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673A - 복층구조 칼 및 칼 세트 - Google Patents

복층구조 칼 및 칼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673A
KR20130135673A KR1020120059453A KR20120059453A KR20130135673A KR 20130135673 A KR20130135673 A KR 20130135673A KR 1020120059453 A KR1020120059453 A KR 1020120059453A KR 20120059453 A KR20120059453 A KR 20120059453A KR 20130135673 A KR20130135673 A KR 20130135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blades
cutting board
layer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철
Original Assignee
양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인철 filed Critical 양인철
Priority to KR102012005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5673A/ko
Publication of KR20130135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8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for performing several incisions simultaneously; for cutting cub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한 평면 상의 제1 방향으로 복수 칼날이 나란히 배열된 하층부와 상기 평면과 평행하지만 레벨이 높은 평면 상의 제2 방향으로 복수 칼날이 나란히 배열된 상층부가 대상물을 자를 때 서로 상하 위치에 있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복층구조 칼 및 이 칼과 이 칼에 적합한 도마를 구비하는 칼 세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 하층부의 칼날들을 고정하는 프레임과 상층부의 칼날들을 고정하는 프레임이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층부 칼날과 하층부 칼날이 이루는 각도도 상호 수직이나 수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마는 상면에 하층부에 위치하는 칼날들을 수용하기 위한 깊은 홈을 기본적으로 가지며, 칼과 도마는 상하 위치가 서로 바뀌어 사용될 수 있고, 일단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작두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을 다수 조각으로 자르거나, 다질 때 칼질하는 시간과 노력을 덜 들이고 빠르게 대상물을 가공할 수 있으며, 제작과 유지, 관리도 용이하여 비용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복층구조 칼 및 칼 세트{double layer knife and knife s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칼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의 칼질로 대상물을 여러 조각으로 자를 수 있는 복수 칼날을 가진 칼에 대한 것이다.
조리를 위해 야채 등 대상물을 여러 조각으로 자르는 것이 필요할 때가 있다. 가령, 깍두기를 담그기 위해 무를 썰 때나, 볶음밥에 넣는 야채를 잘게 썰 때에도 하나의 대상물을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자르게 된다. 또한, 조각이 매우 작은 경우에는 "다진다"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단, 다지는 것은 어느 정도의 형체를 유지하여 먹을 때 씹히는 식감을 느낄 정도의 크기와 상태를 유지하면서 절단하는 것이므로 믹서(mixer)로 대상물의 형체가 전혀 없도록 미세하게 분쇄하는 것과는 차별된다.
그런데, 여러 조각으로 대상물을 자르기 위해 통상의 칼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자르는 경우, 많은 칼질을 해야하므로 시간이 많이들고, 그만큼 힘도 들게 된다. 가정용으로 소량의 대상물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그리 큰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다량의 식재료가 사용되는 음식점이나 식재료 가공 작업장 등에서 야채를 썰거나, 고추 등의 양념재료를 다지는 경우, 도마에 야채를 놓고 하나의 식칼로 야채를 반복하여 절단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들게 되어 어려움이 있다.
야채를 썰거나 다지기 위해서 믹서기와 같은 여러 개의 기계식 회전칼날 도구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기계식의 경우, 잘라지는 크기 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과 대상물의 크기 및 모양을 고르게 하여 썰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칼질 횟수를 줄이기 위해 나란한 칼날을 복수개 가진 변형된 칼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런 형태의 칼에서는 손잡이 부분이 사용에 용이하지 않거나, 다지기 위해 큰 덩어리를 자를 때 방향을 달리하면서 여러번 칼질을 해야하는 것은 여전히 불편한 요소로 남게 된다.
