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400B1 -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400B1
KR102345400B1 KR1020210056117A KR20210056117A KR102345400B1 KR 102345400 B1 KR102345400 B1 KR 102345400B1 KR 1020210056117 A KR1020210056117 A KR 1020210056117A KR 20210056117 A KR20210056117 A KR 20210056117A KR 102345400 B1 KR102345400 B1 KR 102345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stewater
drum
water treatment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욱
Original Assignee
문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욱 filed Critical 문상욱
Priority to KR1020210056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는, 하수와 폐수의 유입을 위하여 이송라인에 연결되는 하폐수 유입부와, 슬러지가 제거되어 수처리된 처리수의 배출을 위하여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수처리 배출부와, 폐수의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슬러지 필터링부를 포함하며, 슬러지 필터링부가 상기 하폐수 유입부에서 이송되는 하수와 폐수가 경유하도록 상기 하폐수 유입부와 상기 수처리 배출부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탱크부재와, 상기 탱크부재로 유입되는 하수와 폐수의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슬러지 여과드럼과, 상기 수처리 배출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in wastewater and sewage sludge}
본 발명은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와 하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슬러지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포집된 슬러지를 역세를 통해 간편하고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와 폐수는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수세식 화장실, 목욕탕, 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액체성 또는 고체성 오물이 섞여 있는 물을 일컬으며, 이 하수와 폐수를 배출하고자 하는 사람은 하수와 폐수, 분뇨 및 축산폐수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방류수질 기준 이하로 정화한 후 방류하여야 한다.
그리고 하수와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하수와 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의 제거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슬러지는 일상생활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오수 및 폐수 등을 정화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점도가 매우 높은 유기물 및 다량의 수분과 함께 여러 가지 오염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물질을 말한다.
한편, 가정이나 산업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수처리 과정은 통상 유입되는 오폐수의 부유물을 제거하는 부유물 제거단계와, 활성오니를 이용한 분해 및 침전 단계 및, 침전단계에서 걸러진 상등수는 폭기조에서 산소를 공급받아 호기성 박테리아를 번식시키는 활성화 단계를 거쳐 처리하고, 이 과정을 거친 다음 다시 2차 침전조에서 상등수를 재분리한 후, 다시 3차 침전지나 여과지를 통과한 최상등수를 약품 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 처리한다.
그리고 통상의 하수와 폐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양의 슬러지로 인하여 필터의 교체를 자주 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울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필터의 세척과 재활용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28134호(등록일:2003.09.17)에는 "폐수집수정의 슬러지제거를 위한 역세척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294004호(등록일:2002.10.21)에는 "오폐수에 혼용된 슬러지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폐수와 하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슬러지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포집된 슬러지를 역세를 통해 간편하고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는, 하수와 폐수의 유입을 위하여 이송라인에 연결되는 하폐수 유입부와, 슬러지가 제거되어 수처리된 처리수의 배출을 위하여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수처리 배출부와, 하수와 폐수의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하폐수 유입부와 상기 수처리 배출부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러지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는, 상기 수처리 배출부를 통해 상기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로 고압의 물과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을 세척하는 필터 역세부와,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에 부착되는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하폐수 유입부에 구비되는 드럼 슬러지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러지 필터링부는, 상기 하폐수 유입부에서 이송되는 하수와 폐수가 경유하도록 상기 하폐수 유입부와 상기 수처리 배출부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탱크부재와, 상기 탱크부재로 유입되는 하수와 폐수의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슬러지 여과드럼과, 상기 수처리 배출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폐수 유입부는, 상기 이송라인에 연결되어 압력게이지를 구비하는 폐수 유입배관과, 상기 폐수 유입배관에서 2개 