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393A -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393A
KR20160104393A KR1020150027376A KR20150027376A KR20160104393A KR 20160104393 A KR20160104393 A KR 20160104393A KR 1020150027376 A KR1020150027376 A KR 1020150027376A KR 20150027376 A KR20150027376 A KR 20150027376A KR 20160104393 A KR20160104393 A KR 20160104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spring
filter
spring
pump
ground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310B1 (ko
Inventor
오석환
오예환
전학규
오세보
Original Assignee
(주)성창기공수처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창기공수처리공사 filed Critical (주)성창기공수처리공사
Priority to KR102015002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31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는, 상측에는 상부패널(113)이 결합되어 있고, 중앙부에 하부관통공(112a)이 관통ㆍ형성되어 있는 하측에는 하부패널(11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는 여과수배출관(Po)이 관통되게 연결되어 있는 여과실케이싱(110):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의 하부패널(112) 상측면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141); 상기 압축스프링(141)의 상단부에 접촉되게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 및 상기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의 상측면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상부패널(113) 밖으로 상단부가 돌출되게 배치되는 작동핸들축(Hs);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관통공(112a)를 통하여 양수되는 지하수가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압축된 상태에서, 압축된 상기 압축스프링(141)의 틈새를 통과됨에 따라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배출관(Po)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프링여과기는 펌프토출구에 직결되도록 설치되며, 전체 여과장치의 크기가 종래대비 1/2의 높이에서 구현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초공사를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특히 유지보수 그리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고, 더불어 세척 및 역세척과정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HAVING SPRING TYPE FILTER CONNECTED PUMP}
본 발명은 스프링타입의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여과기에 있어서, 전체적인 설비의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별도로 기초공사를 해야함은 물론, 이에 따라 제작비 및 시공비가 고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스프링타입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펌프토출구에 직결되도록 설치되며, 전체 여과장치의 크기가 종래대비 1/2의 높이에서 구현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초공사를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특히 유지보수 그리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고, 더불어 세척 및 역세척과정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팽창과 산업발달로 인하여 가정 오수와 공장폐수의 증가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활하수 및 각종 오수가 호소 및 하천, 바다로 유입되어 각종 유기오염물질 및 생활쓰레기, 토사 등에 의해 퇴적물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질소 및 인 등의 유기물 염류 및 그 미분해물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자정작용이 진행되지 못하며, 이로인하여 부영양화가 일어난 호소 및 하천, 바다등의 하부에 퇴적된 퇴적물에서 황화물이 다량으로 발생되고, 이를 영양원으로 하는 각종 플랑크톤 및 녹조류가 번식하게 되어 수질을 악화시킨다.
또한, 바닥에 일정 높이로 퇴적된 퇴적물은 물의 원활한 흐름을 저해하여 홍수시 침수해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어, 수질 개선 및 수량확보, 물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호소 및 하천, 바다 등의 하부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최소화되도록 처리하고 있다.
