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663B1 -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663B1
KR100861663B1 KR1020060081394A KR20060081394A KR100861663B1 KR 100861663 B1 KR100861663 B1 KR 100861663B1 KR 1020060081394 A KR1020060081394 A KR 1020060081394A KR 20060081394 A KR20060081394 A KR 20060081394A KR 100861663 B1 KR100861663 B1 KR 100861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main body
screw shaft
concrete placing
plac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978A (ko
Inventor
박창규
Original Assignee
박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규 filed Critical 박창규
Priority to KR1020060081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66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2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서, 하측으로 철근이 끼워져서 측방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밑면과 측면이 개구된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의 하측으로는 탄력을 가지는 훅크부가 마주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홈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홈에 선단을 꽂을 수 있는 나사축과; 일단이 측방으로 확장된 기준 표시부를 가지고 상기 나사축에 나사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표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면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타설높이 표시구가 직선 형태의 철근이나 십자형태의 철근 구조물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일이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바닥 등에 못이나 나사 등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지 않고 신속히 장착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간이 매우 단축되어 인건비용등의 절감 효과를 얻게 될 뿐만아니라 종래의 표시구 보다 저렴하고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널리 보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용성이 매우 높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철근, 본체, 요부, 훅크부, 표시구, 나사축, 기준표시구, 유입공, 돌기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The marker for concrete levelling }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나타낸 도 3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나타낸나사축을 제외한 도 3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의 철근과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나타낸 좌측면도와 우측면도.
도 14 및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의 철근과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본체 21,22 ; 요부
23,24 ; 훅크부 25 ; 홈
26 ; 경사면 27 ; 경사지지편
28 ; 걸림단부 40 ; 표시구
41 ; 나사축 42 ; 기준표시부
43 ; 손잡이 44 ; 나사구멍
50 ; 유입공 60 ; 돌기
B ; 철근 P ; 데크 플레이트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미리 설치된 철근 구조물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설계 치수에 맞도록 일정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이나 층간 슬라브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에는 먼 저 거푸집을 구성하기 위해 철근 구조물이나 데크 플레이트를 바닥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막대나 블록 형태의 타설높이 표시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들은 설치가 불편할 뿐 만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재료가 큰 압력과 하중으로 공급되므로서 이로 인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쓰러지거나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로는 특허등록 제10-221038호가 있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1)와; 상기 베이스부재(1)의 상단으로 고정된 너트(2)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상하 높이 조절되는 볼트체(3)와; 상기 볼트체(3)의 상부로 나사 조립되는 스프링 부재(4)와; 상기 스프링 부재(4)에 나사결합되는 캡 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10)는 확실한 고정을 위해 베이스 부재(1)를 데크 플레이트(P) 등의 바닥면에 못(6)이나 체결나사로 일일이 고정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 전반에 걸쳐 타설 높이 표시구 설치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건축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는 베이스 부재, 볼트체, 너 트, 스프링 부재 등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 단가가 높아 그로 인한 건축비의 상승 요인이 되어 범용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하고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트리트 타설높이 표시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미리 설치된 철근 구조물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설계 치수에 맞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설높이 표시구의 본체를 철근 구조물의 교차 지점에 안정적으로 장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재료에 의한 압력과 하중에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높이 표시구 본체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철근 구조물 교차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내부 가스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면서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타설높이 표시구와 콘크리트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하측으로 철근이 끼워져서 측방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밑면과 측면이 개구된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의 하측으로는 탄력을 가지는 훅크부가 마주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홈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홈에 선단을 꽂을 수 있는 나사축과, 일단이 측방으로 확장된 기준 표시부를 가지고 상기 나사축에 나사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표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윗면에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요부는 "+" 형태로 교차하는 양 방향으로 되고, 각 방향의 요부는 그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편차를 줌으로써 철근이 교차하여 통과될 수 있도록 되며, 각 요부의 하측으로 탄력을 가지는 상기 훅크부가 각각 마주하여 형성되어 구성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 성되어 콘크리트와 접촉 면적을 높이도록 함으로서 콘크리트 양생시 상기 본체와 콘크리트의 밀착력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기준 높이를 제시하는 나사축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와 나사축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나사홈으로 되어 나사축이 나사 결합되도록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요부와 훅크부는 연결되어 있되 요부의 하측 입구에 훅크부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요부와 훅크부가 이루는 형상이나 갯수는 철근과의 결합시 간편하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변형된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나타낸 도 3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나타낸나사축을 제외한 도 3의 평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의 철근과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는 철근(B)에 장착되는 본체(20)와 콘크리트 타설면 최상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구(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종래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P) 등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형태가 아니라 상기 철근(B)에 장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20)의 밑면과 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철근(B)을 수용할 수 있는 요부(21)를 형성하도록 대략 "ㄷ" 형의 채널(channel)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의 요부(21)를 통하여 상기 철근(B)이 수용되어 직선 형태의 철근(B1,B2)이 지나가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그 측방이 개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요부(21)의 단면 형상은 상기 철근(B)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고, 그 외면과 가능한 밀착되도록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부(21)의 하측으로는 상기 본체(20)의 요부(21)에 수용된 