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040B1 - 높이조절형 맨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형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040B1
KR100907040B1 KR1020080082519A KR20080082519A KR100907040B1 KR 100907040 B1 KR100907040 B1 KR 100907040B1 KR 1020080082519 A KR1020080082519 A KR 1020080082519A KR 20080082519 A KR20080082519 A KR 20080082519A KR 100907040 B1 KR100907040 B1 KR 10090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outer frame
height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filed Critical 김경호
Priority to KR102008008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면에 대한 덮개(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맨홀에 있어서:
내주면의 복수의 지점에 돌기부(34)와 요홈부(36)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을 형성하는 다단홈(32)을 구비하고, 다단홈(32)의 후면에 힘살(38)로 보강되는 외부프레임(30); 및 상기 덮개(20)와 외부프레임(30)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프레임(30)의 다단홈(32)에 맞물려 접촉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을 형성하는 돌기(45)를 구비하는 내부프레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적으로 복잡하지 않아 제조비용의 상승이 우려되지 않고 아스콘 덧씌우기를 위한 도로보수 현장에서 설치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맨홀, 아스콘, 높이, 조절, 다단

Description

높이조절형 맨홀{Height adjustable manhole}
본 발명은 높이조절형 맨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잡하지 않아 제조비용의 상승이 우려되지 않고 아스콘 덧씌우기를 위한 도로보수 현장에서 설치하기 용이한 높이조절형 맨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도로의 보수나 덧씌우기 공사 등에서 맨홀을 인상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한쪽이 절개된 맨홀 높이 가변용 인상링(C-Ring)을 맨홀 본체에 삽입하고 유압을 이용한 직경확장장치로 링을 확장한 후, 링의 절개된 부분에 적절한 쐐기를 박아서 맨홀본체와 링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복잡한 작업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맨홀이 제안되기도 하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88-0009941호에 의하면 본체(1) 내면에 나선돌조(5)와 상부주연부에 덮개받이플렌지(6)가 형성된 높이조절구(4)가 나합하되 높이조절구(4) 내면의 나선돌조(5)에 수개소에 직선상의 돌조제거부(7)를 형성하며 높이조절구(4)의 주벽에 수개소에 보강용날개(8)를 형성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맨홀덮개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도로보수시 실제로 조절되는 높이가 정해지 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장에서 높이를 맞추는 작업이 불편하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88-0012315호에 의하면 맨홀 본체(1)의 걸림턱(2)에 덮개(6)가 안착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맨홀 본체(1)와 덮개(6)사이에 설치되는 볼트공(8)이 천공된 조절대(3)에 받침구(4)와 걸림턱(5)을 형성하여서 된 맨홀의 덮개높이 조절대가 개시된다.
이 기술에 의하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지만 4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높이를 맞추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높이를 변경한 상태에서 충분한 지지강도를 유지하기에도 미흡한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88-0009941호 “높이조절이 용이한 중공나선 합성수지제 맨홀”
[문헌2]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88-0012315호 “맨홀의 덮개높이 조절대”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복잡하지 않아 제조비용의 상승이 우려되지 않고 아스콘 덧씌우기를 위한 도로보수 현장에서 설치하기 용이한 높이조절형 맨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면에 대한 덮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맨홀에 있어서: 내주면의 복수의 지점에 돌기부와 요홈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을 형성하는 다단홈을 구비하고, 다단홈의 후면에 힘살로 보강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덮개와 외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프레임의 다단홈에 맞물려 접촉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을 형성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 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복잡하지 않아 제조비용의 상승이 우려되지 않고 아스콘 덧씌우기를 위한 도로보수 현장에서 설치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맨홀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을 결합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B-B' 부분을 종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로면에 대한 덮개(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맨홀에 관련된다. 통상 아스콘으로 형성되는 각종 도로는 적절한 시기에 덧씌우기 보수가 필요로 하는 바, 보수시 110㎜, 140㎜, 160㎜ 등의 단위로 높이가 증설되나 이는 아스콘의 재질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일단 보수 높이가 결정되면 맨홀을 인상하는 작업을 선행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맨홀은 이러한 과정을 저비용 구조로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덮개(20), 외부프레임(30), 내부프레임(40)의 3등분으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간략한 구성은 종래기술과 동일성의 범주에 있다. 덮개(20), 외부프레임(30), 내부프레임(40)은 수지재 보다는 철재(강재)로 성형하는 것이 보다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프레임(30)은 후면에 힘살(38)로 보강되는 다단홈(32)을 내주면의 복수의 지점에 구비한다. 외부프레임(30)은 덮개(20)보다 직경이 큰 원형이며 도로상에 안정적으로 매립될 수 있는 구조이다. 외부프레임(30)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다단홈(32)은 동일한 규격으로 3개소 또는 4개소에 형성하면 무난하다. 다단홈(32)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프레임(30)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후면에 힘살(38)을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한다. 외부프레임(30)에 다단홈(32)과 힘살(38)을 형성하는 것은 원가상승 요인과 그다지 무관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내부프레임(40)은 상기 덮개(20)와 외부프레임(30)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프레임(30)의 다단홈(32)에 맞물리는 돌기(45)를 구비한다. 외부프레임(30)은 내부프레임(40)을 수용하기 위한 단턱을 지니고, 내부프레임(40)은 덮개(20)를 수용하기 위한 단턱을 지닌다. 내부프레임(40)의 외주면에는 외부프레임(30)의 다단홈(32)과 맞물려 결합되는 돌기(45)가 형성된다. 내부프레임(40)의 외주면에 돌기(45)가 형성되는 것은 그다지 원가상승과 무관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외부프레임(30)의 다단홈(32)은 돌기부(34)와 요홈부(36)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돌기(45)를 다단으로 지지 가능하다. 다단홈(32)과 돌기부(34)는 마치 요철(凹凸) 형태로 대향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하나의 요철이 대향하면 3단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바, 예컨대 요(凹)부가 양-음-양 3단이면 철(凸)부는 음-양-음 3단으로 대향한다. 물론 요철을 증가할수록 높이조절 단수도 증가한다. 다단홈(32)의 요부 및 철부가 차지하는 틈새는 모두 동일하며 내부프레임(40)의 돌기(45) 두께보다 약간 큰 정도로 한다.
도 3은 다단홈(32) 상에 돌기(45)가 맞물리면 높이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a)는 하단에 맞물린 상태 (b)는 중단에 맞물린 상태 (c)는 상단에 맞물린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을 설치한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초기에 보수전 도로면(10)에 맨홀을 설치한 상태는 외부프레임(30), 내부프레임(40), 덮개(20)의 결합체가 도로면과 일치되는 높이이다. 도로보수를 위해 아스콘 덧씌우기를 하는 경우에는 설정된 높이로 내부프레임(40)을 상향한 다음에 덮개(20)를 덮고 간편하게 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30)의 상향 높이는 다단홈(32)에서 돌기(45)의 맞물림 위치를 변동하는 것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내부프레임(40)과 덮개(20)의 위치가 높아진 후에 시공이 수행되면 맨홀의 덮개(20)가 보수후 도로면(12)과 일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프레임(30)의 다단홈(32)과 내부프레임(40)의 돌기(45)는 접촉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외부프레임(30)과 내부프레임(40)의 결합구조인 맨홀이 차량 통행에 따라 요동하여 상단에서 하단으로 임의로 하향되는 것을 방지한다. 요철은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톱니형, 격자형 등에 구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맨홀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을 결합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B-B' 부분을 종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을 설치한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보수전 도로면 12: 보수후 도로면
20: 덮개 30: 외부프레임
32: 다단홈 34: 돌기부
36: 요홈부 38: 힘살
40: 내부프레임 45: 돌기