이로써, 산업의 발달과 자원의 고갈로 연료비와 전기료가 영세농가의 영농활동을 크게 저해하고 있는 현실에서, 지하수를 활용하는 것은 획기적인 영농방법으로 근래에 그 이용도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때, 양수되는 지하수는 그 온도, 수질면에서 동절기 영농에는 적합하나, 단지 양수과정에서 미세 토립자 등이 지하수에 함유되는 관계로, 이것이 분무노즐을 막아 분무가 중단되는 일이 빈번하여, 작물에 동해를 입히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중단없는 살수작업과 비닐하우스 내부에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미세 토립자를 최소의 비용과 간단한 조작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여기서, 농업용수 여과기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87806호(2011년11월22일 등록)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통(10) 내부에 여과필터(20)가 내장되고, 그 여과필터(20) 주위에는 유입되는 여과대상 용수의 유동공간(30)이 하래되어 있으며, 여과필터(20)의 상부에는 필터 고정용 덮개(40)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통(10) 내부의 용수 유동공간(30)의 내벽면에 유입되는 여과대상 용수에 대하여 와류 또는 소용돌이 회전유동 현상이 발생될 수 있도록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임펠러날개가 구비된 농업용수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날개는 여과통(10) 사출성형시 그 내벽면 전체에 일체형으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한 다음 여과통(10)의 내부 유동공간(30)에 삽입하여 구성시킨 것과; 상기 여과통(10) 자체를 일정한 높이 간격으로 각각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다단 분리형으로 구성시킨 다음 그 각각의 분리형 여과통(10) 내벽에 2개 이상이 1셋트로 되는 임펠러 날개를 일체로 사출 성형시킨것과; 상기 여과통(10)의 상단부에는 임펠러의 작용에 따른 용수의 와류현상에 이끌려 상방으로 이동된 슬러지 알갱이들이 용이하게 모여질 수 있게 오목한 형상의 고임부(50)를 마련하고, 상기 고임부(50)의 상방향 여과통(10)에는 개폐 가능한 슬러지배출용 밸브(60)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제거기능이 겸비된 농업용수 여과기."가 제안되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농업용수 여과기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94855호(2014년05월07일 등록)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기 하 본체(1)와 여과기 상 본체(2)를 결속밴드(3)로 결속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여과기 하 본체(1) 내측의 분할탱크(5)에 필터(4)를 설치하여서 여과기 하 본체(1) 흡입구(1a)로 유입된 용수는 필터(4) 외측에서 내측으로 여과되면서 여과된 용수는 필터(4) 내측에서 분할탱크(5) 하방에 위치하는 여과기 하 본체(1)의 송출구(1b)(1c)로 송출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필터(4)는 하 지지체(10)의 세척관체 조립공(10a)에 세척관체(11)의 하부축(11f)을 위에서 아래로 끼우고 하방으로 노출되는 하부축(11f)의 수나사(11g)에는 결속너트(21)를 체결하여서 하 지지체(10)와 세척관체(11)를 결속하고, 상기 세척관체(11)의 상부축(11d)은 상 지지체(12)의 축공(12a)에 끼우고, 상 지지체(12) 위로 노출되는 상부축(11d) 중앙의 나선홈(11e)에는 결속나사(22)를 체결하여서 상 지지체(12)와 세척관체(11)를 결속하고, 상기 세척관체(11) 외측으로 필터판(13)을 하 지지체(10) 윗면에서 상 지지체(12)에 근접되게 적층시킨 다음 상 지지체(12) 윗면에 필터판 지지관체(14)를 얹고 축봉(16)을 축봉 출입공(14c)에 끼워 축봉(16) 하방의 수나사(16a)는 상 지지체(12) 중앙의 나선홈(12b)에 체결하고, 상기 축봉(16)에 스프링(15)을 끼우고 축봉(16) 상부의 수나사(16b)는 스프링 지지캡(17)의 나선홈(17b)과 결속하고, 상기 하 지지체(10) 중앙의 용수통로(10b) 하방에는 밸브(18)를 위치시키고, 상기 밸브(18) 저부에는 스프링(15a)을 위치시키고, 상기 스프링(15a) 하방은 세척관체 고정밑판(19)의 스프링 지지홈(19b)에 지지하고, 상기 세척관체 고정밑판(19)의 지지공(19a)을 하 지지체(10)에서 하방으로 노출되는 세척관체(11)의 하부축(11f)에 지지시켜서 중공볼트(20)로 상기 세척관체(11) 하부축(11f)의 암나사(11h)에 결속하여서 조립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청소기능을 구비한 농업용수 여과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들에도 불구하고, 유지보수 그리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고, 더불어 세척 및 역세척과정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87806호(2011년11월22일 등록)
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94855호(2014년05월07일 등록)
3.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77369호(2012년08월21일 등록)
4. 국내 특허공보 제특1987-0001039호(1987년05월26일 공고)
본 발명은,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를 구성하되, 압축스프링을 활용하여 압축스프링의 틈새를 통하여 부유 미립자 등과 같은 불순물이 여과되도록 구성하고, 여과된 정수는 별도의 여과수공급관을 통하여 배수시키며, 반면 여과과정에서 걸러진 불순물은 개폐디스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스프링의 틈새를 더욱 이격시켜, 별도의 역세수토축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는, 상측에는 상부패널(113)이 결합되어 있고, 중앙부에 하부관통공(112a)이 관통ㆍ형성되어 있는 하측에는 하부패널(11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는 여과수배출관(Po)이 관통되게 연결되어 있는 여과실케이싱(110):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의 하부패널(112) 상측면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141); 상기 압축스프링(141)의 상단부에 접촉되게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 및 상기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의 상측면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상부패널(113) 밖으로 상단부가 돌출되게 배치되는 작동핸들축(Hs);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관통공(112a)를 