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488B1 -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488B1
KR102380488B1 KR1020200001484A KR20200001484A KR102380488B1 KR 102380488 B1 KR102380488 B1 KR 102380488B1 KR 1020200001484 A KR1020200001484 A KR 1020200001484A KR 20200001484 A KR20200001484 A KR 20200001484A KR 102380488 B1 KR102380488 B1 KR 10238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unit
suppor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8261A (ko
Inventor
문병원
Original Assignee
(주)스텝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텝이엔지 filed Critical (주)스텝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01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4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1Driving means, shaft packing system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는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유입관이 마련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를 분할하는 제 1,2분할지지격벽과, 상기 제1,2분할지지격벽의 사이에 처리조에 설치되는 회전지지롤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양측에 제1,2회전지지부가 형성된 드럼형의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필터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를 외측방향으로 통과시켜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드럼형필터유닛, 상기 제1분할지지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지지부에 밀착되는 제1실링유닛과, 상기 제 2분할지지격벽에 설치되어 제 2회전지지부에 밀착되는 제 2실링유닛과,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필터프레임의 중공부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필터부재를 세척함과 아울러 필터부재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필터세척유닛과, 상기 드럼형필터유닛을 정, 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equipment of rotatable filtering type}
본 발명은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처리대상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드럼형필터유닛를 회전시키면서 연속으로 여과할 수 있으며, 드럼형필터유닛의 필터부재 폐색 시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여과식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용도의 물, 즉 용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수는 필요에 따라 여과처리하여 재 이용하고 있다.
산업용수로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공정에서 냉각수를 이용하고 있다. 이때 냉각수는 통상 순수를 재활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도금강판에서 떨어진 미세한 아연분말 등과 같은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냉각수가 순환하면서 열교환기 등과 설비의 내부에 축적되어 잦은 고장을 유발함은 물론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냉각수 중의 이물질이 용융아연도금강판에 재 부착되어 표면결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과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막히게 되어 용융아연도금강판을 균일한 온도로 냉각시킬 수 없으므로 제품불량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이 포함된 냉각수가 고압으로 분사될 경우,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표면이 변형 또는 손상되어 생산품질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3900호에는 용융아연도금강판용 냉각수의 이물질 여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여과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함체 형상으로 일측 상부 면에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측하부 면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중간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쪽으로 분리하기 위한 격벽이 마련되고 타측 상부 면에는 냉각수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탱크와; 상기 유입공의 위치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표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여과필터와; 상기 탱크의 일측 면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냉각수 방향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종래의 여과장치에 설치된 여과필터는 카트리지 구조의 백필터(bag filter)로 이루어져 있어서, 단순히 냉각수를 통과시키면서 필터로 이물질을 여과할 뿐 필터의 역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여과필터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여과장치의 운용이 번거롭고, 그만큼 냉각수의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3900호: 용융아연도금강판용 냉각수의 이물질 여과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처리대상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드럼형필터유닛을 회전시키면서 연속으로 처리대상수를 여과함과 동시에 드럼필터유닛의 필터부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과벨트, 드럼형필터유닛의 역세척으로 인하여 여과벨트, 드럼형필터유닛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처리대상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유도배출 할 수 있으므로 여과필터의 막힘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교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설치공간에 따른 제약을 줄일 수 있고,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한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여과식 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는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유입관이 마련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를 분할하는 제 1,2분할지지격벽과, 상기 제1,2분할지지격벽의 사이에 처리조에 설치되는 회전지지롤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양측에 제1,2회전지지부가 형성된 드럼형의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를 외측방향으로 통과시켜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드럼형필터유닛,
