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003Y1 -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 Google Patents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003Y1
KR200406003Y1 KR2020050030823U KR20050030823U KR200406003Y1 KR 200406003 Y1 KR200406003 Y1 KR 200406003Y1 KR 2020050030823 U KR2020050030823 U KR 2020050030823U KR 20050030823 U KR20050030823 U KR 20050030823U KR 200406003 Y1 KR200406003 Y1 KR 200406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drum
drum screen
dischar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송휴
강문신
정동환
Original Assignee
대한통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통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통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0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003Y1/ko
Priority to CNB2006101523543A priority patent/CN100475305C/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드럼 스크린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은 물론 상기의 각 구조들을 볼트 결합함에 따라 상기 드럼 스크린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할 뿐만 아니라 드럼 스크린에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보다 원활하게 걸러냄은 물론 상기 이물질에 의한 드럼 스크린의 폐색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복수개의 지지바(11)가 결합된 프레임(10)과, 원수를 담음은 물론 각 반응조로 배출하는 드럼 스크린 외관부(20)와, 원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드럼 스크린부(30)와, 드럼 스크린부의 내부로 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 유입부(40)와, 드럼 스크린부를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부(50)와, 드럼 스크린부로 원수를 분사하는 노즐부(60)와, 원수를 노즐부로 보냄과 함께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 내로 원수를 바이패스시키는 원수 펌핑부(70)와, 원수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함과 함께 노즐부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배출처리하는 슬러지배출부(90)로 구성된 것이다.
드럼 스크린, 드럼 스크린부, 드럼 회전부, 노즐부, 원수 펌핑부

Description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STRUCTURE OF DRUM SCREEN FOR DIPPING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도 1은 본 고안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림 스크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드럼 스크린을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드럼 스크린의 일부를 정면에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드럼 스크린을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드럼 스크린에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드럼 스크린의 구조에서 드럼 스크린부가 결합된 상태의 드럼 스크린 외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드럼 스크린 외관부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8은 드럼 스크린 외관부의 호퍼 내부 구조를 일부 절취한 절취 사시도.
도 9는 호퍼 내부의 구조를 단면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드럼 스크린부의 구조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드럼 스크린부를 정면에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는 드럼 스크린부를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원수 유입부의 원수 토출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드럼 회전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원수펌핑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드럼 스크린부의 일부와 드럼 유동방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프레임에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8은 슬러지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슬러지배출부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1: 지지바
20: 드럼 스크린 외관부 21: 호퍼
22: 커버 23: 원수 배출부
25: 약품처리탱크 26: 개폐밸브
30: 드럼 스크린부 31: 드럼부
32: 그물망 33: 결합부재
40: 원수 유입부 41: 원수 유입관
42: 원수 토출부 50: 드럼 회전부
51: 회전바퀴 52: 바퀴고정부
53: 구동모터 54: 체인풀리
55: 체인 56: 체인 커플링
60: 노즐부 61: 노즐구멍
62: 회동부재 63: 볼트부재
70: 원수 펌핑부 71: 펌핑모터
72: 원수 흡배출부 73: 유입라인
74: 유로라인 75: 바이패스라인
80: 드럼유동방지부재 90: 슬러지배출부
91: 상부슬러지배출부 92: 하부슬러지배출부
100: 드럼 스크린
본 고안은 하수와 오폐수를 처리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드럼 스크린의 구조가 단순하면서 제작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은 생물학적공정이나 물리적 공정으로 하수와 오폐수에 포함된 용존 오염물질과 미생물 및 부유물질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여과 처리함에 따라 상기 하수와 오폐수를 깨끗하게 정화하는 시스템이다.
상기의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에는 유입되는 각종 생활오수 및 산업 폐수와 축산 폐수 그리고 고농도 유기성 폐수 즉, 하수와 오폐수인 원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질 및 고형물질, 협잡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도록 하는 여과 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여과 스크린에는 SIEVE 스크린, WEDGE(쇄기) WIRE로만 이루어진 드럼 스크린, MESH망을 사용하는 드럼 스크린 등이 있으며, 상기 여과 스크린은 사용 목적이나 장소 및 효과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상기 여과 스크린은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각 반응조에서 하수와 오폐수인 원수를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로 보다 용이하게 정화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질 및 고형물질, 협잡물 등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즉, 유입된 원수는 여과 스크린을 통과하면서 상기 여과 스크린의 메쉬망에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림과 동시에 상기 메쉬망의 공극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원수만 통과하여 상기 각 반응조로 보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여과 스크린은 장기간 사용할 경우 여과 스크린의 메쉬망에 걸리는 이물질의 양이 많이 짐에 따라 상기 메쉬망의 공극이 막히는 폐색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여과 스크린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 메쉬망을 자꾸 교체 및 청소해주어야 함에 따라 상기 메쉬망의 청소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메쉬망의 청소 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을 정지시켜야 하는 등 전체적인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여과 스크린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상기 여과 스크린의 제작 작업에 따른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여과 스크린의 구성들이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 완료된 여과 스크린을 운반이 불편함은 물론 상 기 여과 스크린의 설치가 어려워 상기 여과스크린의 설치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드럼 스크린의 구조를 변경함과 함께 상기 각 구조들을 볼트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드럼 스크린의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상기 드럼 스크린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드럼 스크린에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보다 원활하게 걸러냄은 물론 상기 이물질에 의한 드럼 스크린의 폐색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복수개의 지지바가 볼트 체결되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원수를 담음은 물론 상기의 원수를 각 반응조로 배출하도록 하는 드럼 스크린 외관부와, 상기 스크린 외관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드럼 스크린부와, 상기 드럼 스크린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부의 내부로 원수를 유입시키도록 하는 원수 유입부와, 상기 드럼 스크린부의 외측인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부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드럼 회전부와,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 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부로 원수를 분사하는 노즐부와,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의 외측인 상기 프레임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드럼 스 크린 외관부 내의 원수를 노즐부로 보냄과 함께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 내로 원수를 바이패스시키도록 하는 원수 펌핑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드럼 스크린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함과 함께 노즐부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배출처리하도록 하는 슬러지배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여과 스크린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림 스크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드럼 스크린을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드럼 스크린의 일부를 정면에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드럼 스크린을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드럼 스크린에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드럼 스크린의 구조에서 드럼 스크린부가 결합된 상태의 드럼 스크린 외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드럼 스크린 외관부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드럼 스크린 외관부의 호퍼 내부 구조를 일부 절취한 절취 사시도이고, 도 9는 호퍼 내부의 구조를 단면에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드럼 스크린부의 구조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드럼 스크린부를 정면에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드럼 스크린부를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3은 원수 유입부의 원수 토출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드럼 회전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원수펌핑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드럼 스크린부의 일부와 드럼 유동방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프레임에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8은 슬러지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슬러지배출부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하수와 오·폐수(원수)를 깨끗한 처리수로 정화 처리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구성 중 상기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드럼 스크린(1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10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과, 드럼 스크린 외관부(20)와, 드럼 스크린부(30)와, 원수 유입부(40)와, 드럼 회전부(50)와, 노즐부(60)와, 원수 펌핑부(70)와, 드럼 유동방지부재(80)와, 슬러지배출부(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프레임(10)은 도 5에서와 같이, 각종 장치가 안착 및 지지 고정하는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은‘ㄱ’자형의 앵글이나 내부가 빈 사각형 파이프 등 작업 목적이나 효과 및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각종 장치 즉, 후술할 드럼 스크린의 회전 및 모터의 구동 시 발생되는 진동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상기 프레임(10)의 면 상에는 각종 장치를 상기 프레임(10)에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지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는 상기 각 지지공(10a)과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바(11)가 결합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11)에는 후술할 각종 장치를 볼트 체결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지지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진 원수가 담겨짐은 물론 상기 이물질이 걸러진 원수를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각 반응조로 배출하도록 하는 드럼 스크린 외관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20)는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얹혀짐에 따라 지지 고정됨은 물론 상기 드럼 스크린(100)으로 유입되어 이물질이 걸러져 제거된 원수가 담겨지는 호퍼(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퍼(21)의 상부에는 후술할 드럼 스크린부의 드럼부의 상부를 감싸도록 하는 커버(22)가 삽입 결합되어 있다.
