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748Y1 - 마늘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마늘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748Y1
KR200413748Y1 KR2020060000452U KR20060000452U KR200413748Y1 KR 200413748 Y1 KR200413748 Y1 KR 200413748Y1 KR 2020060000452 U KR2020060000452 U KR 2020060000452U KR 20060000452 U KR20060000452 U KR 20060000452U KR 200413748 Y1 KR200413748 Y1 KR 200413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garlic
processing apparatus
base member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만
Original Assignee
강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만 filed Critical 강석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7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는 수납대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힌지축이 마련된 베이스부재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힌지축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납대로 삽입되는 누름판이 마련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납대에 교체가능하게 끼워지는 헤더와; 상기 수납대의 베이스부재 대향면 하단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누름판의 상면을 접촉가압하도록 그 길이 일측면으로부터 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로드를 갖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손쉽게 가압력을 배가시킴으로써 마늘을 용이하게 절편하거나 다질 수 있어 주부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헤더와 누름판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기능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고, 나아가 절편시 불용분이 극소화됨으로써 절편 효용성이 높아지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늘 가공장치{DEVICE FOR SLICING AND PRESSING GARLIC}
도 1a,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헤더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누름판 구조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제2실시에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에 결속수단이 부가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헤더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누름판 구조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베이스부재 120....수납대
130....힌지축 140,450....스프링
200....작동부재 210....누름판
220....보조편 300....가압부재
320....가압로드 400....헤더
430....회전축 440....밀대
460....칼날 470,470'....배출공
500....마늘
본 고안은 마늘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을 조리할 때 양념으로 사용되는 마늘을 손쉽게 가압력을 배가시킴으로써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절편하거나 혹은 압착 분쇄시켜 다질 수 있도록 개선된 마늘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마늘에는 각종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일반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육류와 곁들이거나 양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육류와 곁들여 식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생마늘을 임의의 크기로 절편한 상태에서 구이판에 구워서 육류와 함께 먹거나 혹은 그냥 절편된 상태로 섭취할 수 있으며, 양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압착되어 으깨어지거나 잘 다져진 상태로 구비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시 마늘을 절편하기 위해서는 통마늘을 도마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일일이 통마늘 하나씩을 칼로 절편하여야 하며, 또한 으깨거나 다지기 위해서는 대상 마늘을 소형절구통에 넣고 절구로 찧거나(짓이기거나 뭉개거나와 동일한 의미 임) 혹은 도마에 마늘을 올려 놓고 칼로 잘게 분쇄하거나 칼 뒷부분으로 찧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늘 절편방식은 마늘 절편이 일정한 크기로 절편되지 않아 모양이 불규칙할 뿐만 아니라 절편작업이 쉽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손가락이 상해를 입는 등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음은 물론 잘게 절편되면서 크기가 작아질 경우 이를 파지하기가 곤란하여 절편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조리자의 손이 다치는 부상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마늘을 으깨거나 다질 경우에도 절구 이용시 힘이 너무 많이 들고 번거로우며, 칼을 이용할 경우에는 마늘이 자꾸 튀어 나가거나 잘게 분쇄되면서 크기가 작아질 경우 이를 파지하기가 곤란하여 다지는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었으나 이들 대부분은 단지 사용자의 엄지가 누르는 힘에 의해 마늘을 절편하거나 분쇄하도록 되어 있어 획기적으로 개선되지는 못하였다.
예컨대, 도 1a,b는 그러한 종래 예를 보여 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를 중심으로 두개의 작동부(2,3)를 회동시켜 이들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8)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그 각각에 고정설치된 누름판(4)과 수납대(5) 사이에 위치된 마늘을 연속적으로 절편하거나 으깨는(다지는) 형태로 구성된 것이었기 때문에 여전히 힘이 많이 들고 불편하였다.
