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612A - 하폐수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하폐수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612A
KR20080092612A KR1020070036141A KR20070036141A KR20080092612A KR 20080092612 A KR20080092612 A KR 20080092612A KR 1020070036141 A KR1020070036141 A KR 1020070036141A KR 20070036141 A KR20070036141 A KR 20070036141A KR 20080092612 A KR20080092612 A KR 20080092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water tank
drum
filtered wat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6039B1 (ko
Inventor
전오성
유규선
이건재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송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송원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3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039B1/ko
Publication of KR2008009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효율이 높으면서도 협잡물에 의한 막힘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또한 넓은 부지를 요구하지 않도록 구성된 하폐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여과용 드럼을 원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여과용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원수를 상기 여과용 드럼의 외주면으로 흐르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여과용 드럼의 구멍을 통과한 여과수를 상기 여과용 드럼 내에서 상기 원수조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고 상기 여과용 드럼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한 원수 내의 협잡물을 상기 원수조의 하부에서 상기 원수조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용 드럼의 외주면에는 장모 필터가 부착될 수도 있다.
원수조, 여과용 드럼, 고형물, 부유물, 연못정화

Description

하폐수 여과 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WASTE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여과 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여과 장치의 여과용 드럼의 외주면에는 장모 필터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원수조 20 : 여과용 드럼
30 :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 40 : 협잡물 이동축
50 : 펌프 60 : 여과수조
본 발명은 하폐수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공장, 연못 등에서 발생하는 하폐수에서 고형물 또는 부유물 형태의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하수에는 모래, 자갈, 목재, 헝겊 등의 각종 협잡물이 존재하고,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에도 셀룰로오스 성분 등의 협잡물이 존재하게 된다. 가정 하수와 공장 폐수는 하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데, 가정 하수와 공장 폐 수에 이러한 협잡물이 포함되면 하폐수처리장의 정상적인 운전을 방해하고 각종 기기의 손상시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정 하수와 공장 폐수가 하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기 전에 가정 하수와 공장 폐수로부터 협잡물을 걸러내야 한다.
종래에는 가정 하수와 공장 폐수로부터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해 침전 장치나 스크린 장치를 사용하였다.
침전 장치의 경우, 중력식 침전을 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긴 체류 시간이 필요하므로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 장치의 경우, 협잡물의 부하가 높을 경우 자주 막히는 문제점이 있다. 스크린 장치에서 막힘이 자주 발생하면, 하폐수처리장의 기계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므로 하폐수처리장의 작동을 정지시켜야만 한다.
특히, 침전 장치와 스크린 장치는 모두 그 작동 원리상 본질적으로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는데, 최근의 추세가 대규모의 하폐수처리장 보다는 소규모의 하폐수처리장을 건설하므로 넓은 부지를 요구하는 것은 큰 단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율이 높으면서도 협잡물에 의한 막힘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또한 넓은 부지를 요구하지 않도록 구성된 하폐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여과용 드럼을 원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여과용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원수를 상기 여과용 드럼의 외주면으로 흐르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여과용 드럼의 구멍을 통과한 여과수를 상기 여과용 드럼 내에서 상기 원수조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고 상기 여과용 드럼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한 원수 내의 협잡물을 상기 원수조의 하부에서 상기 원수조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여과 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여과 장치가 잘 보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여과 장치는 크게 원수조(10)와 여과용 드럼(20)과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와 협잡물 이동축(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수조(10)는 원수(하폐수)를 수용하기 위한 통상적인 형태의 수조이다. 원수조(10)의 배면측의 상단에는 원수를 원수조(10) 내로 유입하기 위한 원수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과용 드럼(20)은 다수의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형 중공 원통체로서 원수조(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여과용 드럼(20)은 원수조(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원수조(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는 원수조(10)를 수밀적으로 관통하면서 원수조(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여과용 드럼(20)의 회전 축선을 따라 설치된 것으로서 여과용 드럼(20)과 용접 등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 중에서 여과용 드럼(20)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다수의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의 하류에는 펌프(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협잡물 이동축(40)은 여과용 드럼(20)의 하부에서 원수조(10)를 수밀적으로 관통하면서 원수조(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협잡물 이동축(40) 중에서 원수조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스크류(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협잡물 이동축(40)의 스크류(41)의 진행방향으로 선단 하부에는 협잡물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원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여과용 드럼(20)의 외주면으로 흐르게 되는데, 여과용 드럼(20)의 구멍(21)을 통과한 여과수는 여과용 드럼(20) 내에서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 및 펌프(50)에 의해 원수조(10)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어 진다. 즉, 여과용 드럼(20)의 구멍(21)을 통과한 여과수는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의 구멍(31)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의 구멍(31)으로 유입된 여과수는 펌프(50)에 의해 강제로 흡인되어 원수조(10)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어 진다.
