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773U - 슬러지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773U
KR19980068773U KR2019980017300U KR19980017300U KR19980068773U KR 19980068773 U KR19980068773 U KR 19980068773U KR 2019980017300 U KR2019980017300 U KR 2019980017300U KR 19980017300 U KR19980017300 U KR 19980017300U KR 19980068773 U KR19980068773 U KR 199800687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ewage
receiver
purifica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목
Original Assignee
김종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목 filed Critical 김종목
Priority to KR2019980017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773U/ko
Publication of KR19980068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773U/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러지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오수의 수압으로 정화드럼을 회전시킬 때 수압에 의하여 날개편에 붙이혀 튀어오른 오수의 일부가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받이로 인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수가 비정화 상태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되는 슬러지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드레인 공이 형성된 슬러지 정화장치에 관한 인바, 본 고안인 슬러지 정화장치는 슬러지받이 측면부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호로 형성되되 상부면보다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지지틀의 내측에 설치된 다수의 날개편에는 플랜지를 연결설치하여 슬러지받이의 측면의 끝부분이 플랜지에 형성된 개구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슬러지배출공이 구비된 고정축에는 슬러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공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슬러지 정화장치
본 고안은 슬러지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오수의 수압으로 정화드럼을 회전시킬 때 수압에 의하여 비산되는 오수의 일부가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받이로 인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수가 비정화 상태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러지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드레인 공이 형성된 슬러지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 정화장치는 정수처리장에서 녹조류를 비롯한 미세한 고형물질을 걸러내는데 처음 이용하던 방법으로 현재는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양어장과 같이 끊임없이 슬러지가 발생되는 곳의 처리시설의 선단부에 위치시켜 대부분의 고형물질을 걸러내는 장치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러지 장치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된 입수구(110)를 통하여 오수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오수는 원통형의 정화드럼(120) 외주연과 곡율이 같게 형성되면서 정화드럼의 중심과 같거나 높게 즉, 반구형상을 형성하면서 정화드럼(120)의 회전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틈새(200)로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된 격벽(300)에 의하여 입수된 오수가 정화드럼(120)의 일측 개구부(140)를 통하여 정화드럼 내측으로 오수가 흘러 들어간다.
이때, 모터(500)는 제1스프로켓(510)에 체인(520)으로 연결된 제2스프로켓(530)을 구동시켜 이 제2스프로켓이 설치된 회전축(600)을 회전시키므로써, 베어링에 축지된 정화드럼(12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한편, 회전하는 정화드럼의 여과망에는 내측에 인입된 오수의 슬러지가 부착되어 여과되고 이 슬러지는 회전하는 정화드럼에 걸려진 상태로 같이 회전하게 되어 정화드럼(120)의 외측상부에 설치된 세척장치(700)의 노즐압력에 의하여 분리되고, 분리 세척된 슬러지는 정화드럼(12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슬러지받이(800)로 떨어지게 되어 연결관을 통해 고정축(900)의 슬러지배출공(910)으로 이송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는 정화드럼을 통과하여 배출구(150)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동력장치를 이용하는 슬러지 정화장치는 유입되는 오수중에 정화드럼(120)과 격벽(300)과의 틈새(200) 사이로 비정화된 오수의 일부가 흘러 들어가 슬러지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정화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장치가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비싸고 구조가 복잡하여 장치의 설치작업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20453호를 제안한바, 이는 고정축의 일측에서 중심방향으로 내측을 관통하는 오수유입공을 통하여 오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오수유입부재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정화드럼의 내측으로부터 공급되게 하고, 이 공급되는 오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정화드럼을 회전시켜 슬러지를 정화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슬러지 