또한, 복수 칼날 칼 가운데에는 복수의 가로방향 칼날과 복수의 세로방향 칼날이 많은 격자를 이루도록 조합된 격자 칼도 제안되었으나, 칼날에 조각난 야채가 끼워져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고, 사용 후의 세척, 관리 등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칼의 제작과 관리, 보수가 불편하여 실용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6803호
본 발명은 대상물을 여러 조각으로 자르거나, 다질 때의 상술한 어려움을 해결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칼질의 횟수와 시간을 덜 들이고 빠르게 대상물을 여러 조각으로 자를 수 있으며, 제작과 유지, 관리도 기존의 격자 칼에 비해 용이하여 비용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복층구조 칼 및 이 칼과 이 칼에 적합한 도마를 가지는 칼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상물을 여러 조각으로 자를 때에도 들이는 힘을 기존의 복수 칼날 칼에 비해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는 복층구조 칼 및 이 칼과 이 칼에 적합한 도마를 가지는 칼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층구조 칼은,
한 평면 상의 제1 방향으로 복수 칼날이 나란히 배열된 하층부와 상기 평면과 평행하지만 레벨이 높은 평면 상의 제2 방향으로 복수 칼날이 나란히 배열된 상층부가 대상물을 자를 때 서로 상하 위치에 있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층부의 칼날들 위로 상기 상층부의 칼날들을 배치하고 이들 칼날을 함께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은 상기 칼날들의 양단과 만나서 양단을 고정하면서 주변부를 포괄하는 원형, 타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폐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위에서 볼 때 서로 수직한 것이거나 서로 평행한 것 혹은 일정 예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 칼날을 가지는 칼과 함께, 칼을 위에서 아래로 움직여 대상물을 자른다고 할 때, 상면에 하층부에 위치하는 칼날들을 수용하기 위한 깊은 홈과 상층부에 위치하는 칼날들을 수용하기 위한 얕은 홈을 가지는 전용 도마가 더 구비되어 본 발명의 칼 세트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칼 세트는, 칼과 전용 도마의 일단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일단은 이격 거리가 가변되는 작두 형태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을 다수 조각으로 자르거나, 다질 때 칼질하는 시간과 노력을 덜 들이고 빠르게 대상물을 가공할 수 있으며, 제작과 유지, 관리도 용이하여 비용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을 여러 조각으로 자를 때 칼이 아래 위 복층 구조로 되어 단계를 나누어 자를 수 있으므로 자를 때 들어가는 힘을 기존의 복수 칼날 칼에 비해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칼날들이 격자형을 이룰 때, 기존 격자칼은 재료가 잘리면서 팽창하는 혹은 펼쳐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사각 구멍을 빠져나오면서 힘이 많이 들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잘린 재료가 단계적으로 잘라져 나오므로 힘이 적게 든다.
또한, 복층구조의 격자칼은 한층의 칼날들만 사용하여 재료를 자를 수도 있고, 두 층의 칼날들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채썰기 등 여러가지 모양으로 재료를 자를 수 있다.
또한, 칼날이 조밀하게 집약되어 이루어지는 격자칼은 종래의 경우, 만들기도 어렵고, 일부분이 손상이 되면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등 관리도 어렵고, 비용도 많이들지만, 본 발명에서는 실시형태에 따라 상하층 분리나 개별 칼날 분리도 가능하기 때문에 조밀하고 다양한 형태의 격자칼 제조가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칼날이 무디어진 경우에도 해당부를 분리하여 칼날을 다듬은 다음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복수 칼날 칼 세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칼날 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복수 칼날 칼 세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 도5,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복수 칼날 칼 세트들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칼 세트(100)는 칼(101)과 도마(150)로 이루어지고, 칼은 본체와 손잡이(140)를 구비한다. 본체에는 도면상 손잡이 길이 방향과 같이 세로로 길게 뻗는 세로칼날(110) 복수 개가 가로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하층부를 이룬다. 그 위로는 가로로 길게 뻗는 가로칼날(120) 복수 개가 세로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상층부를 이룬다.
이들 상층부와 하층부를 이루는 칼들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130)의 내측면에 양단이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프레임과 칼날들이 일체적으로 고정된 형태를 나타내지만, 프레임 내측에는 칼날을 고정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면상의 칼날 고정부가 있고, 칼날 고정부와 칼날 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이 홀을 통과하는 나사(screw)나 핀(pin) 등의 결합수단으로 프레임과 칼날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선행기술문헌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66803호의 도2 및 도3에도 이러한 칼날과 프레임의 결합예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140)는 프레임(130)의 세로 방향 양단에서 프레임(130)의 일부를 이루는 가로대 부분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런 칼(101)을 위쪽에서 보면 칼날들(110, 120)이 4각형을 이루는 프레임(130) 내측에서 도2와 같은 격자모양을 이루게 된다.