상기 제1분할지지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지지부에 밀착되는 제1실링유닛과, 상기 제 2분할지지격벽에 설치되어 제 2회전지지부에 밀착되는 제 2실링유닛과,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필터프레임의 중공부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필터부재를 세척함과 아울러 필터부재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필터세척유닛과,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상기 제 1,2분할지지격벽에 의해 제 1,2,3챔버로 분할되고, 상기 제 3챔버는 처리조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부와 배출공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분할지지격벽에 제 1챔버로 유입되는 처리 대상수가 드럼형필터유닛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처리대상수유입부가 상기 드럼형필터유닛의 제 1회전지지부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세척유닛은 상기 드럼형필터유닛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처리조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슈트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슈트와 대응되는 측에는 상기 필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고압의 세척수를 필터부재에 분사하는 분사노즐들이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처리조에 지지되며 세척수공급관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는 처리대상수를 연속적으로 필터링하면서 드럼형필터유닛의 필터부재를 세척할 수 있으므로 처리대상수의 처리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필터부재를 교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운용이 간편하며, 장치의 중단없이 계속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필터의 양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처리대상수의 유입량 증가로 드럼형필터유닛의 필터부재에 가하여지는 과부하로 인하여 필터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제1실링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제2실링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10)는 처리대상수(100)가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유입관(21)이 마련된 처리조(20)와, 처리조(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부가 제1,2분할지지격벽(22)(23)과 처리조(20)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지지롤러(37)(38)들에 의해 지지된 드럼형필터유닛(30)과, 상기 처리조(20)에 설치되어 드럼형필터유닛(30)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부(40)와, 상기 드럼형필터유닛(30)에 의해 처리대상수(100)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드럼형필터유닛(30)을 세척하기 위한 필터세척유닛(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분할지지격벽(22)에는 드럼형회전필터유닛(30)의 일측에 설치된 제1회전지지부(31)에 밀착되는 제1실링유닛(60)이 설치되고, 상기 제 2분할지지격벽(23)에는 제 2회전지지부(32)에 밀착되는 제 2실링유닛(70)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10)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10)의 처리조(20)는 상부가 개방된 것으로, 내부공간에 제1,2분할지지격벽(22)(23)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처리조(20)의 내부공간은 제1,2분할지지격벽(22)(23)에 의해 분할되어 처리대상수(100)가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유입관(21)과 연결되는 제1챔버(25)와 후술하는 드럼형필터유닛(30)가 설치되는 제2챔버(26)와, 드럼형필터유닛(30)로부터 오버플러우 처리대상수(100)가 넘치는 제 3챔버(27)로 분할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3챔버(25)(27)는 제 2챔버(26)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 1,2챔버(25)(26)를 구획하는 제1분할지지격벽(22)에는 상기 제1챔버(25)로 유입된 처리대상수가 드럼형필터유닛(30)의 중공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형필터유닛(30)의 중공부 직경과 대응되는 처리대상수유입부(22a)가 형성된다. 처리대상수유입부(22a)는 격벽의 높이가 높지 않은 경우(드럼형필터유닛의 반경 높이)에는 반원형으로 인입형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조(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 2분할지지격벽(23)은 드럼형필터유닛(30)의 제 2회전지지부(32)와 밀착되는 제 2실링유닛(7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처리 용량을 감안하여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제2분할지지격벽(23)의 높이는 드럼형필터유닛(20)의 회전중심에 해당하는 높이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드럼형필터유닛(30)의 설계용량에 따라 제 2분할지지격벽(23)의 높이는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분할지지격벽(23)은 제 1분할지지격벽과 같이 원호형의 처리대상수유입부가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조(20)의 하부측에는 상기 제 2챔버(26)와 연통되며 드럼형필터유닛(30)을 통과하여 정화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부(28)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28)는 상기 제 2분할지지격벽(23)을 넘쳐 제 3챔버(27)로 유입된 처리수가 배출부(28)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 3챔버(27)와 배출공(29)에 의해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 2챔버를 이루는 처리조(30)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드럼형필터유닛(3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 1,2회전지지부(31)(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전지지롤러(37)(38)들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제1,2회전지지부(31)(32)의 지지는 회전지지롤러(37)(38)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실링유닛(60)은 드럼형필터유닛(30)의 제 1회전지지부(31)의 원호상의 궤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궤적을 가지는 것으로, 처리대상수유입부(22a)의 상면을 따라 형성된 제 1실링부재지지부(61a)와, 상기 제 1실링부재지지부(61a)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즉, 제 1분할지지격벽(22)의 전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2실링부재지지부(61b)를 포함하는 제1실베이스부재(61)를 구비한다. 