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120Y1 -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120Y1
KR200408120Y1 KR2020050032617U KR20050032617U KR200408120Y1 KR 200408120 Y1 KR200408120 Y1 KR 200408120Y1 KR 2020050032617 U KR2020050032617 U KR 2020050032617U KR 20050032617 U KR20050032617 U KR 20050032617U KR 200408120 Y1 KR200408120 Y1 KR 200408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portion
indicator
floor
leve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송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섭 filed Critical 송유섭
Priority to KR2020050032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1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평평한 바닥이나 천정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 바닥이 수평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표시기로 수직 철근에 묶어 그 높이를 알려 주는 레벨끈이나 거푸집 바닥에 설치하여 그 상단 높이로서 타설 높이를 가늠하게 하는 레벨봉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레벨끈은 그 설치 작업이 불편할 뿐 아니라 콘크리트가 묻으면 잘 보이지 아니하는 결점이 있으며, 레벨봉은 그 제조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어 시공자가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수직으로 배근되는 철근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끼움부에 형성시키는 표지부로 수평표시기를 구성시킴으로서 비교적 저렴한 수평표시기를 제공하면서도 건축물의 바닥이나 천정의 상면을 평평히 시공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Leveler for concrete placing}
도 1 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중심을 종단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끼움부
11 .......... 진입안내부
12 .......... 고정날개
13 .......... 승강저지턱
2 ............. 표지부
3 ............. 눈금부
본 고안은 건축물의 평평한 바닥이나 천정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 바닥이 수평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표시기로, 수직 철근에 묶어 그 높이를 알려 주는 레벨끈이나 거푸집 바닥에 설치하여 그 상단 높이로서 타설 높이를 가늠하게 하는 레벨봉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레벨끈은 그 설치 작업이 불편할 뿐 아니라, 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레벨끈에 콘크리트가 묻으면 레벨끈이 잘 보이지 아니하는 결점이 있으며, 레벨봉은 그 제조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어 시공자가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레벨끈을 개량하여, 수직으로 배근되는 철근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이 끼움부에 형성시키는 표지부로 수평표시기를 구성시키므로서 이를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시킬 수 있게 하여 비교적 저렴한 수평표시기를 제공하면서도 건축물의 바닥이나 천정의 상면을 평평히 시공할 수 있게 하였는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수평 표시기는, 수직으로 배근되는 철근에 끼워지는 끼움부(1)와 이 끼움부(1)에 형성시키는 표지부(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끼움부(1)는 한쪽이 터진 원통형체로 형성시키고 그 터진 부위 양단부에 철근의 진입 안내부(11)와 진입된 철근을 압박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날개(12)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날개(12)는 그 선단을 유연하게 형성시켜 끼움부(1)에 끼워지는 철근이 고정날개(12)에 저항을 가하면 고정날개(12)가 구부러지면서 철근을 파악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날개(12)가 이와 같이 구부러지게 하기 위해서는 끼움부를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 끼움부(1)를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시키더라도 고정날개(12)의 선단을 좁게 형성시킴으로서 고정날개(12)의 선단이 쉽게 일그러지면서 철근을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날개(12)는 끼움부(1)에 끼워지는 철근의 굵기가 상이할 경우에도 철근을 굳건히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수평 상태의 유지 확보는 중요한 일이므로, 철근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끼움부(1) 상하 위치 변경은 허용될 수 없는 일이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끼움부(1)의 상하 위치 확보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끼움부(1) 내부에 횡방향의 승강저지턱(13)을 부가 설치하였다.
끼움부(1)에 설치하는 표지부(2)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달형 판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지부(2)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이를 지시하는 눈금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 두께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두께는 증가시키지 못한다 하더라도, 그 넓이만이라도 증가시켜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표지부(2)가 끼움부(1)의 터진부분이 벌어지는데 장애를 제공하면, 이 터진 부분을 통하여 철근을 끼우는 작업을 불편하게 한다. 따라서, 표지부(2)와 끼움부(1)는 단지 서로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결합되는 것으로 족함으로, 그 연결부의 범위는 원주의 1/4 이하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부(1)에 설치하는 표지부(2)는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11)의 반대쪽에 형성시킬 수 있다.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 그 타설 표면이 수평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서는 작업지시자가 잉크 등으로 수직으로 배하여진 철근에 설치 위치를 마킹 하고 여기에 맞춰 끼움부(1)를 끼워야 하는바, 이와 같은 경우, 철근에 표시된 표지와 끼움부(1)에 설치된 표지부(2)가 일치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철근에 표시된 표지는 끼움부(1)의 터진 부분 쪽에서만 보이게 됨으로,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부(2)를 터진부분 반대쪽에 형성시키게 되면, 철근에 표시된 표지와 끼움부(1)에 설치된 표지부(2)가 일치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기에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터진부분에 눈금부(3)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표지부는, 첨부된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터진 부분의 안내부(11) 외방 일측이나 양측에 표지부를 설치함으로서 이러한 표지부(2)가 눈금의 기능을 겸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1 에 도시된 눈금부(3)를 확대하여 표지부로 삼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제조가 극히 용이하며,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하면서도, 설치 위치의 확보 신뢰성이 크며, 다양한 직경의 철근을 수용할 뿐 아니라, 멀리서도 그 높이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수평 표시기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수직으로 배근되는 철근에 끼워지는 끼움부(1)와 이 끼움부(1)에 형성시키는 표지부(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2. 제1항에 있어서, 끼움부(1)는 한쪽이 터진 원통형체로 형성시키고 그 터진 부위 양단부에 철근의 진입 안내부(11)와 진입된 철근을 압박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날개(12)를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끼움부(1)는 그 내부에 횡방향의 승강저지턱(13)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끼움부(1)는 그 터진 부분에 눈금부(3)가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지부(2)는 끼움부(1)의 터진 부분의 안내부(11)외방에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KR2020050032617U 2005-11-18 2005-11-18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KR200408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617U KR200408120Y1 (ko) 2005-11-18 2005-11-18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617U KR200408120Y1 (ko) 2005-11-18 2005-11-18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177A Division KR20070052487A (ko) 2005-11-17 2005-11-17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120Y1 true KR200408120Y1 (ko) 2006-02-07

Family

ID=4448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617U KR200408120Y1 (ko) 2005-11-18 2005-11-18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1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777B2 (en) Devices for securing reinforcing bars within forms for concrete
US7032354B2 (en) Sandwich erection lift anchor with welding plate assembly
CA3030895A1 (en) Concrete form brace with multi-depth rebar positioning
KR200408120Y1 (ko)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US7475862B1 (en) Stub steel holder
KR100861663B1 (ko)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KR100833841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0519072B1 (ko) 보강토 옹벽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20070052487A (ko)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EP2337910B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concrete cover of reinforcements during casting
KR200410794Y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N215106739U (zh) 护栏预埋件
KR102017336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KR200431038Y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JP3118630U (ja) 床面コンクリートレベルのグリップ装着用案内具
KR20180116058A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JP431958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施工用スペーサーおよび該スペーサー用キャッチャー
JPH1010266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53142A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N219241344U (zh) 一种预埋卡扣式模板限位装置
KR200193383Y1 (ko) 철근 간격 유지구
KR100352331B1 (ko) 철근 받침대
KR200418000Y1 (ko)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CN208830172U (zh) 一种新型公路桥梁混凝土用钢模板
JP4939372B2 (ja) 中空壁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