칼(101)의 아래쪽에는 칼과 함께 칼 세트(100)를 이루어 사용되는 도마(150)가 도시된다. 도마(150)에는 칼의 칼날들에 대응되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홈(151, 153)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홈(151)들은 하층부를 이루는 세로칼날(110)들에 대응되어 깊은 홈을 이루고 있고, 가로홈(153)들은 상층부를 이루는 가로칼날(120)들에 대응되어 얕은 홈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는 홈은 충분한 깊이를 가져서 도마(150) 위에 놓인 대상물을 자르기 위해 칼질을 할 때 칼(101)이 최저점 위치에 있을 때 칼날 전체가 홈 내에 완전히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런 경우, 칼질을 하여 대상물을 자르거나 다지고 칼날이 홈 속에 들어가도록 하면 잘라진 조각들은 복수의 칼날들 사이에 끼워져 칼을 두드리거나 일일이 조각들을 칼날들 사이에서 빼낼 필요가 없이 칼날 위로 도마 상면에 잘라진 대상물이 놓여 이들을 옆에 있는 그릇 등에 옮기기 편하게 된다.
한편, 칼날들(110, 120)의 날카로운 하단이 도마(150)에 닿으면 날이 무뎌질 수 있으므로 칼날들이 도마에 닿지 않도록, 즉, 도마의 홈의 저면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도마 주변부에 정지턱(15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칼로 대상물을 자르고 칼날이 홈으로 들어갈 때에도 칼의 프레임(130) 하단이 정지턱(155)의 턱면에 걸려 더이상 칼날이 내려가 홈 저면에 닿아 무뎌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칼질을 할 때 적어도 하층부의 칼날들이 도마의 홈에 완전히 들어가야만 상층부의 칼날들이 대상물을 완전하게 자를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이 실시예에서는 칼의 칼날들을 도마(150)에 있는 홈의 바른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156)가 도마(150)의 4 귀퉁에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4 귀퉁이 가운데 가령 대각선 방향의 두 귀퉁이(모서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마 상면에 대상물을 놓고, 칼의 격자창 가운데 4각형 프레임의 대각선 방향 양쪽 끝에 있는 두 격자창에 이들 가이드를 맞추어 칼을 아래로 내리면 홈에 칼날들이 정확하게 들어갈 수 있으므로 하층부 칼날들과 상층부 칼날들을 모두 이용하여 대상물을 충분히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층부 가로칼날(120)의 하단이 하층부 세로칼날(110)의 칼등에 닿는 것으로 도시하고 기술하고 있으나, 하층부 칼날들에 대한 깊은 홈의 깊이가 충분히 깊다면 상층부 칼날들의 하단과 하층부 칼날들의 칼등이 반드시 닿을 필요는 없고 이격거리를 가질 수도 있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3의 실시예에서는 앞선 도1의 실시예와 같이 하층부를 이루는 복수개의 칼날(210)과 상층부를 이루는 복수개의 칼날(220)이 상하로 위치를 달리하지만 위쪽에서 볼 때 같은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층부의 칼날(220)은 하층부의 칼날(210) 사이사이에 위치한다.
도마(250)도 이들 칼날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만 형성되고, 하층 칼날부를 이루를 칼날들을 수용하는 깊은 홈(251)들 사이에 얕은 홈(253)이 있어서 상층부를 이루는 칼날을 적어도 일부 높이만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칼을 이루는 프레임(230)과 손잡이(240), 도마의 정지턱(255)은 도1 및 도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도 도1의 실시예와 같은 가이드가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칼질을 하는 방법도 도1의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될 수도 있지만, 지례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두질 하듯이 칼질을 할 수도 있다. 가령, 먼저 도마 위에 대상물을 놓는다. 그리고, 손잡이 한쪽을 한 손으로 잡아 도마를 놓는 테이블에 대략적으로 고정하고, 손잡이 다른 한쪽을 다른 한 손으로 누르면서 대상물을 한쪽부터 자르게 된다.