상기 제1실링부재지지부(61a)와 상기 제1분할지지격벽(22)의 처리대상수유입부(22a)의 사이에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제1회전지지부(31)과 밀착되어 제 1챔버(25) 내의 처리수가 상기 제 2챔버(26)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실링부재(6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실링부재(62)는 상기 제 1회전지지부(35)와 마찰이 크지 않은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분할지지격벽(22)에는 상기 제1실베이스부재(61)를 드럼형필터유닛(30)의 제 1회전지지부(31)의 표면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가압유닛(65)이 설치된다. 상기 제1가압유닛(65)은 상기 제 2실링부재지지부(61b)를 관통하여 제1분할지지격벽(22)에 나사결합되는 제1고정부재(66)가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66)의 단부에는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노브가 설치되고, 제1노브와 제2실링부재지지부(61b)의 사이의 제1고정부재(66)에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 4도에는 제1가압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가압유닛(120)은 상기 제 2실링부재지지부(61b)와 대응되는 처리조(20)에 지지관(121)들이 배열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관(121)은 상기 처리조(20)를 관통하여 설치되거나 처리조(20)에 형성된 관통공과 그 중공부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121)에는 상기 제 2실링부재지지부(61a)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스프링(123)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121)에 삽입된 탄성스프링(123)을 상기 제2실링부재지지부(61b)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122)가 지지관(121) 또는 처리조(20)에 형성된 관통공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가압부재(122)의 헤드부와 처리조(20)의 외주면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실링유닛(70)은 상기 제 1실링유닛(6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 2실링유닛(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형필터유닛(30)의 제 2회전지지부(32)와 밀착되는 제2실링부재(72)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실링부재(72)를 지지하는 제2실베이스부재(71)가 구비되고, 제 2분할지지격벽(23)에는 상기 제 2실베이스부재(71)를 가압하여 상기 제 2실링부재(72)를 제 2회전지지부(32)로 가압하기 위한 제 2가압유닛(75)이 설치된다. 상기 제 2가압유닛(75)은 상기 제 1가압유닛(6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제 2실베이스부재(71)의 상단부는 상기 제 2분할지지격벽(23)의 높이와 나란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2실베이스부재(71) 또는 제 2분할지지격벽(23)에는 상기 제 2분할지지격벽(23) 또는 제2실베이스부재(71)를 넘치는 처리대상수를 검출할 수 있는 처리대상수 검출센서(8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드럼형필터유닛(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 제1회전지지부(31)가 형성된 원통형의 제 1필터프레임(36)와, 상기 일측단부에 제 2회전지지부(32)가 설치되는 제 2필터프레임(37)과, 상기 제 1,2필터프레임(36)(37)의 타측단부를 연결하여 원통형을 이루는 제 3필터프레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3필터프레임은 타공판으로 이루어지거나 매쉬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2필터프레임(36)(37)의 타측단부를 연결하는 금속바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필터프레임의 외주면과 제 1,2필터프레임(36)(37)의 타측단부들을 감싸도록 필터부재(35)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재(35)는 매쉬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 및 분리를 위하여 대응되는 단부에는 지퍼(35a))가 설치된다. 이는 필터프레임의 장착 시 필터부재(35)의 양단부를 지퍼(35a)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필터프레임과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필터부재(35)의 양단부는 제 1,2필터프레임(36)(37)에 밴드에 의해 고정 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처리대상수로부터 필터링하고자 하는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필터프레임(36)(37)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는 제 1,2회전지지부(31)(32)의 반경방향으로의 폭은 제1,2실링부재와의 실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2회전지지부(31)(32)의 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처리조(20)의 내부공간 즉, 제 2챔버(26)의 내부에서 드럼형필터유닛(30)을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2필터프레임(36)(37)에 각각 제1,2링기어(41)(4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20)의 상부측에 구동축(4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구동축(43)에는 상기 제 1,2링기어(41)(42)와 각각 치합되는 제1,2구동기어(44)(45)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43)은 처리조(2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6)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46)는 감속기를 구비한 기어드 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세척유닛(50)은 드럼형필터유닛(30)가 회전하면서 처리 대상수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동안 필터부재(35)를 연속적으로 역세척 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럼형필터유닛(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처리조(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슈트(51)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슈트(51)는 찬넬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슈트(51)와 대응되는 측에는 상기 필터부재(35)를 사이에 두고 고압의 세척수를 필터부재에 분사하는 분사노즐(55)들이 설치된다. 