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586B1 -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586B1
KR100443586B1 KR1020030071544A KR20030071544A KR100443586B1 KR 100443586 B1 KR100443586 B1 KR 100443586B1 KR 1020030071544 A KR1020030071544 A KR 1020030071544A KR 20030071544 A KR20030071544 A KR 20030071544A KR 100443586 B1 KR100443586 B1 KR 10044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frame
filter
water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수로부터 이물질를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으며, 프레임에 필터를 용이하게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는 일측 단부가 막힌 원통형 통체 형상으로 폐쇄단부에는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중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통수공이 형성된 회전드럼과 ;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면접되는 원형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설치된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하부프레임을 연결, 지지하는 중단프레임이 한 쌍을 이루는 지지프레임을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회전드럼에 형성된 통수공에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외부를 향한 면에는 하부 걸림깃이 형성되고, 중단프레임의 외부를 향한 면에는 중단 걸림깃이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과 ; 상기 프레임들의 양면에 설치되데,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되어 각 걸림깃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필터유닛 및 입수구와 출구수가 형성된 통체 형상으로 상기 각 구성 부품이 내장되고 용수의 유로 역할을 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Rotate type filte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의 이물질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수로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고, 필터를 소정의 유닛으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서 필터의 착탈이 용이하여 보수 유지가 뿐만 아니라 청소가 용이한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 및 식생활이 개선됨과 더불어 날로 물의 오염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산업폐수 또는 생활하수 등의 오폐수의 양이 날로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오폐수를 비롯한 음용수, 산업용 원수 등의 물에는 낙엽이나 실, 종이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전처리 과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각종 용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필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필터에는 그 형상에 따라 원통형, 격판형 및 회전형의 디스크 필터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필터들 중 디스크 필터는 다층으로 구성된 회전원판 사이에 필터유닛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필터와 필터 사이를 용수가 통과하여 용수중의 이물질이 걸러지게 하고 있으며, 필터유닛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유닛을 회전 원판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나 그 설치구조가 복잡하여 필터유닛을 회전원판으로 분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를 소정의 유닛으로 분리하고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바깥쪽에서 필터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필터유닛의 착탈이 용이하여 보수 유지가 뿐만 아니라 청소가 용이한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에 설치된 디스크 필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의 회전드럼과 필터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의 필터 프레임과 필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의 필터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회전 드럼 11 : 통수공 12 : 롤러 안치부
12a : 롤링홈 13 : 입수구 14 : 회전축
20 : 프레임 21 : 하부프레임 22 : 중단프레임
23 : 상부프레임 24 : 하부걸림깃 25 : 중단걸림깃
26 : 연결프레임 23a : 힌지축
30 : 필터유닛 31 : 망체고정대 32 : 망체
33 : 필터프레임
40 : 필터고정덮개 41 : 클램프
50 : 프레임 고정편 51 : 고정볼트
60 : 세척수배출판 70 : 드럼지지롤러 80 : 패킹
90 : 하우징 100 : 분사노즐 110 : 세척수관
200 : 구동모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수 처리 시스템의 여과 장치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막힌 원통형 통체 형상으로 폐쇄단부에는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중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회전드럼과 ;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면접되는 원형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설치된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하부프레임을 연결, 지지하는 중단프레임이 한 쌍을 이루는 지지프레임을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회전드럼에 형성된 통수공에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외부를 향한 면에는 하부 걸림깃이 형성되고, 중단프레임의 외부를 향한 면에는 중단 걸림깃이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과 ; 상기 프레임들의 양면에 설치되데,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되어 각 걸림깃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필터유닛 및 입수구와 출구수가 형성된 통체 형상으로 상기 각 구성 부품이 내장되고 용수의 유로 역할을 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에 설치된 디스크 필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의 회전드럼과 필터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의 필터 프레임과 필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의 필터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는 구동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드럼(10)과, 상기 회전드럼(10)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프레임(20) 및 상기 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필터유닛(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전드럼(10)은 일측 단부가 막힌 원통형 통체 형상으로 폐쇄 단부에는 회전축(14)이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14)이 소정의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구동모터(20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드럼(10)의 개방된 단부에는 드럼지지롤러(70)가 안치되는 롤링홈(12a)이 형성된 롤러 안치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드럼(10)의 일측 단부는 회전축(14)에 고정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고, 타측 단부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드럼지지롤러(7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롤러 안치부(12)에 형성된 롤링홈(12a)이 상기 드럼지지롤러(70)가 안치되어 