이상의 도1 및 도3의 실시예는 사용방법에 있어서 칼과 도마의 위치를 바꾸어 칼을 아래쪽에 도마를 위쪽에 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통상적으로는 칼에는 손잡이가 있고, 도마에는 손잡이가 없던 것을 도마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사용하며, 칼의 격자창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는 대상물의 잘린 조각들을 담을 수 있는 수집통을 받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4 내지 도6은 실시예들을 세로방향 수직면에 의해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4의 실시예에서 칼 세트(400)는 도1의 실시예와 유사한 칼(401)과 도마(450)가 구비되지만 칼(401)의 한 쪽 단부와 그에 대응하는 도마(450)의 일 단부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축(460)고정되어 측면에서 가로 방향으로 볼 때에는 작두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힌지축(460)에는 미도시된 스프링장치가 설치되어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런 경우, 도1의 실시예와 달리 힌지축 고정에 의해 가이드는 필요하지 않지만 정지턱(455)은 여전히 설치되어 칼날의 하단이 무뎌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5의 실시예에서는 도4의 실시예와 유사한 작두 형태로, 칼(501)의 한 쪽이 도마(550)의 한 쪽과 힌지축(56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사용시에 칼(501) 부분이 아래쪽에 놓이고, 도마(550) 부분이 위쪽에 놓이며, 칼(501) 아래쪽에는 대상물의 잘린 조각이 칼을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질 때 이들이 담기는 수집통(580)이 설치된다.
이런 실시예를 사용할 때에는 칼(501) 위쪽에 세로칼날(510)들이 배열되고, 아래쪽에 가로칼날(520)들이 배열되며, 칼날의 날카로운 부분이 위쪽에 칼등 부분이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세로칼날의 날카로운 상단 위에 대상물을 놓고, 도마 손잡이(570)를 눌러서 홈이 형성된 도마 아래쪽 면이 대상물 위쪽에서 대상물을 칼날쪽으로 압박하면, 대상물은 먼저 세로칼날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길게, 그리고 다음으로 가로칼날에 의해 잘라지며, 잘린 조각들은 도마에서 홈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칼날들 사이의 격자창 사이로 들어갈 때, 즉, 칼날들이 홈에 들어가는 상태가 될 때, 홈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압력을 받아 격자창을 통과하여 떨어지고, 아래의 수집통(580)에 쌓이게 된다.
도6의 실시예에서 칼 세트(600)는 도4의 실시예와 비슷한 구성을 가지지만, 세로칼날(630)들을 포괄하는 프레임(632)과 상층부를 이루는 가로칼날(620)들을 포괄하는 프레임(631)이 별도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프레임에는 손잡이(641, 642)가 설치되고, 이들 프레임(631, 632)은 서로 탈착가능하여 함께 고정되거나 분리되어 별개로 움직이면서 식재료를 절단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들 프레임을 서로 결합하여 고정한 상태로 운용하면 도4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별도로도 운용하여 재료를 자르는 데 들이는 힘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도 있고, 두 프레임 가운데 하나만 사용하여 재료를 가로로 길게 썰기 혹은 세로로 길게 썰기의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별도 운용을 위해서는 상층부의 프레임(631)과 하층부의 프레임(632)의 도마(650) 부분과의 결합 순서를 달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도 도6과 같이 상층부 프레임과 하층부 프레임을 별도로 도마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단, 복수의 세로칼날을 가진 하층부 프레임은 세로방향 일단이 도마의 세로방향 일단과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복수의 가로칼날을 가진 상층부 프레임은 가로방향 일단이 도마의 가로방향 일단과 다른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이런 실시예어서는 하층부 프레임의 손잡이를 들어 도마에서 이격시키고, 도마 상면에 재료를 놓고 다시 손잡이를 눌러 재료를 세로로 길게 절단하고, 다음으로, 상층부 프레임의 손잡이를 다른 힌지축 주변으로 회전시켜 아래로 눌러서 세로로 길게 절단된 재료들을 다시 가로로 절단하게 된다.
