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808A -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 Google Patents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808A
KR20120005808A KR1020100066472A KR20100066472A KR20120005808A KR 20120005808 A KR20120005808 A KR 20120005808A KR 1020100066472 A KR1020100066472 A KR 1020100066472A KR 20100066472 A KR20100066472 A KR 20100066472A KR 20120005808 A KR20120005808 A KR 20120005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ainwater storage
water
storage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6173B1 (ko
Inventor
조남수
Original Assignee
한삼코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삼코라(주) filed Critical 한삼코라(주)
Priority to KR1020100066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1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01D36/045Combination of filters with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Sewage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을 여과하여 장기저장 하는데 있어 물의 신선도가 유지되도록 저장조의 물을 대기 중으로 품어 올려 다시 저장하는 순환기능을 가지며 이를 위해 집수조, 여과장치, 빗물저수조, 펌프, 공기접촉조,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빗물을 장기저장 하면서 발생하는 수질악화와 냄새 등을 방지하여 오염되지 않는 빗물을 공급하는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붕, 옥상 , 마당 등의 빗물을 받아 모으는 집수조가 있고 집수된 초기빗물을 스파이럴 흐름과 여과망을 통과함으로서 찌꺼기나 현탁 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지하 및 옥내 저장 조에 저수하는 방법에서 대용량의 경우는 저장조의 내부에 도류벽을 두어 유체흐름을 일방향으로 유도하고 저장된 물을 높은 곳에 다공성 여재가 담겨있는 공기접촉 조에 펌프로 펌핑 하여 용존산소를 풍부하게 하고 이물질을 흡착한 후 이를 다시 저장 조에 담수하는 방법을 미리 입력된 타임 또는 컨트롤러 정보에 의해 주기적으로 자동순환시킴으로서 담수된 빗물이 항상 순환성을 갖게 됨으로써 따라서 장기간 저장에도 오염되지 않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RECYCLING SYSTEM OF RAINWATER}
본 발명은 빗물을 저장하는 건축물 또는 집수시설에 장기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빗물저장조에 있어서,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조에 집수되는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원심분리와 스테인리스 필터망으로 여과하는 여과장치와,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이물질이 여과된 빗물이 담수되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일측부에 형성된 배출관에는 펌프와 T자의 분기관이 있어 각기 분기관에는 밸브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T자 분기관의 한쪽에는 유량계가 있는 배수관과 상기 T자 분기관의 다른 쪽에는 순환관이 형성되는 빗물저장조, 상기 순환관을 통하여 올라온 빗물이 원통형 구조의 내부 UV램프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엔 유통공 챔버의 다공성 여재로 구성된 공기와 접촉하여 이물질을 흡착하고 용존산소를 풍부하게 하는 공기접촉조, 상기 공기접촉조에서 나온 빗물이 유입관으로 합류하여 다시 빗물저장조로 담수되도록 형성된 공기접촉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빗물저장은 오래전 조상들의 생활 속에 이용해온 삶의 한 방법이었다. 특히 산이나 강이 없는 도서지역은 근래에도 빗물을 이용하여 부족한 생활용수로 사용하고 있는데 빗물저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수자원용량이 부족하고 물 사용량이 급증한데에 따른 대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한국과 같은 강우량의 대부분이 여름철 우기에 집중되고 따라서 비가 내리지 않는 봄 가뭄에 물부족사태가 연례화되는 현실을 감안하면 장기간 동안 빗물을 저장하는 기술이 필요한 것이다.
