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412Y1 -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412Y1
KR200414412Y1 KR2020060002453U KR20060002453U KR200414412Y1 KR 200414412 Y1 KR200414412 Y1 KR 200414412Y1 KR 2020060002453 U KR2020060002453 U KR 2020060002453U KR 20060002453 U KR20060002453 U KR 20060002453U KR 200414412 Y1 KR200414412 Y1 KR 200414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astening
manhole cover
groun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주) 경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경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경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02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4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맨홀과 지면과의 높이를 동일하도록 맨홀뚜껑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맨홀뚜껑과 지면과의 높이차를 줄이므로 인해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에 따른 시간 및 인력손실을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지면에 형성되어 출입 통로 역할을 하는 맨홀(10)과, 상기 맨홀(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맨홀뚜껑(20)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20)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맨홀(10)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삽입되는 삽입원통부(4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체결돌부(41)를 형성하며, 상기 맨홀(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각 체결돌부(41)의 삽입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삽입홈부(30)에는 각 체결돌부(41)가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삽입홈부(30)와 직교되게 복수개의 체결홈부(31)를 형성한 것이다.
맨홀, 맨홀 뚜껑, 삽입원통부, 체결돌부, 삽입홈부, 체결홈부

Description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STRUCTURE FOR HEIGHT ADJUSTMENT OF MANHOLE}
도 1은 일반적인 맨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맨홀 구조를 단면상태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맨홀에 맨홀 뚜껑이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맨홀에 맨홀 뚜껑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맨홀에서 맨홀 뚜껑이 높이 조절된 상태로 설치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맨홀 20: 맨홀뚜껑
30: 삽입홈부 31: 체결홈부
40: 삽입원통부 41: 체결돌부
50: 덧씌워진 지면
본 고안은 도로나 보도의 노면에 설치되는 맨홀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맨홀로부터 맨홀뚜껑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맨홀은 전기선이나 통신선 및 상·하수 시설, 가스 시설 등 지중시설물을 매설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지중시설물에 대한 출입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의 맨홀은 도로나 보도의 지면에 설치된다.
종래에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시설물을 매설하거나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도로나 보도의 지면(1)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맨홀(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맨홀(10)의 상단부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10a)에 얹혀져서 안착되는 맨홀뚜껑(20)을 설치하여 상기 맨홀뚜껑(20)에 의해 상기 지중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해주면서 보행자 또는 차량의 통행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맨홀 구조는 아스팔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포장에 의해 성형된 도로나 보도의 지면은 차량의 운행 및 오랜 시간의 흐름으로 파손되거나 태양열에 의해 굴곡이 발생되어 상기 맨홀의 주변이 움푹 파임에 따라 교통사고의 위험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보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 및 보도에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포장을 재시공하기 위해 포장된 지면을 걷어내고 상기 걷어낸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포장보다 낮게 지면을 재시공할 경우 상기 맨홀 및 맨홀뚜껑이 지면보다 높아 튀어나오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운행 중인 차량이 덜컹되므로 차량의 손상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됨은 물론 보행자의 보행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맨홀의 주변 지면이 파여진 부분에 아스팔트를 덧씌우게 되면 상기 지면과 맨홀과의 높이차가 발생됨에 따라 차량이 통과할 때 덜컹대는 등 심한 충격을 받게 되므로 차량사고의 원인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아스팔트가 덧씌워진 지면과 상기 맨홀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상기 맨홀을 재시공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 맨홀을 재시공하기 위한 설치비용이 많이 듦은 물론 설치작업에 따른 시간 및 인력 손실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맨홀의 구조를 변경하도록 하여 상기 맨홀의 맨홀뚜껑과 지면과의 높이를 동일하도록 상기 맨홀뚜껑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므로 교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보행자의 보행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맨홀을 재시공하지 않고도 맨홀뚜껑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맨홀뚜껑과 지면과의 높이차를 줄이므로 상기 맨홀뚜껑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따른 시간 및 인력손실을 절감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로나 보도에 형성되어 지중시설물을 매설 및 관리하도록 출입 통로역활을 하는 맨홀과, 상기 맨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지중시설물을 보호 및 차량이나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맨홀뚜껑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의 저면부에는 맨홀 내로 삽입됨은 물론 상기 맨홀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삽입원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원통부의 외주면에는 복수개 의 체결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맨홀의 내주면에는 각 체결돌부가 삽입됨과 함께 상기 각 