이상으로 분기되는 분기배관과, 상기 분기배관이 결합되며, 상기 탱크부재가 탈착되는 제1지지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은, 상기 드럼 슬러지 제거부에 연결되어 세척시 상기 드럼 슬러지 제거부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드럼 슬러지 제거부는,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하폐수 유입부 또는 상기 수처리 배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세척 브러시부재와,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 및 상기 세척 브러시부재를 선택적으로 회전하기 위한 세척회전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는, 상기 수처리 배출부의 배출배관과 연결되는 이송배관과, 상기 이송배관의 외면에 복수개 결합되어 처리수의 유입과 상기 필터 역세부의 세척수의 배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폐수 유입부와 상기 수처리 배출부 중 상기 수처리 배출부가 더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하폐수 유입부와 상기 수처리 배출부와 상기 슬러지 필터링부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탱크부재는, 슬러지의 배출을 위하여 슬러지 드레인 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폐수와 하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슬러지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포집된 슬러지를 역세를 통해 간편하고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는, 필터 역세부를 이용하여 슬러지 여과드럼을 역세할 때 슬러지 여과드럼이 드럼 슬러지 제거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슬러지가 제거되므로, 슬러지 역세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는, 슬러지 필터링부를 하폐수 유입부와 수처리 배출부에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설치는 물론 유지보수시에 분해와 조립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럼으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100)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와 우수 등의 폐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공정시스템에 설치되어 전처리된 폐수와 하수의 슬러지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100)는 폐수와 하수의 이송과 급급을 위하여 수처리 고정시스템의 폐수 인입라인(10)에 연결되는 하폐수 유입부(110)와,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수처리 배출부(120)와, 하폐수(폐수, 하수)의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슬러지 필터링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100)는, 슬러지 필터링부(130)의 세척을 위한 필터 역세부(140)와 드럼 슬러지 제거부(150)를 더 포함하며, 슬러지 필터링부(130)가 하폐수 유입부(110)와 수처리 배출부(12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폐수 유입부(110)는 폐수 인입라인(10)에 연결되는 폐수 유입배관(111)과, 폐수 유입배관(111)에서 분기되는 분기배관(113)과, 슬러지 필터링부(130)의 탈착을 위한 제1지지 플랜지(115)를 구비한다. 이러한 하폐수 유입부(110)는 분기배관(113)을 통해 오폐수를 슬러지 필터링부(130)에 균일한 압력으로 공급하게 된다.
폐수 유입배관(111)에는 이송되는 하폐수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게이지가 설치된다.
제1지지 플랜지(115)에는 슬러지 필터링부(130)의 일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드럼 슬러지 제거부(150)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분기배관(113)이 폐수 유입배관(111)에서 4개로 분할되어 제1지지 플랜지(115)에 결합된다.
수처리 배출부(120)는 슬러지 필터링부(130)에서 슬러지가 제거되어 수처리되는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슬러지 필터링부(130)의 타측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처리수의 이송을 위하여 배출라인(20)에 연결된다. 이러한 수처리 배출부(120)는 슬러지 필터링부(130)의 탈착을 위한 제2지지 플랜지(121)와, 슬러지 필터링부(130)와 배출라인(20)을 연결하는 배출배관(123)을 구비한다.
배출배관(123)에는 슬러지 필터링부(130)의 역세를 위한 필터 역세부(140)가 연결되고, 압력 측정을 위한 게이지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필터링부(130)는 제1지지 플랜지(115)와 제2지지 플랜지(121)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탱크부재(131)와, 탱크부재(131)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폐수의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슬러지 여과드럼(133)과, 슬러지 여과드럼(13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2지지 플랜지(121)에 결합되는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135)를 포함한다.
이러한 슬러지 필터링부(130)는 탱크부재(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폐수가 슬러지 여과드럼(133)을 통과하면서 슬러지가 여과되고,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135)로 유입됨에 따라 슬러지가 한 번 더 여과되면세 슬러지 여과드럼(133)의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그리고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135)로 유입되는 처리수는 배출배관(123)을 통해 이송 처리된다.
탱크부재(131)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제1지지 플랜지(115)에 결합되는 링형 플랜지(131a)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제2지지 플랜지(121)에 결합되는 판형 플랜지(131b)와, 일단 및 타단이 링형 플랜지(131a) 및 판형 플랜지(131b)에 각각 접합되는 원통형 탱크(131c)를 구비한다. 이때, 판형 플랜지(131b)에는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135)가 결합된다.
