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882B1 - 밸브실용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실용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882B1
KR102258882B1 KR1020200175066A KR20200175066A KR102258882B1 KR 102258882 B1 KR102258882 B1 KR 102258882B1 KR 1020200175066 A KR1020200175066 A KR 1020200175066A KR 20200175066 A KR20200175066 A KR 20200175066A KR 102258882 B1 KR102258882 B1 KR 10225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using
backwash filter
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종
박학순
이태욱
배달호
도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드니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드니,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드니
Priority to KR102020017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밸브실에 장치하여 가정 등으로 공급되는 상수도를 청정하게 여과시킬 수 있는 밸브실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용 여과장치는 통상의 밸브실(A); 상기 밸브실(A)의 지하수관(A1)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여과기(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실용 여과장치{Filtration device for valve chamber}
본 발명은 지하 밸브실에 장치하여 가정 등으로 공급되는 상수도를 청정하게 여과시킬 수 있는 밸브실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수장에서 정수처리되는 수돗물은 배수지를 거쳐서 지하 배수관로를 통하여 가정으로 공급하게 되고, 그중 일부는 배수지를 통한 급수가 불가능한 고지대 등에 위치한 수용가들에게 원활한 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소규모 단위의 가압장의 부스터펌프에 의해 펌핑된 후에 수용가에 공급된다.
이러한 상수도 시설의 특성상 배수지로부터 거리가 먼 관말지역에서는 정수 후 수송 및 분배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과 노후화된 관로에서 이물질이 떨어져 나오는 등의 현상으로 인해 혼탁수가 수시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혼탁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후화된 상수도관을 조속히 교체하는 것이 근본 해결책이겠지만 각 지역별로 수백킬로미터나 되는 노후화된 상수도관을 전체적으로 교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밸브실*여과"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4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73187.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2172256.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2153860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2161932.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지하 배수관로를 통하여 가정으로 공급하게 되는 오염된 혼탁수를 청정하게 여과할 수 있도록 하려는 데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하 밸브실 내에 지하수관과 연결되도록 여과기를 설치하는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르면, 지하 밸브실 내에 지하수관과 연결되도록 여과기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정수 후 수송 및 분배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과 노후화된 관로에서 이물질이 떨어져 나오는 등의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혼탁수를 여과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돗물을 청정하게 공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계략도
도 2는 도 1의 여과기는 나타낸 예시도 및 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또 다른 여과기는 나타낸 예시도 및 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계략도
