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245B1 - 음폐수용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음폐수용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245B1
KR102593245B1 KR1020220168290A KR20220168290A KR102593245B1 KR 102593245 B1 KR102593245 B1 KR 102593245B1 KR 1020220168290 A KR1020220168290 A KR 1020220168290A KR 20220168290 A KR20220168290 A KR 20220168290A KR 102593245 B1 KR102593245 B1 KR 102593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ood waste
waste water
filter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원농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원농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원농산
Priority to KR102022016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1Driving means, shaft packing system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면서도 많은 양의 음폐수를 빠르게 여과할 수 있고, 여과 필터의 교체주기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음폐수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용 여과장치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음폐수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 및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소정 크기의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여과필터; 및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을 선택적으로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여과필터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 각각의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인접되는 상기 여과필터가 서로 소정 폭 중첩되어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폐수용 여과장치{Filtration Device for Food Waste Water}
본 발명은 음폐수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폐기물에서 배출되는 음폐수를 처리하는 음폐수 처리 시설 등에 설치되어 음폐수 내의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되는 음폐수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폐기물이 처리되는 과정에서는 다량의 음폐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음폐수는 소정의 정수 처리 과정을 거친 다음 하천으로 방류되거나 또는 2차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음폐수 처리시설은 음폐수를 소정의 공정을 거쳐 방류 또는 2차 사용이 가능한 정도로 정수 처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음폐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과정이 수반되게 된다.
따라서 음폐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예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553531호의 음폐수 이물질 여과장치 및 이물질 여과 방법(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내부가 중공된 관 형태를 갖으며 일측에 환형홈을 갖는 연결부가 형성된 연결호스; 내부에 고무패킹이 안착되는 안착면과 외측에 여러 개의 조립공 및 상기 조립공에 형성된 연결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일측에 가압부를 갖는 손잡이로 구성된 커플링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삽입 체결되며 타측에 유입관의 끝부분과 연결되는 밸브 및 내부측에 걸림턱과 결착봉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끼움되며 길이방향으로 지름이 좁아지는 원뿔형태의 망체 일측에 상기 몸체의 걸림턱에 절곡부가 밀착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 내측에 봉형태의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여과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유로를 따라 흐르는 음폐수가 관로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망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한 것으로, 이 경우 입자 크기가 미세한 여과망이 사용되면, 음폐수의 유속이 크게 저하되게 되면서 음폐수를 여과 처리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이와 반대로 입자 크기가 큰 여과망이 사용되면, 음폐수의 유속이 담보되는 대신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이 여과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여과망이 걸러지는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고, 이 때문에 여과망을 교체 및 세척하는 주기가 짧은 단점도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음폐수를 빠르게 여과할 수 있으면서, 여과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여과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0822863 B1 (2008. 04. 10.) KR 10-1553531 B1 (2015. 09. 10.) KR 10-2179881 B1 (2020. 11. 11.) KR 10-1511765 B1 (2015. 04. 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과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면서도 많은 양의 음폐수를 빠르게 여과할 수 있고, 여과 필터의 교체주기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음폐수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용 여과장치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음폐수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 및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소정 크기의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여과필터; 및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을 선택적으로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여과필터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 각각의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인접되는 상기 여과필터가 서로 소정 폭 중첩되어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여과탱크가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통 모양의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음폐수유입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음폐수배출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원수유입관; 및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원수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과필터가 소정 지름을 가지는 판 모양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베이스판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여과지; 및 상기 한 쌍의 여과지의 둘레를 따라 도포되어 서로 부착되는 소정 크기의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판 및 상기 여과지가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이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3 ~ 6개가 배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여과필터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동작되고, 이를 통해 여과필터에 쌓인 이물질이 여과필터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여과필터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과기본체의 음폐수 유입 및 배출관을 통해 음폐수가 공급 및 배출되면서 여과 작업이 소정 시간 진행되고, 이후 원수 유입 및 배출관을 통해 원수가 공급 및 배출되면서 여과필터가 세척되므로 여과필터를 교체하지 않고도 여과 성능이 장기간 담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여과필터의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폐수용 여과장치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필터의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필터가 회전축에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필터가 회전 동작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여과필터가 중첩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면서도 많은 양의 음폐수를 빠르게 여과할 수 있고, 여과 필터의 교체주기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음폐수용 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베이스(10), 여과탱크(20), 회전축(30), 여과필터(40) 및 구동모터(50)를 포함한다.