슬러지 여과드럼(133)은 메시 형태로 제공되며, 드럼 슬러지 제거부(150)에 연결되어 탱크부재(131)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슬러지 여과드럼(133)은 일단부가 밀폐되어 드럼 슬러지 제거부(15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개방되어 판형 플랜지(13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판형 플랜지(131b)의 내면에는 슬러지 여과드럼(13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드럼가이드부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슬러지 여과드럼(133)은 세척시에 드럼 슬러지 제거부(150)에 의해 회전되면서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135)로부터 토출되는 세척수에 의해 이물질과 슬러지가 제거됨과 동시에 회전을 통해 외면과 모든 부위에 잔존하는 이물질와 슬러지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135)는 수처리 배출부(120)의 배출배관(123)과 연결되는 이송배관(135a)과, 이송배관(135a)의 외면에 복수개 결합되어 처리수의 유입과 필터 역세부(140)의 세척수의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재(135b)를 구비한다. 이때, 이송배관(135a)은 그 일단이 판형 플랜지(131b)에 고정된다.
노즐부재(135b)는 슬러지 여과드럼(133)의 내부에서 이송배관(135a)으로 유입되는 하폐수의 유입을 지연시켜 잔존하는 이물질의 침전 효과를 높이게 된다. 또한, 필터 역세부(140)에 의해 세척수를 배출할 때에는 더 높은 압력으로 토출시켜 슬러지 여과드럼(133)의 슬러지 제거가 더욱 효과 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노즐부재(135b)는 이송배관(135a)의 4방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역세부(140)는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135)를 통해 고압의 물과 압축공기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슬러지에 의해 오염되고 막혀 있는 슬러지 여과드럼(133)를 세척하게 된다. 즉, 필터 역세부(140)는 슬러지 여과드럼(133)의 슬러지를 제거하여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필터 역세부(140)는 역세척(backwash)을 위한 백워시 펌프(도시생략)와 연결되는 백워시라인(141)과, 역세척의 배수를 위한 슬러지 드레인 배관(143)을 구비한다. 이때 백워시라인(141)은 배출배관(123)에 연결되고, 슬러지 드레인 배관(143)은 원통형 탱크(131c)의 하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슬러지 제거부(150)는 슬러지 여과드럼(133)의 역세척시에 슬러지 여과드럼(133)에 부착된 슬러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회전을 통해 슬러지 여과드럼(133)에 부착된 슬러지를 제거한다.
이를 위하여 드럼 슬러지 제거부(150)는 슬러지 여과드럼(133)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제1지지 플랜지(115)와 제2지지 플랜지(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척 브러시부재(151)와, 슬러지 여과드럼(133) 및 세척 브러시부재(151)를 선택적으로 회전하기 위한 세척회전 구동부재(153)를 포함한다. 이때 세척회전 구동부재(153)는 제1지지 플랜지(115)에 구비된다.
세척 브러시부재(151)는 슬러지 여과드럼(133)의 외면에 접촉하는 브러시를 구비하며, 일단이 세척회전 구동부재(153)에 결합되고, 타단이 판형 플랜지(13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판형 플랜지(131b)에는 세척 브러시부재(151)의 회전로드(151a)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싱(151b)이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세척 브러시부재(151)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세척 브러시부재(151)는 슬러지 여과드럼(133)의 대응하는 외면에 2개 구비될 수 있다.
세척회전 구동부재(153)는 서로 치합하도록 제1지지 플랜지(115)에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기어(153a)와, 회전기어(153a)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53b)를 구비한다. 회전기어(153a)는 회전축을 통해 세척 브러시부재(151)와 슬러지 여과드럼(133)이 각각 결합되며, 세척 브러시부재(151)와 슬러지 여과드럼(133)을 각각 회전시킨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100)는, 역세시에 슬러지 드레인 배관(143)을 통한 슬러지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슬러지 필터링부(130)가 하폐수 유입부(110)에서 수처리 배출부(120)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원통형 탱크에 구비되는 슬러지 드레인 배관(143)과 백워시라인(141)을 차단하고, 폐수 유입배관(111)을 개방한 후, 오폐수를 이송하면 오폐수가 분기배관(113)을 통해 원통형 탱크(131c)의 내부로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된다.