상기 분사노즐(55)들은 상기 필터부재(35)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처리조(20)에 지지되며 세척수공급관(56)에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56)에는 필터부재(35)에 부착되는 이물질의 분리를 위하여 스크래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세척유닛(50)은 고압의 공기를 필터부재(35)에 분사하여 필터부재(35)를 역세척할 수 있는 공압분사유닛(90)을 더 구비한다. 상기 공압분사유닛(90)은 드럼형필터유닛(30)과 나란하게 처리조(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컴프레셔와 공압공급관에 의해 연결되는 공압분사관(91)과, 상기 공압분사관(91)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필터부재(35)에 세척을 위한 공압을 분사하는 공압분사노즐(92)이 구비된다.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필터세척유닛(50)은 상기 분사노즐(55)과 대응되는 측의 필터부재(35)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처리조(20)에는 보조세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척부는 상기 필터부재(35)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조세척수공급관과, 상기 보조세척수공급관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보조분사노즐들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세척부는 필터부재의 내부측에서 이의 외측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필터부재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과 보조세척수공급관은 고압의 세척펌프와 공급관에 의해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여과식 수처리장치(10)은 처리조(20)의 처리대상수유입관(21)을 통하여 처리대상수가 상기 처리조(20)의 제 1챔 버(25)의 내부로 유입됨과 아울러 구동부의 구동모터(46)에 의해 상기 드럼형필터유닛(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처리조(20)의 내부로 유입된 처리대상수는 처리조(20)의 제1,2챔버(25)(26) 내의 수두 차이에 의해 제1분할지지격벽(22)에 형성된 처리대상수유입부(22a)를 통하여 드럼형필터유닛(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드럼형필터유닛(30)의 내부로 유입된 처리대상수는 드럼형필터유닛(30)의 필터부재(35)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고, 필터링 된 처리수는 제 2챔버(26)의 하부에 마련된 배출부(28)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 대상수의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형필터유닛(30)의 필터부재(35)는 필터세척유닛(50)에 의해 지속적으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드럼형필터유닛(30)의 회전으로 처리대상수의 필터링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필터세척유닛(50)의 세척수공급관(56)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분사노즐(55)들을 통하여 필터부재(35)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처리대상수가 필터부재의 내면측으로부터 외면측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부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역세척하게 된다.
특히, 필터세척유닛(50)의 공압분사유닛(90)은 고압의 공기를 상기 필터부재(35)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분사할 수 있으므로 필터부재(35)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55)로부터 고압으로 필터부재(35)에 분사되어 이물질이 편승된 세척수는 드럼형필터유닛(30)의 내측에 설치되는 배출슈트(51)를 통하여 처리조(2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필터부재(35)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다시 필터부재(35)에 부착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드럼형필터유닛(30)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실링유닛(70)은 제 2분할지지격벽(23)에 의해 지지되고, 제 2분할지지격벽(23)과 제 2실베이스부재(71)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드럼형필터유닛(30)에 의해 처리대상수가 필터링 되지 못한 경우, 제 2분할지지격벽(23)을 넘쳐, 제 3챔버(27)로 유입됨으로써 처리대상수가 처리조(20)를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에 처리대상수 검출센서(80)은 넘치는 처리대상수를 감지하게 되고, 운영자는 이 처리대상수 검출센서(80)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필터부재(35)가 막힌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는 처리조(20)가 제1,2분할지지격벽(22)(23)에 의해 제 1,2,3챔버(25)(26)(27)로 분리되고, 제 2챔버에 드럼형필터유닛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처리 대상수의 처리 시 필터막힘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재의 세척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처리대상수의 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필터부재(35)에 처리대상수의 상대적인 큰 수압이 필터부재(35)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필터부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처리대상수가 유입되는 처리대상수유입관이 마련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를 분할하는 제 1,2분할지지격벽과, 상기 제1,2분할지지격벽의 사이에 처리조에 설치되는 회전지지롤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양측에 제1,2회전지지부가 형성된 드럼형의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를 외측방향으로 통과시켜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드럼형필터유닛,