통하여 양수되는 지하수가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압축된 상태에서, 압축된 상기 압축스프링(141)의 틈새를 통과됨에 따라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배출관(Po)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관통공(112a)를 통하여 양수되는 지하수는, 상기 하부관통공(112a)에 직결되는 펌프에 의하여 양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실케이싱(110) 하단 일측에 역세수토출관(Pr)이 구비되고, 압축된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압축이 해지됨에 따라, 상기 여과실케이싱(110) 내측에 저장되어 있던 세척된 지하수에 의하여, 신장되어 있는 상기 압축스프링(141) 내부에 갇혀있던 모래나 기타 이물질이 역세수토출관(Pr)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역세수토출관(Pr) 내측에 배치되는 개폐디스크(D)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디스크(D)에 의하여 상기 역세수토출관(Pr)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디스크(D)는 상기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의 일측 또는 압축스프링(141)의 상단부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개폐체인(Ca)에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은,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가 여과대상의 지하수취수 대상지역에 설치되는 단계(S110);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의 전원이 온(on)되는 단계(S120); 펌프구동모터(120)가 작동됨에 따라, 급수펌프(130)가 작동되는 단계(S130); 상기 급수펌프(130)가 작동됨에 따라, 지하수흡입관(Pi)을 통하여 지하수가 흡입되는 단계(S140); 상기 지하수흡입관(Pi)을 통하여 흡입된 지하수가, 여과실케이싱(110)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압축스프링(141)의 틈새를 거치면서 여과되는 단계(S150); 지하수 여과가 지속된 이후, 작동핸들(H)이 회동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누름상태에서 해지되어 신장되는 단계(S160); 상기 작동핸들(H)의 회동이 진행됨에 따라, 역세수토출체크밸브(Vr) 내측에 배치되어 있던 개폐디스크(D)가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개폐체인(Ca)에 의하여 열리는 단계(S170); 및 상기 여과실케이싱(110) 내측에 저장되어 있던 세척된 지하수가 신장되어 있는 상기 압축스프링(141) 내부에 갇혀있던 모래나 기타 이물질이 역세수토출관(Pr)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면서 세정작업이 진행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압축스프링(141)이 누름상태에서 해지되어 신장되는 상기 단계(S160) 내지 세정작업이 진행되는 상기 단계(S180)는, 오염감지센서(150)에 의하여 오염정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작동핸들(H)이 작동핸들회동모터(Mh)에 의하여 회동되고, 상기 작동핸들누름부재(Ph)가 해지ㆍ작동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누름상태에서 해지되어 비로소 세정작업이 진행되는 단계(S210);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에 따르면, 내측의 중앙부에 압축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여과실케이싱에는 펌프구동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급수펌프가 직결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전체 여과장치의 크기가 종래대비 1/2의 높이에서 구현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초공사를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특히 유지보수 그리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에 따르면, 여과실케이싱의 내측의 중앙부에 압축스프링이 압축/압축해지됨에 따라, 여과/역세척 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세척 및 역세척과정이 용이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에 따르면, 압축스프링이 압축/압축해지됨에 따라, 여과/역세척 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여과모드에서 역세척모드로의 전환이 신속할 뿐만 아니라, 역세척모드에서 여과모드로의 전환도 신속함으로써, 사용 및 운전이 원활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농업용수 여과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또 다른 농업용수 여과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여과기에 있어서, 여과시 여과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여과기에 있어서, 역세척시 역세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여과기에 있어서, 주요구성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여과기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는, 내측의 중앙부에 압축스프링(141)이 압축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여과실케이싱(110), 압축스프링(141)을 통하여 지하수에 대하여 여과/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좀더 살펴보면,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구동모터(120)와 급수펌프(130),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압축/해지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와 작동핸들(H), 상기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개폐체인(Ca)에 의하여 개폐되는 개폐디스크(D), 그리고 각종 밸브류와 흡ㆍ배출관을 포함하여서 구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41)의 압축/해지상태에 따라서, 여과/역세척이 이루어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141) 및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은 여과부재(140)를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와 이들 간의 결합관계 및 이에 따른 작용ㆍ효과를 살펴본다.