도 5는 도 4의 미세여과기를 나타낸 예시도 및 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초미세여과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4의 소독기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구성의 모양을 특별하게 특정하지 않은 이상 그 평면의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이럴 경우 평면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밸브실(A); 상기 밸브실(A)의 바닥에 상수관(A1)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여과기(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지하 밸브실 내에 지하수관과 연결되도록 여과기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정수 후 수송 및 분배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과 노후화된 관로에서 이물질이 떨어져 나오는 등의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혼탁수를 여과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돗물을 청정하게 공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여과기(B)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는 뚜껑(B11)을 갖고, 일측면에 투입관(B12)이 연결되며, 하단의 중앙에 침전물배출관(B13)이 연결되고, 하부가 경사지게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외통(B10); 상기 외통(B10)의 내부 중앙에 하부가 경사지게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에 처리수배출관(B21)이 외통(B10)외부로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내통(B20); 상기 내통(B20)의 내부 중앙에 원통 형상의 역세필터망(B30)이 형성되고, 그 역세필터망(B30)의 하단에 받침격판(B31)이 설치되며, 그 받침격판(B31)에 평면상 동심원상으로 다수의 유입공(B32)이 형성되는 역세필터부; 상기 역세필터부의 받침격판(B31) 중앙으로부터 뚜껑(B11)의 상부로 수직되게 설치되어 뚜껑(B11)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체의 회전하는 회전축관(B40)이 설치되고, 그 회전축관(B40)의 내부로부터 연통되어 역세필터망(B30)에 근접되게 여과물흡입교반날개(B41)가 설치되며, 그 받침격판(B31)으로부터 회전축관(B40)의 내부와 연결되어 외통(B10)외부로 연결되는 여과물배출관(B42)을 구비하는 여과물배출부;를 포함하는 바스켓타입의 역세필터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스켓타입의 역세필터장치는 투입관(B12)으로 투입된 원수가 외통(B10)과 내통(B20) 사이의 공간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하강한 후, 외통(B10) 바닥을 통해 다시 내통(B20)의 하부로 부상한 다음, 받침격판(B31)의 유입공(B32)을 통해 역세필터망(B30)의 내부로 투입된 후, 역세필터망(B30)을 통과하여 역세필터망(B30)과 내통(B20) 사이의 공간에 수집된 후, 처리수배출관(B21)을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에서 원수가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하강할 때 그 원수에 포함된 중량의 침전물은 외통(B10)의 내 하부 바닥에 침전되어 침전물배출관(B13)을 통해 배출되고, 역세필터망(B30)의 내벽에 포집되는 여과물은 회전축관(B40)이 회전하면서 여과물흡입교반날개(B41)가 흡입하여 여과물배출관(B42)을 통해 배출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 바스켓타입의 역세필터장치는 원수에 포함되는 중량의 침전물을 1차 여과하고, 이물질을 2차 여과함으로써 원수를 청정하게 여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역세필터망(B30)을 이용함으로써 필터망의 교체가 불필요한 효과가 있으며, 여과물흡입교반날개(B41)로 역세필터망(B30)을 청소할 수 있으므로 역세필터망(B30)의 막힘을 방지함은 물론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영구적인 연속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여과기(B)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는 뚜껑(B11)을 갖고, 일측면에 투입관(B12)이 연결되며, 하단의 중앙에 침전물배출관(B13)이 연결되고, 하부가 경사지게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외통(B10); 상기 외통(B10)의 내부 중앙에 하부가 경사지게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에 처리수배출관(B21)이 외통(B10)외부로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내통(B20); 상기 내통(B20)의 내부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으로 다수의 원통형 역세필터망(B30)이 등 간격 형성되고, 그 역세필터망(B30)의 하단에 받침격판(B31)이 설치되며, 그 역세필터망(B30)의 내부 중앙 하단의 받침격판(B31)에 유입공(B32)이 형성되는 역세필터부; 상기 역세필터부의 받침격판(B31) 중앙으로부터 뚜껑(B11)의 상부로 수직되게 설치되어 뚜껑(B11)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체의 회전하는 회전축(B40a)이 설치되고, 그 내통(B20)의 하단 축잡이(B51)로부터 회전축(B40a)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개방된 상부가 역세필터망(B30)의 받침격판(B31) 유입공(B32) 하부로 연결되어 회전축(B40a)의 회전에 따라 평면상 유입공(B32)을 따라서 동심원으로 회전하는 여과물흡입관(B50)이 설치되며, 그 축잡이(B51)로부터 여과물흡입관(B50)의 출구와 연결되어 외통(B10)외부로 연결되는 여과물배출관(B42)을 구비하는 