상기 호퍼(21)의 외주면 중앙부에는 상기의 호퍼(21)가 프레임(10)에 얹혀져 지지 고정되도록 돌출고정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즉, 호퍼(21)가 위치하는 측에는 드럼 스크린 외관부 즉, 호퍼(21)가 얹혀진 프레임(10)에서 상기 호퍼(2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호퍼(21)의 각 모서리와 접촉되는 복수개의 스토퍼(12)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20)의 호퍼(21)에는 상기 호퍼(21) 내의 이물질이 걸러진 원수를 상기 호퍼(21) 즉, 드럼 스크린(100)에서 각 반응조로 배출하도록 하는 원수 배출부(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원수 배출부(23)는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호퍼(21)의 내부 바닥면에 상기 호퍼(21) 내의 원수를 드럼 스크린 외관부(20) 즉, 호퍼(2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원통형의 배출관(231)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배출관(231)의 상부면에는 상기 호퍼(21) 내의 원수가 배출관(231)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관(231)의 상부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높이조절부재(23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재(232)에는 상기 드럼 스크린부(20)를 통과한 원수가 배출관(231) 내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드럼 스크린부(20)를 통과하면서 걸러지지 않은 극히 미세한 이물질이 포함된 원수가 배출관(231)을 통해 각 반응조로 보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원판(233)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호퍼(21)의 외면 저면부에는 상기 배출관(231)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231)을 통해 호퍼(21)의 외부로 배출되는 원수를 각 반응조로 보내도록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관(23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231)과 배출유로관(234)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플랜지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에 볼트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배출관(231)과 배출유로관(234)의 결합 및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부재(232)의 상부측에는 상기의 원판(233)이 너트에 의해 높이조절부재(232)에서 분리 및 체결 가능하도록 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22)의 상부 및 양측에는 상기 커버(22)의 내부 상태 및 후술할 드럼 스크린부의 드럼부에 이물질에 의한 폐색현상 등을 확인하도록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22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도어(221)에는 외부에서 내부 상태 등을 보다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및 투명한 합성수지를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호퍼(21)와 커버(22)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호퍼(21)와 커버(22)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20)의 외부로 원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 외관부(20) 즉, 호퍼(21)와 커버(22) 사이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드럼 스크린부(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부(30)는 도 7과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드럼부(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럼부(31)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는 무수히 많은 메쉬로 이루어진 그물망(32)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부(31)는 양측 외주면에 후술할 복수개의 회전바퀴와 접촉되어 상기 각 회전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드럼부(31)가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원통부(31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원통부(311) 사이 즉, 드럼부(31)의 중앙부에는 무수히 많은 슬롯(3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원통부(311)의 외주면에는 회전되는 드럼 스크린부(30) 즉, 드럼부(31)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드럼부(31)의 무게중심 및 회전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복수개의 날개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드럼부(31)의 내측에는 상기 드럼부(31)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그물망(32)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하는 결합부재(33)가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그물망(32)은 드럼부(31) 내로 삽입 설치할 때 동그랗게 말은 상태로 삽입하게 되며, 상기 삽입된 그물망(32)의 양단은 자유단 상태이면서 상기 그물망(32)의 자체 성질에 의해 펼쳐지려고 한다.