그리고 원통형 탱크(131c)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는 슬러지 여과드럼(133)을 통과하면서 슬러지가 1차 여과되고, 슬러지 여과드럼(133)을 통과하는 오폐수는 그 흐름이 급속하게 저하되면서 노즐부재(135b)를 통해 이송배관(135a)으로 유입된다. 이때, 슬러지 여과드럼(133)을 통과한 후, 흐름이 저하되는 오폐수의 잔존하는 이물질이 슬러지 여과드럼(133)에서 침전하면서 2차로 여과된다.
이후, 노즐부재(135b)를 통해 이송배관(135a)으로 유입되는 슬러지가 제거되는 처리수는 배출배관(123)을 통해 후처리 공정으로 이송된다.
한편, 슬러지 여과드럼(133)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폐수 유입배관(111)와 배출배관(123)을 차단하고, 백워시라인(141)과 슬러지 드레인 배관(143)을 개방한다. 그리고 백워시 펌프(145)를 통해 고압의 세척수를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135)로 펌핑하면서 드럼 슬러지 제거부(150)를 작동한다. 그러면 세척회전 구동부재(153)에 의해 슬러지 여과드럼(133), 세척 브러시부재(151)가 함께 회전되고 슬러지 여과드럼(133)에 흡착된 슬러지가 효과적으로 이탈하여 제거되면서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슬러지 여과드럼(133)에서 제거되는 역세 슬러지는 슬러지 드레인 배관(143)을 통해 배수처리된다. 이때, 슬러지 여과드럼(133)이 회전하므로, 모든 부위의 흡착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100)는 폐수와 하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슬러지 여과드럼(133)과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135)에 흡착되는 슬러지를 필터 역세부(140)와 드럼 슬러지 제거부(150)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슬러지의 완전한 역세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100)는, 필터 역세부(140)를 이용하여 슬러지 여과드럼(133)을 역세할 때 슬러지 여과드럼(133)이 드럼 슬러지 제거부(150)에 의해 회전되므로, 모든 부위에 흡착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어 슬러지 역세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100)는, 슬러지 필터링부(130)를 하폐수 유입부(110)와 수처리 배출부(120) 사이에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설치와 유지보수시를 위한 분해와 조립을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10 : 폐수 인입라인 20 : 배출라인
110 : 하폐수 유입부 111 : 폐수유입배관
113 : 분기배관 115 : 제1지지 플랜지
120 : 수처리 배출부 121 : 제2지지 플랜지
123 : 배출배관 130 : 슬러지 필터링부
131 : 탱크부재 131a : 링형 플랜지
131b : 판형 플랜지 131c : 원통형탱크
133 : 슬러지 여과드럼 135 :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
135a : 이송배관 135b : 노즐부재
140 : 필터 역세부 141 : 백워시라인
143 : 슬러지 드레인 배관 145 : 백워시 펌프
150 : 드럼 슬러지 제거부 151 : 세척 브러시부재
151a : 회전로드 151b : 지지부싱
153 : 세척회전 구동부재 153a : 회전기어
153b : 구동모터

Claims (7)

  1. 하수와 폐수의 유입을 위하여 이송라인에 연결되는 하폐수 유입부; 슬러지가 제거되어 수처리된 처리수의 배출을 위하여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수처리 배출부; 상기 하폐수 유입부에서 이송되는 하수와 폐수가 경유하도록 상기 하폐수 유입부와 상기 수처리 배출부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탱크부재와, 상기 탱크부재로 유입되는 하수와 폐수의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슬러지 여과드럼과, 상기 수처리 배출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를 포함하는 슬러지 필터링부; 상기 수처리 배출부를 통해 상기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로 고압의 물과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을 세척하는 필터 역세부; 및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에 부착되는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하폐수 유입부에 구비되는 드럼 슬러지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처리 이송 배관부재는, 상기 수처리 배출부의 배출배관과 연결되는 이송배관; 및 상기 이송배관의 4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배관의 외면에 복수개 결합되어 처리수의 유입과 상기 필터 역세부의 세척수의 배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을 통과하면서 오폐수가 그 흐름이 급속하게 저하되면서 상기 노즐부재를 통해 상기 이송배관으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배관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폐수 유입부는, 상기 이송라인에 연결되어 압력게이지를 구비하는 폐수 유입배관;
    상기 폐수 유입배관에서 2개 이상으로 분기되는 분기배관; 및