정화장치는 공급되는 오수의 수압으로 정화드럼을 회전시킬 때 날개편에 붙이쳐 비산되는 오수의 일부가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받이로 인입되어 배출됨으로 인하여 정화되지 않이한 오수가 누출되므로 일정량의 오수를 순환시키는 상태에서 오수가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과 슬러지받이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가 수평으로 설치된 관체내를 통과하므로 슬러지배출공에서 부하가 걸려 슬러지의 배출을 억제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이의 목적은 공급되는 오수의 수압으로 정화드럼을 회전시킬 때 수압에 의하여 비산되는 오수의 일부가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받이로 인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슬러지받이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가 수평으로 설치된 관체내를 용이하게 통과하게하여 슬러지받이로부터 슬러지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슬러지 정화장치에 있어서, 슬러지받이 측면부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호로 형성되되 상부면보다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지지틀의 내측에 설치된 다수의 날개편에는 플랜지를 고정 설치하여 슬러지받이의 측면의 끝부분이 플랜지에 형성된 개구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슬러지배출공이 구비된 고정축에는 슬러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공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슬러지 정화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슬러지 정화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슬러지 정화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슬러지 정화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러지 정화장치 2 : 하우징
3 : 세척장치 4 : 고정축
5 : 정화드럼 6 : 슬러지받이
41 : 슬러지배출공 44 : 드레인공
60 : 측판 70 : 플랜지
71 : 개구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인 슬러지 정화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슬러지 정화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써, 이에 의하면 본 고안인 슬러지 정화장치(1)는 오수배출구(21)를 일측에 형성하며 슬러지배출공(42)이 형성된 고정축(4)이 설치되는 축받이 홈을 양측에 대향되도록 구비하고 내측으로는 공간부(23)를 갖는 하우징(2)의 소정부위에 세척액을 강제이송시키는 펌프(32)에 축받이홈을 관통하여 수직되게 절곡형성 되면서 덮게(10) 또한 관통하는 세척파이프(31)로 이루어진 세척장치(3)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파이프(3)에는 다수의 노즐(33)이 설치되어 분사하는 세척수의 수압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고정축(4)에는 슬러지받이(6)가 연결부재(61)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되, 상기 슬러지받이(6)는 측면부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호로 형성된 측판(60)이 전후부의 전·후면판(60a)의 상부 끝단보다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지지틀(52)의 내측에 설치된 다수의 날개편(53)에는 플랜지(70)를 연결 설치하여 분출되는 오수가 날개편(53)에 붙딪혀 비산될 때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60)의 끝부분이 플랜지(70)에 형성된 개구부(71)보다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고정축(4)은 연결부재(61)이 연통하여 중심부에서부터 일측으로 관통된 슬러지배출공(42)과 연결되며 타측 끝부위에는 오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오수유입공(41)을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수유입공(41)과 직각되게 연통되어 토출되는 끝부분은 수압을 높이기 위하여 노즐이 설치되어 날개편(53) 방향으로 절곡되어 오수를 토출하도록하는 오수유입부재(43)가 설치되고 고정축(4)에 축설된 정화드럼(5)은 입자가고운 슬러지를 여과할 수 있도록 여과망(5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여과망(51)을 지지하는 지지틀(52)의 내측으로부터 수직되게 돌출되어 고정된 날개편(53)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슬러지배출공(42)이 구비된 고정축(4)에는 슬러지받이(6)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드레인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인 슬러지 정화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유입공(41)를 통해 오수가 공급되면 이와 연통되게 설치된 오수유입부재(43)의 노즐에 의하여 수압이 상승되어 오수가 토출된다.
토출되는 오수는 날개편(53)에 붙딪히게 되고 수압을 받게된 날개편(53)은 밀리면서 회동되어 새로운 날개편(53)이 그 위치에 자리하게 되지만 이 역시 수압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강한 수압에 의하여 측방으로 비산되는 오수는 슬러지받이(6)쪽으로 향하게 되고 이는 1차적으로 플랜지(70)에 의하여 방지되며 2차적으로 측판(60)의 끝부분이 플랜지(70)에 형성된 개구부(71)의 상부에 설치되어 날개편(53)을 수압으로 회전시키는 오수가 인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하여 오수가 재사용이 되도록 한다.
상기 날개편(53)을 회전시킨 오수는 하우징(2)의 공간부(22)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오수가 공급되는 것을 자세히 살펴보면 정화드럼(5) 내측에서 공급 즉, 오수유입부재(43)에 의하여 오수가 토출되는 관계로 오수는 여과망(51)을 통과하여서 슬러지는 여과망(51)의 내측에서 걸러지고 오수는 하우징(2)의 공간부(22)에 충입되면서 깨끗한 물은 토출구에 의하여 토출된다.