그래서, 상기 그물망(32)의 자유단 상태인 양단은 결합부재(33)를 이용하여 고정하는데, 상기 그물망(32)의 양단은 그물망(32)에서 직교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양단을 맞대놓은 상태로 결합부재(33)의 내측으로 삽입함에 따라 상기 그물망(32)의 양단은 결합부재(33)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그물망(32)은 펼쳐지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의 결합부재(33)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그물망(32)의 양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양측부가 절곡된 길이가 긴 상태의 결합본체(3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본체(331)의 일단에는 상기 드럼부(31)의 내측 안 쪽 위치에 결합되는 일정경사로 경사진 경사부(3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본체(331)의 타단에는 상기 드럼부(31)에 내측 바깥 쪽 위치에 결합되는 볼트공(333a)을 갖는 볼트체결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부(31)의 내측 안쪽에는 결합부재(33)의 경사부(332)가 삽입되는 고리(3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314)에는 삽입된 결합부재(33)의 경사부(332)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볼트(315)가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드럼부(31)의 내측 바깥쪽에는 결합부재(33)의 볼트체결부(333)의 볼트공(333a)과 일치되어 볼트 체결되는 체결공(33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부재(33)는 그물망(32)의 양단을 고정함과 함께 상기 결합부재(33)의 양단 즉, 경사부(332)와 볼트체결부(333)는 고리(314), 고정볼트(315) 및 체결공(331a)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33)의 외면에는 상기 드럼부(31) 내로 유입된 원수를 상기 드럼부(31) 내에 골고루 분산시켜 상기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드럼부(31)의 그물망(32)에 보다 용이하게 걸러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분산날개(3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분산날개(334)의 드럼부(31)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부(31)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상기 각 분산날개(334)는 원수를 보다 용이하게 골고루 분산시킴과 함께 상기 그물망(32)의 내측에 걸려진 고형물질 및 협잡물과 같은 이물질을 슬러지배출부(90)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이물질을 드럼스크린부(3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결합부재(33)의 결합본체(331)에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부(31) 내로 그물망(312)의 삽입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드럼부(31)의 내측에는 상기 드럼부(31) 내로 말아진 상태로 삽입되는 그물망(32)의 양단과 접촉되어 상기 그물망(31)의 삽입 위치를 잡아주는 위치고정봉(316)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그물망(32)의 양단이 삽입되는 결합부재(33)의 결합본체(331) 내측에는 상기 그물망(32)의 양단과 접촉됨은 물론 상기 위치고정봉(316)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위치고정부재(33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부(30) 즉, 드럼부(31)에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 기 위하여 상기 드럼부(31) 내로 외부의 원수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원수 유입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원수 유입부(40)는 도 10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드럼부(31) 내로 외부에서 보내지는 원수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유입되는 원수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원수 유입관(4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수 유입관(41)의 일단 즉, 드럼부(31) 내에 위치하여 상기 원수 유입관(41) 내를 흐르는 원수를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 내로 토출하도록 하는 원수 토출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원수 토출부(42)는 도 10과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원수 유입관(41) 내를 흐르면서 드럼부(31) 내로 토출되는 원수를 담아서 모을 수 있도록 저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토출본체(4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본체(421)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원수 유입관(41)에서 토출본체(421)로 토출되는 원수를 상기 토출본체(421)에서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 내로 골고루 분사하도록 함과 함께 유입 원수가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좌우대칭 형태로 복수개의 토출날개(4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본체(421)의 상부 양측부에는 토출날개(422)에 의해 분산되는 원수를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 내로 토출하는 토출구(4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토출날개(422)는 도 13에서와 같이, 회전되는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 내측에 결합된 그물망(32)에 걸러진 이물질이 결합부재(33)의 각 분산날개(334)에 의해 그물망(32)의 상부측으로 운반될 때 상기 토출분체(421)의 내부 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깔(??)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토출구(423)는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복수개의 토출날개(422)의 끝단에 위치됨은 물론 상기 각 토출날개(422)에 의해 토출구(423)를 통해 토출되는 원수를 드럼부(31) 내로 골고루 분사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는 도 17에서와 같이, 원수 유입관(41)의 일측부가 하방으로 처지게 되는 처짐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원수 유입관(41)을 지지하는 사각형태의 지지부재(15)가 볼트 체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15)에는 프레임(10)의 지지공(10a)과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체결공(1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5)에는 지지되는 원수 유입관(4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원수 유입관(41)을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U볼트(16)가 체결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15)의 상부에 원수 유입관(41)의 일측부가 얹혀지도록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원수 유입관(41)을 감싸도록 U볼트(16)를 체결하고 나서 상기 U볼트(16)의 양단을 지지부재(15)의 각 체결공(15a)으로 삽입한 후 상기 U볼트(16)의 양단에 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원수 유입관(41)은 지지부재(15)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U볼트(16)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원수 유입관(41)의 저면 소정위치 즉, 지지부재(15)와 접촉되어 상기 원수 유입관(41)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볼트 체결되는 앵글부(41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앵글부(411)에는 지지부재(15)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15a) 과 각각 일치되어 볼트 체결 가능하도록 하는 앵글공(41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의 지지부재(15)가 한 개 또는 복수개를 결합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원수 유입관(41)의 길이 및 드럼 스크린(100)의 제작 목적이나 효과 또는,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지지부재(15)의 각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U볼트(16)에 의해 결합 고정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원수 유입관(41)에 형성된 앵글부(411)와의 결합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외측 즉,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 외측 위치인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드럼부(31)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드럼 회전부(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드럼 회전부(50)는 도 5와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드럼부(31)의 외면 양측부에 접촉되어 상기 드럼부(31)를 지지함은 물론 상기 드럼부(31)를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회전바퀴(51)가 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회전바퀴(51)의 양측에는 상기 각 회전바퀴(51)를 지지 고정함은 물론 상기 각 회전바퀴(51)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바퀴고정부(52)가 각각 축(51a)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회전바퀴(51)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럼부(31)를 충분히 지지함은 물론 드럼부(31)의 회전에 의한 진동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면서 상기 드럼부(31)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상기 드럼부(31)와의 마찰력이 높은 우레 탄 재질을 사용하는데, 상기 각 회전바퀴(51)의 외주면에는 상기의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우레탄 재질뿐만 아니라 MC나이론 등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각 회전바퀴(51)가 축(51a)결합된 각 바퀴고정부(52)는 프레임(10)의 지지바(11)에 볼트 체결되어 있는데, 즉 상기 각 바퀴고정부(52)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바(11)의 각 지지공(11a)과 일치되어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고정공(5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회전바퀴(51) 중 어느 하나의 회전바퀴(51) 즉, 드럼부(31)의 일측부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바퀴(51) 중 어느 하나의 회전바퀴(51)에는 상기 회전바퀴(51)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53)가 축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부(31)의 일측부에 위치함은 물론 바퀴고정부(52)의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회전바퀴(51)의 축(51a)에는 어느 하나의 회전바퀴(51)에 축결합된 구동모터(53)의 구동력에 의해 한 쌍의 회전바퀴(51)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체인(55)이 걸어지는 체인풀리(54)가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드럼부(31)의 일측부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바퀴(51)는 체인풀리(54)에 체인(55)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회전바퀴(51)는 구동모터(53)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고, 상기 드럼부(31)의 타측부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바퀴(51)는 상기 드럼부(31)의 타측부에 접촉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드럼부(31)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바퀴(51)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부(31)에 의해 회전되어진다.