즉, 조리자는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을 파지부(7)에 접지시킨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누름부(6)에 대고 눌러 누름판(4)이 수납대(5)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가압함으로써 수납대(5)에 수납된 마늘을 수납대(5)의 형상에 따라 절편하거나 으깨도록 하였기 때문에 1~2개의 마늘 작업시에는 큰 무리가 없으나 다량의 마늘 작업시에는 엄지손가락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유발되었다.
뿐만 아니라, 마늘 절편시에도 마늘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납대(5)의 용적이 커 수납된 마늘이 임의의 위치에서 절편되게 되어 먹기에 불편한 크기의 마늘 절편들이 양끝에 2개 발생함으로써 마늘 가공기로서의 효용성도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도 유발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코자 창안한 것으로, 보조가압수단을 통해 가압력을 배가시킴으로써 마늘 절편 혹은 다지기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절편시에도 못쓰게되는 짜투리 마늘 절편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그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마늘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단에는 수납대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힌지축이 마련된 베이스부재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힌지축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납대로 삽입되는 누름판이 마련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납대에 교체가능하 게 끼워지는 헤더와; 상기 수납대의 베이스부재 대향면 하단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누름판의 상면을 접촉가압하도록 그 길이 일측면으로부터 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로드를 갖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늘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에는 조리자의 엄지손가락이 접촉되고 필요시 작동부재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작동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편이 더 부착된 것에도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헤더는 일측면 상단에 회전축이 축설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헤더 내부에서 회전유동되는 밀대가 고정되며, 상기 밀대의 내측면과 헤더의 내벽면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헤더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칼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밀대의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헤더 일측 내벽면 인접위치에서는 더 넓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으며; 혹은 상기 헤더가 그 바닥면에 다수의 칼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된 쪽과 직교되는 방향의 헤더 일측 내벽면 인접위치에서는 더 넓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넓은 배치간격을 갖는 쪽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된 형태의 것에도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헤더는 그 바닥면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은 그 하단면에 마늘 절편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가 다수 형성되거나 혹은 마늘 다지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가 다수 돌출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누름판에는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누름판의 하단면과 다른 형상을 갖는 누름판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단에는 수납대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힌지축이 마련된 베이스부재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힌지축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납대로 삽입되는 누름판이 마련된 작동부재와; 상기 누름판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누름보조편과; 상기 수납대의 외측면중 상기 베이스부재가 연결된 대향면에 돌출형성된 파지보조편과; 상기 작동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납대에 교체가능하게 끼워지며 내부에는 3개의 칼날이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되 상기 칼날의 최외각 양측과 내벽면 사이가 상기 칼날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 헤더와; 상기 헤더의 내벽면중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내벽면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된 제1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늘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 일부에는, 그 상단면이 상향돌출되되 상기 작동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보다 넓은 폭을 갖는 제2가이드 혹은 상기 작동부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3가이드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이 조합되어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헤더에 형성된 칼날은 동일 높이로 돌출되거나 혹은 어느 일측을 기준으로 일정높이로 단차지게 경사형성되거나 혹은 중앙이 높고 양측이 낮되 양측은 동일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부재와 작동부재의 대응하는 일측면에는 이들을 서로 결 속시키는 후크형 결속수단이 부설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누름판의 하단면에는 일정 곡률반경을 갖고 만곡지게 요입된 홈이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헤더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누름판 