회전드럼(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10)의 내면에 롤링홈(12a)을 형성하여 드럼지지롤러(70)가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이때 드럼지지롤러(70)의 회전드럼(10)의 상부를 향한 내면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회전중심의 수직 상방으로부터 양측으로 빗겨난 부분에 각각 2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롤링홈은 회전드럼의 외부에 형성하고 드럼지지롤러를 설치할 경우에는 드럼지지롤러를 회전드럼(10)의 아래 외면에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회전드럼(10)은 하우징(9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우징(90)의 상부를 향한 일측 벽은 개방되고 이 개방된 부분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90)의 입수구(91)의 내측 단부벽에는 패킹(80)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패킹(80)은 하우징(90)의 입수구(91)를 통해 입수된 용수가 회전드럼(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회전드럼(10)의 외부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일측면이 회전드럼(10)의 개방 단부에 면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드럼(10)의 측벽에는 다수의 통수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수공(11)은 하우징(90)의 입수구(91)를 통해 들어온 용수가 통과하여 필터유닛(30)측으로 흘러가는 구멍으로 프레임(20)의 중앙에 위치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회전드럼(10)의 외주면에 인접한 호형상의 하부프레임(21)과, 상기 하부프레임(21)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부프레임(23)과 상기 상, 하부프레임(21, 23)을 연결하는 중단프레임(22)이 하나의 쌍을 이루는 지지프레임을 연결프레임(26)으로 연결하여 지지프레임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를 3 또는 4등분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하부프레임(21)들 사이의 공간이 회전드럼(10)에 형성된 통수공(11)에 대향되게 한 후 프레임고정편(50)과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회전드럼(1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외부를 향한 면에는 "L"자형상으로 굽혀진 하부걸림깃(24)이 설치되어 있고, 중단프레임(22)에도 중단 걸림깃(25)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각 걸림깃(24, 25)에 필터유닛(30)이 걸려 고정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6)에는 힌지축(2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23a)에는 필터고정덮개(4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고정덮개(40)는 필터유닛(30)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그 단부에 클램프(41)가 설치되어 있어 연결프레임(26)에 걸려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클램프(41)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서 연결프레임(26)에 형성된 나사구멍(미도시)에 조여짐에 의해 필터고정덮개(40)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프레임(20)에 형성된 각 걸림깃(24, 25)에 의해 고정되는 필터유닛(30)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10)의 바깥쪽으로부터 회전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각 걸림깃(24, 25)에 걸리게 되고 바깥쪽을 향한 단부는 상기한 필터고정덮개(40)를 덮고 클램프(41)를 조여 고정시킴에 의해 필터유닛(30)이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30)은 사다리꼴의 판체 형상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체고정대(31), 망체(32) 및 필터프레임(3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33)은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상기 망체고정대(31)가 압입되는 턱이 형성되어 있어 망체고정대(31)가 압입되며, 망체고정대(31)와 필터프레임(33)사이에 망체(32)가 삽입되어 망체(32)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프레임(33)은 합성수지나 고무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함으로서 프레임(20)과의 대향되는 면에 패킹 효과를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망체고정대(31)가 필터프레임(3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나사를 조여 고정시키며, 금속 등 견고한 재질로 제작함으로서 망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양측에 필터유닛(30)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필터유닛(30)사이가 유로를 이루게 된다.
상기 필터유닛(30)이 설치된 프레임(20)들 사이에는 다수의 분사노즐(1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100)은 세척수공급관(110)에 의해 세척수를 공급받아 필터유닛(30)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필터유닛(30)에 쌓인 이물질을 분라한다.
즉, 분사노즐(100)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필터유닛(3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필터유닛(30)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필터유닛(30)으로부터 분리되게 하며, 상기 필터유닛(30)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다시 필터유닛(30)사이의 유로로 낙하하거나 세척수배출판(60)의 상부면으로 떨어져 수거된다.
상기 세척수배출판(6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1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방을 향해 홈이 형성되어 세척수와 이물질이 수거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용수는 하우징(90)의 입수구(91)로부터 입수되어 출수구(92)로 배출되며, 유로는 하우징의 입수구(91) - 회전드럼(10) - 통수공(11) - 필터유닛(30) - 하우징(10) - 출수구(92)로 형성된다.
즉, 입수구(91)로 입수된 용수는 바로 회전드럼(10)의 내부로 유입되고 회전드럼(10)의 측벽에 형성된 통수공(11)을 통과하여 필터유닛(30)들 사이로 들어간다.
필터유닛(30) 사이로 유입된 용수는 필터유닛(30)의 망체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걸러지고 하우징(90)의 하부로 배출되어 출수구(92)로 배출된다.
상기의 과정 동안 회전드럼(10)은 구동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필터유닛(30)이 회전드럼(10)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이때 하우징(90)의 입수구(91)로 입수되는 용수의 양은 수면이 높이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10)의 중단까지 채워지는 정도이므로 회전드럼(1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필터유닛(30)은 수중에 잠겨있으나 회전드럼(10)의 위쪽에 위치하는 필터유닛(30)은 공기 중에 있게 되며, 분사노즐(1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드럼(10)의 위쪽에 위치하는 필터유닛(30)에 쌓인 이물질이 필터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세척수배출판(60)으로 낙하하여 수거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세척수는 지속적으로 분사할 필요가 없고 필터유닛(30)에 이물질이 지나치게 많이 끼어 필터의 역할을 할 수 없을 때만 분사하며, 이러한 시간은 용수의 상태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조절은 마이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유닛(30)에 지나치게 많은 이물질이 끼이거나 필터유닛(30)을 구성하는망체(32)가 손상되었을 때에는 필터고정덮개(40)의 일측에 설치된 클램프(41)를 풀고 필터고정덮개(40)을 개방한 후 필터유닛(30)을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하고 다른 필터유닛(30)을 삽입하고 필터고정덮개(40)를 덮고 클램프(41)를 조여 필터유닛(30)을 교체할 수 있다.