상기 구동모터(53)와 바퀴고정부(52) 사이에는 상기 구동모터(53)의 축과 상 기 바퀴고정부(52)의 외측으로 돌출된 어느 하나의 회전바퀴(51) 축(51a)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53)의 구동력을 회전바퀴(51)로 전달하도록 하는 체인 커플링(5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바퀴고정부(52)의 내측에는 각 회전바퀴(51)의 축(51a)과 결합됨은 물론 상기 각 회전바퀴(51)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52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 양측에 한 쌍의 각 회전바퀴(51)를 설치함과 함께 체인풀리(54)와 체인(55) 및 체인커플링(56)이 설치되므로 인해 상기 드럼부(31)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초기 운전시 튕김 현상이 없으며 상기 회전되는 드럼부(31)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다.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20)의 커버(22) 내측 상부에는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와 그물망(32)에 걸려져 있는 이물질을 떼어내도록 상기 드럼부(31)와 그물망(32)으로 원수를 분사하는 노즐부(60)가 상기 커버(22)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60)는 도 3과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노즐부(60)의 일면 즉, 드럼부(31) 측인 노즐부(60)의 저면에는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와 그물망(32)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떼어내도록 원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60)의 양측면에는 패킹(62a)이 결합된 회동부재(62)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20)의 커버(22) 양단에는 상기 각 회 동부재(62)가 각각 삽입 결합되어 노즐부(60)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볼트부재(63)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노즐부(60)와 슬러지배출부(90) 사이에는 상기 노즐부(60)의 타측 즉, 슬러지배출부(90)가 위치하는 측에 결합된 회동부재(62)가 삽입 결합되는 볼트부재(63)와 상기 슬러지배출부(90)의 하부슬러지배출부(92)에 형성된 슬러지배출공(92a)과 연결되어 상기 노즐부(60) 내의 원수가 슬러지배출부(90)로 보내지도록 상기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노즐부토출관(6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토출관(64)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노즐부토출관(64)을 통해 노즐부(60)에서 하부슬러지배출부(92)로 보내지는 원수의 흐름을 차단 및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6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노즐부토출관(64)의 일단은 노즐부(60)의 볼트부재(63)와 연결 결합되며, 상기 노즐부토출관(64)의 타단은 슬러지배출부(90)의 하부슬러지배출부(92)에 형성된 슬러지배출공(92a)에 연결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지지바(11)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 설치됨은 물론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20)의 외측에는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20)의 호퍼(21) 내에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와 그물망(32)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담겨진 원수를 노즐부(60)로 보내어 상기 그물망(32)에 걸러진 이물질을 떼어내어 상기 그물망(32)의 폐색현상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호퍼(21) 내로 다시 보내도록 바이패스시키므로 상기 호퍼(21) 내의 처리된 원수의 일정량을 재사용하여 역세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원수 펌핑부(7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원수 펌핑부(70)는 평상 시 호퍼(21) 내 원수의 일정량을 재사용하여 역세량을 조절하도록 중저압(1~2㎏/㎠)으로 운전하다가 상기 그물망(32)의 무수히 많은 메쉬가 막히는 폐색현상이 발생되면 고압(3~4㎏/㎠)으로 그물망(32)을 세척하여 메쉬의 폐색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원수 펌핑부(70)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지지바(11) 즉, 프레임(10)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지지바(11)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펌핑모터(71)가 볼트 체결되어 있고, 상기 펌핑모터(71)의 일측에는 상기 펌핑모터(71)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호퍼(21) 내의 원수가 유입됨과 함께 상기 유입된 원수를 노즐부(60)와 호퍼(21) 내로 배출하도록 하는 원수 흡배출부(72)가 축결합되어 있다.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와 호퍼(21) 사이에는 상기 호퍼(21) 내의 원수를 원수 흡배출부(72)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라인(73)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와 노즐부(60) 사이에는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에서 노즐부(60)로 유입된 원수를 보내도록 하는 유로라인(74)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와 호퍼(21) 사이에는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에서 호퍼(21)로 다시 보내도록 바이패스시키도록 하는 바이패스라인(75)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유입라인(73)은 상기 호퍼(21)의 하부인 저면에 형성된 배수공(211a)과 일단이 연결됨과 함께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호퍼(21) 내의 원수를 원수 흡배출부(72)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원수의 유로인 유입관 (7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호퍼(21)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수공(211a)에는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배수공(211a)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유입관(731)으로 원수가 유입될 때 발생되는 소용돌이 현상을 방지하도록 T자배수관(732)이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배수공(211a)을 통해 호퍼(21)의 외부로 원수가 배출될 때 상기 배출되는 원수는 배수공(211a)을 중심으로 휘돌아가면서 상기 배수공(211a)으로 유입되는 소용돌이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공(211a)에 T자배수관(732)을 결합하여 상기 T자배수관(732)의 상부 양측을 통해 원수가 빨려 들어가도록 하므로 소용돌이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T자배수관(732)의 상부 양측을 하방으로 각각 절곡하게 되면 소용돌이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호퍼(21) 내의 원수를 보다 원활하게 원수 흡배출부(72)로 유입되어 진다.
또한, 상기 유입관(731)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호퍼(21)에서 원수 흡배출부(72)로 보내지도록 상기 유입관(731) 내의 원수 흐름을 차단 및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73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유로라인(74)은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노즐부(6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볼트부재(63)와 연결되어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에서 노즐부(60) 내로 원수를 보내도록 상기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관(74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로관(741)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에서 노즐부(60)로 보내도록 상기 유로관(741) 내를 흐르는 원수의 흐름을 차단 및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74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라인(75)은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호퍼(21)의 일면에 형성된 바이패스공(212a)과 연결되어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에서 호퍼(21) 내로 원수를 다시 보내도록 상기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75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관(751)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에서 호퍼(21) 내로 원수를 바이패스시킬 때 상기 바이패스관(751) 내를 흐르는 원수의 흐름을 차단 및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75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 일측 즉, 드럼부(31)의 일측 원통부(311) 외측에는 상기 드럼부(31)가 회전될 때 발생되는 상기 드럼부(31)의 유동을 방지 및 상기 드럼부(31)가 일정범위 내에서만 유동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드럼부(31)의 원활한 회전을 돕도록 하는 드럼 유동방지부재(8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드럼 유동방지부재(80)는 도 4와 도 5 및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지지바(11) 중 어느 하나의 지지바(11)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11)의 지지공(11a)과 볼트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공(81a)을 갖는 유동방지본체(8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본체(81)의 상부측에는 드럼부(31)의 일측 원통부(311)에 형성된 날개부(312) 중 어느 하나의 날개부(312)의 양면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드럼부(31)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유동방지볼(8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유동방지볼(82) 사이에 원통부(311)의 날개부(312)가 위치함은 물론 상기 한 쌍의 유동방지볼(82)과 날개부(312)의 양면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드럼부(31)는 유동방지볼(82)에 의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 볼트 체결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와 그물망(32)에 걸러진 이물질을 걷어내어 제거하도록 함과 함께 상기 노즐부(60)에서 배출되어 노즐부토출관(64)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슬러지농축처리조로 배출 처리하도록 하는 슬러지배출부(9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슬러지배출부(90)는 도 18과 도 19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지지공(10a)에 볼트 체결되도록 체결공(923a)을 갖는 체결부(923)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드럼부(31)의 일단 하부가 삽입되는 하부 삽입공(921)이 형성된 하부슬러지배출부(9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슬러지배출부(92)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슬러지배출부(92)에 얹혀져 결합수단에 의해 하부슬러지배출부(92)와 결합됨과 함께 상기 드럼부(31)의 일단 상부가 삽입되는 상부 삽입공(911)이 형성된 상부슬러지배출부(9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슬러지배출부(92)의 체결부(923)는 하부슬러지배출부(9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됨은 물론 상기 프레임(10)과 접촉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지지공(10a)과 상기 체결부(923)의 체결공(923a)과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슬러지배출부(91)와 하부슬러지배출부(92)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슬러지배출부(9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걸림턱(912)과, 상기 하부슬러지배출부(92)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각 걸림턱(912)에 걸림 및 해제되는 걸림고리(9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슬러지배출부(91)의 양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하부슬러지배출부(92)에서 상부슬러지배출부(91)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함은 물론 상기 상부슬러지배출부(91)를 보다 손쉽게 운반하도록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913)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20)의 커버(22) 소정위치에는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와 그물망(32)에 걸러진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떼어내거나 제거하여 폐색현상을 방지하도록 세정액과 같은 약품을 보내도록 상기 약품이 담겨진 약품처리탱크(2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약품처리탱크(25)의 배출부측에는 약품처리탱크(25)에서 호퍼(21) 내의 원수로 약품이 투입 및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26)가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약품처리탱크(25)에서 개폐밸브(26)의 개방으로 인해 배출되는 약품은 호퍼(21) 내에 모아진 원수와 혼합되고, 상기 약품이 혼합된 원수가 원수 펌핑부(70)의 유로라인(74)을 통해 노즐부(60)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노즐부(60)에서는 약품이 혼합된 원수를 드럼부(31)와 그물망(32)으로 분사하여 상기 드럼부(31)와 그물망(32)에 걸러진 이물질을 떼어냄은 물론 이물질에 의한 폐색현상을 방지한다.
