10)의 내부에는 2개의 처리수배출관(16)(17)이 형성된다. 즉, 제 1처리수배출관(16)과 제 2처리수배출관(17)이 형성된다. 제 1처리수배출관(16)은 후술할 여과조(31)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처리조(10)의 외측면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 2처리수배출관(17)은 여과조(31)의 타측면에 연결되어 U자형으로 굽어져 처리조(10)의 외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및 제 2처리수배출관(16)(17)에는 외부연결관이 각각 연결되어 여과된 처리수가 처리조(1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처리조(10)의 내부로 유입된 처리대상수는 서브여과유닛(20)을 통과하면서 1차로 여과되고, 서브여과유닛(20)을 통과한 처리대상수는 메인여과유닛(30)을 통과하면서 2차로 여과된다. 그리고 2차로 여과된 최종 처리수는 제 1 및 제 2처리수배출관(16)(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처리조(10) 내부는 일정한 수위로 유지되면서 처리대상수가 계속 유입되고, 여과된 처리수는 계속 배출되면서 연속으로 여과처리된다.
서브여과유닛(20)은 처리조(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처리대상수유입관(13)과 연결된다.
서브여과유닛(20)은 하부가 개방된 전처리조(21)와, 전처리조(21)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서 전처리조(21)의 내부로 길게 늘어뜨려져 전처리조(21)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와 접촉하는 다수의 섬유상여재(23)들을 구비한다.
전처리조(21)는 사각의 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전처리조(21)는 처리대상수유입관(13)과 연결된다. 따라서 처리대상수유입관(13)을 통해 처리대상수는 전처리조(21)로 유입된다.
전처리조(21)의 내부로 유입된 처리대상수는 섬유상여재들(23)과 접촉하면서 이물질이 1차로 여과된다.
각 섬유상여재(23)는 일정한 폭의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섬유상여재(23)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섬유상여재(23)는 표면적이 넓은 다공구조로서, 다양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섬유상여재(23)는 부직포, 극세사 섬유, 아크릴 섬유, 스펀지, 면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섬유상여재(23)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가 배치된다.
헤드부는 전처리조(21)의 상부에 설치된다. 헤드부는 섬유상여재(23)가 걸쳐지는 다수의 지지바(25)와, 지지바(25)가 설치되는 헤드브라켓트(27)를 구비한다. 헤드브라켓트(27)는 전처리조(21)에 지지된다.
전처리조(21)로 유입된 처리대상수는 섬유상여재(23)와 접촉하여 1차로 이물질이 제거된다. 1차로 이물질이 제거된 처리대상수는 전처리조(21)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배출되어 처리조(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헤드부의 상부에는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는 일정 주기로 작동하여 섬유상여재(23)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킬 수 있다. 이때 탈리된 이물질은 처리조(10)의 바닥으로 침강되어 후술할 이물질배출부(15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바이브레이터로 기계적인 진동, 초음파 진동 등을 가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서브여과유닛(20)을 통과한 처리대상수는 처리조(10)의 내부에 설치된 메인여과유닛(30)에 의해 2차로 여과된다.
메인여과유닛(30)은 처리조(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면에 유입구가 형성된 여과조(31)와, 여과조(31)를 상하방향으로 감싸도록 설치되어 유입구(33)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무한궤도상의 여과벨트(35)와, 무한궤도 상의 여과벨트(35)을 회전할 수 있도록 여과벨트(35)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여과벨트(35)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한 역세수단과 역세수단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유도패널(95)을 구비한다.
여과조(31)는 처리조(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과조(31)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과조(31)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하부측이 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무한궤도상의 여과벨트(35)의 회전 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과조(31)의 전면 및 후면에는 여과벨트(35)를 통과한 처리대상수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33)가 형성된다. 서브여과유닛(20)을 통과한 처리대상수는 여과조(31)의 전면 및 후면의 유입구(33)를 통해 여과조(31)의 내부로 동시에 유입된다. 유입구에는 메쉬망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메쉬망이 생략될 수 있다.
여과조(31)의 유입구(33)를 통과하는 처리대상수를 여과하기 위해 여과벨트(35)가 설치된다.
여과벨트(35)는 여과조(31)를 상하방향으로 감싸도록 설치된다. 여과벨트(35)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여과벨트(35)로 섬유소재, 합성수지 소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여과벨트(35)로 통상적인 여과포가 적용될 수 있다.
