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244Y1 -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 - Google Patents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244Y1
KR200410244Y1 KR2020050035992U KR20050035992U KR200410244Y1 KR 200410244 Y1 KR200410244 Y1 KR 200410244Y1 KR 2020050035992 U KR2020050035992 U KR 2020050035992U KR 20050035992 U KR20050035992 U KR 20050035992U KR 200410244 Y1 KR200410244 Y1 KR 200410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
present
picture
tool
dra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자
Original Assignee
권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자 filed Critical 권성자
Priority to KR2020050035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2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2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및 어린아이들이 각종 동물이나 사람 등의 유동가능한 대상을 그림으로 그리고자 하는 경우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움직임을 직접 연출하여 움직임에 대한 동작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특징을 명확하게 표현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한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동작을 보고 그 동작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그 이야기를 말로 또는, 글로 표현하는데 까지 이끌어주는 도구이다.
본 고안은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그리고자 하는 동물의 신체부위 조각판이 각각 등분되게 나누어 새겨진 원판과; 각각의 원판에 새겨진 조각판을 지정된 위치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클립으로 구성되되, 조각판은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절개되어 구성되고, 그림 그리는 학습방법은 원판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신체 부위를 각각 절개하여 조각판을 구성하는 단계; 각각의 조각판을 떼어내어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형태를 조립하는 단계; 조립되어진 그리고자 하는 대상을 원하는 동작상태를 갖도록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설정된 동작을 직접 보고 그림을 그리는 단계;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동작을 재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림, 학습방법, 학습도구, 원판, 조각판

Description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Education teaching aids of children's fine ar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를 나타내는 표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를 이용한 학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학습도구 2:원판
3:조각판 4:고정클립
5:결합공
본 고안은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 및 어린아이들이 각종 동물이나 사람 등의 유동가능한 대상을 그림으로 그리고자 하는 경우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움직임을 직접 연출하여 움직임에 대한 동작을 눈으 로 확인하면서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특징을 명확하게 표현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한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동작을 보고 그 동작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그 이야기를 말로 또는, 글로 표현하는데 까지 이끌어주는 도구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및 어린아이들은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그리고자 하는 대상을 눈으로 확인하거나 직접 보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특징없이 자유롭게 표현하고 상상하며 추상적인 그림을 그리게 된다.
특히, 부동상태의 대상을 그림으로 그리는 경우에는 항상 같은 모습을 상상하며 직접 보지 않더라도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특징을 잘 표현하며 그릴 수 있으나, 동물이나 사람 등과 같이 동적이며 변화무쌍한 동작으로 표현되는 대상을 그리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과 반복되는 학습이 요구되고 있다.
동적인 대상 중에서도 호랑이나 곰 등과 같이 야생동물로 직접 접하거나 눈으로 보면서 그림을 그리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이들을 직접 보고 그리기에는 거의 불가능하며, 이들의 동작을 담은 사진이나 그림 등을 보고 그리는 학습에 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데, 곰을 그리는 경우에, 곰이 서있는 자세, 달리는 자세 등의 다양한 동작상태를 그리기 위해서는 각각의 동작을 취하고 있는 사진이나 그림을 이용하게 되므로, 각각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는 사진이나 그림을 구하기가 어렵고, 이를 구비하기 위한 많은 비용과 곤란함이 수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아나 어린아이들이 그림을 그리는 학습을 행함에 있어, 특히 동물이나 사람 등과 같이 동적인 움직임 상태를 그리고자 하는 경우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동작을 직접 자유롭게 조절, 즉 곰을 예로 들면, 달리는 모습, 서있는 모습 등의 동작을 설정하여 동작상태를 확인하며 스스로 정확한 동작을 그림으로 그려 표현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는 유아 및 어린아이들의 그림 학습을 향상시킴은 물론,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다양한 동작상태 연출이 간편하고 자유롭게 이루어짐으로써,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놀이를 위한 유희도구로도 겸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그리고자 하는 동물의 신체부위 조각판이 각각 등분되게 나누어 새겨지고 각 부위별 명칭이 적힌 원판과; 각각의 원판에 새겨진 조각판을 지정된 위치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클립으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때, 원판에 새겨지는 조각판은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절개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의 그림 그리는 학습방법은 원판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신체 부위를 각각 절개하여 조각판을 구성하는 단계; 각각의 조각판을 떼어내어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형태를 조립하는 단계; 조립되어진 그리고자 하는 대상을 원하는 동작상태를 갖도록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설정된 동작을 직접 보고 그림을 그리는 단계;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동작을 재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1)의 원판(2)은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그리고자 하는 동물의 신체부위 조각판(3)이 각각 등분되게 나누어 새겨지되, 원판에 새겨지는 조각판은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절개되어 구성되고, 고정클립(4)은 각각의 원판(2)에 새겨진 조각판(3)을 지정된 위치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조각판(3) 소정 위치에는 고정클립(4)에 의한 연결을 위해 결합공(5)이 형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를 나타내는 표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 3(b)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소정 크기의 원판(2)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본 고안에서는 곰을 예로 들어 설명함)의 신체부위 즉, 몸통부위, 팔부위, 다리부위, 머리부위, 꼬리부위로 각각 구분하여 새겨지도록 하여 조각판(3)을 구성한 후, 각각의 조각판(3)을 떼어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절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원판(2)에 절개되어 구성된 각각의 조각판(3)을 떼어내어 지정된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5)을 맞대어지도록 한 다음, 고정클립(4)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면, 그리고자 하는 대상, 즉, 곰의 형태가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고정클립(4)에 의해 연결되는 각각의 조각판(3)이 고정점(고정클립)을 기점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유동 가능한 것으로서,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사용자가 임의로 달리는 동작을 취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서있는 동작을 취하도록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를 이용한 학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로서, 본 고안의 그림 그리는 학습방법은 단계(S10)를 통해 원판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신체 부위를 각각 절개하여 조각판을 구성하고, 단계(S20)에서 각각의 조각판을 떼어내어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형태를 조립한다.
그리고, 단계(S30)를 통해 조립된 그리고자 하는 대상을 원하는 동작상태를 갖도록 설정하는 한 다음, 단계(S40)에서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설정된 동작을 직접 보고 그림을 그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단계(S50)를 통해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동작을 재설정하는 다양한 동작상태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1)는 동적인 상태의 동작을 연출하는 각종 동물이나 사람은 물론, 물고기나 식물 등의 움직임을 표현하도록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모든 사물에 대한 다양한 동작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1)는 유아 및 어린아이들의 놀 이를 위한 유희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고, 퍼즐이나 모자이크 등의 다양한 학습 놀이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를 이용함에 따라, 유아나 어린아이들이 그림을 그리는 학습을 행함에 있어, 동물이나 사람 등과 같이 동적인 움직임 상태를 그리고자 하는 경우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동작을 직접 자유롭게 설정(달리는 모습, 서있는 모습 등의 동작)하여 동작상태를 확인하며 정확한 동작을 그림으로 그려 표현할 수 있으므로, 그림에 대한 표현력과 상상력을 극대화시켜 그림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다양한 동작상태 연출이 간편하고 자유롭게 이루어짐으로써,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놀이를 위한 유희도구로도 겸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그리고자 하는 동물의 신체부위 조각판(3)이 각각 등분되게 나누어 새겨지고 각 부위별 명칭이 적힌 원판(2)과;
    각각의 조각판(3)을 지정된 위치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클립(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원판(2)에 새겨지는 조각판(3)은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절개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조각판(3) 소정 위치에는 고정클립(4)에 의한 연결을 위해 결합공(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
KR2020050035992U 2005-12-22 2005-12-22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 KR200410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992U KR200410244Y1 (ko) 2005-12-22 2005-12-22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992U KR200410244Y1 (ko) 2005-12-22 2005-12-22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439 Division 2005-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244Y1 true KR200410244Y1 (ko) 2006-03-07