여과물배출부;를 포함하는 캔들타입의 역세필터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캔들타입의 역세필터장치는 전술한 바스켓타입의 역세필터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되되, 원수가 받침격판(B31)의 유입공(B32)을 통해 각자의 역세필터망(B30) 내부로 투입된 다음, 각 역세필터망(B30)을 통과한 처리수가 역세필터망(B30)과 내통(B20) 사이의 공간에 수집된 후, 처리수배출관(B21)을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캔들타입의 역세필터장치는 전술한 바스켓타입의 역세필터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침전물은 배출하되, 각 역세필터망(B30)의 내벽에 포집되는 여과물은 회전축(B40a)의 회전에 따라 여과물흡입관(B50)이 각 역세필터망(B30)을 선회하면서 흡입하고, 흡입된 여과물은 여과물배출관(B42)을 통해 배출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 캔들타입의 역세필터장치는 전술한 바스켓타입의 역세필터장치에 비해 수처리량을 대량으로 취급할 때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여과기(B)가 상기 바스켓타입의 역세필터장치 또는 상기 캔들타입의 역세필터장치로 이루어질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실(A)은 여과기(B)의 일측에 바닥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집수조(A2); 상기 여과기(B)의 여과물배출관(B42) 및 침전물배출관(B13)으로부터 집수조(A2)로 연결되는 배출수관(A3); 상기 집수조(A2)로부터 외부로 연결되어 집수조(A2)에 수집된 배출수가 일정수위를 넘으면 자동으로 펌프(P)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집수배출관(A4); 상기 배출수관(A3)으로부터 연결설치되어 펌프(P)에 의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게 하는 강제배출관(A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여과기(B)를 통해 여과되는 침전물 및 여과물을 집수조(A2)에 대량으로 수집하여 침전한 후에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집수조(A2)는 여과기(B)와 낙차를 둠으로써 충분한 차압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여과기(B)에서 여과되는 침전물 및 여과물의 배출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강제배출관(A5)은 차압이 약하여 여과기(B)의 침전물 및 여과물의 배출이 약할 때 강제로 흡입할 수 있으므로 여과기(B)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밸브실(A)의 여과기(B)로부터 처리되어 배출되는 배수관(A)에 미세여과기(C), 초미세여과기(D), 소독기(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여과기(B)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미세여과물 및 초미세여과물의 여과가 가능함은 물론 여과기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세균이나 악취물질을 소독기로 소독할 수 있으므로 청정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미세여과기(C)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는 뚜껑(C11)을 갖고, 하부가 좁은 원통형태의 함체(C10); 상기 함체(C1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는 원통형태의 미세역세필터망(C20); 상기 미세역세필터망(C2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관(C30); 상기 회전축관(C30)의 내부로부터 미세역세필터망(C20)의 내벽으로 근접되게 연결설치되는 토출교반노즐(C31); 상기 회전축관(C30)의 함체(C10) 상부의 둘레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물유입공(C32); 상기 물유입공(C32)의 외면을 둘러싸게 설치되어 외부의 청정수를 물유입공(C32)으로 투입시킬 수 있는 유입관(C41)을 가진 베어링유닛(C40); 상기 함체(C10)의 측면 일측에 연결되는 투입관(C12); 상기 함체(C10)의 측면 타측으로부터 미세역세필터망(C20)의 내부와 연결되는 처리수배출관(C21); 상기 함체(C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여과물배출관(C13); 상기 함체(C10)의 내부 하단 상부에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침전물부상방지격벽(C14);을 포함하는 미세역세필터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세역세필터장치는 원수가 투입관(C12)으로 투입된 다음, 미세역세필터망(C20)을 통과한 후, 미세역세필터망(C20)의 내부에 처리수가 수집된 다음, 처리수배출관(C21)을 통해 처리수가 배출되고, 원수에 포함된 미세이물질은 미세역세필터망(C20)에 여과되어 함체(C10) 하부로 침전되어서 여과물배출관(C13)을 통해 배출되며, 함체(C10)의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은 침전물부상방지격벽(C14)에 의해 부상되지 못하고 포집된 채 배출되고, 미세역세필터망(C20)의 외벽에 붙은 미세이물질은 토출교반노즐(C31)에서 분출되는 외부 청정수의 분출수압에 의해 이탈되어 제거되며, 토출교반노즐(C31)로 투입되는 외부 청정수는 별도로 마련되는 외부의 청정수를 수집하여 펌핑공급하거나, 