현재 지방자치단체 조례 등에 의해 일정면적이상의 건축물에 대하여 빗물저장 조 설치를 권장하고 있으나 아직은 형식적이고 실제 널리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가 장기저장 시 이용수질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강우 시에 대기 중에 있는 산화물질이나 흙. 먼지가 섞이고 현탁 물질. 찌꺼기 등으로 인하여 저장이 되더라도 바로 사용하지 않아 냄새가 나거나 해충이 번식하여 화장실용수나 조경수로도 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지금까지의 빗물저장기술은 집수면적이 계산된 이용수량의 양적확보에만 치중한 결과로 장기저장에 따른 물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질적 저장기술의 확보가 없었던 것이 발명이 속하는 종래의 기술이다. 이러한 양적저장기능을 갖는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표적인 것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35870 내력벽을 이용한 빗물저장 조와 공개특허 10-2008-0112531 빗물저장탱크를 들 수 있다. 이는 지하에 설치된 구조물내력벽에 폐쇄 벽을 만들어 집수한 빗물을 저장조로 이용하는 것이며 또 하나는 지상의 빗물저장케이스로 건물의 지붕. 옥상에 받은 빗물을 집수한 후 하수구로 보내는 우수관상에 필터링을 구비하여 이를 내부공간에 저장하고 내부배관은 U자 형상으로 토출하고 하단에는 드레인관을 구비한 후 유량계를 장착한 배출관을 갖는다. 따라서 지하내력벽을 이용한 빗물저장 조는 단지 빗물만 저장하는 기능만 가지는 것으로 여름철 강우 시 저장하였다가 가을. 겨울. 봄의 건기 시에 이용하고자 할 때는 장기저장으로 인하여 집수 시 여과처리를 하더라도 미세물질과 영양염류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고 심지어는 모기 등 해충이 발생하고 악취가 발생하는 등 허드레 물로 사용하기에도 곤란한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한편 내부배관을 갖는 빗물저장탱크는 집중강우 시 빗물이용에 한계가 있고 소규모용량으로 다수를 설치해야 필요용수를 확보할 수 있고 순환기능이 없어 장기저장 시 역시 수질오염을 피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빗물저장에 있어 중요한 과제는 초기강우 시 흙. 먼지와 이물질 등이 빗물홈통 속에 씻어 내려갈 때 초기빗물을 제거함이 필요하며 빗물을 여과하는 장치에 있어 처리효율을 높이는 것과 한국처럼 강수량과 물의 수요 가 시기에 따라 일정하지 않고 강수량이 주로 여름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저장량이 작으면 필요한 시기에 물이 부족해서 이용성이 없으므로 저장량을 크게 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 장기저장에 따른 수질오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할 기술적 과제가 필요한 것이다. 한편 물 사용량 급증과 고비용의 상수도 절약을 위해서 빗물저장의 극대화가 매우 절실하며 따라서 용량규모가 큰 저장 조에서 빗물이 장기간동안 저장될 때 오염되지 않게 수질이 유지될 수 있는 기술을 달성해야 한다. 이는 물이 흐르지 않고 고여 있을 때 그것도 영양염류와 이물질이 있는 빗물을 특히 지하공간에서 장기 저장된다고 볼 때 심하게 오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빗물저장의 용도인 화장실, 조경수 등 허드렛물로 쓰는 빗물을 비용이 수반되는 정수처리를 할 수도 없고 그냥 저장하여 훗날 필요한 시기에 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물의 오염을 피할 수 없는 것이 지금까지의 현실이었다.