물론 이때 하우징(90)의 상부를 향한 측방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한 후 측방에서 필터유닛 교체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필터유닛(30)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는 필터를 소정의 유닛으로 분리하고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바깥쪽에서 필터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필터유닛의 착탈이 용이하여 보수 유지가 뿐만 아니라 청소가 용이하며, 필터 유닛도 필터 역할을 하는 망체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게 함으로서 불필요한 자재이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로 다양하게 변형,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수 처리 시스템의 여과 장치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막힌 원통형 통체 형상으로 폐쇄단부에는 회전축(14)이 설치되어 있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중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통수공(11)이 형성된 회전드럼(10)과 ;
    상기 회전드럼(10)의 외주면에 면접되는 원형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21)과 상기 하부프레임(21)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설치된 상부프레임(23) 및 상기 상,하부프레임(21, 23)을 연결, 지지하는 중단프레임(22)이 한 쌍을 이루는 지지프레임을 연결프레임(26)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1)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회전드럼(10)에 형성된 통수공(11)에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외부를 향한 면에는 하부 걸림깃(24)이 형성되고, 상기 중단프레임(22)의 외부를 향한 면에는 중단 걸림깃(25)이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20)와 ;
    상기 프레임(20)들의 양면에 설치되데,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되어 각 걸림깃(24, 25)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필터유닛(30) 및 ;
    입수구(91)와 출구수(92)가 형성된 통체 형상으로 상기 각 구성 부품이 내장되고 용수의 유로 역할을 하는 하우징(9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연결프레임(26)에는 힌지축(23a)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23a)에는 프레임(20)에 삽입된 상기 필터유닛(30)의 외부를 향한 단부를 지지하여 필터유닛(30)이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고정덮개(40)가 더 설치되며, 상기 필터고정덮개(40)의 일측 단부에는 일측 단부에 고정용 클램프(4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10)의 개방된 단부에는 드럼지지롤러(70)가 안치되는 롤링홈(12a)이 형성된 롤러 안치부(12)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90)에는 상기 롤러 안치부(12)에 삽입되어 회전드럼(10)의 일측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드럼지지롤러(7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들 사이에는 세척수 공급관(110)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필터유닛(30)을 향해 분사함으로서 필터유닛(30)의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필터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분사노즐(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드럼(10)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유닛(30)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세척수를 수거하는 세척수배출판(6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90)의 입수구(91) 내측 단부 벽에는 패킹(80)이 더 설치되며, 상기 패킹(80)은 회전드럼(10)의 개방된 단부에 형성된 롤러안치부(12)의 롤링홈(12a)의 바깥쪽을 향한 내면에 면접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90)은 상부를 향한 일측이 개구되고 이 개구된 부분에 도어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30)은 사다리꼴의 고리형상을 갖는 필터프레임(33)과, 미세한 통수공을 갖는 망체(32) 및 상기 필터프레임(30)의 내부에 압입되어 상기 망체(32)를 필터프레임(33)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망체고정대(3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33)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구성되고, 상기 망체고정대(31)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32)는 금속 또는 폴리에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32)는 여과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KR1020030071544A 2003-10-14 2003-10-14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KR10044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544A KR100443586B1 (ko) 2003-10-14 2003-10-14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544A KR100443586B1 (ko) 2003-10-14 2003-10-14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581U Division KR200348744Y1 (ko) 2004-02-12 2004-02-12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3586B1 true KR100443586B1 (ko) 2004-08-09

Family

ID=3735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544A KR100443586B1 (ko) 2003-10-14 2003-10-14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5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480B1 (ko) * 2015-09-04 2016-02-22 주식회사 세신이엔지 여과판의 스크래핑이 가능한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480B1 (ko) * 2015-09-04 2016-02-22 주식회사 세신이엔지 여과판의 스크래핑이 가능한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7210B2 (en) High flow disc filter
US9339745B2 (en) Trash tolerant filter support for a disc filter
US9023208B2 (en) Disc filter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200348744Y1 (ko)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KR100443586B1 (ko)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US3349916A (en) Self-cleaning rotary strainer
KR100271193B1 (ko) 슬러지 정화장치(sludge purification apparatus)
JPH0422806Y2 (ko)
KR20020060030A (ko) 폐수 및 산업용수여과기.
KR19980068773U (ko) 슬러지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