체결돌부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삽입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삽입홈부에는 각 체결돌부가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삽입홈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홈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맨홀에 맨홀 뚜껑이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맨홀에 맨홀 뚜껑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맨홀에서 맨홀 뚜껑이 높이 조절된 상태로 설치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로나 보도의 지면에는 전기선이나 통신선 및 상·하수 시설, 가스 시설 등과 같은 지중시설물을 매설함은 물론 이를 관리하도록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자의 출입 통로역할을 하는 맨홀(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맨홀(10)의 상단부 내측면에는 탄턱(1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맨홀(10)의 상단부에는 탄턱(10a)에 얹혀져서 안착되어 상기의 지둥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해줄 뿐만 아니라 지면에서 보행자의 보행 및 차량의 통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맨홀뚜껑(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맨홀뚜껑(20)의 저면부에는 상기 맨홀(10)의 상단부에 맨홀뚜껑(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맨홀(10) 내로 삽입됨은 물론 상기 맨홀 (10)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삽입원통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맨홀(10)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원통부(40)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됨은 물론 상기 맨홀(10)에 설치된 맨홀뚜껑(20)이 유동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원통부(40) 외주면의 지름보다 상기 맨홀(10) 내주면의 지름이 약간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원통부(4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체결돌부(4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체결돌부(41)는 맨홀(10)에 설치된 맨홀뚜껑(20)이 흔들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원통부(4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체결돌부(41)는 상기 삽입원통부(40)의 외주면에 어느 위치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도면에서와 같이 삽입원통부(40)의 외주면 저부에 각 체결돌부(4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삽입원통부(40)의 높이를 줄여 전체적인 맨홀뚜껑(20)의 높이를 줄이므로 상기 맨홀뚜껑(20)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되는 재료 즉, 철이나 주물과 같은 재료의 양을 줄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각 체결돌부(41)의 형상은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형뿐만 아니라 반구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 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체결돌부(41)를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맨홀(10)의 내주면에는 상기 맨홀(10)의 상단부에 맨홀뚜껑(20)을 설치할 때 상기 맨홀뚜껑(20)의 삽입원통부(40)에 형성된 각 체결돌부(41)가 삽입됨과 함께 상기 삽입된 각 체결돌부(41)의 상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삽입홈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각 삽입홈부(30)는 맨홀뚜껑(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맨홀뚜껑(2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맨홀(10)의 길이방향 즉, 도면상에서 보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삽입홈부(30)에는 맨홀(10)에 맨홀뚜껑(20)을 유동됨 없이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맨홀뚜껑(10)의 회동 즉,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삽입원통부(40)의 각 체결돌부(41)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체결홈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삽입홈부(30)에 각 체결홈부(31)가 설치된 방향에 따라 상기 맨홀뚜껑(20)을 회동시켜 상기 각 체결홈부(31)에 각 체결돌부(41)가 삽입 체결된다.
상기 각 체결홈부(31)는 상기 맨홀(10)에 설치된 맨홀뚜껑(20)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견고하게 설치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홈부(30)와 직교되는 방향 즉, 도면상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체결홈부(31)는 도면상에서와 같이 두 개뿐만 아니라 더 많이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맨홀(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많이 두어 상기 맨홀(10)의 높이를 보다 원활하게 조절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부(30)는 각 체결돌부(41)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각 체결돌부(41)의 숫자보다 많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삽입홈부(30)의 손상 및 파손될 경우 다른 삽입홈부(30)에 각 체결돌부(41)가 삽입되어 상기 맨 홀(10)에 맨홀뚜껑(20)을 보다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삽입홈부(30)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체결홈부(31)를 두 개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 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세 개 또는 네 개 및 이보다 더 많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체결홈부(31)는 맨홀(10)에 맨홀뚜껑(20)이 유동됨 없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 고정됨은 물론 상기 맨홀뚜껑(20)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돌부(41)와 서로 맞물려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돌부(4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홈부(31)가 각형의 홈형상이면 상기 체결돌부(41)는 각형의 돌부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부(31)가 반원형상이면 상기 체결돌부(41)는 반구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상기 각 체결홈부(31)와 각 체결돌부(41)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맨홀(10)의 상방에 맨홀뚜껑(20)을 위치시키고 나서 상기의 맨홀(10) 내로 상기 맨홀뚜껑(20)의 저면부에 형성된 삽입원통부(40)를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삽입원통부(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돌부(41)는 상기 맨홀(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부(30)에 위치하게 된다.