본 발명은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빗물을 저장하는 건축물 또는 집수시설에 장기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빗물저장조에 있어서,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조에 집수되는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원심분리와 스테인리스 필터망으로 여과하는 여과장치와;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이물질이 여과된 빗물이 담수되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일측부에 형성된 배출관에는 펌프와 T자의 분기관이 있어 각기 분기관에는 밸브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T자 분기관의 한쪽에는 유량계가 있는 배수관과 상기 T자 분기관의 다른 쪽에는 순환관이 형성되는 빗물저장조; 순환관을 통하여 빗물저장조 위쪽에 설치된 원통형 구조로 구성되어 상단에서 하부로 UV램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외측에 층층이 부착된 반원형으로 형성된 유통공 챔버의 바닥에는 다공성 여재가 깔려 있으며 차례로 유통공을 통과한 빗물이 빗물유입관으로 합류하여 다시 빗물저장조로 담수되도록 형성된 공기접촉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저장조 내부에 도류벽을 구비하여 일방향의 수로형태의 유체흐름을 유도하고 수로에서 약간의 깊이를 갖는 맨홀 구비하여 침전물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접촉조의 유통공챔버를 서랍식 또는 계단식형태로 구성하여 서랍식은 사각형의 유통공 챔버를 형틀에서 출납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계단식은 사각형의 일반챔버를 출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다공성 여재를 필요시 교체하고 소성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저장조의 수위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형성되어 제어부가 수위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빗물저장조에 저수되어 있는 저수량 저장기간을 파악하여 물의 이용 계획에 따라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장치는 원통형 3중구조의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어 상단부 덮개에는 수위센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원뿔형 구조로 드레인 밸브가 형성되어 있어 유입되는 빗물이 외측 상부 측면을 통하여 회전수류를 이루면서 침전성 이물질을 아래로 모이게 하며, 상향류를 이루면서 오버되는 빗물은 스파이럴 유도판을 통해 다시 내려오면서 회전력과 스테인리스 여과망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지고 초기 만수위 빗물을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설정된 1~3회 자동으로 드레인되어 초기오염된 빗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빗물저장유지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 또는 타이머에 의해 빗물저장조의 저장기간 및 저장량이 생활용수로 배수되는 유량과 수질이 관리자에게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빗물저장에 있어 중요한 점은 처음 비가 오기시작 할 때 흙, 먼지와 동물의 배설물 등과 대기 중의 산화물질이 씻겨 들어가 이를 저장할 때 오염도가 증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초기빗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장치의 덮개에 수위센서가 형성되어 있어 초기빗물이 여과장치내로 유입시 만수가 되면 1~3회 범위안에 설정신호에 의해 여과장치의 하부의 드레인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초기오염물질의 빗물저장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기빗물의 오염물질유입을 차단하며 여과장치에서 입자성 물질을 원심분리와 필터링으로 제거하며 용량이 큰 빗물저장조에서는 도류벽을 이용한 수로형 구조를 가짐으로 일방향의 흐름을 유도하고 따라서 배출관에 설치된 펌프에 의해 공기접촉조로 빗물을 보낼 수 있으며, 따라서 빗물의 순환구조를 가짐으로 수질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미리 설정된 타이머 또는 프로그램에 입력된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어, 빗물저장조 내부에서는 정체수가 없고 정기적으로 빗물이 순환됨으로써 선도가 유지되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의 여과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의 빗물저장조의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의 빗물저장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의 공기접촉조의 부분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의 공기접촉조의 또 다른 실시예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의 공기접촉조의 또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의 시스템 블럭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빗물의 장기저장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집수되는 빗물에 섞여 있는 흙, 먼지, 낙엽, 동물의 배설물 등을 초기빗물로 유입 시 이를 제거하기 위해선 여과장치에 옵션기술이 필요하다.
여과장치(20)는 집수조(10)를 통해 입수된 빗물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외측의 스테인리스 필터망(24)을 통과하고, 통과하지 못한 물은 바로 드레인되기 때문에 집수량이 적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집수되는 빗물을 외측 상부 측면으로 연결된 유입구로 통해 내부에서 스파이럴의 회전흐름을 갖게 하고 이로 인한 원심분리로 무게가 있는 침전성 이물질을 바닥에 침전시켜 걸러내며, 침전성 이물질이 걸러진 빗물이 상부로 상향류를 이르게 한 후 오버되면서 벽체에 형성된 스파이럴 유도판(23)을 통하여 빗물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외측의 스테인리스 필터망(24)을 통과하여 빗물저장조에 담수되며, 스테인리스 필터망(24)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과 잔여 빗물은 드레인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여과장치(20)는 오염된 초기빗물을 드레인하기 위하여 덮개(29)에는 수위센서(25)가 형성되어 있어 초기빗물의 유입시 일정수위가 되면 여과장치(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드레인밸브(27)가 개방되어 방류한 후 다시 수위가 올라가더라도 설정한 1~3회 동작으로 끝남으로써 여과된 빗물을 빗물저장조(30)에 보낼 수 있다.
