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954B1 - 폐수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954B1
KR100284954B1 KR1019980049331A KR19980049331A KR100284954B1 KR 100284954 B1 KR100284954 B1 KR 100284954B1 KR 1019980049331 A KR1019980049331 A KR 1019980049331A KR 19980049331 A KR19980049331 A KR 19980049331A KR 100284954 B1 KR100284954 B1 KR 10028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filtration device
water
filter
wastewat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2771A (ko
Inventor
이창춘
최재목
Original Assignee
이창춘
최재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춘, 최재목 filed Critical 이창춘
Priority to KR101998004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95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2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는 각 가정이나 상가에서 발생하는 각종 생활 폐수들을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로 펌핑하여 순차적으로 여과시켜서 화장실 변기 등에 각종 허드렛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수돗물을 재사용 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파급효과와 수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1)는 각종 주택이나 아파트, 건물의 옥상에 폐수여과장치(1)를 설치하고, 해당 건물의 벽면이나 욕조의 관로, 세면대의 관로, 싱크대의 관로 등에 순환펌프조립체(5)를 설치하여서 상기한 폐수여과장치(1)와 관로 연결시키며, 상기한 폐수여과장치(1)의 배출구(20)와 화장실의 변기 또는 허드렛물을 사용할 수 있는 관로와 연결시키되;
상기한 폐수여과장치(1)는 순환펌프조립체(5)의 순환펌프(6)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생활하수 등의 폐수를 모으는 집수조(2)와, 상기한 집수조의 하단에 설치되어서 집수된 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기(4)와, 상기한 여과기로부터 여과된 물을 모아서 안정화시키는 정수조(3)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폐수여과장치
본 발명은 폐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생활하수로 사용된 수돗물을 여과시켜서 화장실의 변기 등에 허드렛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형태의 폐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고도화, 산업화되면서 국민들의 소득수준이 향상되어 각 가정이나 일반 요식업소에서 많은 량의 수돗물을 사용하고 있다.
화장실에서 목욕이나 샤워 후 발생하는 폐수나, 세면 후 발생하는 폐수, 또는 설거지 할 때 사용하는 다량의 생활하수들은 한 번 사용하면 곧바로 하수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게 되므로 하천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위와 같이 사용되는 각종 생활하수는 한 번 사용하고 버리기에는 아까울 정도이므로 이를 다시 집수하여 여과시켜서 허드레 물로 재활용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수돗물의 사용량을 줄이는 등 가장 경제적이지만 각 가정이나 빌딩에서 이들 생활하수를 다시 집수하여 여과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한 번 사용한 후 그냥 하수관을 통하여 방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강물을 취수하여서 다단계의 처리공정을 거쳐서 정화된 물로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취수장에서 취수되는 강물의 오염도를 줄이기 위하여 상수원 보호를 위하여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생활하수로 사용하고 버리는 수돗물을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자체적으로 여과시켜서 깨끗한 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소 예컨데, 각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변기에 사용한다거나 마당청소 또는 자동차세척, 빨래 등의 허드레 물로 재활용하는 것이 개인이나 국가적으로 보더라도 가장 경제적이고 바람직한 일이지만 이들 생활하수를 다시 집수하여 여과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가정이나 건물마다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그 실현이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는 각 가정이나 상가에서 발생하는 각종 생활하수들을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로 펌핑하여 폐수여과장치에서 순차적으로 여과시켜서 화장실의 변기 등에 사용되는 각종 허드렛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기존의 한 번 사용 후 버리는 많은 량의 수돗물을 재사용 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파급효과와 국가적으로 수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는 각종 주택이나 아파트, 건물의 옥상에 폐수여과장치를 설치하고, 해당 건물의 벽면이나 욕조의 관로, 세면대의 관로, 싱크대의 관로 등에 순환펌프조립체를 설치하여서 상기한 폐수여과장치와 관로 연결시키며, 상기한 폐수여과장치의 배출구와 화장실의 변기, 허드렛물을 사용할 수 있는 관로와 연결시키되;
상기한 폐수여과장치는 순환펌프조립체의 순환펌프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생활하수 등의 폐수를 모으는 집수조와, 상기한 집수조의 하단에 설치되어서 집수된 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기와, 상기한 여과기로부터 여과된 물을 모아서 안정화시키는 정수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도 1 의 중앙 종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절취 사시도
도 4 는 도 2 의 여과기의 종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상부케이싱의 저면사시도
도 6 은 도 4 의 제1여과망체의 사시도
도 7 은 도 4 의 제2여과망체의 사시도
도 8 은 도 4 의 제3여과망체의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폐수여과장치 2 : 집수조
3 : 정수조 4 : 여과기
5 : 순환펌프조립체 6 : 순환펌프
7 : 배출구 8 : 바닥면
9 : 개폐밸브 10 : 돌기
11 : 엘보 12 : 상부케이싱
13 : 하부케이싱 14 : 비산판
15 : 제1여과망체 16 : 제2여과망체
17 : 제3여과망체 18 : 여과구멍
19 : 돌기 20 : 배출구
21 : 바닥면 22 : 개폐밸브
23 : 보강지주 24 : 벽면
25 : 욕조 26 : 세면대
도 1 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폐수여과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중앙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도 1 의 부호 1은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를 표시하고, 부호 2는 상기한 폐수여과장치(1)에 설치되는 집수조를 표시하며, 부호 3은 상기한 폐수여과장치(1)에 설치되는 정수조를 표시하고, 부호 4는 상기한 집수조(2)와 정수조(3)의 사이에 설치되는 여과기를 표시한다.