구조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제2실시에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에 결속수단이 부가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헤더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누름판 구조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는 크게 베이스부재(100), 작동부재(200) 및 가압부재(300)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하단면에는 파지에 용이하도록 완만한 곡선이 요철형태로 반복교대 형성된 파지홈(110)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상하면이 개방된 대략 사각틀체인 수납대(120)가 일체로 고정되며, 그 타단에는 힌지축(130)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수납대(120)에는 헤더(400)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상기 헤더(400)는 대상 마늘의 가공형태, 이를테면 절편(Slicing) 혹은 다지기와 같은 형태에 따라 이를 가능하도록 하여 주는 부재로서, 절편시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칼날형태로 개구된 바닥면이 형성되고, 다짐시에는 밀폐된 바닥면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형태로 바닥면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200)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130)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재(200)의 타단은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절곡된 후 절곡된 단부에 상기 수납대(120)로 삽입가능한 대응크기의 누름판(210)이 고정되고, 상기 작동부재(200)의 길이 상면 일부에는 조리자가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작동부재(200)를 들어올리기 용이하도록 보조편(220)이 부착되는데 이는 오른손잡이 혹은 왼손잡이 모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양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누름판(210)의 경우도 상기 헤더(400)의 형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그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편(220)은 대략 사각판상의 신축성있는 소재가 반원형으로 만곡지게 휘어져 형성되거나 혹은 새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부가 작동부재(2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 좌,우 양쪽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하여 엄지손가락에 의해 걸림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면 및 상기 작동부재(200)의 하면 적소, 즉 이들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면 임의의 위치에는 스프링(140)이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양 부재가 서로 탄성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300)는 대략 긴 막대형의 부재로서 일단은 지지편(122)에 축(310)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그 인접 상측에는 상기 수납대(120)를 향해 호형상으로 돌출연장된 가압로드(320)를 구비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편(122)은 상기 수납대(120)의 하단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그에 고정되는 축(310)은 핀과 같은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로드(320)는 상기 누름판(210)의 상단면을 가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누름판(210)이 1차로 헤더(400) 내부에 수납된 대상 마늘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210)의 상단면을 2차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양손의 가압력으로 최대한 큰 힘을 얻을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대상 마늘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300)는 도시된 파선의 형태와 같이 축(310)을 중심으로 회동된 후 접혀져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하단면, 즉 배면에 밀착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300)를 베이스부재(100)에 지속적으로 고정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부가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수단으로는 이를테면 후크형 고정부재, 벨크로파스너, 자석 등이 될 수 있다.
예시된 형태는 베이스부재(100)의 후단 하면에 후크걸이(H)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300)의 대응위치 하단면에는 후크(H')를 구비하여 상기 후크(H')가 후크걸이(H)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더는 대상 마늘을 한쪽으로 밀착유지한 상태에서 절편함으로써 불요분(너무 작아 먹기에 불편한 부분)의 생성을 극소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예컨대, 헤더(400)의 일측, 즉 작동부재(2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일측에는 살이 두텁게 된 고정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10)의 상단 일부는 절개되어 설치홈(420)을 이루며, 상기 설치홈(420)내 양측벽에는 밀대회전축(430)이 끼워지고, 상기 밀대회전축(430)에는 외향만곡진 형태의 밀대(4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대(440)는 도 3의 (b)에서와 같이 폭이 좁고 긴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의 (a)에서와 같이 헤더(400)의 내용적에 거의 대응되는 형태인 판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밀대(440)의 길이방향으로는 헤더(400)의 내벽과 여유간격(d1)이 거의 없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는 약간의 여유간격(d2)을 갖도록 구성하여야 동작의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대(440)의 내측면과 헤더(400)의 내벽 사이에는 스프링(45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헤더(400)의 바닥면에는 절편 가공용의 경우(다지기용의 경우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됨) 도 3의 (b)와 같은 형태로 다수의 