상기 여과장치(20)의 측면에서 내측 둘레면을 타고 빗물이 유입되기 때문에 회전수류를 형성하고 하부에 침전물을 모이게 되며 차오르는 빗물은 상부에서 오버되면서 내부 원통형 외벽에 부착된 스파이럴 유도판(23)을 타고 내려가면서 외측의 스테인리스 필터망(24)에 빗물이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빗물이 스파이럴 회전력에 의해 스테인리스 필터망(24)을 통과하기 때문에 집수효율이 높고 여과되는 이물질은 하부로 계속하여 씻겨 내려가므로 스테인리스 필터망(24)이 막히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여과장치(20)는 상부에는 수위센서(25)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로는 원뿔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드레인 밸브(27)가 장착된 3중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한편 빗물저장조(30)는 가정집 등 소용량의 경우 원통형 물탱크도 무방하나 공공시설, 또는 공장 등 대형규모의 빗물저장조(30)는 내부에 도류벽(33)을 설치하여 수로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빗물저장조(30)의 체적이 클 경우 유체거동에 따른 정체구역이 없게 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일방향의 물 흐름을 유도하여 본 발명의 달성하고자 하는 빗물의 순환구조로 흐르게 하여 정체수가 발생하지 않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순환구조는 단순히 흘러가서 되돌아 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배출관(31) 쪽에 설치된 펌프(35)에 의해 펌핑 된 물이 순환관(15)을 통해 빗물저장조(30) 위쪽에 설치된 공기접촉조(40)로 보내지고 공기접촉조(40)를 통과한 물은 순환관(15)의 반대쪽에 구성된 유입관(16)에 연결되어 떨어져 계속 순환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공기접촉조(40)는 내부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아래쪽의 엘보(14) 형태로 입수된 빗물은 회전수류로 형성하면서 차오르게 되고 중앙에는 상부에서 내리 설치된 UV램프(41)가 있어 빗물을 살균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공기접촉조(40)에 입수된 빗물은 상층부에서 오버되면서 다단으로 이루어진 원반형 유통공 챔버(42)를 통과하게 되고 원반형 유통공 챔버(42)의 바닦에는 다공성 여재(43)가 바닥에 깔려있어 이물질을 흡착하게 되며, 하단의 원반형 유통공 챔버(42)에 물이 떨어지면서 공기와 접촉하게 된다.
한편 공기접촉조(40)의 원반형 유통공 챔버(42)를 서랍식 또는 계단식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서랍식은 사각형 유통공 챔버(42a)가, 계단형은 사각형 일반 챔버(42b)로 형성되어 형틀에서 출납이 가능하며, 일반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다공성 여재(43)를 교체하기 용이하며 교체한 다공성 여재(43)는 기공이 있는 세라믹 또는 돌 등이 바람직하며, 1000°C 이상으로 소성하여 흡착된 유기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공공시설 등 대용량의 빗물저장조(3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육면체의 사각수조내부에 도류벽(33)을 설치하여 수로형태의 구조를 갖게 하여 빗물이 유입되어 일 방향으로 흘러 배출관(13) 쪽에 도달하게 하고 일정길이 수로 폭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턱을 설치하고 턱 아래 직전에는 약간의 깊이를 갖는 맨홀(34)을 설치하여 침전물을 모을 수 있으며 바닥으로 침전물을 청소관(36)을 통해 제거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정된 타이머 또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배출관(13)에 펌프(35)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관(13)의 일측부에 T자 분기된 배수관(14)관과 순환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14)과 순환관(15)에는 각각 밸브(38)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관(14)의 일측부에 유량계(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순환관(15)은 지상 또는 빗물저장조(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접촉조(40)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접촉조(40)에 UV램프(41)에 살균되고 다공성여재(43)를 거친 빗물이 원반형 유통공 챔버(42)에 떨어지면서 공기와 접촉되고 유입관(16)으로 연결된 후 빗물저장조(30)에 담수됨으로써 설정타임 또는 저장프로그램에 의하여 빗물의 순환흐름을 가진다.