먼저,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1)가 설치되는 각 가정이나 건물에는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매일 생활하수로 사용하고 버리는 폐수를 모아서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1)로 이송시켜 주는 도 9 와 같은 순환펌프조립체(5)를 각종 건물의 벽면이나 욕조의 부근 또는 세면기나 싱크대와 관로 연결하여서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폐수를 모아서 일정량이 되면 순환펌프(6)가 자동으로 작동하여서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1)의 집수조(2)로 펌핑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도 2 에서,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1)는 상기한 순환펌프조립체(5)의 순환펌프(6)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생활하수 등의 폐수를 모으는 집수조(2)와; 상기한 집수조(2)의 하단에 설치되어서 집수된 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기(4)와; 상기한 여과기로부터 여과된 물을 모아서 안정화시키는 정수조(3)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집수조(2)의 하단 일측에는 집수된 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구(7)를 형성하고, 상기한 집수조(2)의 바닥면(8)은 상기한 배출구(7)의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α) 만큼 경사지게 형성하여 집수조(2)에 유입된 폐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배출구(7)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한 바닥면(8)의 끝단부에는 개폐밸브(9)를 형성하여서 주기적으로 개폐밸브(9)를 열어서 집수조(2)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구(7)의 외주연에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10)들을 형성하여서 배출구(7)로 빠져나가는 폐수에 함유된 각종 머리카락이나 찌꺼기들을 잡아주도록 하였다.
도 4 는 상기한 집수조(2)의 하단에 설치되어서 집수조(2)의 배출구(7)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기(4)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여과기(4)는 전체적으로 상부케이싱(12)과, 이 상부케이싱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착탈가능한 하부케이싱(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케이싱(12)은 상기한 집수조(2)의 배출구(7)와 엘보(11)로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상부케이싱(12)의 저면에는 도 4, 5 와 같은 비산판(14)을 설치하여서 본 발명의 여과기(4)에 유입되는 폐수를 비산시켜서 폐수가 밑으로 한꺼번에 쏟아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한 하부케이싱(13)은 내주연이 전체적으로 상부는 직경이 넓고 하부는 직경이 좁은 경사각(β)이 유지되도록 상광하협으로 형성하여서 여과기(4)의 정비시 하부케이싱(13)을 거꾸로 들면 내주연의 여과망들이 쉽게 빠져 나오도록 하여서 분해조립이 아주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하부케이싱(13)은 상부 내주연에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여과망체(15)를 설치하고, 중단 내주연에는 상기한 제1여과망체(15)에서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여과망체(16)를 설치하며, 하단 내주연에는 비누나 각종 거품들을 제거하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등의 필터로된 제3여과망체(17)를 설치하여서 집수조(2)로부터 공급되는 폐수에 함유된 머리카락 등의 각종 이물질과 침전물 등을 순차적으로 여과하여서 최종적으로 여과된 정수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제1여과망체(15)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여과망체(15)의 상부면에는 외주연에 다수의 돌기(19)를 갖는 여과구멍(18)을 돌출 형성하여서 상기한 상부케이싱(12)의 비산판(14)에서 떨어지는 폐수를 1차로 여과하면서 폐수에 함유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상기한 여과구멍(18)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19)에 의하여 걸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제2여과망체(16)는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여과망체(15)에서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들을 여과시키는 것으로 합성수지 형태의 사출망체로 형성하여서 상기한 제1여과망체(15)에서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을 2차로 여과하면서 폐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다시 한번 걸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제3여과망체(17)는 폐수에 함유된 비누나 여과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거품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스펀지, 부직포 등의 필터로 형성하여서 3차로 여과하면서 최종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상기한 하부케이싱(13)의 내주연에는 하단에서부터 제3여과망체(17), 제2여과망체(16) 및 제1여과망체(15)를 순차적으로 삽입하면 하부케이싱(13)의 내주연 상광하협의 경사각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고정되는 것이고, 이들 여과망체를 정비할 때 상기한 상부케이싱(12)에서 하부케이싱(13)을 나사해체하여서 거꾸로 들면 상기한 여과망체들을 하부케이싱(13)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정비 및 조립이 아주 용이하다.