상기철근(B)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기 위한 탄력을 가진 훅크부(23)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20)를 상기 철근(B)의 교차점에 장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20)의 요부(21),(22)는 상기 철근(B)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는 지점에 장착될 수 있도록 "+" 형태(이하 "십자형태" 라함)로 교차하는 양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각 방향의 상기 요부(21),(22)는 교차 지점의 가로 및 세로 철근(B)이 두 겹 으로 겹쳐진 상태이므로 이를 수용하는 상기 요부(21),(22)의 높이가 상기 철근(B) 두께를 감안하여 서로 다르도록 편차를 줌으로써 상기 철근(B)이 교차하여 통과되어 상기 요부(21),(22)에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십자형태를 이루는 각각의 상기 요부(21),(22)에는 그 하측으로 탄력을 가지는 상기 훅크부(23),(24)가 각각 마주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윗면에는 상기 표시구(40)를 조립하기 위한 홈(25)이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홈(25)의 위치는 상기 본체의 윗면 중앙이나 측면 등상기 표시구(40)를 조립하여 세워서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표시할 수 있으면 어떠한 위치에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훅크부(23),(2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으로 각각 경사면(26)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탄력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경사지지편(27)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의 걸림단부(28)는 상기 요부(21)로 수용된 상기 철근(B)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B)이 상기 훅크부(23),(24)의 개방된 공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훅크부(23),(24)의 경사지지편(27)의 경사면(26)을 따라 상기 철근(B)이 상기 요부(21),(22) 측으로 진입하게 됨에 따라 상기 경사지지편(27)이 외측으로 밀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B)이 상기 요부(21),(22)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경사지 지편(27)의 자체 탄발력에 의해 상기 철근 쪽으로 상기 경사지지편(27)이 원위치 되면서 그 걸림단부(28)가 상기 철근(B)의 밑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철근(B)은 상기 요부(21),(22)에서 빠지지 않게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표시구(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홈(25)에 조립되어 콘크리트의 타설면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본체(20)의 홈(25)에 선단을 꽂을 수 있는 나사축(41)이 구비되고, 그 일단이 측방으로 확장된 기준표시부(42)를 가지며, 상기 나사축(41)에 나사 결합되는 손잡이(4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43)와 상기 기준표시부(42)는 일체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 형성되는 나사구멍(44)이 상기 나사축(41)과 나사 결합되므로서 상기 손잡이부(43)와 기준표시부(42)가 함께 상,하로 승강되면서 콘크리트 타설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나사축(41)의 선단부를 상기 본체(20)의 홈(25)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43)를 회전시키면 이와 함께 회전되는 기준표시부(42)가 상,하로 조절되므로 간편하게 타설면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나사축(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표시구(40)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실수로 건드리거나, 또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압력과 하중에 의해 쉽게 부러지지 않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면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기타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43)와 나사축(4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홈(25)은 내측면에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 축(41)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41)를 잡고 회전시키면 그 기준표시부(42)가 함께 회전하여 상,하로 승강되어 콘크리트 타설면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나사축(41)은 나사홈과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나사축(41)이 나사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 하면서 상기 기준표시부(42)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20)의 윗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공(50)은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유입공(50)을 통하여 콘크리트가 상기 본체(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본체(20)와 상기 철근(B)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공간에 콘크리트로 채워지지 않게 되면 콘크리트 안전 강도 기준에 문제가 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부실하게 시공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유입공(50)은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본체(20)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내부 가스를 상기 유입공(5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20)의 외면에는 다수의 돌기(60)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본체(20)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에 따라 상기 본체(20)의 표면이 매끄러울 경우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면적이 적어지므로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그 표면과 콘크리트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돌기(60)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나타낸 좌측면도와 우측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의 철근과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본체(120)의 요부(121),(122)와 상기 훅크부(123),(124)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요부(121),(122)의 하측 입구에 상기 훅크부(123),(124)가 탄성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훅크부(123),(124)의 경사지지편(127)의 걸림단부(128)가 상기 반원형의 요부(121),(122)와 일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사지지편(127)의 탄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철근(B)이 상기 요부(121),(122)에 더욱 견고하고 탄력있게 장착되는 효과가 있어 콘크리트 타설시 압력과 하중에 더욱 잘 견디게 되어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도 상기 본체(12)가 철근(B)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지지편(127)의 경사면(126)에 의해 상기 본체(12) 장착시 상기 철근(B)이 자동적으로 상기 요부(121),(122) 안으로 수용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본체(120)를 상기 철근(B)의 교차 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누르기만 하면 십자형태로 교차지점의 상기 철근(B)에 쉽게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본체(120)를 별도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시키지 않아도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타설높이 표시구의 장착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면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타설높이 표시구가 직선 형태의 철근이나 십자형태의 철근 구조물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일이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를 바닥 등에 못이나 나사 등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지 않고 신속히 장착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간이 매우 단축되어 인건비용등의 절감 효과를 얻게 될 뿐만아니라 종래의 표시구 보다 저렴하고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널리 보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용성이 매우 높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7)

  1. (정정)하측으로 철근이 끼워져서 측방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밑면과 측면이 개구된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의 하측으로는 탄력을 가지는 훅크부가 마주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홈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홈에 선단을 꽂을 수 있는 나사축과, 일단이 측방으로 확장된 기준 표시부를 가지고 상기 나사축에 나사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표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윗면에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정정)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와 훅크부는 연결되어 있되 상기 요부의 하측 입구에 상기 훅크부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장치.