    상기 제1분할지지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지지부에 밀착되는 제1실링유닛과, 상기 제 2분할지지격벽에 설치되어 제 2회전지지부에 밀착되는 제 2실링유닛과,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필터프레임의 중공부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부재를 세척함과 아울러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필터세척유닛과,
    상기 드럼형필터유닛을 정, 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여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상기 제 1,2분할지지격벽에 의해 제 1,2,3챔버로 분할되고, 상기 제 3챔버는 처리조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부와 배출공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지지격벽에 제 1챔버로 유입되는 처리 대상수가 드럼형필터유닛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처리대상수유입부가 상기 드럼형필터유닛의 제 1회전지지부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세척유닛은 상기 드럼형필터유닛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처리조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슈트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슈트와 대응되는 측에는 상기 필터부재를 사이에 두고 고압의 세척수를 필터부재에 분사하는 분사노즐들이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처리조에 지지되며 세척수공급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의 대응되는 단부에는 필터프레임과 결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분할지지격벽에는 이를 넘치는 처리대상수를 검출하기 위한 처리대상수 검출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세척유닛은 고압의 공기를 필터부재(35)에 분사하여 필터부재를 역세척할 수 있는 공압분사유닛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KR1020200001484A 2020-01-06 2020-01-06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KR10238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484A KR102380488B1 (ko) 2020-01-06 2020-01-06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484A KR102380488B1 (ko) 2020-01-06 2020-01-06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261A KR20210088261A (ko) 2021-07-14
KR102380488B1 true KR102380488B1 (ko) 2022-03-31

Family

ID=7686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484A KR102380488B1 (ko) 2020-01-06 2020-01-06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2706A (zh) * 2022-02-24 2022-05-10 盐城市华阜服饰玩具有限公司 一种毛绒玩具生产废水去毛过滤装置
CN115228180B (zh) * 2022-06-28 2023-03-28 山东信科环化有限责任公司 一种氯化钡结晶的高效分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51B1 (ko) 2006-05-23 2007-02-01 효동개발 주식회사 폐수 재활용을 위한 드럼 스크린
KR101009439B1 (ko) 2010-09-13 2011-01-19 윤미자 드럼 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3689B2 (ja) * 1995-06-14 2003-10-06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液体処理装置
KR101223900B1 (ko) 2011-02-10 2013-01-17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용융아연도금강판용 냉각수의 이물질 여과장치
KR20190088859A (ko) * 2018-01-19 2019-07-29 (주)스텝이엔지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51B1 (ko) 2006-05-23 2007-02-01 효동개발 주식회사 폐수 재활용을 위한 드럼 스크린
KR101009439B1 (ko) 2010-09-13 2011-01-19 윤미자 드럼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261A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6117B2 (en) Self cleaning, continuously operating filter apparatus for fluids
KR102380488B1 (ko)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CA2078746C (en) A filtration system
AU2020231174B2 (en) Rotary disc filter having backwash guides
US58766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 material in a filter apparatus
EP3519074B1 (en) Frame-type disc filter with bypass water control for preventing bypass water from being used in backwashing
KR100538306B1 (ko) 자동세정 필터시스템
FI90500B (fi) Ennaltamäärättyä suurikokoisemman hienojakoisen aineen poistoon tarkoitettu vedenselkeytyslaitteisto
KR20100051068A (ko) 디스크 필터용 배기 장치
KR20100051067A (ko) 디스크 필터용 폐물 관용 필터 지지대
EP2771292B1 (en) Water filter
US1259139A (en) Rotary suction-filter.
KR100828314B1 (ko) 이물질 여과장치
KR100637537B1 (ko) 가동중 역세정이 가능한 필터장치
KR20190088859A (ko) 역세척이 가능한 회전 여과식 수처리장치
JP2998552B2 (ja) 回転ドラム型固液分離装置
US4612117A (en) Liquid filter
KR100927042B1 (ko) 세척수 유도기능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연속 여과장치
JP6974802B2 (ja) ベンチュリスクラバー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0127417Y1 (ko) 액상형태 물질의 연속 여과장치
KR200370318Y1 (ko) 자동세정 필터시스템
EP1401555B1 (en) Filter with sequential swinging precoat removal and renewal system.
SU1111868A1 (ru) Ситчат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епрерывной очистки полимерных расплавов
JP3060821B2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分離方法
WO2023041996A1 (en) Filtering device for molten polymeric materials with counterflow clea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