우선,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에 있어서,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은, 전체적인 형상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용기(容器)로서, 상측에는 상부패널(113)이 결합되어 있고 하측에는 하부패널(112)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패널(113)의 중앙부에는 핸들삽입구(113h)가 관통ㆍ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삽입구(113h)의 일측에는 로크핀삽입구(113p)가 연장되어 관통ㆍ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패널(112)의 중앙부에도 하부관통공(112a)이 관통ㆍ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에 있어서,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의 내측 벽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패널(111)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의 내측에는 압축스프링(141)의 저면이 상기 하부패널(112)의 중앙부 상측면에 놓여지고, 상기 압축스프링(141)의 상측면에는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이 놓여져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 일측 테두리부에는 가이드홈(142a)이 형성되어 있어, 작동과정에서 상기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이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패널(111)에 가이드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의 중심에는 작동핸들축(Hs)이 연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핸들축(Hs)의 최상단부에는 작동핸들(H)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핸들축(Hs)의 중앙부 외주면 일측에는 로크핀(P)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로크핀삽입구(113p)를 통하여 이동되는 로크핀(P)에 의하여,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이 가압되어 압축스프링(141)이 압축된 상태로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반대로 록킹이 해지되어 압축스프링(141)도 압축에서 해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에 있어서,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으로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펌프구동모터(120)에 의하여 작동되는 급수펌프(130)에 의하여 지하수가 양수되도록 지하수흡입관(Pi)이 배치되어 있다.
더불어서, 상기 지하수흡입관(Pi)을 거친 지하수는 게이트밸브(Vg)와 체크밸브(Vc)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의 하부패널(112)에 구비되는 하부관통공(112a)으로 배출되도록 지하수토출관(Pu)을 통과하여, 여과실케이싱(110)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의 일측 또는 압축스프링(141)의 상단부 일측에는 디스크개폐체인(Ca)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개폐체인(Ca)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개폐디스크(D)에 연결되어 있어, 스프링지지패널(142)의 일측 또는 압축스프링(141)의 상단부 일측이 상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개폐디스크(D)는 상측방향으로 들려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토출관(Pu) 인접되게 역세수토출관(Pr)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역세수토출관(Pr)의 유로 중앙부 일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개폐디스크(D)가 배치되어 있는 역세수토출체크밸브(Vr)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의 상부 일측에는 여과수배출관(Po)이 결합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에 있어서,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에는 지하수토출관(Pu), 역세수토출관(Pr), 그리고 여과수배출관(Po)이 결합되어 있고, 펌프구동모터(120)에 의하여 작동되는 급수펌프(130)에 의하여 지하수가 양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여과기에 있어서, 여과시 여과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핸들(H)에 의하여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이 하측방향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스프링(141)은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에 연동되어 압축된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141)은 압축된 상태에서 좁은 틈새를 유지하며 압축되어 있어, 펌프구동모터(120)에 의하여 작동되는 급수펌프(130)에 의하여 지하수가 양수된 다음, 상기 좁은 틈새를 통과함에 따라 지하수가 여과된 다음, 상기 여과수배출관(Po)를 통하여 밖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여과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로크핀(P)은 상부패널(113)의 저면일측에 록킹된 상태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여과기에 있어서, 역세척시 역세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핀(P)이 