상기의 약품으로는 세정력이 뛰어난 차아염소산 나트륨(NaOCl)을 사용하며, 상기의 세정액인 약품은 차아염소산 나트륨뿐만 아니라 상기 상기 드럼부(31)와 그물망(32)에 걸러진 이물질에 의한 폐색현상을 방지하도록 세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약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의 약품처리탱크(25)에는 상기 약품처리탱크(25) 내로 약품을 넣거나 하기 위하여 상부측에 뚜껑을 구비하거나 또는 투입구 및 약품을 넣을 수 있는 구조뿐만 아니라 상기 약품처리탱크(25)를 커버(22)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약품처리탱크(25)의 결합위치를 변경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 및 형태에 의해 제작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약품처리탱크(25)의 제작 목적, 효과 및 구조, 소비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호퍼(21)와 노즐부(60) 및 원수펌핑부(70), 슬러지배출부(90) 등에 각 배관이 연결될 때 상기의 각 구성과 각 배관 사이에는 상기 각 배관의 결합 및 분리 즉,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볼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으로 외부에서 유입되어 흐르는 원수는 원수 유입부(40)의 원수 유입관(41)으로 유입되어 흐르면서 원수 토출부(42)를 통해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 내로 토출된다.
즉, 상기 원수 유입관(41)에서 보내지는 원수는 원수 토출부(42)의 토출본체(421) 내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본체(421)의 토출날개(422)에 의해 토출구(423)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토출되는 원수는 드럼 스크린부(30)의 그물망(32)을 통과하면서 상기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고형물질, 협잡물 같은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 때, 상기 드럼 스크린부(30)는 드럼 회전부(50)에 의해 회전되는데, 즉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모터(5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드럼부(31)의 양측 중 어느 한 일측에 축결합된 한 쌍의 회전바퀴(51) 중 어느 하나의 회전바퀴(51)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모터(5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회전바퀴(51)는 다른 회전바퀴(51)와 체인플리(54)와 체인(55)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바퀴(51)의 회전에 의해 다른 회전바퀴(51)도 회전된다.
그러므로, 드럼부(31)의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바퀴(51)는 회전됨에 따라 상기 드럼부(31)도 회전되는데, 이 때 상기 드럼부(31)의 타측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바퀴(51)도 드럼부(31)를 따라 회전된다.
다시 말해, 상기 드럼부(31)의 양측에 각 결합된 한 쌍의 회전바퀴(51) 즉, 4개의 회전바퀴(51)가 드럼부(31)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53)의 구동력은 체인풀리(54)와 체인(55) 및 드럼부(31)에 의해 4개의 회전바퀴(51)가 회전됨과 동시에 드럼부(31)도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각 회전바퀴(51)는 프레임(10)의 지지바(11)에 볼트체결된 복수개의 바퀴고정부(52)에 베어링(521)에 축(51a)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베어링(521)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어 진다.
이와 같이, 각 회전바퀴(51)의 회전에 의해 드럼부(3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토출본체(421)의 토출날개(422)에 의하여 상기 드럼부(31) 내로 골고루 토출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그물망(32)을 통과하면서 걸러짐과 동시에 상기 이물질이 걸러져 처리된 원수는 드럼 스크린 외관부(20)의 호 퍼(21) 내에 담겨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그물망(32)을 통과함과 함께 드럼부(31)의 슬롯(313)을 통과하여 호퍼(21)에 담겨진 원수는 상기 호퍼(21)의 원수 배출부(23)를 통해 각 반응조 즉, 후속 처리공정으로 보내진다.
상기 원수 배출부(23)에는 원판(233)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원판(233)은 드럼 스크린부(30)를 통과한 원수가 바로 배출유로관(234)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배출유로관(234)은 호퍼(21)의 바닥면에서 일정높이로 위치하여 상기 호퍼(21)의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배출유로관(234)에서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그물망(32)에 걸러진 이물질은 계속해서 회전되는 드럼부(31)와 함께 상기 드럼부(31) 내에 그물망(32)을 고정결합하는 결합부재(33)의 분산날개(334)에 의해 드럼 스크린부(30)의 외부 즉, 슬러지배출부(90)로 이송된다.
즉, 상기 분산날개(334)가 결합부재(33)의 결합본체(331)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물질은 회전되는 드럼부(31)와 각 분산날개(334)에 의해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외부에 설치된 슬러지배출부(90)로 이송되어 상기 슬러지배출부(90)를 통해 슬러지농축처리조로 보내져 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 내에 그물망(32)을 설치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그물망(32)을 동그랗게 말아서 드럼부(31) 내로 밀어 넣으면 상기 그물망(32)은 자체 성질에 의해 펴지게 되어 상기 드럼부(31) 내 면과 접촉된다.