처리수배출관(C21)을 통해 배출되는 배관에 파생관을 구성하여 처리수를 재공급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미세역세필터장치는 여과기(B)의 역세필터망(B30)의 메쉬 크기보다 현저하게 좁은 미세역세필터망(C20)을 채용함으로써 여과기(B)에서 걸러내지 못하는 미세여과물을 여과시킬 수 있으므로 처리수를 더욱더 청정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역세필터장치와 같이 미세역세필터망(C20)을 청소할 수 있으므로 미세역세필터망(C20)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영구적인 연속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전술한 바스켓타입의 역세필터장치와 캔들타입의 역세필터장치에 비해 버려지는 폐수의 양이 상당히 적은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초미세여과기(D)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는 뚜껑(D11)을 갖고, 하부가 좁은 원통형태의 함체(D10); 상기 함체(D10)의 내부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격벽(D20); 상기 유입격벽(D20)의 상단으로부터 장착되는 초미세섬유필터망(D30); 상기 함체(D10)의 유입격벽(D20)으로 연결되는 투입관(D12); 상기 함체(D10)의 초미세섬유필터망(D30)의 하부로 연결되는 배출관(D13);을 포함하는 백필터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백필터장치는 원수가 투입관(D12)으로 투입된 다음, 유입격벽(D20)을 따라 함체(D10)의 내 상부로 부상한 후, 미세섬유백필터망(D30)의 중앙 내부로 유입되어 미세섬유백필터망(D30)을 통과하는 처리수는 배출관(D13)을 통해 배출되고, 미세섬유백필터망(D30)을 통과하지 못하는 여과물은 미세섬유백필터망(D30)의 내벽에 포집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 백필터장치는 여과기(B)의 역세필터망(B30) 및 전술한 미세역세필터장치의 미세역세필터망(C20)의 메쉬 크기보다 현저하게 좁은 미세섬유백필터망(D30)을 채용함으로써 여과기(B) 및 미세여과기(C)에서 걸러내지 못하는 초미세여과물을 여과시킬 수 있으므로 처리수를 더욱더 청정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여과기(B) 및 미세여과기(D)에서 이물질이 큰 오염물질과 여과물을 전처리한 이후에 초미세여과기(D)에서 후처리함으로써 ch미세섬유백필터망(D30)의 오염도를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해 ch미세섬유백필터망(D30)의 교체시기를 상당히 길게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소독기(E)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 원통관체형태의 하우징(E10); 상기 하우징(E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투입관(E11); 상기 하우징(E10)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관(E12); 상기 하우징(E1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UV램프(E20);를 포함하는 UV살균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UV살균장치는 투입관(E11)으로 투입된 원수가 UV램프(E20)가 조사되는 하우징(E10)의 내부를 통과한 후 배출관(E12)의 통해 처리수가 배출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 UV살균장치는 전술한 여과방식을 통해 처리할 수 없는 세균, 악취물질을 자외선을 살균소독함으로써 청정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한 여과기(B)는 원수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미세역세필터장치 또는 상기 백필터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 및 하술 될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밸브실(A); 상기 밸브실(A)의 지하수관(A1)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여과기(B);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기(B)는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는 뚜껑(B11)을 갖고, 일측면에 투입관(B12)이 연결되며, 하단의 중앙에 침전물배출관(B13)이 연결되고, 하부가 경사지게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외통(B10); 상기 외통(B10)의 내부 중앙에 하부가 경사지게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에 처리수배출관(B21)이 외통(B10)외부로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내통(B20); 상기 내통(B20)의 내부 중앙에 원통 형상의 역세필터망(B30)이 형성되고, 그 역세필터망(B30)의 하단에 받침격판(B31)이 설치되며, 그 받침격판(B31)에 평면상 동심원상으로 다수의 유입공(B32)이 형성되는 역세필터부; 상기 역세필터부의 받침격판(B31) 중앙으로부터 뚜껑(B11)의 상부로 수직되게 설치되어 뚜껑(B11)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체의 회전하는 회전축관(B40)이 설치되고, 그 회전축관(B40)의 내부로부터 연통되어 역세필터망(B30)에 근접되게 여과물흡입교반날개(B41)가 설치되며, 그 받침격판(B31)으로부터 회전축관(B40)의 내부와 연결되어 외통(B10)외부로 연결되는 여과물배출관(B42)을 구비하는 여과물배출부;를 포함하는 바스켓타입의 역세필터장치;