이러한 시스템구성은 강수량을 고려한 빗물저장조(30)의 용량에 대한 이용수량을 계산하고 장기저장에 따른 순환횟수와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자동으로 수리적 거동을 갖게 함으로써 장기저장에 따른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탁도 및 잔류염소를 체크하여 이를 컨트롤러에 입력되어 관리자에게 유무선 통신을 전송함으로써 장기저장의 관리가 효율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들어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로 집수조(10), 여과장치(20), 빗물저장조(30), 펌프(35), 공기접촉조(40)와 배관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구조는 빗물저장조(30)의 수위도 체크되어 빗물저장량이 컨트롤러(50)에 의해 관리자에게 유무선 통신으로 통보되고 따라서 이용수량을 계획할 수 있으며, 강우 시 나 가뭄에 적절하게 펌프가동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에 섞여 들어오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장치(20)로 상단부 측면에 형성된 입수관(11)으로 입수된 빗물이 원통형에서 회전수류로 차오르고 바닥은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입자가 큰 침전성 이물질이 아래쪽으로 모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드레인 밸브(27)에 장착되어 초기빗물 유입시 수위가 상승하면 1~3회 내에서 설정 횟수에 따라 자동으로 밸브(27)가 개방되므로 초기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빗물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수류에 의해 상향류되는 빗물이 내측 원통형 외벽에 형성되어 있는 스파이럴 유도판(23)에 의해 하부를 향해 내려오면서 회전력에 의해 외측의 스테인리스 필터망(24)을 통과하여 미세입자가 제거되며, 여과된 빗물은 빗물저장조의 유입관(16)으로 흘러가고 제거된 미세입자는 아래쪽으로 씻거내려가 드레인되어 방류하게 되며 폭우 시에도 여과장치(20)의 스테인리스 필터망(24)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과다빗물을 드레인되어 투수층에 방류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벽을 포함한 3중구조의 여과장치(20)는 기존의 이중구조의 여과조에 비하여 입자성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고 빗물의 회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장점이 있다.
도 3은 일반주택 및 소규모 용량은 일반 저장탱크로 무방하나 대용량의 경우 빗물저장조(30) 내부를 도류벽(33)을 형성함으로써, 수로형태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수로형태의 빗물저장조(30)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PDF가 바람직하다.
도 3a는 수로 폭에 약간의 높이를 갖는 턱을 주고 직전 아래에 약간의 깊이를 갖는 직사각의 맨홀(34)을 설치하여 턱에 의해 모여진 침전물은 외부로 연결된 청소관(36)을 통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접촉조(40)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로 지상 또는 빗물저장조(30)의 위쪽에 설치되고, 빗물저장조(30)의 배출관(13)의 펌프(35)와 이어 T자 분기된 배수관(14)과 순환관(15)에는 각각 밸브(37)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관(14)에는 유량계(38)가 형성되어 있으며, 빗물사용량이 컨트롤러에 입력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배수관의 밸브가 닫히고 순환관의 밸브가 열려 펌프에 의하여 공기접촉조로 올라온 빗물이 원통형 수조의 하부 측면에 엘보관(15)으로 유입되어 회전수류로 차오르고 상단부 중앙에 UV 램프(41)가 형성되어 살균소독하며, 상단부 직전에 오픈된 외벽으로 오버된 빗물은 원반형태의 다단으로 구성된 원반형 유통공 챔버(42)에 차례차례 거치면서 원반형 유통공 챔버(42)의 바닥에 깔린 다공성 여재(43)와 유통공을 통과하고 공기와 접촉하여 빗물의 이물질을 흡착하고 용존산소를 풍부하게 하여 빗물의 선도를 향상시킨다.
도 4a는 다공성 여재(43)를 일정기간 이후 소성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출납이 가능한 별도의 사각형 유통공 챔버(42a)를 갖는 구조의 평면도로서 다공성 여재(43)의 교체 편의성을 갖게 하는 것이다.
도 4b는 상기 서랍식의 또 다른 형태인 계단식 공기접촉조 형태로서 유통공이 없는 사각형 일반 챔버(42b)를 갖는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빗물저장조(30)에 설치된 수위센서에 의해 현재 저장량이 컨트롤러에 의해 관리자에게 유무선 통신으로 전송되어 빗물이용수량을 수립할 수 있으며, 장기저장 시 순환횟수와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불록도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치환할 수 있다.
