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800Y1 -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 - Google Patents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800Y1
KR200410800Y1 KR2020050037046U KR20050037046U KR200410800Y1 KR 200410800 Y1 KR200410800 Y1 KR 200410800Y1 KR 2020050037046 U KR2020050037046 U KR 2020050037046U KR 20050037046 U KR20050037046 U KR 20050037046U KR 200410800 Y1 KR200410800 Y1 KR 200410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visual effect
present
flame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7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길
Original Assignee
정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길 filed Critical 정종길
Priority to KR2020050037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8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C11C5/004Ingredients dyes, pigments; products giving a coloured flam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에 관한 것으로서, 파라핀 왁스로 되며 다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중앙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로 곧게 노출되어 불꽃 점화되는 점화부가 구비된 심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는 점화시 불꽃이 비산하게 되어 시각적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축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칼라의 불꽃을 발현하여 심미감을 더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를 통해, 양초의 장식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양초를 사용하여 독특하고 개성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는 큰 행사에서 여러개의 양초를 사용하는 경우, 심지에 점화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한 불꽃이 잘 붙지 않는 점을 개선할 수 있다.
양초, 심지

Description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Candle}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심지
30 : 점화부 40 : 보호캡
본 고안은 양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초 점화시 심지에 불이 잘 붙도록 하고 불꽃놀이효과와 함께 양초의 불꽃색이 다양하게 표현되어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양초는 가정용, 종교행사용, 악취제거용, 분위기 연출용 등으로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서구 유럽에서는 생활의 필수용품으로 매일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파티, 이벤트 등 행사가 증가함 에 따라 양초의 수요는 더욱 증가되고 있다.
종래의 양초는 몸체 중앙에 구멍을 뚫고 그 내부에 심지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심지는 면사, 뜨게실 따위를 꼬아 형성되고, 이를 스테아린산과 파라핀의 혼합물인 왁스에 함침시켜 왁스가 스며들게 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왁스에 함침된 심지를 점화하는데,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므로 점화시 용이하지 않고 점화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종 행사용으로 양초가 사용될 경우, 여러 개의 양초를 점화하는데 장시간 소요되며 종래의 양초는 붉은색으로만 표현되게 되므로 행사를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한 폭죽과 같은 별도의 도구들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점화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간편하게 점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양초의 불꽃색이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양초의 장식효과를 더욱 높이고 불꽃놀이와 같은 화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양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양초는 파라핀 왁스로 되며 다 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중앙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로 노출되어 불꽃 점화되는 점화부가 구비된 심지;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점화부는 마그네슘(Mg) 입자를 왁스에 분산시킨 용액에 심지의 일정부위를 함침시켜 노출되게 점화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화부는 나트륨(Na), 칼슘(Ca), 칼륨(K), 바륨(Ba), 구리(Cu), 세슘(Cs)중 선택되는 1이상의 입자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몸체에 상기 점화부 외부를 보호하는 보호캡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점화부는 스파클링형의 불꽃을 비산하는 불꽃비산재가 더 도포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양초는 파라핀 왁스로 되며 다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 중앙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로 곧게 노출되어 불꽃 점화되는 점화부(30)가 구비된 심지(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는 파라핀 왁스로 되며 다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으며 상기 심지(20)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다. 양초는 상기 몸체(10)인 파라핀 왁스가 열에 의해 고체에서 액체로 되었다가 기체로 된 상태에서 타게 된다.
상기 심지(20)는 면사, 뜨게실 따위를 꼬아 형성되고, 이를 스테아린산과 파라핀의 혼합물인 왁스에 함침시켜 왁스가 스며들게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 중앙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로 곧게 노출되어 불꽃 점화되는 점화부(30)가 구비되어있다.
상기 점화부(30)는 마그네슘(Mg) 입자를 왁스에 분산시킨 용액에 심지(20)의 일정부위를 함침시켜 노출되게 점화부(30)를 형성한다. 이를통해 점화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간편하게 점화될 수 있다. 또한, 나트륨(Na), 칼슘(Ca), 칼륨(K), 바륨(Ba), 구리(Cu), 세슘(Cs)중 선택되는 1이상의 입자가 더 포함되어 점화시 다양한 칼라를 나타낼 수 있다. 나트륨은 노란색, 칼슘은 주황색, 칼륨은 보라색, 바륨은 황록색, 세슘은 청자색의 불꽃반응을 일으키며, 나트륨(Na), 칼슘(Ca), 칼륨(K), 바륨(Ba), 구리(Cu), 세슘(Cs)중 선택되는 1이상의 성분이 포함된 왁스용액에 침지시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점화부(30)를 보호하는 보호캡(40)을 추가로 구성한다. 상기 보호캡(4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 상기 점화부(30)는 스파클링형의 불꽃을 비산하는 불꽃비산재가 더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꽃비산재는 심지의 외표면에 도포되어, 불꽃 점화시 비산형의 불꽃(소위 스파클형의 불꽃)이 발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불꽃비산재는 저렴하게 제조 될 수 있고, 안전성이 높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점 화부(30)에 도포되는 불꽃비산재는 다양한 화약성분으로 구성되며, 불꽃반응을 일으키는 상기 나트륨(Na), 칼슘(Ca), 칼륨(K), 바륨(Ba), 구리(Cu), 세슘(Cs)중 선택되는 1이상의 입자와 혼합되어 다양한 색상의 불꽃을 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이러한 스파클링형의 불꽃을 비산하는 불꽃비산재가 더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점화시 불꽃이 비산하게 되어 시각적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축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는 점화시 불꽃이 비산하게 되어 시각적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축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칼라의 불꽃을 발현하여 심미감을 더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를 통해, 양초의 장식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양초를 사용하여 독특하고 개성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는 큰 행사에서 여러개의 양초를 사용하는 경우, 심지에 점화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한 불꽃이 잘 붙지 않는 점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5)