역시 도시되지 않지만 상층부 프레임과 하층부 프레임이 도6과 같이 결합되지 않고, 하층부 프레임 및 도마의 세로방향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한편으로 상층부 프레임 및 하층부 프레임이 가로방향 일측에서 힌지축 등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일단 하층부 프레임과 상층부 프레임을 체결하지 않은 상태로 하층부 프레임에 결합된 하층부 칼날들로 식재료를 작두와 같은 방식으로 자르고, 하층부 칼날들은 모두 도마의 대응되는 홈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다음으로 상층부 프레임의 가로방향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를 눌러서 도마 위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잘라진 식재료를 다시 가로방향으로 자를 수 있다.
이런 경우, 종래의 격자틀 모양의 칼로 식재료를 한꺼번에 자르는 것에 비해, 먼저 세로 방향으로만 식재료를 자르게 되며 그것도 작두와 같이 일측에서부터 식재료를 자를 수 있으므로 자르는 데 드는 힘을 줄일 수 있고, 다음으로 일단 세로 방향으로 길게 잘라진 식재료를 가로 방향으로 작두와 같이 일측에서부터 자를 수 있으므로 역시 식재료를 자를 때 들이는 힘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단단하고 다소 두꺼운 식재료도 이런 방식으로는 큰 문제없이 깍둑썰기나 다지기를 시도할 수 있다.
역시 도시되지 않지만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2개층 각각에서 복수 칼날이 나란히 배열되고, 하층부의 세로칼날의 하단이 완만하게 굽은 곡선을 이루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이 놓이는 도마의 상면은, 도마를 세로홈의 위치에서 세로방향을 가진 수직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나는 도마 단면의 상변이 세로칼날의 하단이 이루는 곡선에 대응하는 곡선을 이루도록, 곡면을 이루게 된다.
이런 칼을 측면쪽에서 보면 칼을 이루는 상층부 가로칼날은 하단이 하층부 세로칼날의 상단 칼등에 닿도록 이루어지며, 곡선이 아닌 직선을 이루고 있다. 세로칼날은 전체적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구부러져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도 도3의 실시예에서 칼질하는 방법과 같이 먼저 도마 위에 대상물을 놓고, 손잡이 한쪽을 한 손으로 잡아 도마를 놓는 테이블에 대략적으로 고정하고, 손잡이 다른 한쪽을 다른 한 손으로 누르면서 대상물을 한쪽부터 자를 수 있게 된다.
이런 도마에서는 초기의 대상물이나 칼질을 통해 잘려진 대상물 조각이 도마 상면이 오목함으로 인하여 흩어지지 않고 도마 중심에 남을 수 있어서 칼질이 용이하고 잘린 조각들을 모아서 다른 용기에 옮기기도 용이하고, 칼을 반복적으로 올리고 내리면서 대상물 조각을 칼질하여 다지는 것도 용이하게 되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도3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세로 방향으로 2개층의 복수 칼날이 나란히 배열되고, 이들 복수칼날의 하단이 각각 아래로 볼록한 곡선을 이루게 하며, 도마 상면도 그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도 생각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여기서 기재되어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200, 400, 500, 600: 칼 세트 101, 201, 401, 501, 601: 칼
110: 세로칼날 120:가로칼날
130, 631, 632, : 프레임 140, 641, 642: 손잡이
150, 250, 450, 550, 650 : 도마 151: 세로홈
153: 가로홈 155: 정지턱
156: 가이드 460, 560: 힌지축
580: 수집통

Claims (11)

  1. 한 평면 상의 제1 방향으로 복수 칼날이 나란히 배열된 하층부와 상기 평면과 평행하지만 레벨이 높은 평면 상의 제2 방향으로 복수 칼날이 나란히 배열된 상층부가 대상물을 자를 때 서로 상하 위치에 있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복층구조의 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부의 복수 칼날과 상기 상층부의 복수 칼날과 결합하여 고정하면서 상기 하층부 및 상기 상층부의 주변부를 포괄하는 폐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복층구조의 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위에서 볼 때 서로 수직한 것이거나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의 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층부를 포괄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층부를 포괄하는 상부 프레임으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별개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의 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가운데 어느 하나의 복층구조의 칼과
    대상물을 자른 상태에서 상기 하층부의 복수 칼날을 모두 수용하여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깊은홈을 가지는 도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의 칼 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에 상기 상층부의 복수 칼날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얕은홈이 있고,
    상기 도마에서 상기 깊은홈의 깊이는 상기 얕은홈의 깊이에 비해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의 칼 세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와 상기 프레임의 한 쪽은 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의 칼 세트.