이 때, 상기 그물망(32)의 양단 사이에는 상기 드럼부(31)의 위치고정봉(316)이 위치하게 되며, 이런 상태에서 결합부재(33)를 드럼부(31) 내로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그물망(32)의 양단이 결합부재(33)의 하부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부재(335)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재(33)의 경사부(322)는 드럼부(31)의 고리(314)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재(33)의 볼트 체결부(333)에 형성된 볼트공(333a)은 드럼부(31)의 체결공(311a)과 일치되어 볼트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33)에 의해 드럼부(31) 내에 그물망(32)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의 그물망(32) 메쉬가 이물질에 의해 폐색현상이 발생되면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20)의 커버(22) 내에 설치된 노즐부(60)에서 원수가 그물망(32)으로 분사되어 상기 그물망(32)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떼어낸다.
상기 그물망(32)의 폐색현상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드럼 스크린부(30)에서 원수가 통과하는 양이나 상기 호퍼(21)에서 배출되는 원수의 양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커버(22)에 설치된 도어(221)를 열어 육안으로 그물망(32)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그물망(32)의 폐색현상이 발생되면 원수펌핑부(70)를 작동시켜 노즐부(60)에서 원수를 분사하도록 한다.
즉, 상기 그물망(32)에서 폐색현상이 발생되면, 원수펌핑부(70)의 펌핑모터(71)가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펌핑모터(71)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펌핑모터(71)의 전면에 결합된 원수 흡배출부(72)로 호퍼(21) 내의 원수가 유입됨과 함께 상기 유입된 원수가 노즐부(60)로 보내진다.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에는 유입라인(73)과 유로라인(74) 및 바이패스라인(75)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의 유입라인(73)은 상기 호퍼(21)에 형성된 배수공(211a)과 원수 흡배출부(72) 사이에 유입관(73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호퍼(21) 내에서 처리된 원수는 유입관(731)을 통해 원수 흡배출부(72)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호퍼(21) 내에는 배수공(211a)에 T형 배수관(732)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T형 배수관(732)에 의해 호퍼(21)의 원수가 원수 흡배출부(72)로 보내질 때 소용돌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유입라인(73)의 유입관(731) 소정위치에는 개폐밸브(732)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폐밸브(732)의 개폐에 따라 상기 호퍼(21)에서 원수 흡배출부(72)로 보내지는 원수의 양이 조절된다.
상기 유입된 원수는 원수 흡배출부(72)를 통해서 원수의 일부는 유로라인(74)을 통해 노즐부(60)로 보내지고, 원수의 다른 일부는 바이패스라인(75)을 통해 호퍼(21) 내로 다시 보내진다.
즉, 원수 흡배출부(72)에서 유로라인(74)의 유로관(741) 내를 흐르는 원수는 상기 노즐부(60)로 보내짐에 따라 상기 노즐부(60)에서는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와 그물망(32)으로 원수를 분사한다.
그러므로, 상기 드럼부(31)의 슬롯과 그물망(32)의 메쉬에 걸려있는 이물질은 노즐부(60)의 노즐구멍(61)을 통해 분사되는 원수에 의해 상기 드럼부(31)와 그물망(32)에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원수 흡배출부(72)에서 바이패스라인(75)의 바이패스관(751) 내를 흐 르는 원수는 상기 호퍼(21) 내로 다시 보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유로라인(74)의 유로관(741)과 상기 바이패스라인(75)의 바이패스관(751) 소정위치에는 개폐밸브(742,752)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개폐밸브(742,752)의 개폐에 따라 상기 유로라인(74)과 바이패스라인(75)으로 보내지는 원수의 양이 조절된다.
즉, 드럼 스크린부(30)의 드럼부(31)와 그물망(32)에 걸러진 이물질이 많아 폐색현상이 발생되면 상기 유로라인(74)의 개폐밸브(742)를 많이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라인(75)의 개폐밸브(752)를 적게 개방하여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에서 노즐부(60)로 많은 양의 원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드럼부(31)와 그물망(32)에 이물질이 걸린 것이 없거나 적게 걸려 있어 폐색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유로라인(74)의 개폐밸브(742)를 적게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라인(75)의 개폐밸브(752)를 많이 개방시켜 상기 원수 흡배출부(72)에서 노즐부(60)로 적은 양의 원수가 공급됨과 함께 상기 호퍼(21) 내로 다시 되돌아가는 즉, 바이패스되는 원수의 양이 많도록 한다.
이는, 상기 펌핑모터(71)의 작동에 따른 항상 원수가 호퍼(21)에서 노즐부(60)와 호퍼(21)로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개폐밸브(733,742,752)가 개방되어 있어야 상기 펌핑모터(71)의 과부하를 방지함은 물론 각 라인(73,74,75) 및 호퍼(21)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유로라인(74)의 유로관(741)을 통해 보내지는 원수는 노즐부(60)로 유입되어 흐르면서 상기 노즐부(60)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구멍(61)을 통해 드럼부 (31)로 분산된다.
상기 분사되는 원수는 회전되는 드럼부(31)의 슬롯(313)을 통과하여 상기 그물망(32)의 메쉬를 통과하면서 상기 드럼부(31)의 슬롯(313) 및 그물망(32)이 메쉬에 걸려져 있는 이물질을 떼어낸다.
상기 분사되는 원수에 의해 드럼부(31)와 그물망(32)에서 떼어져 상기 그물망(32)에 위치하는 이물질은 계속해서 회전되는 드럼부(31)와 같이 회전되면서 결합부재(33)에 의해 슬러지배출부(90) 측으로 이송된다.
즉, 상기 결합부재(33)의 결합본체(331)에는 복수개의 분산날개(33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분산날개(334)는 결합본체(331)에서 일정각도로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떼어진 이물질은 각 분산날개(334)에 의해 서서히 슬러지배출부(90)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되는 이물질은 드럼부(31)의 원통부(331)를 지나서 상기 드럼부(31)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슬러지배출부(90)로 보내지며, 상기 슬러지배출부(90)에서는 배출된 이물질을 슬러지농축조로 보내 처리한다.
여기서, 유로라인(74)이 연결된 노즐부(60)의 반대쪽에는 상기 노즐부(60)와 슬러지배출부(90)의 하부슬러지배출부(92)에 형성된 슬러지배출공(92a) 사이에는 개폐밸브(65)가 결합된 노즐부토출관(64)이 연결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폐밸브(65)를 폐쇄하면 상기 유로라인(74)에서 보내진 원수는 노즐부(60)의 각 노즐구멍(61)을 통해 분사되고, 상기 개폐밸브(65)를 개방하면 상기 노즐부(60) 내의 원수는 노즐부토출관(64)을 통해 슬러지배출부(90)로 보내진다.