칼날(460)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됨으로써 다수의 배출공(47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특히 상기 밀대(440)와 대향하는 방향에 직교되는 헤더(400)의 내벽(즉, 도 2에서 "좌,우방향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형성되는 첫번째의 배출공(470')은 다른 배출공(470)에 비해 다소 크게, 예컨대 대략 다른 배출공(470)에 비해 1.5~2배 정도 크게 형성하도록 하여 마늘(500)의 불요분(510) 생성을 최소화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기존의 예를 도시한 도 3의 (d)의 경우에는 칼날(k)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마늘(500)의 양측에서 불요분(510)이 생성되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한쪽에서만 불요분이 생성되게 되므로 의도적으로 간격을 넓힌 일단의 편절단부위는 한쪽 끝의 작은 조각 예정분만큼 큰 조각으로 절편되게 되어 매우 효율적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헤더(400)의 다른 실시예로, 도 3의 (c)에서와 같이 밀대(44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헤더(400)내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즉 칼날(460)의 높이를 달리하되 배출공(470')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함으로서 상술한 도 3의 (a),(b)에서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경사는 도 2에 도시된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도, 배출공(470,470')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누름판은 대상 마늘의 가공형태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누름판(210)의 기본형을 절편에 적당하도록 구성한 경우라면 헤더(400)도 그와 대응되게 칼날(460)이 구성된 경우이며, 이 경우에는 도 4의 (a)와 같이 누름판(210)의 하단면에 상술한 헤더(400)의 배출공(470,47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대응형상의 누름돌기(212)가 돌출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누름판(210)을 다지기용으로 사용할 때 용이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도 4의 (b)와 같은 교체형 누름판(210')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누름판(210')은 상술한 헤더(400)가 다지기용으로 교체 사용될 때 그에 대응되는 형상의 누름돌기(212')가 그 하단면에 형성된 것이다.
즉, 다지기용으로 사용되는 헤더(400)의 바닥면에는 일정간격 혹은 임의의 간격으로 다수의 원형 구멍이 천공된 형태이며, 그와 대응되어 해당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는 누름돌기(212')가 상기 누름판(210')의 하단면에 돌출형성된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교체형 누름판(210')은 상기 기본형 누름판(21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214)을 갖는 형태로 구비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누름판(210)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됨으로써 탈착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하나 고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후크형 고정구조를 갖출 수도 있으며 자석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의 고정구조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누름판(210)의 누름돌기(212)는 상기 배출공(470,470')들의 중앙에 오도록 가급적이면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 3의 (c)에서와 같이, 배출공(470,470')들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누름돌기(212)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각 배출공(470,470')들의 폭 정중앙에만 최소한의 폭(즉, 누름판 역할로서 마늘을 밑으로 밀어줄 때 마늘에 박히지 않을 정도의 가능한 한 최소의 폭)을 갖고 위치되도록 하여 누름판(210) 숭하강시 칼날 사이에 끼인 마늘에 의해서 칼날(460)이 변형되더라도 이들 칼날과 상기 누름돌기(212)가 간섭되지 않고 여유롭게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절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 마늘(500)의 가공형태에 따라 헤더(400) 및 누름판(210)의 형태를 선택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대상 마늘(500)을 절편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헤더(400)와 누름판(210)은 마늘(500) 절편에 적당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마늘(500)을 절편하기 위해 먼저, 조리자는 대상 마늘(500)을 적어도 하나 파지한 다음 수납대(120)에 장착되어 있는 헤더(400) 내부로 투입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마늘(500)은 헤더(400)의 바닥면에 수납됨과 동시에 밀대(440)를 구비한 경우에는 밀대(440)에 의해 밀려 헤더(400)의 일측 내벽에 밀착되게 되고, 밀대(440)를 구비하지 않고 헤더(400)의 바닥면이 경사형성된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헤더(440)의 일측 내벽에 밀착되게 된다.
즉, 도 3의 (b)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리자는 자신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베이스부재(100)의 파지홈(110)에 밀착하여 파지한 다음 엄지손가락을 작동부재(200)의 보조편(220)에 대고 일정압을 가하여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200)는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베이스부재(100) 측으로 접근되게 되고, 동시에 스프링(140)은 탄성적으로 압축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누름판(210)은 수납대(120)에 장착되어 있는 헤더(400) 내부로 삽입되면서 마늘(500)의 상단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작은 크기인 경우에는 간편하게 한쪽 엄지손가락의 적은 힘으로도 작업이 가능하며, 다량이나 큰 힘이 요구될 경우 조리자는 다른 손을 이용하여 가압부재(300)를 회전시켜 작동부재(200) 측으로 접근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압부재(300)에 돌출형성된 가압로드(320)가 상기 누름판(210)의 상단면과 접촉되면서 이를 더욱 가압하게 된다.