  8.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시를 기준으로,
    상기 복층구조의 칼은 상기 도마 아래쪽에 놓이고,
    상기 복층구조의 칼 아래쪽에는 상기 복층구조 칼에 의해 잘려지고 낙하된 대상물 조각을 담는 수집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의 칼 세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시를 기준으로,
    상기 복층구조의 칼은 상기 도마 아래쪽에 놓이고,
    상기 복층구조의 칼 아래쪽에는 상기 복층구조 칼에 의해 잘려지고 낙하된 대상물 조각을 담는 수집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의 칼 세트.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에는 상기 복층구조의 칼의 칼날들을 대응하는 홈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도마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가이드가 상기 도마의 적어도 두 곳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의 칼 세트.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의 주변부에는 상기 복층구조의 칼의 칼날을 제외한 일부와 닿아 상기 복층구조의 칼의 칼날 하단이 상기 도마의 대응하는 홈 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의 칼 세트.
KR1020120059453A 2012-06-01 2012-06-01 복층구조 칼 및 칼 세트 KR20130135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453A KR20130135673A (ko) 2012-06-01 2012-06-01 복층구조 칼 및 칼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453A KR20130135673A (ko) 2012-06-01 2012-06-01 복층구조 칼 및 칼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673A true KR20130135673A (ko) 2013-12-11

Family

ID=4998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453A KR20130135673A (ko) 2012-06-01 2012-06-01 복층구조 칼 및 칼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56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5084A (zh) * 2017-04-26 2017-07-14 宁波众海电器有限公司 手切蔬菜分离器
CN107042532A (zh) * 2017-05-24 2017-08-15 瓮安县任九妹食品有限责任公司 可调节式黄粑切块装置
WO2024208061A1 (zh) * 2023-04-07 2024-10-10 广东高达莱日用电器有限公司 一种刀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5084A (zh) * 2017-04-26 2017-07-14 宁波众海电器有限公司 手切蔬菜分离器
CN107042532A (zh) * 2017-05-24 2017-08-15 瓮安县任九妹食品有限责任公司 可调节式黄粑切块装置
WO2024208061A1 (zh) * 2023-04-07 2024-10-10 广东高达莱日用电器有限公司 一种刀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9122B1 (en) Food dicer
EP1833643B1 (en) Food chopper
AU2009200164A1 (en) Food cutting device
KR20130135673A (ko) 복층구조 칼 및 칼 세트
KR20200002107U (ko) 채 썰기 장치
US20140033544A1 (en) Fruit Cutter
CN205310323U (zh) 手握式多功能切菜器
CN204868958U (zh) 一种手压式切片机
CN202462482U (zh) 可调节式刀具
JP4669078B1 (ja) 野菜おろし器とおろし補助板フック
CN201432311Y (zh) 一种果蔬分切器
CN206066500U (zh) 一种可选间距的多刃组合式菜刀
CN203752241U (zh) 快速切菜器
JP3172247U (ja) まな板
CN203156807U (zh) 一种简易多功能厨具
KR102078460B1 (ko) 마늘 세절기
JP3217658U (ja) 縦型食材スライサー
CN208483875U (zh) 一种快捷食物加工机构
CN209394729U (zh) 一种手动切菜机
KR200413748Y1 (ko) 마늘 가공장치
CN203125587U (zh) 鸡蛋薄片分切器
CN206777256U (zh) 一种切丝刀片以及使用该切丝刀片的刨切机
CN209141020U (zh) 一种带加热功能的面包切片机
KR101940572B1 (ko) 두께 조절이 가능한 채 써는 장치
CN201399797Y (zh) 一种切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