한편, 상기 노즐부(6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 회동부재(62)가 커버(2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볼트부재(63)에 삽입 체결됨에 따라 상기 노즐부(60)는 회동 가능함에 따라 상기 회전되는 드럼부(31) 상측에서 이물질이 많이 걸려있는 부분으로 원수를 집중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드럼부(31)와 그물망(32)에 걸려있는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떼어냄에 따라 상기 드럼부(31)와 그물망(32)의 폐색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드럼부(31)의 양측에 형성된 원통부(311) 중 어느 하나의 원통부(311)에 형성된 날개부(312)에는 프레임(10)의 지지바(11)에 볼트 체결된 드럼유동방지부재(80)의 한 쌍의 유동방지볼(82)이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유동방지볼(82)에 의해 드럼부(31)의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드럼부(31)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각 구성들은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될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 회전부(50)에 의해 드럼 스크린부(30)가 원활하게 회전됨은 물론 상기 드럼 스크린(100)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드럼 스크린부(30)에서 보다 원활하게 제거함은 물론 상기 드럼부(31)와 그물망(32)의 폐색현상은 원수 펌핑부(70)에서 노즐부(60)로 보내지는 원수를 노즐부(60)에서 분사함에 따라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 드럼 스크린 외관부 및 드럼 스크린부, 원수 유입부, 드럼 회전부, 노즐부와 원수 펌핑부 등으로 이루어진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드럼 스크린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에 따라 상기 전체적인 드럼 스크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 스크린의 제작 및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드럼 스크린의 각 장치에 구비된 구성 및 각 구성들은 볼트 체결에 의해 분리 및 결합됨에 따라 상기 드럼 스크린을 현장으로의 운송이 보다 용이함은 물론 상기 현장에서 드럼 스크린을 조립 제작함과 더불어 설치하므로 인해 상기 드럼 스크린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드럼 스크린의 드럼 스크린부의 구성인 드럼부와 그물망에 의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보다 원활하게 걸러질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 스크린부의 드럼부와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그물망에 걸러진 이물질은 드럼 스크린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효과도 있다.
이로 인해, 드럼 스크린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즉, 그물망의 청소 및 교체 등과 같은 작업의 횟수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드럼 스크린의 노즐부에서 드럼부와 그물망으로 분사되는 원수에 의하여 상기 드럼부와 그물망에 걸려져 있는 이물질을 떼어냄에 따라 상기 드럼 스크린의 드럼부와 그물망에서 이물질에 의한 폐색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 드럼 스크린의 원수 펌핑부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져 처리된 원수를 상기의 노즐부로 원수를 지속적으로 보내 분사하도록 하여 드럼부와 그물망의 폐색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에서 분사되는 원수를 재사용함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도 있다.
그리고, 드럼부는 드럼 회전부에 의해 유동됨 없이 원활하게 회전되므로 인해 상기 드럼 스크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제품 즉,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새롭고 높아짐에 따라 상기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 향상 및 구매의욕이 고취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7)

  1. 복수개의 지지바가 볼트 체결되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원수를 담음은 물론 상기의 원수를 각 반응조로 배출하도록 하는 드럼 스크린 외관부와,
    상기 스크린 외관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드럼 스크린부와,
    상기 드럼 스크린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부의 내부로 원수를 유입시키도록 하는 원수 유입부와,
    상기 드럼 스크린부의 외측인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부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드럼 회전부와,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 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부로 원수를 분사하는 노즐부와,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의 외측인 상기 프레임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 내의 원수를 노즐부로 보냄과 함께 상기 드럼 스크린 외관부 내로 원수를 바이패스시키도록 하는 원수 펌핑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드럼 스크린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함과 함께 노즐부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배출처리하도록 하는 슬러지배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여과 스크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드럼 스크린 외관부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드럼 스크린부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원수를 담음과 함께 상기 프레임에 얹혀져 지지 고정되도록 외주면 중앙부에 돌출고정부와, 각 반응조로 원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원수 배출부가 구비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갖는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원수 배출부는, 상기 호퍼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호퍼 내의 원수를 호퍼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배출관 내로 원수가 유입되게 상기 배출관의 상부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됨은 물론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드럼 스크린부를 통과한 원수가 배출관 내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원판과,
    상기 호퍼의 외면 저면부에 상기 배출관과 연결 결합되어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각 반응조로 보내도록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드럼 스크린부는,
    양측 외주면에 복수개의 날개부가 각각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각 원통부 사이에 무수히 많은 슬롯이 형성된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 내에 삽입 설치되어 원수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그물망과,
    상기 드럼부의 내측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그물망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그물망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상기의 양단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길이가 긴 결합본체와,
    상기 결합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드럼부의 내측 일단에 형성된 고리에 삽입 고정되도록 일정경사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결합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드럼부에 볼트체결되도록 볼트공을 갖는 볼트체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결합부재의 외면에는 드럼부 내로 유입된 원수를 골고루 분산시키는 복수개의 분산날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드럼부 내로 그물망의 삽입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드럼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부 내로 삽입되는 그물망의 양단과 접촉되어 상기 그물망의 삽입 위치를 잡아주는 위치고정봉과,
    상기 그물망의 양단이 삽입되는 결합부재의 결합본체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위치고정봉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위치고정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원수 유입부는, 외부에서 원수가 유입됨과 함께 유입된 원수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하는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원수 유입관과,
    상기 원수 유입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 유입관 내를 흐르는 원수를 드럼 스크린부 내로 토출하도록 하는 원수 토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원수 토출부는, 원수 유입관에서 토출되는 원수를 모을 수 있도록 저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토출본체와,
    상기 토출본체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본체에서 드럼 스크린부 내로 토출되는 원수를 골고루 분사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토출날개와,
    상기 토출본체의 토출날개에 의해 형성되어 토출되는 원수를 드럼 스크린부 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드럼 회전부는,
    드럼부의 외면 양측부에 각각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부를 지지함은 물론 드럼부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회전바퀴와,
    상기 각 회전바퀴의 양측에 각각 축결합됨과 함께 프레임의 지지바에 볼트체결되어 상기 각 회전바퀴를 지지 고정하는 복수개의 바퀴고정부와,
    상기 각 회전바퀴 중 어느 하나의 회전바퀴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바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드럼부의 일측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회전바퀴의 축에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회전바퀴에 결합된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한 쌍의 회전바퀴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체인이 걸어지는 체인풀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바퀴고정부 사이에는 체인 커플링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12. 제 10 항에 있어서,
    바퀴고정부의 내측에는 베어링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13. 제 1 항에 있어서,