Family

ID=4176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992U KR200410244Y1 (ko) 2005-12-22 2005-12-22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2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83217Y (zh) 六十六拼板
WO2008051046A1 (en) Assembly toy block set
JP3223289U (ja) 立体遊び可能な学習用の定規
CN202223880U (zh) 一种组合式机械动力拼图卡
TWI534766B (zh) A combination of mobile devices and teaching aids
KR200410244Y1 (ko) 그림 그리는 학습도구
KR20190043707A (ko) 창의력 증진을 위한 놀이판이 포함된 블록 놀이세트 및 그것을 이용한 놀이방법
KR20170003111U (ko) 학습용 주사위
KR20190003215U (ko) 유아 자석 블록식 학습교구
KR200465045Y1 (ko) 영어 학습 교구
Kamaruddin et al. Developing Fine Motor Skills in Early Childhood through Plasticine Media
JP3152488U (ja) 人形等模型を固定する将棋駒及びその固定具
KR20100024177A (ko) 조립식 교육ㆍ완구용 판재세트
JP3229612U (ja) 嵌め合せ玩具
JP3224706U (ja) 嵌め合せ玩具
KR200218939Y1 (ko) 십교놀이 세트
CN210904944U (zh) 双指套玩偶
CN201969326U (zh) 益智拼板玩具
JP3232048U (ja) 訓練用ジグソーパズル
KR200271892Y1 (ko) 찍찍이가 모든 면에 붙어있는 블록완구
JP3138048U (ja) 嵌め込み知育玩具
KR200249756Y1 (ko) 적목식 완구
KR200285506Y1 (ko) 종이모형완구
CN209885248U (zh) 一种益智玩具
KR20190003251U (ko) 입체 동물 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