여과벨트(35)는 여과조(31)의 바깥에 설치되어 여과밸트(35)를 통과한 처리대상수가 유입구(33)로 유입된다. 처리대상수가 여과벨트(35)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다. 여과벨트(35)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여과처리된 처리대상수, 즉 처리수는 여과조(31)의 내부에 체류되며, 상기 제1,3처리수배출관(16)(17)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 여과벨트(35)는 하면과 양측면이 밀착된 상태로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회전한다. 이러한 여과벨트(35)는 회전수단에 의해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수단은 여과조(31)의 상방에 설치되는 회전축(41)과, 회전축(4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회전축(41)의 회전력을 여과벨트(35)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여과조(3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여과벨트(3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40)를 구비한다.
회전축(41)은 여과조(31)의 상방에 설치된다. 여과조(31)의 상부에는 회전축(4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트(43)가 설치된다. 지지브라켓트(43)는 여과조(3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회전축(41)의 좌우 양 단부는 베어링유닛에 의해 지지브라켓트(43)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회전축(41)에는 다수의 가이드롤러(45)가 설치된다. 가이드롤러(45)는 회전축(41)에 회전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가이드롤러(45)가 회전축(4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여과벨트(35)는 가이드롤러(45)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구동부는 회전축(4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는 모터(51)와, 모터(51)와 연결된 구동스프라켓(53)과, 회전축(41)에 결합된 종동스프라켓(55)과, 구동스프라켓(53)과 종동스프라켓(55)을 연결하는 구동체인(57)으로 이루어진다.
모터(51)는 처리조(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모터(51)로 기어드모터가 이용될 수 있다.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41)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축(41)의 회전 시 회전축(41)의 회전력을 여과벨트(35)에 전달하기 위해 동력전달부가 구비된다.
동력전달부는 회전축(41)의 일측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체인(61)과, 회전축(41)의 타측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체인(63)과, 제 1체인(61)을 여과벨트(35)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시키고 제 2체인(63)을 여과벨트(35)의 타측 가장자리와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제 1체인(61)과 제 2체인(63)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 1체인(61)과 제 2체인(63) 사이에 여과벨트(35)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 1체인(61)은 여과벨트(35)의 일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제 2체인(63)은 여과벨트(35)의 타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 1체인(61)은 회전축(41)의 일측에 결합된 제 1스프라켓(65)에 결합된다. 제 1스프라켓(65)은 종동스프라켓(55)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제 1체인(61)은 제 1스프라켓(65)에 결합되어 회전축(41)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체인(63)은 회전축(41)의 타측에 결합된 제 2스프라켓(67)에 결합된다. 제 2체인(63)은 제 2스프라켓(67)에 결합되어 회전축(41)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무한벨트 상의 여과벨트(35)와 동일한 궤적 무한궤도상의 제 1체인(61)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제1 어테치먼트(71)들이 설치되고, 제 2체인(63)에는 상기 제1체인(61)에 형성된 제 1어테치먼트(71)들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어테치먼트(73)가 설치된다. 각각의 제 1,2어태치먼트(71)(73)에는 이들에 의해 지지되는 간격유지부재(75)들이 여과벨트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재(75)의 길이는 상기 무한궤도상의 여과벨트(35)의 폭 또는 여과조(3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가능한 간격유지부재(75)의 길이는 여과조(31)의 폭보다 길게 제1,2체인(61)(63)의 구동 시 상기 여과조(31)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75)의 일측 단부는 여과벨트(35)의 일측 가장자리를 탄성력으로 잡아당기는 제 1탄성부재(77)에 의해 결합되고, 간격유지부재(75)의 타측 단부는 여과벨트(35)의 타측 가장자리를 탄성력으로 잡아당기는 제 2탄성부재(79)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1,2탄성부재(77)(79)는 탄력밴드,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간격유지부애재(75)의 양단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여과벨트(35)의 단부에 견인홀이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의 양 단부가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제 1 및 제 2탄성부재(77)(79)가 여과벨트(75)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각각 좌우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므로 여과벨트(75)는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0)는 여과조(3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여과벨트(35)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재(140)는 여과조(31)의 외측면에 다수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부재(140)는 여과조(31)와 여과벨트(35) 사이에 위치한다. 가이드부재(140)는 단면이 원형이거나 반원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바깥면이 둥근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과벨트(35)의 내측면은 가이드부재(140)와 접촉하면서 회전한다. 여과벨트(35)는 회전 시 둥근 가이드부재(140)와 접촉하므로 회전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역세척부는 여과벨트(35)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역세척부에 의해 본 발명은 여과벨트(35)를 교환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일 예로 역세척부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공급관(91)과, 세척수공급관(91)에 설치되는 분사노즐(93)로 이루어진다.