결국, 상기 누름판(210)은 양쪽 팔힘으로 눌러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헤더(400)에 수납되어 있던 마늘(500)은 손쉽게 큰 힘을 낼 수 있어 간단 용이하게 절편되게 된다.
이때, 상기 마늘(500)은 헤더(400)의 개량된 구조로 인해 불요분(510)이 거의 생기지 않거나 생기더라도 최대 1개 밖에 생기지 않게 되므로 그 만큼 절편 가공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이후, 가압부재(300)를 먼저 원위치시킨 다음 눌렀던 엄지손가락을 제거하게 되면 작동부재(200)는 스프링(140)의 복귀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이 경우, 마늘(500)로부터 발생된 즙의 점도나 혹은 마늘(500) 절편이 헤더(4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잔류되면서 누름판(210)의 하단면과의 끼임상태가 지속됨으로써 스프링(140)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200)가 쉽게 복귀되지 않을 경우에는 조리자가 가볍게 작동부재(200)의 보조편(220)을 들어 올려줌으로써 쉽게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절편이 아닌 다지기 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헤더(400)를 수납대(12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다지기에 적당한 형상의 헤더로 교체하여 끼워 넣고, 누름판(210)에도 다지기용 누름판부재(210')로 갈아 끼워 교체함으로써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베이스부재(100) 및 이와 회전가능하게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힌지고정된 작동부재(200)의 기본구성에 제1,2,3가이드(700,800,900)를 부가하여 상기 작동부재(200)의 동작시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수납대(12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고 마늘이 수납되는 헤더(400)내 칼날 구조를 재배열하여 마늘 절편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면서 작용되는 힘은 상대적으로 더 적어질 수 있도록 변형한 예를 보여 준다.
이때, 상기 제1,2,3가이드(700,800,9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그리고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200)의 상면 적소에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보조편(220)이 구비되며, 누름판(210)의 상면 적소에는 가압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누름보조편(218)이 일체로 더 구비되고, 수납대(120)의 전면에는 마늘 가압시 힘의 중심이 되는 파지보조편(60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파지보조편(600)에는 걸이공(610)이 천공형성되어 본 고안 마늘 가공장치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여 준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누름보조편(218)과 누름판(210)이 만나는 부위에는 보강리브(미도시)와 같은 보강부재가 덧붙여짐으로써 그 고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보강부재는 상기 파지보조편(600)가 수납대(120)의 연결부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2,3가이드(700,800,900)의 필요성은 마늘의 크기가 클 경우 마늘을 누를 때 누름판(210)과 헤더(400) 사이에 흔들림이 발생되고, 특히 이 흔들림은 작동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 간의 동작에서도 유발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힘이 효과적으로 집중 수직하향되지 못하게 되므로 이러한 유동을 근본적으로 해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제1가이드(700)는 마늘에 가압되어지는 표면에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대한 넓게 만들어진 누름돌기(도 7의 '212')가 0.8mm라는 좁은 칼날을 사이로 해서 칼날 하단 부위까지 관통하려면 누름판(218)이 헤더(400) 내부에서 수직으로 하향시 미세한 흔들림이라도 최소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누름판(210) 좌우면과 헤더(400) 내부 좌우측면간 간격은 최소화되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면접촉되어 접촉면이 넓어짐으로써 마늘의 점력에 의한 저항력이 증대되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므로 면접촉이 아닌 선 접촉 형태로의 변경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가이드(700)는 상기 헤더(400)의 내벽중 대향면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로는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는 형태로 작동부재(2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헤더(400) 내벽에 그 깊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700)의 형상은 대략 반원형상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헤더(400) 내부로 진입되는 누름판(210)의 양측 좌우면은 상기 제1가이드(700)와 선접촉되게 되므로 마찰력은 크지 않으면서 상기 누름판(210)이 상기 헤더(400)내에서 유동되지 못하도록 억제하게 된다.