한편, 상기 여과망(51)에 의하여 걸려진 슬러지는 회전하는 정화드럼(5)에 의하여 같이 회전되다가 상부에 이르면 세척장치(3)의 펌프(31)에 의하여 강압 이송되어온 세척수가 노즐(33)이 다수 설치된 세척파이프(32)에 의하여 세척되어 슬러지받이(6)로 떨어지면 슬러지는 연결부재(61)를 통하여 고정축(4)의 슬러지배출공(42)으로 떨어지져 외부로 배출되는데 배수의 양이 많거나 적은 양의 슬러지가 슬러지배출공(42)에 배수되지 못한채로 남아 있을 때 배수되는 세척액이 용이하게 배수됨과 동시에 슬러지받이(6)으로 역류되는 것이 드레인공(44)에 의하여 방지되며, 슬러지가 정화된 오수는 슬러지가 정화되지 않고 유입되는 오수와 섞이지 않기 때문에 완전히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만 배출공(21)에 의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작동하는 본 고안인 슬러지 정화장치는 공급되는 오수의 수압으로 정화드럼을 회전시킬 때 수압에 의하여 비산되는 오수의 일부가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받이로 인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일정량의 순환하는 오수가 누수되어 그 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슬러지받이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가 수평으로 설치된 관체내를 용이하게 통과하게하여 슬러지받이로부터 슬러지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오수배출구를 일측에 형성하며 축받이홈이 양측에 구비되고 내측으로는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는 세척수의 수압을 높이는 펌프가 설치되며 이 펌프로부터 이송된 세척수를 토출하는 세척장치와, 외측 중앙부에는 슬러지받이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중심부에서부터 관통된 슬러지배출공과 연결되되 타측은 오수를 유입하는 오수유입공이 형성된 오수유입부재와 직각으로 연통되게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는 입자가 고운 슬러지까지 여과할 수 있도록된 여과망을 지지하는 지지틀의 내측으로부터 수직되게 돌출되는 날개편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정화드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러지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받이(6) 측면부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호로 형성되되 상부면보다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지지틀(52)의 내측에 설치된 다수의 날개편(53)에는 플랜지(70)를 고정 설치하여 슬러지받이(6) 측면의 끝부분이 플랜지(70)에 형성된 개구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슬러지배출공(42)이 구비된 고정축(4)에는 슬러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공(44)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슬러지 정화장치.
KR2019980017300U 1998-09-11 1998-09-11 슬러지 정화장치 KR199800687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300U KR19980068773U (ko) 1998-09-11 1998-09-11 슬러지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300U KR19980068773U (ko) 1998-09-11 1998-09-11 슬러지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773U true KR19980068773U (ko) 1998-12-05

Family

ID=6951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300U KR19980068773U (ko) 1998-09-11 1998-09-11 슬러지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77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6213A (en) Embedded spin-clean cartridge-type water filters
KR101009439B1 (ko) 드럼 스크린
KR100992828B1 (ko) 여과필터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FI90500C (fi) Ennaltamäärättyä suurikokoisemman hienojakoisen aineen poistoon tarkoitettu vedenselkeytyslaitteisto
EA008724B1 (ru) Узел барабанного фильтра
KR200162956Y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200406003Y1 (ko)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CN108558022B (zh) 流化床污水处理装置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0271193B1 (ko) 슬러지 정화장치(sludge purification apparatus)
KR19980068773U (ko) 슬러지 정화장치
CN212881353U (zh) 过滤滚筒、转鼓过滤器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JP4274467B2 (ja) 濾過装置
KR200348744Y1 (ko)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JPH1033912A (ja) 濾過方法、および濾過装置
KR200367385Y1 (ko) 스크린 드럼을 구비한 협잡물 제거장치
KR20040005486A (ko) 슬러지 제거장치
KR100284954B1 (ko) 폐수여과장치
CN220317440U (zh) 一种具有防渗水结构的污水净化槽
KR100443586B1 (ko)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KR100571186B1 (ko) 부유물 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