    상기 분기배관이 결합되며, 상기 탱크부재가 탈착되는 제1지지 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은, 상기 드럼 슬러지 제거부에 연결되어 세척시 상기 드럼 슬러지 제거부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드럼 슬러지 제거부는,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하폐수 유입부 또는 상기 수처리 배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세척 브러시부재; 및
    상기 슬러지 여과드럼 및 상기 세척 브러시부재를 선택적으로 회전하기 위한 세척회전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폐수 유입부와 상기 수처리 배출부 중 상기 수처리 배출부가 더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하폐수 유입부와 상기 수처리 배출부와 상기 슬러지 필터링부는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탱크부재는, 슬러지의 배출을 위하여 슬러지 드레인 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KR1020210056117A 2021-04-30 2021-04-30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KR102345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117A KR102345400B1 (ko) 2021-04-30 2021-04-30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117A KR102345400B1 (ko) 2021-04-30 2021-04-30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400B1 true KR102345400B1 (ko) 2021-12-30

Family

ID=7917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117A KR102345400B1 (ko) 2021-04-30 2021-04-30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4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38B1 (ko) * 2006-08-21 2007-01-29 한국전력공사 맨홀 청소차의 물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
KR20080092612A (ko) * 2007-04-12 2008-10-1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폐수 여과 장치
KR101141162B1 (ko) * 2012-02-13 2012-05-0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이엔씨 이동식 하천 정화장치
KR101258811B1 (ko) * 2012-07-17 2013-04-26 최병천 타공형 농축기
KR101496402B1 (ko) * 2014-11-03 2015-02-27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고농축 폐기액의 처리가 가능한 협잡물 처리기
KR102145302B1 (ko) * 2020-01-10 2020-08-18 주식회사 타 셋 미세목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38B1 (ko) * 2006-08-21 2007-01-29 한국전력공사 맨홀 청소차의 물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
KR20080092612A (ko) * 2007-04-12 2008-10-1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폐수 여과 장치
KR101141162B1 (ko) * 2012-02-13 2012-05-0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이엔씨 이동식 하천 정화장치
KR101258811B1 (ko) * 2012-07-17 2013-04-26 최병천 타공형 농축기
KR101496402B1 (ko) * 2014-11-03 2015-02-27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고농축 폐기액의 처리가 가능한 협잡물 처리기
KR102145302B1 (ko) * 2020-01-10 2020-08-18 주식회사 타 셋 미세목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529B1 (ko) 하수 처리 장치
CN209161661U (zh) 一种化工污水高效处理设备
CN112704945B (zh) 一种便于滤网进行拆卸的化肥加工用废水处理设备
CN214087990U (zh) 一种基于造纸加工用的废水处理装置
KR102345400B1 (ko) 폐수 및 하수 처리용 드럼식 슬러지 제거장치
CN207266787U (zh) 一种微滤机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CN209522730U (zh) 一种多级化污水处理设备
CN110590086A (zh) 在线反冲洗式养殖污水处理设备
KR20080092612A (ko) 하폐수 여과 장치
CN115636527A (zh) 一种一体化村镇污水处理装置
CN102372387A (zh) 市政污水深度处理工艺
CN116040770A (zh) 一种节能型污水处理装置
CN213865671U (zh) 一种建筑工程废水处理装置
CN207904047U (zh) 纺织污水处理装置
CN108996841B (zh) 一种环境工程污水处理装置
CN108358342A (zh) 纺织污水处理装置
CN209307168U (zh) 一种小型城市污水处理系统
CN113023961A (zh) 一种煤化工废水处理设备
CN202430095U (zh) 一种小区污水再生回用循环系统
CN101708909B (zh) 沼渣沼液处理机
CN110981040A (zh) 一种压裂返排液处理装置以及处理方法
CN204779145U (zh) 应用于污水处理的旋筛过滤装置
CN215799036U (zh) 一种市政污水集成化处理装置
CN213085695U (zh) 一种过滤式生活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