고정베이스(10)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구조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여과탱크(20)를 설비 내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베이스(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또는 "ㄷ"자 단면 모양의 프레임을 통해 사각 틀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프레임(도면부호 없음)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위쪽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사각 틀 모양의 중간프레임(도면부호 없음) 및 상기 중간프레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도면부호 없음)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을 통해 후술되는 여과탱크(20)의 탱크본체(21) 외측면이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또한, 바닥프레임과 중간프레임 사이에는 복수 개의 방진부재(도면부호 없음)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방진부재를 통해 여과탱크(20) 쪽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바닥프레임 쪽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후술되는 구동모터(50)의 동작에 의한 소음이 저감되게 된다.
여과탱크(20)는 내부로 음폐수가 공급되어 음폐수에 포함된 미세한 입자(나노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여과탱크(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통 모양의 탱크본체(21)와, 상기 탱크본체(2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음폐수유입관(22)과, 상기 탱크본체(2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음폐수배출관(23)과, 상기 탱크본체(2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원수유입관(24) 및 상기 탱크본체(2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원수배출관(25)을 포함한다.
그리고 탱크본체(21)는 양측면 또는 일측면이 개방 가능하도록 커버(도면 부호 없음)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커버를 개방하여 탱크본체(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필터(40)가 교체되게 된다.
또한, 탱크본체(21)의 양측면에는 후술되는 회전축(30)이 관통 설치되도록 소정 지름의 축관통공(도면부호 없음)이 설치되고, 상기 축관통공에는 회전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베어링(도면부호 없음)이 설치된다.
위에서는 음폐수유입관(22)과 음폐수배출관(23)이 탱크본체(21)의 일측에 위치되고, 원수유입관(24)과 원수배출관(25)이 탱크본체(21)의 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음폐수유입관(22)과 음폐수배출관(23) 및 원수유입관(24)과 원수배출관(25)이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탱크본체(21)의 음폐수유입관(22)을 통해 음폐수 처리시설의 음폐수가 내부로 유입된 다음, 후술되는 여과필터(40)를 거쳐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이 흡착되어 제거되고, 이후 음폐수배출관(23)을 통해 탱크본체(21)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음폐수의 여과 공정이 진행된 다음, 원수유입관(24)을 통해 탱크본체(21)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어 여과필터(40) 및 탱크본체(21)의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하고, 이후 원수배출관(25)을 통해 탱크본체(21)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원수배출관(25)과 연결되는 유로상에는 원수와 이물질을 분리하여 원수를 재사용 가능하게 하는 미세 스크린망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음폐수유입관(22), 음폐수배출관(23), 원수유입관(24) 및 원수배출관(25)과 연결되는 유로상에는 자동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고, 이러한 자동밸브의 개폐 동작이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자동 제어되어 음폐수 및 원수가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되게 된다.
회전축(30)은 여과탱크(20)의 탱크본체(21)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후술되는 여과필터(40)를 선택적으로 회전 동작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축(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탱크본체(21)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탱크본체(21)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탱크본체(21)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30)의 타단에는 후술되는 구동모터(50)가 설치되고, 이러한 구동모터(50)와 회전축(30)이 기어 또는 풀리 등의 동력전달부재의 구성을 통해 서로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축(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1)의 양측면 중심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3 ~ 6개가 배치되고, 이를 통해 후술되는 여과필터(40)가 회전축(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소정 폭 중첩되어 엇갈리게 배치되게 된다.
여과필터(40)는 회전축(30)의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되어 탱크본체(21)의 내부로 유입되는 음폐수에 포함되는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여과필터(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지름을 가지는 판 모양의 베이스판(41)과, 상기 베이스판(31)의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면서 베이스판(41)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여과지(42) 및 상기 한 쌍의 여과지(42)의 둘레를 따라 도포되어 여과지(42)의 선단을 서로 부착시키는 소정 크기의 접착부(43)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판(41)에는 소정 지름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복수 개 형성되거나, 또는 격자형 스크린망으로 구성되어 음폐수가 여과필터(40)의 여과지(42)와 베이스판(41)을 통과하여 흐르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41)에는 회전축(30)이 관통되는 소정 지름의 축관통공(H)이 형성되고, 여과필터(40)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지름을 가지는 링 형상의 간격유지블록(B)이 설치되어 서로 이격된 간격이 유지되게 된다.
또한, 베이스판(41)과 여과지(42)는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구동모터(50)를 통해 회전축(30)이 회전 동작되어 여과필터(40)가 회전 동작될 때, 여과필터(40)가 중첩되는 영역 내에 흡착된 이물질이 인접한 여과필터의 다각형 모양의 둘레 부분을 통해 더욱 쉽게 긁어지게 되어 제거되게 된다.