여기에서, 만약 기존 방식대로라면 헤더(400) 좌우 내벽면과 누름판(218) 좌우면의 간격이 최소화되어 마늘 점력이 커지면서 면접촉(누름판의 폭은 누름돌기가 칼날 사이로 관통하여야 하고 칼날 끝에 닿지 않아야 하므로 (칼날높이 + 위쪽여유 + 칼날 하부)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야 하므로 그 두께는 상당한 면적을 가지게 됨, 도 7 참조)에 의해 붙어버리기 때문에 작동이 원활치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8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700)와 함께 병설되는 형태로 부가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폭을 상기 작동부재(200)의 폭보다 미세하게 넓게 하여 상기 작동부재(200)가 그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가이드(800)는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면 적소에서 상향돌출되되 상기 작동부재(200)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상기 작동부재(200)가 회전유동될 때 일정시점(마늘의 최상단에 누름돌기가 접촉, 가압되어질 정도의 최대높이, 단 보조편(220)의 하단부위를 넘지 못한다)에서부터는 상기 제2가이드(800) 내부에서 유동없이 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3가이드(900)도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700)와 함 께 병설되는 형태로 부가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가이드(800)와 병설되는 형태로 부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2가이드와 함께 병설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제2가이드(800)와 반대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제3가이드(900)는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면 적소, 바람직하게는 힌지축(130) 최근접위치에 상기 제2가이드(80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향돌출되되 상기 작동부재(200)의 폭보다 약간 좁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작동부재(200)의 내면이 상기 제3가이드(900)에 끼워지는 형태로 가이드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가이드(900)는 힌지축(130)으로부터 가장 가까이 설치되므로 상기 작동부재(200)가 회전유동되는 초기 순간부터 그 흔들림을 억제하게 되어 안전한 회전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제2실시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에는 작동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를 서로 결속시킬 수 있는 결속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즉, (a)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일측면에는 회전축(91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910)에는 걸쇠(920)가 회전되게 끼워 고정되고, 상기 작동부재(200)의 대응되는 일측면에는 걸림돌기(930)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쇠(920)가 상기 걸림돌기(930)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보관시 상기 작동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 상호간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속수단은 (b)와 같은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는데 이를테면 베이스부재(10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940)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940)에 끼워지는 작동편(950)을 마련하되, 상기 작동편(950)의 상단은 갈라져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약간 벌어진 형태의 만곡진 단부를 갖는 한쌍의 걸림부(952)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952)가 탄성적으로 걸림될 수 있도록 작동부재(200)의 대응 측면에는 상기 걸림부(952)의 간격보다 약간 작은 간격을 갖는 한쌍의 고정돌기(960)를 돌출형성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작동편(950)을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작동편(950)이 가이드(940)를 따라 상향이동되다가 그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952)가 상기 고정돌기(960)의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걸림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마늘 가공장치는 보관이 더욱 용이하고 편리해지게 된다.
또한, 도 7의 (a),(b),(c),(d)에서와 같이,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헤더(400)내 칼날(460) 배열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헤더(400)를 평면도로 표현한 (a)의 경우는 헤더(400)내 전체 폭 대비 동일간격을 갖는 칼날(460)이 동일높이를 갖고 수평하게 배치되되 중앙에 집중배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칼날(460) 사이의 공간인 배출공(470,470')으로 삽입되어 마늘 절편을 밀어 배출시키는 누름판(210)상의 누름돌기(212)는 폭을 최대한 넓게 하여야 마늘을 가압할 때 마늘 표면에 누름자국이 적게 생기게 된다.