그럼에 따라, 상기 각 체결돌기(41)는 상기 삽입홈부(30)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맨홀(10)의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맨홀뚜껑(20)의 삽입원통부(40)는 맨홀(10) 내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되는 맨홀뚜껑(20)이 일정 위치 즉, 맨홀(10)의 상단부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맨홀뚜껑(20)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삽입홈부(3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홈부(31) 중 하부측 체결홈부(31)에 상기 삽입원통부(40)의 체결돌부(41)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각 체결돌부(41)는 하부측 각 체결홈부(31)에 체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맨홀(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단턱(10a)에 얹혀져 안착된 상태로 맨홀뚜껑(20)이 설치됨은 물론 상기 맨홀뚜껑(20)의 상면과 지면(1)은 동일선상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맨홀뚜껑(20)이 설치된 맨홀(10)의 주변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포장은 차량의 운행 및 오랜 시간의 흐름으로 파손되거나 태양열에 의해 굴곡 발생 및 지중시설물을 수리 및 관리하기 위해 맨홀뚜껑(20)을 맨홀(10)에서 결합, 분리 작업에 의해 상기 맨홀(10)의 주변이 움푹 파이게 된다.
상기 움푹 파여진 맨홀(10)의 주변에 아스팔트 포장 및 콘크리트 포장을 덧씌움 작업을 통해 맨홀(10)의 주변이 움푹 파인 부분을 없애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맨홀(10)에 설치된 맨홀뚜껑(20)과 덧씌워진 지면(50)의 높이차가 발생되는데, 상기의 높이차는 맨홀뚜껑(20)을 맨홀(10)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맨홀뚜껑(20)과 덧씌워진 지면(50)과의 높이가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상기 맨홀뚜껑(20)을 도면상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맨홀뚜껑(20)의 각 체결돌부(41)를 각 체결홈부(31)로부터 탈거시켜 상기 각 체결홈 부(31)에서 각 체결돌부(41)를 분리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맨홀뚜껑(20)을 맨홀(10)의 상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각 체결돌부(41)는 삽입홈부(30)의 안내를 받으면서 맨홀뚜껑(20)과 같이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맨홀뚜껑(20)이 일정위치 즉, 덧씌워진 지면(50)과 동일선상에 놓이게 되면 상기 맨홀뚜껑(20)을 도면상에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맨홀뚜껑(20)의 삽입원통부(40)에 형성된 각 체결돌부(41)는 상기 삽입홈부(30)의 각 체결홈부(31) 중 상부측 각 체결홈부(31)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각 체결돌부(41)는 상부측 각 체결홈부(31)에 체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맨홀(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단턱(10a)에 얹혀져 안착된 상태로 맨홀뚜껑(20)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맨홀뚜껑(20)의 상면과 덧씌워진 지면(50)은 동일선상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로 및 보도에 포장된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상기의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포장을 기존보다 낮게 형성하도록 재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맨홀뚜껑(20)의 상면과 재시공된 지면과의 높이차가 발생된다.
이 경우, 상기 재시공된 지면과 맨홀뚜껑(20)의 상면이 동일선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맨홀뚜껑(20)을 회동시켜 삽입원통부(40)의 각 체결돌부(41)를 삽입홈부(30)의 각 체결홈부(31)에서 분리한다.