상부패널(113)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록킹상태가 해지됨에 따라, 상기 압축스프링(141)도 압축상태에서 해지됨에 따라, 이에 연동되어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이 상측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의 일측 또는 압축스프링(141)의 상단부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개폐체인(Ca)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역세수토출체크밸브(Vr) 내측에 배치되어 있던 개폐디스크(D)가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압축상태에서 해지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실케이싱(110) 내측에 저장되어 있던 세척된 지하수는, 신장되어 있는 상기 압축스프링(141) 내부에 갇혀있던 모래나 기타 이물질은 역세수토출관(Pr)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면서 세정작업이 진행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여과기에 있어서, 주요구성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는, 내측의 중앙부에 압축스프링(141)이 압축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여과실케이싱(110)을 중심으로, 지하수토출관(Pu), 역세수토출관(Pr), 그리고 여과수배출관(Po)이 결합되어 있고, 펌프구동모터(120)에 의하여 작동되는 급수펌프(130)에 의하여 지하수가 양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하수가 양수됨에 따라 압축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압축스프링(141)의 좁은 틈새를 거침으로써, 양수된 상기 지하수는 여과되고, 작동핸들(H)이 회동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누름상태에서 해지됨에 따라, 상기 압축스프링(141) 내부에 갇혀있는 모래나 기타 이물질이 역세수토출관(Pr)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감지센서(150), 작동핸들회동모터(Mh), 그리고 작동핸들누름부재(Ph)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오염감지센서(150), 작동핸들회동모터(Mh), 그리고 작동핸들누름부재(Ph)를 더 구비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에 따르면, 상기 작동핸들누름부재(Ph)에 의하여 상기 작동핸들(H)이 최대한 낮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하수흡입관(Pi)을 통하여 흡입된 지하수가, 여과실케이싱(110)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압축스프링(141)의 틈새를 거치면서 여과된다.
또한, 장시간에 걸쳐서 여과가 진행되다가, 상기 오염감지센서(150)에 의하여 오염정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오염감지센서(150)의 감지데이터에 연동되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핸들회동모터(Mh)와 작동핸들누름부재(Ph)가 작동되되, 최대한 낮게 배치되어 있던 상기 작동핸들(H)이 작동핸들회동모터(Mh)에 의하여 회동되고, 상기 작동핸들누름부재(Ph)가 해지ㆍ작동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누름상태에서 해지되어 비로소 세정작업이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여과기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은,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가 여과대상의 지하수취수 대상지역에 설치되는 단계(S110);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의 전원이 온(on)되는 단계(S120); 펌프구동모터(120)가 작동됨에 따라, 급수펌프(130)가 작동되는 단계(S130); 상기 급수펌프(130)가 작동됨에 따라, 지하수흡입관(Pi)을 통하여 지하수가 흡입되는 단계(S140); 상기 지하수흡입관(Pi)을 통하여 흡입된 지하수가, 여과실케이싱(110)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압축스프링(141)의 틈새를 거치면서 여과되는 단계(S150); 지하수 여과가 지속된 이후, 작동핸들(H)이 회동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누름상태에서 해지되어 신장되는 단계(S160); 상기 작동핸들(H)의 회동이 진행됨에 따라, 역세수토출체크밸브(Vr) 내측에 배치되어 있던 개폐디스크(D)가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개폐체인(Ca)에 의하여 열리는 단계(S170); 및 상기 여과실케이싱(110) 내측에 저장되어 있던 세척된 지하수가 신장되어 있는 상기 압축스프링(141) 내부에 갇혀있던 모래나 기타 이물질이 역세수토출관(Pr)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면서 세정작업이 진행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오염감지센서(150), 작동핸들회동모터(Mh), 그리고 작동핸들누름부재(Ph)를 더 구비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에 따르면, 압축스프링(141)이 누름상태에서 해지되어 신장되는 상기 단계(S160) 내지 세정작업이 진행되는 상기 단계(S180)는, 오염감지센서(150)에 의하여 오염정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작동핸들(H)이 작동핸들회동모터(Mh)에 의하여 회동되고, 상기 작동핸들누름부재(Ph)가 해지ㆍ작동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누름상태에서 해지되어 비로소 세정작업이 진행되는 단계(S210);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에 따르면, 내측의 중앙부에 압축스프링(141)이 