    노즐부에는, 일면에 드럼 스크린부로 원수를 분사시키도록 하는 복수개의 노즐구멍과,
    상기 노즐부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패킹이 결합된 회동부재와,
    드럼 스크린 외관부의 커버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노즐부가 회동가능하게 상기의 회동부재가 각각 삽입 결합되는 볼트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14. 제 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노즐부의 볼트부재와 슬러지배출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노즐부에서 슬러지배출부로 상기 노즐부 내의 원수를 보내도록 하는 노즐부토출관과,
    상기 노즐부토출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원수의 흐름을 차단 및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15. 제 1 항에 있어서,
    원수 펌핑부는, 프레임의 어느 하나 지지바에 볼트체결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펌핑모터와,
    상기 펌핑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호퍼 내의 원수를 유입함과 함께 상기 유입된 원수를 배출하는 원수 흡배출부와,
    상기 원수 흡배출부에 연결 설치됨과 함께 호퍼의 저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원수 흡배출부로 호퍼 내의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라인과,
    상기 원수 흡배출부에 연결 설치됨과 함께 노즐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원수 흡배출부에서 노즐부로 원수를 보내는 유로라인과,
    상기 원수 흡배출부에 연결 설치됨과 함께 호퍼의 소정위치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원수 흡배출부에서 호퍼 내로 원수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라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유입라인은, 호퍼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에 일단이 연결됨과 함께 타단이 원수 흡배출부에 연결되는 유입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17. 제 2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호퍼의 내측에 위치됨과 함께 배수공에 결합되어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원 수의 소용돌이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T자배수관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유로라인은, 원수 흡배출부에서 노즐부로 흐르는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의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유로관 내의 원수가 흐르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19. 제 15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라인은, 원수 흡배출부에서 호퍼 내로 흐르는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바이패스관 내의 원수가 흐르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2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드럼부의 일측 원통부 외측인 프레임의 어느 하나의 지지바에 볼트 체결되어 상기 드럼부가 회전될 때 발생되는 상기 드럼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드럼 유동방지 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21. 제 20 항에 있어서,
    드럼 유동방지부재는, 프레임의 지지바에 하부면이 볼트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공을 갖는 유동방지본체와,
    상기 유동방지본체의 상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드럼부의 일측 원통부에 형성된 날개부 중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접촉되어 상기 드럼부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유동방지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2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일측에 볼트 체결되어 원수 유입관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되어 상기의 원수 유입관을 고정하는 U볼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23. 제 8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원수 유입관의 저면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원수 유입관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부재에 볼트 체결되는 앵글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24. 제 1 항에 있어서,
    슬러지배출부는, 프레임에 볼트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드럼 스크린부의 일단 하부가 삽입되는 하부 삽입공이 형성된 하부슬러지배출부와,
    상기 하부슬러지배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슬러지배출부에 얹혀져 결합수단에 의해 하부슬러지배출부와 결합됨과 함께 상기 드럼 스크린부의 일단 상부가 삽입되는 상부 삽입공이 형성된 상부슬러지배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25. 제 24 항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상부슬러지배출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걸림턱과,
    하부슬러지배출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각 걸림턱에 각각 걸림과 해제되도록 하는 걸림고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26.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상부 소정위치에는 드럼 스크린 외관부의 호퍼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상기 호퍼의 각 모서리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스토퍼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2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드럼 스크린 외관부의 커버 소정위치에는 이물질에 의한 폐색현상을 방지하는 약품을 드럼 스크린부로 보내도록 상기 약품이 담겨진 약품처리탱크를 결합하고, 상기 약품처리탱크에는 드럼 스크린부로의 약품을 투입 및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가 결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KR2020050030823U 2005-10-31 2005-10-31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KR200406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823U KR200406003Y1 (ko) 2005-10-31 2005-10-31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CNB2006101523543A CN100475305C (zh) 2005-10-31 2006-09-26 浸渍式膜分离系统的转筒筛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823U KR200406003Y1 (ko) 2005-10-31 2005-10-31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003Y1 true KR200406003Y1 (ko) 2006-01-11

Family

ID=3807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823U KR200406003Y1 (ko) 2005-10-31 2005-10-31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6003Y1 (ko)
CN (1) CN100475305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2893A (zh) * 2011-12-22 2012-06-27 贵州开磷(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磷酸一铵生产的粉尘收集装置
KR101468932B1 (ko) * 2013-04-23 2014-12-04 해룡화학(주) 원유 슬러지 분리장치 및 방법
KR101552457B1 (ko) * 2015-03-18 2015-09-11 진홍국 오수 처리장치
CN106474808A (zh) * 2016-11-10 2017-03-08 东莞市深镀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废膜渣固液分离设备
KR20230062971A (ko) * 2021-11-01 2023-05-09 씨제이대한통운 (주)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추메시망이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2893A (zh) * 2011-12-22 2012-06-27 贵州开磷(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磷酸一铵生产的粉尘收集装置
KR101468932B1 (ko) * 2013-04-23 2014-12-04 해룡화학(주) 원유 슬러지 분리장치 및 방법
KR101552457B1 (ko) * 2015-03-18 2015-09-11 진홍국 오수 처리장치
CN106474808A (zh) * 2016-11-10 2017-03-08 东莞市深镀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废膜渣固液分离设备
KR20230062971A (ko) * 2021-11-01 2023-05-09 씨제이대한통운 (주)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추메시망이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KR102644074B1 (ko) * 2021-11-01 2024-03-07 씨제이대한통운 (주)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추메시망이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75305C (zh) 2009-04-08
CN1958119A (zh)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5516B2 (ja) 自己洗浄式ストレーナ
KR200417966Y1 (ko) 롤링 회전구조를 갖는 협잡물 제거용 드럼스크린
KR200406003Y1 (ko)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TW590806B (en) Filter device
EP0519408B1 (en) Granular media regeneration apparatus and process
AU2005274026B2 (en) Rotary fan press
JP2008029946A (ja) 洗浄処理システム、洗浄処理方法、遠心濾過装置及び遠心濾過方法
KR200432736Y1 (ko) 드럼 스크린 장치의 여과 스크린 구조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CN108178455B (zh) 一种污水多级处理设备
KR100583377B1 (ko) 디스크 필터의 여재에 부착된 유기물 및 무기물 등의제거를 위한 약품세척장치
KR200444922Y1 (ko) 하수처리용 드럼스크린
KR200445264Y1 (ko) 하수처리용 드럼 스크린 장치
KR101040201B1 (ko) 회전가압식 폐수 처리장치
EP1943006A1 (en) Rotary fan press
KR101985292B1 (ko)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JP4041588B2 (ja) 濾過装置
KR100485311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080092612A (ko) 하폐수 여과 장치
KR102283859B1 (ko) 하수와 슬러지 분리기
JPH1033912A (ja) 濾過方法、および濾過装置
KR200348744Y1 (ko)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KR102593245B1 (ko) 음폐수용 여과장치
KR100271193B1 (ko) 슬러지 정화장치(sludge purific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