여기에서,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에서 원수조(1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여과수는 여과수조(60)를 거쳐 배출될 수도 있다.
여과수조(60)는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의 일단이 관통하는 원수조(10)의 일측면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여과수조(60)는 도시의 편의상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였지만 밀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과수조(60)의 하류에는 여과수 배출구(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펌프(50)는 여과수 배출구(61)의 하류에 설치된다. 따라서,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 내의 여과수는 펌프(50)에 의해 여과수조(60)로 이동된 후 여과수 배출구(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원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어 여과용 드럼(20)의 외주면으로 흐르는 원수 중 여과용 드럼(20)의 구멍(21)을 통과하지 못한 협잡물은 원수조(10)의 바닥으로 낙하하여 쌓인 후 협잡물 이동축(40)의 스크류(41)의 회전에 의해 협잡물 배출구(13)로 이동됨으로써 원수조(10)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어져 제거된다.
그리고, 원수조(10)의 타측면 외부를 관통한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30)의 타단에는 드럼 구동 풀리(33)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원수조(10)의 타측면 외부를 관통한 협잡물 이동축(40)의 스크류(41)의 타단에는 협잡물 이동축 구동 풀리(43)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드럼 구동 풀리(33)와 협잡물 이동축 구동 풀리(43)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 모터에 연결된 구동 벨트가 감겨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과용 드럼(20)의 외주면에는 장모 필터(23)가 부착될 수도 있다. 장모 필터(23)는 다수개의 기다란 털이 밀집된 형태로서 여과용 드럼(20)의 구멍(21)을 가려서 원수 내의 협잡물이 여과용 드럼(20)의 구멍(21)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장모 필터(23)에는 협잡물이 걸려있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수 배출구(61)의 도중에 에어 투입구(63)를 설치할 수도 있다. 고압의 에어가 에어 투입구(63)를 통해 여과수 배출구(61) 및 여과수조(60)를 거쳐 여과용 드럼(20) 내로 유입된 후 구멍(21)을 통해 여과용 드럼(20)의 외부로 빠져나감으로써, 장모 필터(23)에 걸려있는 협잡물이 장모 필터(23)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한다. 또한, 에어 투입구(63)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에어 공급원, 개폐 밸브 등이 설치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원수조(10)의 측면 상부에는 원수조(10)의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15)과 과잉 공급된 원수를 원수조(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드레인(17)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여과용 드럼(20)의 내부벽에는 여과수의 생명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물학적 수질 환원용 필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폐수 여과 장치에 의하면, 원수조 내에서 회전하는 여과용 드럼을 통과한 여과수와 여과용 드럼을 통과하지 못한 원수 내의 협잡물을 각각 별도로 원수조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폐수 여과 장치에서 효율이 높으면서도 협잡물에 의한 막힘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또한 넓은 부지를 요구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여과용 드럼을 원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여과용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원수를 상기 여과용 드럼의 외주면으로 흐르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여과용 드럼의 구멍을 통과한 여과수를 상기 여과용 드럼 내에서 상기 원수조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고 상기 여과용 드럼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한 원수 내의 협잡물을 상기 원수조의 하부에서 상기 원수조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여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용 드럼의 구멍을 통과한 여과수를 상기 여과용 드럼 내에서 상기 원수조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는 수단으로서,
    상기 원수조를 수밀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원수조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여과용 드럼의 회전 축선을 따라 상기 여과용 드럼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여과용 드럼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와,
    상기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의 하류에 설치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여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에서 상기 원수조의 외부로 배출되는 여과수는 여과수조를 거쳐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여과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조는 상기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의 일단이 관통하는 상기 원수조의 일측면 외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여과 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수조의 타측면 외부를 관통한 상기 여과수 배출용 파이프의 타단에는 드럼 구동 풀리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여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용 드럼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한 원수 내의 협잡물을 상기 원수조의 하부에서 상기 원수조의 외부로 강제로 빼내는 수단으로서,
    상기 여과용 드럼의 하부에서 상기 원수조를 수밀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원수조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원수조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다수의 스크류가 형성된 협잡물 이동축과,
    상기 협잡물 이동축의 스크류의 진행방향으로 선단 하부에서 상기 원수조를 관통하여 형성된 협잡물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여과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수조의 타측면 외부를 관통한 상기 협잡물 이동축의 타단에는 협잡물 이동축 구동 풀리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여과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용 드럼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기다란 털이 밀집된 형태인 장모 필터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여과 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조의 하류에는 여과수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수 배출구의 도중에는 에어 투입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여과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수조의 측면 상단에는 원수를 상기 원수조 내로 유입하기 위한 원수 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여과 장치.