도 2 에서,
상기한 정수조(3)의 하단 일측에는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20)를 형성하고, 상기한 정수조(3)의 바닥면(21)은 상기한 배출구(20)의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α) 만큼 경사지게 형성하여서 정수조(3)에 유입된 물에 함유된 침전물이 배출구(2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한 정수조(3)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지주(23)를 설치하여서 하중에 의한 처짐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한 바닥면(21)의 끝단부에는 개폐밸브(22)를 형성하여서 정수조(3)의 내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1)는 도 9 의 설치상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면 되고, 해당 건물의 벽면(24)이나 욕조(25)의 관로, 세면대(26)의 관로, 싱크대의 관로 등에 인접하여 순환펌프조립체(5)를 설치하여서 상기한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1)와 관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1)에서 폐수를 여과시킨 후 완전히 여과된 물을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실의 변기와, 각종 허드렛물을 사용할 수 있는 세척용 호스 또는 빨래 호스와 관로 연결시키면 된다.
그러면 각 가정의 싱크대에서 설거지하거나, 욕조에서 샤워할 때, 세면할 때 발생하는 각종 폐수들이 관로 연결된 순환펌프조립체(5)에 모이게 되고, 일정수위에 이르면 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순환펌프조립체(5)에 설치된 순환펌프(6)가 작동하여서 폐수를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1)의 집수조(2)로 펌핑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1)의 집수조(2)에 모여진 폐수는 집수조(2)의 하단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7)의 돌기(10)에서 폐수에 함유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지면서 여과기(4)로 이송하게 되고,
폐수는 상기한 여과기(4)의 상부케이싱(12) 내부에 설치된 비산판(14)에 부딪치면서 여과기(4)에 유입되는 폐수를 비산시켜서 폐수가 밑으로 한꺼번에 쏟아지지 않도록 하며,
이어서 폐수는 상기한 하부케이싱(13)의 상단 제1여과망체(15)에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다시 한번 제거시키면서 이의 직하방에 설치된 제2여과망체(16)에서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을 제거하며, 마지막으로 제3여과망체(17)에서 비누나 각종 거품들을 제거하여서 최종적으로 여과된 정수를 만든다.