10:집수조
11:입수관
12:드레인관
13:배출관
14:배수관
15:순환관
16:유입관
20:여과장치
23:스파이럴 유도판
24:스테인리스필터망
25:수위센서
27:드레인밸브
29:덮개
30:빗물저장조
33:도류벽
34:맨홀
35:펌프
36:청소관
37:밸브
38:유량계
40:공기접촉조
41:UV램프
42:원반형 유통공챔버
42a:사각형 유통공챔버
43b:사각형 일반챔버
43:다공성여재
50:컨트롤러

Claims (6)

  1. 빗물을 저장하는 건축물 또는 집수시설에 장기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빗물저장조에 있어서,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조에 집수되는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원심분리와 스테인리스 필터망으로 여과하는 여과장치와;
    상기 여과장치를 통해 이물질이 여과된 빗물이 담수되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일측부에 형성된 배출관에는 펌프와 T자의 분기관이 있어 각기 분기관에는 밸브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T자 분기관의 한쪽에는 유량계가 있는 배수관과 상기 T자 분기관의 다른 쪽에는 순환관이 형성되는 빗물저장조;
    순환관을 통하여 빗물저장조 위쪽에 설치된 원통형 구조로 구성되어 상단에서 하부로 UV램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외측에 층층이 부착된 반원형으로 형성된 유통공 챔버의 바닥에는 다공성 여재가 깔려 있으며 차례로 유통공을 통과한 빗물이 빗물유입관으로 합류하여 다시 빗물저장조로 담수되도록 형성된 공기접촉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장조 내부에 도류벽을 구비하여 일방향의 수로형태의 유체흐름을 유도하고 수로에서 약간의 깊이를 갖는 맨홀 구비하여 침전물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접촉조의 챔버를 서랍식형태의 사각형 유통공 챔버 또는 계단식형태의 사각형 일반 챔버로 구성하여, 상기 챔버가 형틀에서 출납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다공성 여재를 필요시 교체하고 소성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장조의 수위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형성되어 제어부가 수위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빗물저장조에 저수되어 있는 저수량 저장기간을 파악하여 물의 이용 계획에 따라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는 원통형 3중구조의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어 상단부 덮개에는 수위센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원뿔형 구조로 드레인 밸브가 형성되어 있어 유입되는 빗물이 외측 상부 측면을 통하여 회전수류를 이루면서 침전성 이물질을 아래로 모이게 하며, 상향류를 이루면서 오버되는 빗물은 스파이럴 유도판을 통해 다시 내려오면서 회전력과 스테인리스 여과망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지고 초기 만수위 빗물을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설정된 1~3회 자동으로 드레인되어 초기오염된 빗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빗물저장유지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러 또는 타이머에 의해 빗물저장조의 저장기간 및 저장량이 생활용수로 배수되는 유량과 수질이 관리자에게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KR1020100066472A 2010-07-09 2010-07-09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KR10122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472A KR101226173B1 (ko) 2010-07-09 2010-07-09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472A KR101226173B1 (ko) 2010-07-09 2010-07-09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08A true KR20120005808A (ko) 2012-01-17
KR101226173B1 KR101226173B1 (ko) 2013-01-24

Family

ID=4561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472A KR101226173B1 (ko) 2010-07-09 2010-07-09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17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4243B (zh) * 2013-09-27 2016-09-14 贵州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用于无人看守水塔的控制系统
CN105971071A (zh) * 2016-06-30 2016-09-28 安徽清扬水处理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静音低阻无负压供水设备
CN107100233A (zh) * 2017-06-16 2017-08-29 湖南省泰亨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自洁水箱
CN109750720A (zh) * 2019-03-06 2019-05-14 宁波巨神制泵实业有限公司 一种包括升降水泵的水库抽水装置
CN110714508A (zh) * 2019-09-28 2020-01-21 深圳中物智建科技有限公司 建筑工地中水循环利用系统
KR20200014077A (ko) * 2018-07-31 2020-02-10 이종현 상수 이송 장치
CN114645561A (zh) * 2022-04-20 2022-06-21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雨污水在建筑工地的循环利用方法