Claims (3)

  1. 도로면에 대한 덮개(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맨홀에 있어서:
    내주면의 복수의 지점에 돌기부(34)와 요홈부(36)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을 형성하는 다단홈(32)을 구비하고, 다단홈(32)의 후면에 힘살(38)로 보강되는 외부프레임(30); 및
    상기 덮개(20)와 외부프레임(30)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프레임(30)의 다단홈(32)에 맞물려 접촉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을 형성하는 돌기(45)를 구비하는 내부프레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형 맨홀.
  2. 삭제
  3. 삭제
KR1020080082519A 2008-08-22 2008-08-22 높이조절형 맨홀 KR100907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519A KR100907040B1 (ko) 2008-08-22 2008-08-22 높이조절형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519A KR100907040B1 (ko) 2008-08-22 2008-08-22 높이조절형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040B1 true KR100907040B1 (ko) 2009-07-09

Family

ID=4133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519A KR100907040B1 (ko) 2008-08-22 2008-08-22 높이조절형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0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7230A (zh) * 2012-07-26 2012-11-07 宁夏大林科技有限公司 检查井井身组成部件
KR20200118603A (ko) 2019-04-08 2020-10-16 이정민 맨홀용 거상 지지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690A (ko) * 2003-09-30 2005-04-06 (주) 시흥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KR200414412Y1 (ko) * 2006-01-26 2006-04-19 (주) 경화엔지니어링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690A (ko) * 2003-09-30 2005-04-06 (주) 시흥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KR200414412Y1 (ko) * 2006-01-26 2006-04-19 (주) 경화엔지니어링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7230A (zh) * 2012-07-26 2012-11-07 宁夏大林科技有限公司 检查井井身组成部件
CN102767230B (zh) * 2012-07-26 2015-07-29 宁夏大林科技有限公司 检查井井身组成部件
KR20200118603A (ko) 2019-04-08 2020-10-16 이정민 맨홀용 거상 지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009B1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뚜껑
US8858114B2 (en)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a utility access cover
US5143478A (en) Adjustable manhole cover support with spanners
US20120297691A1 (en)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a utility access cover
KR100907040B1 (ko) 높이조절형 맨홀
US9121157B2 (en) Manhole riser extension assembly
KR101125089B1 (ko) 맨홀 보수공사용 거푸집 및 맨홀의 보수 시공방법
EP3394346B1 (en) Adapter
KR20100023644A (ko) 높이조절형 맨홀
CN101845825A (zh) 活动式检查井盖升降的校正方法
KR20190092170A (ko) 부착형 슬래브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그에 따른 구조설계방법
KR20090036369A (ko) 층간 슬래브 지지장치
KR100319235B1 (ko) 맨홀의 높이 및 설치각 조절장치
KR101181844B1 (ko) 맨홀 보수 장치와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 방법
JP3171675U (ja) 浮上防止機能付マンホール周辺沈下防止床版
KR100737224B1 (ko) 맨홀높이 가변용 고정링
KR200230712Y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맨홀용 덮개
CN216999855U (zh) 一种检查井防沉降装置
KR200494078Y1 (ko) 무소음 트렌치
KR20150145544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구조
KR101090087B1 (ko) 맨홀뚜껑
KR100912899B1 (ko) 높이조정이 용이한 맨홀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10820808A (zh) 沥青路面雨污水井盖安装方法
KR101791864B1 (ko) 다중 체결 구조를 갖는 맨홀
KR200244816Y1 (ko) 맨홀 인상시공용 받침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