    또는, 상기 여과기(B)는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는 뚜껑(B11)을 갖고, 일측면에 투입관(B12)이 연결되며, 하단의 중앙에 침전물배출관(B13)이 연결되고, 하부가 경사지게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외통(B10); 상기 외통(B10)의 내부 중앙에 하부가 경사지게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에 처리수배출관(B21)이 외통(B10)외부로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내통(B20); 상기 내통(B20)의 내부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으로 다수의 원통형 역세필터망(B30)이 등 간격 형성되고, 그 역세필터망(B30)의 하단에 받침격판(B31)이 설치되며, 그 역세필터망(B30)의 내부 중앙 하단의 받침격판(B31)에 유입공(B32)이 형성되는 역세필터부; 상기 역세필터부의 받침격판(B31) 중앙으로부터 뚜껑(B11)의 상부로 수직되게 설치되어 뚜껑(B11)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체의 회전하는 회전축(B40a)이 설치되고, 그 내통(B20)의 하단 축잡이(B51)로부터 회전축(B40a)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개방된 상부가 역세필터망(B30)의 받침격판(B31) 유입공(B32) 하부로 연결되어 회전축(B40a)의 회전에 따라 평면상 유입공(B32)을 따라서 동심원으로 회전하는 여과물흡입관(B50)이 설치되며, 그 축잡이(B51)로부터 여과물흡입관(B50)의 출구와 연결되어 외통(B10)외부로 연결되는 여과물배출관(B42)을 구비하는 여과물배출부;를 포함하는 캔들타입의 역세필터장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실(A)은 여과기(B)의 일측에 바닥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집수조(A2); 상기 여과기(B)의 여과물배출관(B42) 및 침전물배출관(B13)으로부터 집수조(A2)로 연결되는 배출수관(A3); 상기 집수조(A2)로부터 외부로 연결되어 집수조(A2)에 수집된 배출수가 일정수위를 넘으면 자동으로 펌프(P)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집수배출관(A4); 상기 배출수관(A3)으로부터 연결설치되어 펌프(P)에 의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게 하는 강제배출관(A5);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실(A)의 여과기(B)로부터 처리되어 배출되는 배수관(A)에 미세여과기(C), 초미세여과기(D), 소독기(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미세여과기(C)는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는 뚜껑(C11)을 갖고, 하부가 좁은 원통형태의 함체(C10); 상기 함체(C1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는 원통형태의 미세역세필터망(C20); 상기 미세역세필터망(C2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관(C30); 상기 회전축관(C30)의 내부로부터 미세역세필터망(C20)의 내벽으로 근접되게 연결설치되는 토출교반노즐(C31); 상기 회전축관(C30)의 함체(C10) 상부의 둘레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물유입공(C32); 상기 물유입공(C32)의 외면을 둘러싸게 설치되어 외부의 청정수를 물유입공(C32)으로 투입시킬 수 있는 유입관(C41)을 가진 베어링유닛(C40); 상기 함체(C10)의 측면 일측에 연결되는 투입관(C12); 상기 함체(C10)의 측면 타측으로부터 미세역세필터망(C20)의 내부와 연결되는 처리수배출관(C21); 상기 함체(C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여과물배출관(C13); 상기 함체(C10)의 내부 하단 상부에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침전물부상방지격벽(C14);을 포함하는 미세역세필터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초미세여과기(D)는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는 뚜껑(D11)을 갖고, 하부가 좁은 원통형태의 함체(D10); 상기 함체(D10)의 내부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격벽(D20); 상기 유입격벽(D20)의 상단으로부터 장착되는 초미세섬유필터망(D30); 상기 함체(D10)의 유입격벽(D20)으로 연결되는 투입관(D12); 상기 함체(D10)의 초미세섬유필터망(D30)의 하부로 연결되는 배출관(D13);을 포함하는 백필터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소독기(E)는 수평형 원통관체형태의 하우징(E10); 상기 하우징(E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투입관(E11); 상기 하우징(E10)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관(E12); 상기 하우징(E1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UV램프(E20);를 포함하는 UV살균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밸브실용 여과장치.