세척수공급관(91)은 회전축(41)과 나란하게 다수가 설치된다. 세척수공급관(91)은 지지브라켓트(43)에 양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세척수공급관(91)은 상기 여과조와 회전축(41)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분사노즐(93)은 각 세척수공급관(91)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분사노즐(93)은 여과벨트(35)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여과벨트(35)에 부착된 이물질을 바깥으로 털어낸다.
4개의 세척수공급관(91) 중 2개의 세척수공급관에는 분사노즐이 하우징의 전면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2개의 세척수공급관에는 분사노즐이 하우징의 후면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된다.
주기적으로 세척수공급관(91)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여과벨트(35)를 역세척한다. 분사노즐(93)에서 나오는 강한 압력의 세척수는 여과벨트(35)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탈리시킨다.
처리대상수를 계속 여과조의 내부로 유입시켜 여과처리를 진행하면서 역세척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대상수의 유입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역세척도 가능하다.
한편, 역세척 시 여과벨트(35)로부터 탈리되는 이물질이 유입구(33) 근처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여과조(31)의 바깥에는 이물질유도패널(95)이 설치된다.
이물질유도패널(95)은 여과조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이물질유도패널(95)의 상부는 여과벨트(35)와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물질유도패널에 의해 여과벨트(35)로부터 탈리되는 이물질은 이물질유도패널(95)의 경사면(97)을 타고 흘러내려 처리조(10)의 하방으로 침강한다. 따라서 여과조(31)의 유입구(33)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에 여과벨트(35)로부터 탈리된 이물질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과벨트(35)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2차로 여과되어 여과조(31) 내부로 유입된 처리수는 제 1 및 제 2처리수배출관(16)(17)을 통해 처리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처리수는 제 1 및 제 2처리수배출관(16)(17)을 통해 동시에 배출되어 처리수의 배출용량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서브여과유닛(20) 및 메인여과유닛(30)에 걸러져 처리조(10)의 하부로 침강된 이물질은 이물질배출부(15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물질배출부(150)는 처리조(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저면하우징(151)과, 저면하우징(15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길게 형성된 이송스크류(153)와, 저면하우징(151)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153)에 의해 이송되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배출관(157)과, 이송스크류(15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55)를 구비한다.
이물질배출부(150)는 상부로부터 침강되는 이물질은 저면하우징(151)의 내부로 유입되어 쌓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 즉, 저면하우징(151)의 내부로 유입되어 쌓인 이물질은 이송스크류(153)에 의해 이물질배출관(157)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물질배출관(157)에는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된다.
저면하우징(151)에 이물질이 일정량 쌓이면 구동부(155)를 작동시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송스크류(153)에 의해 이물질은 이물질배출관(157)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물질배출관(157)을 통해 외부로 이물질이 배출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10)(10) 2대를 병렬로 연결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한대의 수처리장치(10)는 처리대상수유입관을 통해 처리대상수가 처리조로 계속 유입되면서 처리대상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처리하고, 다른 한대의 수처리장치(5)는 처리대상수의 유입인 중단된 상태에서 역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대의 수처리장치가 번갈아가면서 여과처리와 역세척을 진행하므로 중단없이 처리대상수를 연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한 대는 처리대상수를 수처리하여 역세를 위한 세척수로 공급할 수 있다. 여과벨트(35)를 역세척 하는 과정에서 세척을 위한 세척수는 여과처리가 이루어진 세척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여과벨트(35)의 세척을 위한 별도의 용수공급이 불필요하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10: 처리조 11: 지지프레임
13,113: 처리대상수유입관 20: 서브여과유닛
23: 섬유상여재 30: 메인여과유닛
31: 여과조 35: 여과벨트
41,111: 회전축 61: 제 1체인
63: 제 2체인 75: 간격유지부재
77: 제 1탄성부재 79: 제 2탄성부재
91,: 세척수공급관 93: 분사노즐
150: 이물질배출부

Claims (8)

  1.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유입관이 마련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처리조에 설치된 회전축이 지지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배출구를 이루며 처리조에 설치된 회전실링부에 의해 실링 및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처리대상수를 여과하는 드럼형의 필터부재와,
    상기 처리조에 지지되며 필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형의 필터부재를 역세하기 위한 필터세척유닛과,
    상기 처리조에 지지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필터세척유닛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이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세척이물배출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이물 배출유닛은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필터부재를 오염시킨 이물질을 스크랩핑하기 위한 스크래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를 통하여 유입된 처리대상수가 처리조의 내부로 유출되면서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처리조의 전면에 필터부재의 내부로 처리 대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처리수액조가 구비하며,