압축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여과실케이싱(110)에는 펌프구동모터(120)에 의하여 작동되는 급수펌프(130)가 직결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전체 여과장치의 크기가 종래대비 1/2의 높이에서 구현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기초공사를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특히 유지보수 그리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에 따르면, 여과실케이싱(110)의 내측의 중앙부에 압축스프링(141)이 압축/압축해지됨에 따라, 여과/역세척 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세척 및 역세척과정이 용이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에 따르면, 압축스프링(141)이 압축/압축해지됨에 따라, 여과/역세척 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여과모드에서 역세척모드로의 전환이 신속할 뿐만 아니라, 역세척모드에서 여과모드로의 전환도 신속함으로써, 사용 및 운전이 원활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110 : 여과실케이싱 111 : 가이드패널
112 : 하부패널 112a : 하부관통공
113 : 상부패널 113h : 핸들삽입구
113p : 로크핀삽입구 120 : 펌프구동모터
130 : 급수펌프 140 : 여과부재
141 : 압축스프링 142 : 압축스프링지지패널
142a : 가이드홈 150 : 오염감지센서
Ca : 디스크개폐체인 D : 개폐디스크
H : 작동핸들 Hs : 작동핸들축
Mh : 작동핸들회동모터 P : 로크핀
Ph : 작동핸들누름부재 Pi : 지하수흡입관
Po : 여과수배출관 Pr : 역세수토출관
Pu : 지하수토출관 Vc : 체크밸브
Vg : 게이트밸브 Vr : 역세수토출체크밸브

Claims (7)

  1. 스프링여과기로서,
    상측에는 상부패널(113)이 결합되어 있고, 중앙부에 하부관통공(112a)이 관통ㆍ형성되어 있는 하측에는 하부패널(11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는 여과수배출관(Po)이 관통되게 연결되어 있는 여과실케이싱(110):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의 하부패널(112) 상측면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141);
    상기 압축스프링(141)의 상단부에 접촉되게 상기 여과실케이싱(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 및
    상기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의 상측면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상부패널(113) 밖으로 상단부가 돌출되게 배치되는 작동핸들축(Hs);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관통공(112a)를 통하여 양수되는 지하수가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압축된 상태에서, 압축된 상기 압축스프링(141)의 틈새를 통과됨에 따라 여과되어, 상기 여과수배출관(Po)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통공(112a)를 통하여 양수되는 지하수는, 상기 하부관통공(112a)에 직결되는 펌프에 의하여 양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실케이싱(110) 하단 일측에 역세수토출관(Pr)이 구비되고, 압축된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압축이 해지됨에 따라, 상기 여과실케이싱(110) 내측에 저장되어 있던 세척된 지하수에 의하여, 신장되어 있는 상기 압축스프링(141) 내부에 갇혀있던 모래나 기타 이물질이 역세수토출관(Pr)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수토출관(Pr) 내측에 배치되는 개폐디스크(D)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디스크(D)에 의하여 상기 역세수토출관(Pr)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디스크(D)는 상기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의 일측 또는 압축스프링(141)의 상단부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개폐체인(Ca)에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6. 여과/역세척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가 여과대상의 지하수취수 대상지역에 설치되는 단계(S110);
    본 발명의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100)의 전원이 온(on)되는 단계(S120);
    펌프구동모터(120)가 작동됨에 따라, 급수펌프(130)가 작동되는 단계(S130);
    상기 급수펌프(130)가 작동됨에 따라, 지하수흡입관(Pi)을 통하여 지하수가 흡입되는 단계(S140);
    상기 지하수흡입관(Pi)을 통하여 흡입된 지하수가, 여과실케이싱(110)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압축스프링(141)의 틈새를 거치면서 여과되는 단계(S150);
    지하수 여과가 지속된 이후, 작동핸들(H)이 회동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누름상태에서 해지되어 신장되는 단계(S160);
    상기 작동핸들(H)의 회동이 진행됨에 따라, 역세수토출체크밸브(Vr) 내측에 배치되어 있던 개폐디스크(D)가 압축스프링지지패널(142)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개폐체인(Ca)에 의하여 열리는 단계(S170); 및
    상기 여과실케이싱(110) 내측에 저장되어 있던 세척된 지하수가 신장되어 있는 상기 압축스프링(141) 내부에 갇혀있던 모래나 기타 이물질이 역세수토출관(Pr)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면서 세정작업이 진행되는 단계(S1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압축스프링(141)이 누름상태에서 해지되어 신장되는 상기 단계(S160) 내지 세정작업이 진행되는 상기 단계(S180)는,