또 다르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41)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소정 길이의 블레이드(41A)가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41A)를 통해 여과필터(40)의 회전 동작시 여과필터(40)와 중첩되는 폭(W)이 확장되게 되면서 여과지(42)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이 더욱 폭 넓게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1 ~ 3개의 블레이드(41A)가 5 ~ 20㎜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블레이드(41A)와 여과지(42)가 중첩된 상태로 유지되는 영역이 넓어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는 여과지(42)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여과지(42)의 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구동모터(50)는 여과탱크(20)의 외부 일측에 위치되어 회전축(30)에 연결되고,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회전축(30)을 회전 동작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동모터(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회전축(3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기어 또는 풀리 등을 통해 연결되고, 이를 통해 탱크본체(21)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회전축(30)의 회전 동작에 의한 여과필터(40)의 회전 동작으로 인해 탱크본체(21)의 가운데 쪽으로 향하는 와류를 형성시키게 되며, 이러한 와류를 통해 여과필터(40)의 여과지(42)가 원수에 의해 전체적으로 세척되어 흡착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음폐수용 여과장치는 음폐수 처리시스템을 통해 처리되는 음폐수가 음폐수유입관(22)을 통해 탱크본체(21)의 내부로 소정 시간 동안 공급되면서 정지된 상태의 여과필터(40)와 접촉되게 되고, 이를 통해 여과지(42)의 표면에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이 흡착되어 제거된 다음, 음폐수배출관(23)을 통해 음폐수 처리시스템의 후속 공정으로 배출되게 된다.
위와 같이 음폐수 여과 공정이 소정 시간 동안 지속되어 음폐수의 여과 처리가 진행되고 나면, 탱크본체(21)의 내부에 잔류하는 음폐수가 모두 배출된 다음, 원수유입관(23)을 통해 탱크본체(21)의 내부로 원수가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모터(50)를 통해 여과필터(40)가 소정 속도로 회전 동작되게 된다.
이에 의해 복수 개의 여과필터(40)가 서로 소정 폭 중첩되어 회전되는 과정에서 여과필터(40)에 흡착된 이물질이 분리되게 되고, 이렇게 여과필터(40)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원수와 함께 원수배출관(25)을 통해 탱크본체(21)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위와 같이 탱크본체(21)의 내부로 소정 시간 동안 원수가 공급되어 여과필터(40)가 세척되고 나면, 탱크본체(21)의 내부에 잔류하는 원수를 모두 배출시킨 다음, 음폐수유입관(22)을 통해 음폐수가 재공급되면서 위 공정이 반복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여과필터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동작되고, 이를 통해 여과필터에 쌓인 이물질이 여과필터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여과필터의 사용수명이 연장되게 된다.
또한, 여과기본체의 음폐수 유입 및 배출관을 통해 음폐수가 공급 및 배출되면서 여과 작업이 소정 시간 진행되고, 이후 원수 유입 및 배출관을 통해 원수가 공급 및 배출되면서 여과필터가 세척되므로 여과필터를 교체하지 않고도 여과 성능이 장기간 담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여과필터의 교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고정베이스 20: 여과탱크
21: 탱크본체 22: 음폐수유입관
23: 음폐수배출관 24: 원수유입관
25: 원수배출관 30: 회전축
40: 여과필터 41: 베이스판
41A: 블레이드 42: 여과지
43: 접착부 50: 구동모터
B: 간격유지블록 H: 축관통공
W: 중첩부의 폭

Claims (5)

  1. 음폐수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음폐수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 및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소정 크기의 여과탱크(20);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축(30);
    상기 회전축(30)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여과필터(40); 및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30)을 선택적으로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50);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여과필터(40)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30) 각각의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인접되는 상기 여과필터(40)가 서로 소정 폭 중첩되어 엇갈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여과탱크(20)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통 모양의 탱크본체(21);
    상기 탱크본체(2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음폐수유입관(22);
    상기 탱크본체(2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음폐수배출관(23);
    상기 탱크본체(2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원수유입관(24); 및
    상기 탱크본체(2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소정 지름의 원수배출관(25);
    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필터(40)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판 모양의 베이스판(41);
    상기 베이스판(41)의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베이스판(41)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여과지(42); 및
    상기 한 쌍의 여과지(42)의 둘레를 따라 도포되어 서로 부착되는 소정 크기의 접착부(43);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판(41)은,
    소정 지름의 관통 구멍이 복수 개 형성되거나 또는 격자형 스크린망으로 구성되어 음폐수가 상기 여과지(42)와 상기 베이스판(41)을 통과하여 흐르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여과필터(40) 사이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링 형상의 간격유지블록(B)이 설치되어 서로 이격된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판(41)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소정 길이의 블레이드(41A)가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41A)를 통해 상기 여과필터(40)의 회전 동작시 상기 여과필터(40)와 중첩되는 폭(W)이 확장되게 되면서 상기 여과지(42)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블레이드(41A)는,
    1 ~ 3개가 설치되면서 5 ~ 20㎜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과탱크(20)에는 상기 탱크본체(21)의 외측면이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고정베이스(10)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베이스(10)는,
    사각 또는 "ㄷ"자 단면 모양의 프레임을 통해 사각 틀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위쪽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사각 틀 모양의 중간프레임; 및
    상기 중간프레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 사이에는,
    복수 개의 방진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여과탱크(20) 쪽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바닥프레임 쪽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이 저감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본체(21)는,
    일측면이 개방 가능하도록 커버가 설치되어, 내부의 여과필터(40)를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용 여과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41) 및 상기 여과지(42)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용 여과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30)은,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3 ~ 6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폐수용 여과장치.