누름돌기들은 0.8mm의 좁은 칼날 사이의 공간을 지나 칼날 최하단 부위를 관통하여야 절단되어지는 마늘이 끝까지 깨끗이 절단되어진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두개는 폭이 좁고, 양쪽 두개는 중앙 두개 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칼날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칼날(460)은 헤더(400) 중앙부에 도시와 같이 대략 4~5mm의 간격을 두고 3개 구비됨이 특히 바람직한 바, 이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마늘의 평균치를 감안하였을 때 상기 배출공(470,470')중 더 넓게 형성된 배출공(470')을 기존과 달리 양쪽에 의도적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절편되는 마늘의 끝단이 작은 조각으로 생기지 않도록 하여 먹기 편하도록 한 것이다.
예시된 (a)의 경우, 대략 0.8mm를 갖는 칼날(460)을 사용할 때 중앙에 배치되는 칼날(460)간의 간격은 4.5mm, 좌우 최외각 칼날로부터 헤더(400) 벽면까지의 거리, 즉 넓은 배출공(470')의 크기는 7mm 정도가 특히 바람직한 설계예이다.
다른 예로, 도 7의 (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460)의 배열은 상기 (a)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면서 칼날(460)의 높이를 어느 일측을 기점으로 단차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고, 또한 중앙부를 가장 높게 돌출시키고 그 양측을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시키되 양측의 돌출높이를 같게 할 수도 있다.
이는 마늘(500)이 떨어질 때 착지지점을 헤더(400)의 어느 일측내벽면에 밀착되게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혹시 모를 마늘 절편의 불요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d)의 예시와 같이 칼날(460)은 모두 동일 높이를 갖도록 하되 중앙부 헤더(400) 바닥면을 일정높이로 높게 돌출시켜 상기 칼날(460)이 대략 산(山) 모양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8의 예시와 같이, 누름판(210)의 누름면, 즉 상술한 누름돌기(212) 가 돌출형성된 면을 마늘(500)의 곡률반경에 일치되지는 않지만 최근접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고 요입된 홈(H)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마늘(500)과 누름돌기(212)의 접촉면을 최대한 확대시켜 마늘(500)에 가해지는 힘이 골고루 분사되게 함으로써 마늘(500) 표면에 형성되는 손상을 극소화시켜 마늘 절편의 품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동작관계를 갖기 때문에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1실시예에서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가압부재(도 2의 '300')를 사용하였으나 본 고안 제2실시예에서는 외관의 미려함과 보관상의 편의성, 물품의 의장성을 모두 고려하여 제품화하기에 적당하게 변형시켰으며 사용자의 양쪽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좌측 검지를 파지보조편(60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좌측 엄지로 누름보조편(218)을 누르면서 우측 엄지과 검지로 베이스부재(100)와 작동부재(200)를 파지하게 되면 양손의 악력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헤더(400)에 수납된 마늘(500)을 손쉽게 절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쉽게 큰 힘을 낼 수 있어 용이하게 마늘을 절편하거나 다질 수 있어 주부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헤더와 누름판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기능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고, 나아가 절편시 불용분이 극소화됨으로써 절편 효용성이 높아지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15)

  1. 일단에는 수납대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힌지축이 마련된 베이스부재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힌지축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납대로 삽입되는 누름판이 마련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납대에 교체가능하게 끼워지는 헤더와;
    상기 수납대의 베이스부재 대향면 하단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누름판의 상면을 접촉가압하도록 그 길이 일측면으로부터 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로드를 갖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에는, 조리자의 엄지손가락이 접촉되고 필요시 작동부재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작동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편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일측면 상단에 회전축이 축설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헤더 내부에서 회전유동되는 밀대가 고정되며,
    상기 밀대의 내측면과 헤더의 내벽면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헤더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칼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밀대의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헤더 일측 내벽면 인접위치에서는 더 넓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그 바닥면에 다수의 칼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작동부재가 연결된 쪽과 직교되는 방향의 헤더 일측 내벽면 인접위치에서는 더 넓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넓은 배치간격을 갖는 쪽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그 바닥면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그 하단면에 마늘 절편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가 다수 형성되거나 혹은 마늘 다지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가 다수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에는,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누름판의 하단면과 다른 형상을 갖는 누름판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단면과 가압부재의 하단면에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대응결합되는 후크, 자석, 벨크로파스너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9. 