  1. 파라핀 왁스로 되며 다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 중앙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로 노출되는 불꽃 점화부가 구비된 심지;로 이루어진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마그네슘(Mg) 입자를 왁스에 분산시킨 용액에 심지의 일정부위를 함침시켜 노출되게 점화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나트륨(Na), 칼슘(Ca), 칼륨(K), 바륨(Ba), 구리(Cu), 세슘(Cs)중 선택되는 1이상의 입자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
  4. 제 1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상기 점화부 외부를 보호하는 보호캡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스파클링형의 불꽃을 비산하는 불꽃비산재가 더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KR2020050037046U 2005-12-30 2005-12-30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 KR200410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046U KR200410800Y1 (ko) 2005-12-30 2005-12-30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046U KR200410800Y1 (ko) 2005-12-30 2005-12-30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800Y1 true KR200410800Y1 (ko) 2006-03-08

Family

ID=4176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046U KR200410800Y1 (ko) 2005-12-30 2005-12-30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8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554B1 (ko) 2007-04-23 2009-03-09 강성철 폭죽기능을 가진 양초
KR101114907B1 (ko) 2011-06-29 2012-03-06 주식회사 에이에프디자인 인조 양초
KR101557887B1 (ko) 2015-06-08 2015-10-07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시각적 이벤트를 제공하는 캔들 홀더
KR20200056118A (ko) 2018-11-14 2020-05-22 김종민 양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554B1 (ko) 2007-04-23 2009-03-09 강성철 폭죽기능을 가진 양초
KR101114907B1 (ko) 2011-06-29 2012-03-06 주식회사 에이에프디자인 인조 양초
KR101557887B1 (ko) 2015-06-08 2015-10-07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시각적 이벤트를 제공하는 캔들 홀더
KR20200056118A (ko) 2018-11-14 2020-05-22 김종민 양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800Y1 (ko)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
US2735285A (en) Ferleger
US7878796B1 (en) Colored flame candle
US20020117071A1 (en) Self-igniting sparkler
US3424540A (en) Colored flame candle
CN204495195U (zh) 一种空中自动开启的led烟花
Wisniak Matches-The manufacture of fire
JPH08212818A (ja) 灯火照明体用液体燃焼剤及び灯火照明体
JP3246586U (ja) キャンドル
KR100887554B1 (ko) 폭죽기능을 가진 양초
RU2721918C1 (ru) Римская свеча
RU2714896C1 (ru) Петарда фитильная
KR19990081120A (ko) 양초의 제조방법
RU2170223C1 (ru) Искристо-форсовый состав
JPH093482A (ja) 点火時に眩しく輝く蝋燭
JP4114252B2 (ja) 点火時にハート型の炎を発生する花火付き蝋燭
KR200186163Y1 (ko) 양초
JP4099014B2 (ja) 着色光を発する棒状燃焼体、その燃焼方法及び燃焼制御リング
KR850002599Y1 (ko) 꽃불이 발생하는 양초
SI21517A (sl) Sveča z integriranim vžigom
SU82828A1 (ru) Свеча на твердом горючем с проволочным фитилем
JP2000146497A (ja) 室内装飾用花火
JP2000154130A (ja) 香及び香様燃焼体
JPH10168481A (ja) 特殊効果キャンドル
RU2387628C2 (ru) Спичк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