NL2028459B1 (en) * 2021-06-15 2022-12-21 Blue Innovations B V System for the Distribution and Retention of Rain Water
CN116733063A (zh) * 2023-06-30 2023-09-12 郑州大学综合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雨水收集循环系统及方法
CN117861295A (zh) * 2024-03-12 2024-04-12 山东泉涌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海绵城市的雨水过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62B1 (ko) * 2020-07-21 2021-01-14 신정훈 빗물을 중수도 수준으로 정화하여 저장하는 빗물순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082A (ja) * 1994-10-06 1996-04-23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ビル給水設備の劣化検出方法
JPH1076252A (ja) 1996-09-03 1998-03-24 Keiichi Fujita 雨水濾過システム
KR20000000096A (ko) * 1999-09-13 2000-01-15 이성진 물탱크
KR200328429Y1 (ko) 2003-07-01 2003-09-29 한삼코라(주) 간이 상수도용 침전 분리여과방식의 기능성 물탱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4243B (zh) * 2013-09-27 2016-09-14 贵州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用于无人看守水塔的控制系统
CN105971071A (zh) * 2016-06-30 2016-09-28 安徽清扬水处理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静音低阻无负压供水设备
CN107100233A (zh) * 2017-06-16 2017-08-29 湖南省泰亨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自洁水箱
KR20200014077A (ko) * 2018-07-31 2020-02-10 이종현 상수 이송 장치
CN109750720B (zh) * 2019-03-06 2023-12-15 宁波巨神制泵实业有限公司 一种包括升降水泵的水库抽水装置
CN109750720A (zh) * 2019-03-06 2019-05-14 宁波巨神制泵实业有限公司 一种包括升降水泵的水库抽水装置
CN110714508A (zh) * 2019-09-28 2020-01-21 深圳中物智建科技有限公司 建筑工地中水循环利用系统
NL2028459B1 (en) * 2021-06-15 2022-12-21 Blue Innovations B V System for the Distribution and Retention of Rain Water
WO2022265502A1 (en) 2021-06-15 2022-12-22 Blue Innovations B.V. System for the distribution and retention of rain water
CN114645561A (zh) * 2022-04-20 2022-06-21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雨污水在建筑工地的循环利用方法
CN116733063A (zh) * 2023-06-30 2023-09-12 郑州大学综合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雨水收集循环系统及方法
CN117861295A (zh) * 2024-03-12 2024-04-12 山东泉涌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海绵城市的雨水过滤装置
CN117861295B (zh) * 2024-03-12 2024-05-10 山东泉涌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海绵城市的雨水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173B1 (ko)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173B1 (ko)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777516B1 (ko) 조정식 표면 세정 메카니즘을 가진 필터 카트리지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KR101741957B1 (ko) 빗물 저류조를 활용한 연못 순환 시스템
KR101010391B1 (ko) 강우 감지를 이용한 우수 처리 및 사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061208B1 (ko) 빗물 이용 장치
KR101160567B1 (ko)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우수 정화장치
KR101381402B1 (ko) 초기빗물 배제장치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1266939B1 (ko) 초기우수배제, 역세척, 폭우 시 월류 기능이 있는 무동력 빗물여과 및 포집장치
KR101556157B1 (ko) 빗물의 여과 및 정화장치
CN110984351A (zh) 一种初期雨水自动分流装置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KR101339617B1 (ko) 교량용 초기우수 비점오염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3075B1 (ko) 생태 연못의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수질 정화 방법
JP2002371596A (ja) 雨水の有効利用システム
KR101744938B1 (ko) 비점 오염 초기 우수 처리시스템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KR101202677B1 (ko) 우수 및 예비수 정화장치
KR101555447B1 (ko)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100699326B1 (ko) 우수정수장치 및 그 정수방법
KR101639004B1 (ko) 초기 빗물의 정화 배제 기능이 강화된 빗물재이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