일단에는 수납대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힌지축이 마련된 베이스부재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힌지축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납대로 삽입되는 누름판이 마련된 작동부재와;
    상기 누름판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누름보조편과;
    상기 수납대의 외측면중 상기 베이스부재가 연결된 대향면에 돌출형성된 파지보조편과;
    상기 작동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납대에 교체가능하게 끼워지며 내부에는 3개의 칼날이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되 상기 칼날의 최외각 양측과 내벽면 사이가 상기 칼날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 헤더와;
    상기 헤더의 내벽면중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내벽 면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된 제1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에는, 조리자의 엄지손가락이 접촉되고 필요시 작동부재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작동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편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 일부에는, 그 상단면이 상향돌출되되 상기 작동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보다 넓은 폭을 갖는 제2가이드 혹은 상기 작동부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3가이드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이 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헤더에 형성된 칼날은 동일 높이로 돌출되거나 혹은 어느 일측을 기준으로 일정높이로 단차지게 경사형성되거나 혹은 중앙이 높고 양측이 낮되 양측은 동일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헤더에 형성된 칼날은 동일 길이를 갖되, 중앙 칼날이 설치될 헤더 바닥면이 상향돌출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3개의 칼날이 산(山)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작동부재의 대응하는 일측면에는 이들을 서로 결속시키는 후크형 결속수단 혹은 가이드와 이를 따라 승하강되는 작동편 및 이 작동편의 선단이 탄성적으로 걸림되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가이드형 결속수단이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15.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의 하단면에는 일정 곡률반경을 갖고 만곡지게 요입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가공장치.
KR2020060000452U 2005-11-25 2006-01-06 마늘 가공장치 KR20041374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311 2005-11-25
KR20050033311 2005-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748Y1 true KR200413748Y1 (ko) 2006-04-13

Family

ID=4929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452U KR200413748Y1 (ko) 2005-11-25 2006-01-06 마늘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7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8399A (zh) * 2019-03-24 2019-07-12 冯可天 一种滚压式蒜末压制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8399A (zh) * 2019-03-24 2019-07-12 冯可天 一种滚压式蒜末压制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076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езки ломтиками овощей и фруктов
JP4954994B2 (ja) 調理のための重量調節可能な食品プレス器
US7367519B2 (en) Processing tool for foodstuffs
EP1955628B1 (en) Food Slicer and Grater
US8430387B2 (en) Leverage based cutting board systems
JP3172843U (ja) おろし器
EP2533954B1 (en) Handheld food slicer
US6974098B2 (en) Culinary press with scraper
GB2462282A (en) Culinary utensil
CA2355225C (en) Hand-held food processor
JP2009536072A (ja) 取り外し可能な刃組立体を含むフード・ミル
KR200413748Y1 (ko) 마늘 가공장치
JP3172844U (ja) おろし器
US6543322B2 (en) Bagel cutter
US20230098552A1 (en) Hand-held multi-purpose kitchen tool
KR20130135673A (ko) 복층구조 칼 및 칼 세트
KR101024682B1 (ko) 다기능 주방용 슬라이서
CN211324578U (zh) 一种安全省力的刨丝器
KR102078460B1 (ko) 마늘 세절기
TWM555792U (zh) 食物切割裝置
KR20110105267A (ko) 마늘 파 세절기
JP2004338070A (ja) 野菜調理器用野菜保持器
KR20130080378A (ko) 여러개의 모드를 갖는 다용도 슬라이서
JP2005066291A (ja) 調理用裏返し具
CN211243045U (zh) 一种炒板栗切十字口的手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