  2. 삭제
KR1020200175066A 2020-12-15 2020-12-15 밸브실용 여과장치 KR102258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066A KR102258882B1 (ko) 2020-12-15 2020-12-15 밸브실용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066A KR102258882B1 (ko) 2020-12-15 2020-12-15 밸브실용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882B1 true KR102258882B1 (ko) 2021-06-01

Family

ID=7637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066A KR102258882B1 (ko) 2020-12-15 2020-12-15 밸브실용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637B1 (ko) * 2022-06-17 2023-05-02 (주) 디케이금속 여과장치가 구비된 밸브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187A (ko) 2020-06-15 2020-06-23 대동파이프 주식회사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맨홀
KR102153860B1 (ko) 2020-05-22 2020-09-08 주식회사 태성스틸 높이, 경사 조절과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밸브실
KR102161932B1 (ko) 2020-02-24 2020-10-05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용 맨홀장치 및 그 맨홀장치를 갖는 밸브실
KR102163249B1 (ko) * 2020-04-16 2020-10-08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수용가에서의 혼탁수 재발방지를 위한 이물질 여과기능의 상수도 관로형 필터시스템
KR102172256B1 (ko) 2020-05-27 2020-10-30 주식회사 서영금속 히트 파이프 구조체를 구비한 밸브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932B1 (ko) 2020-02-24 2020-10-05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용 맨홀장치 및 그 맨홀장치를 갖는 밸브실
KR102163249B1 (ko) * 2020-04-16 2020-10-08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수용가에서의 혼탁수 재발방지를 위한 이물질 여과기능의 상수도 관로형 필터시스템
KR102153860B1 (ko) 2020-05-22 2020-09-08 주식회사 태성스틸 높이, 경사 조절과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밸브실
KR102172256B1 (ko) 2020-05-27 2020-10-30 주식회사 서영금속 히트 파이프 구조체를 구비한 밸브실
KR20200073187A (ko) 2020-06-15 2020-06-23 대동파이프 주식회사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맨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637B1 (ko) * 2022-06-17 2023-05-02 (주) 디케이금속 여과장치가 구비된 밸브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6005B1 (en) Sequential descending bed filters with reject/washwater containing impurities being fed to a separate unit for elimination of impurities
US99088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2232052B1 (ko) 도로살수장치
CN201981096U (zh) 一种雨水回用处理装置
KR102258882B1 (ko) 밸브실용 여과장치
CN207877443U (zh) 一种污水厂排污过滤装置
KR101029589B1 (ko) 다중 스트로 여과막을 구비한 복합 수처리 장치
CN102020370A (zh) 一种污水深度处理方法及其装置
US9422181B1 (en) Vehicle wash water reclaim system
KR101349280B1 (ko) 여과장치
CN206342985U (zh) 新型污水处理装置
JP2009536577A (ja) 分離処理ユニットを用いたシーケンシャルフィルタ群から排出される排出物からの不純物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850770B1 (ko) 농업용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업재이용수로전환하는 방법
CN2820843Y (zh) 多功能净化水设备
KR100479476B1 (ko) 드럼필터 및 와류형여과기를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처리장치
KR101445209B1 (ko) 이동형 음용수 공급장치
US20050184011A1 (en) Car wash water reclamation system
KR20080092612A (ko) 하폐수 여과 장치
CN208022811U (zh) 一种污水净化装置
KR20230167258A (ko) 역세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20050003329A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2315167B1 (ko) 정수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정수시스템
JP2007061748A (ja) 浄水装置
CN208878005U (zh) 一种市政污水处理装置
KR101973736B1 (ko) 침지막과 가압막을 이용한 세라믹 막여과 공정에서의 슬러지 탈수케익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