KR1020220168290A 2022-12-06 2022-12-06 음폐수용 여과장치 KR102593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290A KR102593245B1 (ko) 2022-12-06 2022-12-06 음폐수용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290A KR102593245B1 (ko) 2022-12-06 2022-12-06 음폐수용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245B1 true KR102593245B1 (ko) 2023-10-24

Family

ID=8851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290A KR102593245B1 (ko) 2022-12-06 2022-12-06 음폐수용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2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63B1 (ko) 2007-09-17 2008-04-16 김병훈 폐수 여과장치
KR100951075B1 (ko) * 2009-08-17 2010-04-05 주식회사 한국환경기술 자기 세척기능을 가지는 여과장치 및 자기 세척방법
JP2012140000A (ja) * 2010-12-15 2012-07-26 Toray Ind Inc リーフディスクフィルタ組立体およびポリマ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511765B1 (ko) 2014-06-24 2015-04-14 코오롱환경서비스 주식회사 음폐수 소각시스템의 자동세척이 가능한 음폐수여과장치
KR101553531B1 (ko) 2014-10-13 2015-09-16 (주)삼용플랜트 음폐수 이물질 여과장치 및 이물질 여과 방법
KR102179881B1 (ko) 2020-05-15 2020-11-18 환경에너지솔루션 주식회사 3단 음폐수 여과장치를 구비한 소각로 음폐수 분무장치
KR20200002541U (ko) *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두리에프에스 메시를 교체할 수 있는 디스크 필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63B1 (ko) 2007-09-17 2008-04-16 김병훈 폐수 여과장치
KR100951075B1 (ko) * 2009-08-17 2010-04-05 주식회사 한국환경기술 자기 세척기능을 가지는 여과장치 및 자기 세척방법
JP2012140000A (ja) * 2010-12-15 2012-07-26 Toray Ind Inc リーフディスクフィルタ組立体およびポリマ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511765B1 (ko) 2014-06-24 2015-04-14 코오롱환경서비스 주식회사 음폐수 소각시스템의 자동세척이 가능한 음폐수여과장치
KR101553531B1 (ko) 2014-10-13 2015-09-16 (주)삼용플랜트 음폐수 이물질 여과장치 및 이물질 여과 방법
KR20200002541U (ko) *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두리에프에스 메시를 교체할 수 있는 디스크 필터
KR102179881B1 (ko) 2020-05-15 2020-11-18 환경에너지솔루션 주식회사 3단 음폐수 여과장치를 구비한 소각로 음폐수 분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631B1 (ko) 고 유동 디스크 필터
KR101110854B1 (ko) 여과장치
NZ582678A (en) Apparatus for filtering a liquid with a drum and filter sets with a fluid passageway to vent the filter sets
KR20140053830A (ko)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 및 밸러스트수의 처리 방법
EP0519408B1 (en) Granular media regeneration apparatus and process
KR200432736Y1 (ko) 드럼 스크린 장치의 여과 스크린 구조
KR102593245B1 (ko) 음폐수용 여과장치
KR101985292B1 (ko)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20080102340A (ko) 초음파를 이용한 산업용 섬유 여과기
KR200406003Y1 (ko)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드럼 스크린 구조
KR101642025B1 (ko) 진공 흡입 구조의 다중 필터 방식의 드럼 스크린 장치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JP2013188689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濾過装置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KR20080092612A (ko) 하폐수 여과 장치
KR20090098581A (ko) 원터치 착탈식 어댑터
KR101226656B1 (ko) 여과 시와 여재 세척 시에 여재 밀도의 조절이 가능한 여과 장치
CN209456181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净化设备
KR20120124696A (ko) 역세척이 필요없는 여과형 수처리장치
KR20030024518A (ko) 산업용 스트레이너
KR101641888B1 (ko) 여과장치
WO2024084980A1 (ja) ろ過材洗浄装置
CN214571114U (zh) 一种环保型废水处理过滤装置
WO2024084984A1 (ja) ろ過材洗浄装置
WO2024084989A1 (ja) ろ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