KR1020070036141A 2007-04-12 2007-04-12 하폐수 여과 장치 KR100866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141A KR100866039B1 (ko) 2007-04-12 2007-04-12 하폐수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141A KR100866039B1 (ko) 2007-04-12 2007-04-12 하폐수 여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612A true KR20080092612A (ko) 2008-10-16
KR100866039B1 KR100866039B1 (ko) 2008-10-31

Family

ID=4015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141A KR100866039B1 (ko) 2007-04-12 2007-04-12 하폐수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0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9730A (zh) * 2019-10-14 2019-12-13 张俊杰 一种城市地下管道废水处理装置
CN110981038A (zh) * 2020-02-26 2020-04-10 潍坊市工程技师学院 一种市政污水处理设备
EP3858789A1 (en) * 2020-01-31 2021-08-04 Mellegård & Naij AB A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to separate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water
KR102317351B1 (ko) * 2021-05-31 2021-10-2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가스화기 ??쳐 배출수에 함유된 미세입자 여과장치
KR102345400B1 (ko) * 2021-04-30 2021-12-30 문상욱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716A (en) * 1978-12-21 1980-10-07 Wesley G. McCain Rotary filter
JPS62225214A (ja) * 1986-03-27 1987-10-03 Miura Eng Internatl Kk 含液率の低い濾滓を得る方法
KR19980044370U (ko) * 1996-12-26 1998-09-25 김성남 폐액 처리 장치
KR200215596Y1 (ko) 2000-10-05 2001-03-15 경신환경주식회사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
KR100622277B1 (ko) * 2005-11-22 2006-09-12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장모를 이용한 고효율 수질정화용 여과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9730A (zh) * 2019-10-14 2019-12-13 张俊杰 一种城市地下管道废水处理装置
CN110559730B (zh) * 2019-10-14 2021-07-06 王琳 一种城市地下管道废水处理装置
EP3858789A1 (en) * 2020-01-31 2021-08-04 Mellegård & Naij AB A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to separate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water
US11931677B2 (en) 2020-01-31 2024-03-19 Hydra Water Ab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to separate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water
CN110981038A (zh) * 2020-02-26 2020-04-10 潍坊市工程技师学院 一种市政污水处理设备
KR102345400B1 (ko) * 2021-04-30 2021-12-30 문상욱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KR102317351B1 (ko) * 2021-05-31 2021-10-2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가스화기 ??쳐 배출수에 함유된 미세입자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039B1 (ko) 200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966Y1 (ko) 롤링 회전구조를 갖는 협잡물 제거용 드럼스크린
KR100557985B1 (ko) 오폐수 및 하수 여과장치
KR101925858B1 (ko) 폐수처리장치
KR100866039B1 (ko) 하폐수 여과 장치
KR100722255B1 (ko) 농축여과장치
JP6112475B2 (ja) 抽出装置
KR200385230Y1 (ko)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KR100957423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정수장치
KR20000063103A (ko) 액체 여과용 필터의 연속세척장치
KR20050110587A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JP6239433B2 (ja) 汚泥濃縮機および汚泥濃縮システム
KR100479476B1 (ko) 드럼필터 및 와류형여과기를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처리장치
KR102193706B1 (ko) 폐수처리방법
KR101581704B1 (ko) 여과포를 이용한 소규모 하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485311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KR100926078B1 (ko) 오수정화장치
KR101557884B1 (ko) 회전형 스트레이너 섬유 여과기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DE102014000180B4 (de) Trommelfilter mit Bandvorabscheider
KR102258882B1 (ko) 밸브실용 여과장치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102172445B1 (ko) 폐수처리장치
KR100538637B1 (ko) 밀도 조절형 섬유상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