    오염감지센서(150)에 의하여 오염정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작동핸들(H)이 작동핸들회동모터(Mh)에 의하여 회동되고, 상기 작동핸들누름부재(Ph)가 해지ㆍ작동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41)이 누름상태에서 해지되어 비로소 세정작업이 진행되는 단계(S210);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KR1020150027376A 2015-02-26 2015-02-26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KR10166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376A KR101660310B1 (ko) 2015-02-26 2015-02-26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376A KR101660310B1 (ko) 2015-02-26 2015-02-26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393A true KR20160104393A (ko) 2016-09-05
KR101660310B1 KR101660310B1 (ko) 2016-10-10

Family

ID=5693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376A KR101660310B1 (ko) 2015-02-26 2015-02-26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3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95A (ko) * 2016-09-28 2018-04-06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여과장치를 구비한 원거리 방제기
KR20180037804A (ko) * 2016-10-05 2018-04-13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 장치
WO2018190654A1 (ko) * 2017-04-12 2018-10-18 재단법인 탄소순환형 차세대 바이오매스 생산전환 기술연구단 원심펌프의 회전체에 의해 분리막의 파울링이 저감된 여과모듈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CN115253691A (zh) * 2021-04-30 2022-11-01 恩特格里斯公司 滤筒、设备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594A (ko) * 1999-07-30 2001-02-26 다까다 요시유끼 역세정기구가 부착된 필터장치
JP2014217791A (ja) * 2013-05-01 2014-11-20 尚之 生田 飲料水用の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594A (ko) * 1999-07-30 2001-02-26 다까다 요시유끼 역세정기구가 부착된 필터장치
JP2014217791A (ja) * 2013-05-01 2014-11-20 尚之 生田 飲料水用の濾過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95A (ko) * 2016-09-28 2018-04-06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여과장치를 구비한 원거리 방제기
KR20180037804A (ko) * 2016-10-05 2018-04-13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 장치
WO2018190654A1 (ko) * 2017-04-12 2018-10-18 재단법인 탄소순환형 차세대 바이오매스 생산전환 기술연구단 원심펌프의 회전체에 의해 분리막의 파울링이 저감된 여과모듈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CN115253691A (zh) * 2021-04-30 2022-11-01 恩特格里斯公司 滤筒、设备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310B1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55615B (zh) 一种带自清洗功能的初雨收集处理系统
KR101660310B1 (ko)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KR101160567B1 (ko)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우수 정화장치
CN107866102B (zh) 浮动式水质净化系统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1759931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KR20120005808A (ko)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KR100673075B1 (ko) 생태 연못의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수질 정화 방법
CN1911832A (zh) 虹吸式全自动运行曝气生物滤池
KR101608043B1 (ko) 비점오염 처리 시설
KR101698590B1 (ko) 무동력 비점오염 처리장치
KR101390567B1 (ko) 하수 고액분리 집수정
KR101202895B1 (ko) 빗물 저류 장치
CN208200550U (zh) 一种吸附效果好的污水净化处理装置
KR100760969B1 (ko) 빗물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103157317A (zh) 一种水过滤器装置及其冲洗方法
KR20240007043A (ko) 압축분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처리 장치
CN203264364U (zh) 一种360度进水旋转水下过滤床装置
CN204959862U (zh) 初期雨水弃流过滤自动控制装置
KR20040106906A (ko) 다가구 주택용 물탱크의 여과 장치
KR100888450B1 (ko) 지하수여과처리장치
AU2014330107B2 (en)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 liquid
CN104402137B (zh) 上流式混凝布滤装置及方法
CN2482550Y (zh) 全自动净水器
CN103272416B (zh) 一种360度进水旋转水下过滤床装置及过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