    상기 필터세척유닛은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과 안접되게 설치되어 세척수를 필터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보조세척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처리조에 설치되어 필터부재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는 제 1스위감지센서와, 필터부재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처리조 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됨으로서 필터부재의 세척이 필요한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제 1,2수위감지센서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필터세척유닛 또는 보조세척부을 선택저긍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수용하며 배출관과 연결된 처리수액조가 더 구비되며, 필터부재가 설치된 처리조의 하부측에는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유닛을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일측에 회전축과 결합되며 처리대상수가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필터프레임과, 제1필터프레임과 대응되는 측에 설치된 원통형의 제 2필터프레임과, 제1,2필터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3필터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1,2필터프레임의 사이의 외주면에는 처리 대상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는 제 1,2,3필터프레임의 외주면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 의해 양단부가 연결되어 제1,2,3필터프레임을 감싸는 필터의 양단부가 밴드에 의해 제1,2필터프레임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7.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처리대상수를 여과하는 메인여과유닛과;
    상기 메인여과유닛에 걸러져 상기 처리조의 하부로 침강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여과유닛은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면에 유입구가 형성된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를 상하방향으로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벨트와, 상기 여과벨트가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벨트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여과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한 역세척부를 구비하며,
    상기 역세척부에 의한 여과필터의 역세 시 여과벨트로부터 탈리되는 이물질이 유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물질배출부로 유도하기 위해 여과조의 외측에 설치되는 이물질유도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체인과,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체인과, 상기 제 1체인을 상기 여과벨트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시키고 상기 제 2체인을 상기 여과벨트의 타측 가장자리와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체인에 결합되는 제 1어테치먼트와, 상기 제 2체인에 결합되는 제 2어테치먼트와, 상기 제 1어테치먼트와 상기 제 2어테치먼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 1체인과 상기 제 2체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벨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탄성력으로 잡아당기는 제 1탄성부재와,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벨트의 타측 가장자리를 탄성력으로 잡아당기는 제 2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KR1020180078802A 2018-01-19 2018-07-06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KR201900888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862 2018-01-19
KR20180006862 2018-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859A true KR20190088859A (ko) 2019-07-29

Family

ID=6748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802A KR20190088859A (ko) 2018-01-19 2018-07-06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88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261A (ko) * 2020-01-06 2021-07-14 (주)스텝이엔지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KR102317351B1 (ko) 2021-05-31 2021-10-2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가스화기 ??쳐 배출수에 함유된 미세입자 여과장치
CN115531956A (zh) * 2022-10-24 2022-12-30 信和(天津)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复式垃圾过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900B1 (ko) 2011-02-10 2013-01-17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용융아연도금강판용 냉각수의 이물질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900B1 (ko) 2011-02-10 2013-01-17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용융아연도금강판용 냉각수의 이물질 여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261A (ko) * 2020-01-06 2021-07-14 (주)스텝이엔지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KR102317351B1 (ko) 2021-05-31 2021-10-2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가스화기 ??쳐 배출수에 함유된 미세입자 여과장치
CN115531956A (zh) * 2022-10-24 2022-12-30 信和(天津)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复式垃圾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0500B (fi) Ennaltamäärättyä suurikokoisemman hienojakoisen aineen poistoon tarkoitettu vedenselkeytyslaitteisto
US5401396A (en) Self-cleaning stationary basket strainer
KR20190088859A (ko)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FI86378B (fi) Slammfilter.
US7537689B2 (en) Tertiary filter
US60902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 material in a filter apparatus utilizing a suction generating assembly
KR20070116591A (ko) 3차 필터
US9422738B2 (en) Filter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arrangement
EP0519408B1 (en) Granular media regeneration apparatus and process
KR20130063563A (ko) 자동 여과 장치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US20090026152A1 (en) Modular filter and vacuum head assembly for a filtering apparatus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KR20010065255A (ko) 폐수처리여과기의 여과재 표면세척장치
US20030183570A1 (en) Filter medium washing method and filter
KR102380488B1 (ko)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KR100927042B1 (ko) 세척수 유도기능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연속 여과장치
JP2998552B2 (ja) 回転ドラム型固液分離装置
KR200348744Y1 (ko)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WO2017173161A1 (en) Rotating belt filter automated self-cleaning assembly
JP3550123B2 (ja) 濾過装置
EP1101518B1 (en) Rotating drum filter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using said filter
JP2002018497A (ja) 汚泥濾過濃縮装置
KR100443586B1 (ko)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JP2000070615A (ja) 濾材の洗浄装置および濾過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