그런 다음, 상기 맨홀뚜껑(20)을 맨홀(10)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각 체결돌부(41)는 삽입홈부(30)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맨홀뚜껑(20)은 맨홀(1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맨홀뚜껑(2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맨홀뚜껑(20)의 상면이 재시공된 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맨홀뚜껑(20)을 도면상에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삽입원통부(40)의 각 체결돌부(41)는 상기 삽입홈부(30)의 각 체결홈부(31) 중 최하부측의 각 체결홈부(31)에 각각 삽입 체결됨에 따라 상기 맨홀뚜껑(20)의 상면과 재시공된 지면은 동일선상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맨홀(10)이 체결홈부(31) 개수를 더 형성하면, 상술한 방법에 의해 상기 맨홀뚜껑(20)의 높이를 더 많이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지면(1)에 아스팔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포장을 덧씌우는 작업을 통해 형성된 덧씌워진 지면(50) 또는, 기존 지면(1)보다 낮도록 재시공되는 오버 레이(over lay)작업을 통해 형성된 재시공된 지면은 맨홀뚜껑(20)과 높이차를 줄임은 물론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맨홀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삽입홈부와 상기 삽입홈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홈부를 형성함과 함께 맨홀뚜껑의 저면 부에 삽입원통부와 상기 삽입원통부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체결돌부를 형성함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포장이 파손되거나 상기 맨홀의 주변이 움푹 파여 상기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를 덧씌우거나 또는, 재시공에 의해 기존 지면보다 낮도록 지면을 재시공(over lay)되더라도 상기 맨홀에서 맨홀뚜껑을 회동시켜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맨홀뚜껑의 각 체결돌부를 상기 맨홀의 각 체결홈부에 삽입 체결함에 따라 상기 맨홀의 맨홀뚜껑과 지면과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맨홀뚜껑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맨홀뚜껑과 지면과의 높이차 및 상기 맨홀뚜껑과 덧씌워진 지면과의 높이차 또는, 맨홀뚜껑과 오버레이(over lay)작업에 의해 형성된 지면과의 높이차를 줄임으로써, 상기 맨홀뚜껑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교통사고의 위험 즉,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 맨홀을 재시공하지 않고도 맨홀뚜껑의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맨홀뚜껑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따른 작업시간 및 인력손실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맨홀을 재시공하지 않음에 따라 재시공에 다른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효과에 의해 본 고안의 제품 즉,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에 대하여 소비자의 신뢰성이 향상됨은 물론 구매 의욕이 향상되는 등 실생활 및 산업용으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도로나 보도에 형성되어 지중시설물을 매설 및 관리하도록 출입 통로역할을 하는 맨홀과, 상기 맨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지중시설물을 보호 및 차량이나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맨홀뚜껑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의 저면부에는 맨홀 내로 삽입됨은 물론 상기 맨홀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삽입원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원통부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체결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맨홀의 내주면에는 각 체결돌부가 삽입됨과 함께 상기 각 체결돌부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삽입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삽입홈부에는 각 체결돌부가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삽입홈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홈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체결돌부는 삽입원통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체결돌부는 삽입원통부의 외주면 저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체결돌부와 각 체결홈부는 맞물려 체결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KR2020060002453U 2006-01-26 2006-01-26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KR200414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453U KR200414412Y1 (ko) 2006-01-26 2006-01-26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453U KR200414412Y1 (ko) 2006-01-26 2006-01-26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412Y1 true KR200414412Y1 (ko) 2006-04-19

Family

ID=4929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453U KR200414412Y1 (ko) 2006-01-26 2006-01-26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4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040B1 (ko) * 2008-08-22 2009-07-09 김경호 높이조절형 맨홀
KR20180116885A (ko) 2017-04-18 2018-10-26 (주)에코유진건설 높이 조절형 스마트 맨홀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20200118603A (ko) 2019-04-08 2020-10-16 이정민 맨홀용 거상 지지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040B1 (ko) * 2008-08-22 2009-07-09 김경호 높이조절형 맨홀
KR20180116885A (ko) 2017-04-18 2018-10-26 (주)에코유진건설 높이 조절형 스마트 맨홀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20200118603A (ko) 2019-04-08 2020-10-16 이정민 맨홀용 거상 지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1857A1 (en) Four parts manhole enabling an easy install and height adjustment
KR200414412Y1 (ko)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US8858116B2 (en) Road restoration block
US20140270946A1 (en) Modular concrete unit and an assembly thereof
KR10094957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덮개장치
JP2010174587A (ja) 道路設備
KR101383314B1 (ko) 항타형 인도교
JP6353312B2 (ja) ブロックセットとこれを用いた地中電線路
KR101262585B1 (ko) 맨홀부 커버 장치를 활용한 맨홀부 복구 시스템
JP6614655B2 (ja) 自由勾配側溝を使用した自転車通行帯つき新道路形成工法
EP4348786A1 (en) Cable channel
KR101301058B1 (ko) 케이블 수용 경계석
CN104047247A (zh) 固定式中央分隔墩
KR20130047094A (ko) 과속방지 도로블록
KR200475551Y1 (ko) 맨홀 커버
JP5535793B2 (ja) 蓋装置
KR102489774B1 (ko) 맨홀 설치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39000B1 (ko) 고가도로를 지나는 배전선의 설치공법
KR101567445B1 (ko) 발열 가능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KR20130099652A (ko) 고하중 지지구조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KR200463274Y1 (ko) 작업성을 증진시킨 지주용 하부커버
KR101850909B1 (ko) 도로변 멀티 구조물
KR100748175B1 (ko) 맨홀 고정장치
JP5605916B2 (ja) 地下構造物用蓋の取替工法
JP5476233B2 (ja) 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