그리고 상기한 정수조(3)에서 정화된 물을 안정화시킨 다음 하단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20)를 통하여 여과된 물을 언제든지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실의 변기와, 각종 허드렛물을 사용하는 세척용 호스 또는 빨래 호스로 보내어서 재사용 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1)는 각 가정이나 상가에서 발생하는 각종 생활 폐수들을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로 펌핑하여 본 발명의 폐수여과장치에서 순차적으로 여과시켜서 화장실의 변기 등에 사용되는 각종 허드렛물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한 번 사용 후 버리는 많은 량의 수돗물을 재사용 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엄청날 것으로 기대되고, 아울러 국가적으로 한정된 수자원 낭비를 줄이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Claims (1)

  1. 각종 주택이나 아파트, 건물의 옥상에 폐수여과장치(1)를 설치하고;
    해당 건물의 벽면(24)이나 욕조(25)의 관로, 세면대(26)의 관로, 싱크대의 관로에 순환펌프조립체(5)를 설치하여서 상기한 폐수여과장치(1)와 관로 연결시키며; 상기한 폐수여과장치(1)의 배출구(20)를 화장실의 변기, 허드렛물을 사용할 수 있는 관로와 연결시키되;
    상기한 폐수여과장치(1)는 순환펌프조립체(5)의 순환펌프(6)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생활하수 등의 폐수를 모으는 집수조(2)와; 상기한 집수조의 하단에 설치되어서 집수된 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기(4)와; 상기한 여과기로부터 여과된 물을 모아서 안정화시키는 정수조(3)로 구성하고;
    상기한 집수조(2)의 하단 일측에는 집수된 폐수를 배출하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돌기(10)를 갖는 배출구(7)를 형성하고, 상기한 집수조(2)의 바닥면(8)은 상기한 배출구(7)의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α) 만큼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한 바닥면(8)의 끝단부에는 개폐밸브(9)를 형성하고;
    상기한 여과기(4)는 상부케이싱(12)과, 이 상부케이싱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착탈가능한 하부케이싱(13)으로 구성하되, 상기한 상부케이싱(12)의 저면에는 비산판(14)을 설치하고, 상기한 하부케이싱(13)의 내주연은 전체적으로 상부는 직경이 넓고 하부는 직경이 좁은 경사각(β)이 유지되도록 형성하며,
    상기한 하부케이싱(13)은 상부 내주연에 제1여과망체(15)를 설치하고, 중단 내주연에는 제2여과망체(16)를 설치하며, 하단 내주연에는 스펀지나 부직포 등의 필터로된 제3여과망체(17)를 설치하고,
    상기한 정수조(3)의 하단 일측에는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20)를 형성하고, 상기한 정수조(3)의 바닥면(21)은 상기한 배출구(20)의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α) 만큼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한 정수조(3)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지주(23)를 설치하고, 상기한 바닥면(21)의 끝단부에는 개폐밸브(22)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폐수여과장치.
KR1019980049331A 1998-11-17 1998-11-17 폐수여과장치 KR100284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331A KR100284954B1 (ko) 1998-11-17 1998-11-17 폐수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331A KR100284954B1 (ko) 1998-11-17 1998-11-17 폐수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771A KR20000032771A (ko) 2000-06-15
KR100284954B1 true KR100284954B1 (ko) 2001-04-02

Family

ID=1955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331A KR100284954B1 (ko) 1998-11-17 1998-11-17 폐수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352B1 (ko) * 2000-11-09 2003-04-10 최영순 오, 폐수 정화 시스템
US7459074B1 (en) * 2007-07-27 2008-12-02 Sanchez Robert M Waste water filtering system
KR100858413B1 (ko) * 2007-10-17 2008-09-12 이상문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및 이 가구별 테라스를 이용한 정화/집수 시스템.
ES2383400B9 (es) * 2010-06-09 2014-01-31 Candelas Lopez Alarcon Conjunto depósito intermedio para equipo de reutilización de aguas residuales doméstic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771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2957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5452956A (en) Grey water recirculation system with odor prevention
CN102926439B (zh) 居民住房生活废水处理回用系统
US71445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wimming pool skimmer efficiency
JP4117342B2 (ja) 汚水浄化装置
KR100284954B1 (ko) 폐수여과장치
CN105951938A (zh) 一种居家生活用水二次利用节能系统
KR101404703B1 (ko) 분리배수를 이용한 친환경 생활하수 정화시스템
KR101096795B1 (ko) 조집기
KR200232625Y1 (ko) 급수대에 부설되는 간이세탁조
CN2723536Y (zh) 浴室排水汇流装置
KR100454416B1 (ko) 하수 재사용 정화 처리 시스템
KR200235702Y1 (ko) 화장실 변기 세척을 위한 싱크대 오수 공급 장치
KR200415793Y1 (ko) 방취포집기
KR930004979Y1 (ko) 배수전
KR200204931Y1 (ko) 배수장치
KR100400105B1 (ko) 화장실 변기 세척을 위한 싱크대 오수 공급 시스템
JP2000233193A (ja) 雨水と浴槽残り湯の再利用装置
KR100379352B1 (ko) 오, 폐수 정화 시스템
WO1997030233A1 (en) System for non-potable water reuse
KR0126380Y1 (ko) 이물질 응집기능을 갖는 배수조에 있어서 정화된 하수의 배수구조
JPS6335103Y2 (ko)
KR100531181B1 (ko) 하수와 오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KR200279805Y1 (ko) 하수 재사용 정화 처리 시스템
KR920000426Y1 (ko) 배수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