KR1020060081394A 2006-08-26 2006-08-26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KR100861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394A KR100861663B1 (ko) 2006-08-26 2006-08-26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394A KR100861663B1 (ko) 2006-08-26 2006-08-26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978A KR20080018978A (ko) 2008-02-29
KR100861663B1 true KR100861663B1 (ko) 2008-10-02

Family

ID=3938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394A KR100861663B1 (ko) 2006-08-26 2006-08-26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6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3459A (ja) * 2014-07-18 2016-02-08 強 渡邉 天端レベル管理具
KR102249289B1 (ko) 2020-11-12 2021-05-07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표시장치
KR102253126B1 (ko) 2020-10-15 2021-05-17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20210002231U (ko) 2020-03-30 2021-10-08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2320167B1 (ko) 2021-03-12 2021-11-02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철근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67B1 (ko) * 2010-05-20 2013-11-20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9951U (ja) 1983-05-19 1984-12-01 乾産業株式会社 スラブ鉄筋の受具
KR19980087639A (ko) * 1998-09-04 1998-12-05 황부성 앵커식 사다리부재
JP2000038807A (ja) 1998-07-21 2000-02-08 Akoo:Kk 鉄筋用保持具
JP3072817U (ja) * 2000-04-26 2000-11-02 謙次 上田 コンクリート天端スペーサー
JP2004285607A (ja) 2003-03-20 2004-10-14 Tadatoshi Mannouji コンクリートの水平面出し方法及び水平面出し補助具、並びに鉄筋用スペーサ
KR200419909Y1 (ko) * 2006-04-07 2006-06-27 송유섭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9951U (ja) 1983-05-19 1984-12-01 乾産業株式会社 スラブ鉄筋の受具
JP2000038807A (ja) 1998-07-21 2000-02-08 Akoo:Kk 鉄筋用保持具
KR19980087639A (ko) * 1998-09-04 1998-12-05 황부성 앵커식 사다리부재
JP3072817U (ja) * 2000-04-26 2000-11-02 謙次 上田 コンクリート天端スペーサー
JP2004285607A (ja) 2003-03-20 2004-10-14 Tadatoshi Mannouji コンクリートの水平面出し方法及び水平面出し補助具、並びに鉄筋用スペーサ
KR200419909Y1 (ko) * 2006-04-07 2006-06-27 송유섭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3459A (ja) * 2014-07-18 2016-02-08 強 渡邉 天端レベル管理具
KR20210002231U (ko) 2020-03-30 2021-10-08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2253126B1 (ko) 2020-10-15 2021-05-17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2249289B1 (ko) 2020-11-12 2021-05-07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표시장치
KR102320167B1 (ko) 2021-03-12 2021-11-02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철근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978A (ko) 2008-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663B1 (ko)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KR200480048Y1 (ko) 건축용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구
KR19990078880A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수평받침구
KR100221038B1 (ko) 콘크리트용 레벨 스페이서
KR200231283Y1 (ko)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KR200231273Y1 (ko) 철근 구속구조를 가지는 철근 받침대
KR20060036706A (ko) 건축물 바닥 지지대
KR200391765Y1 (ko) 앵커볼트 및 그 조립체
KR101208411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KR200494576Y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200414936Y1 (ko) 거푸집 설치용 합판 받침대
KR200142048Y1 (ko) 콘크리트제 상하단근 동시지지 철근받침대
KR100715515B1 (ko) 그라우트층 보강구
KR100213561B1 (ko)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KR200238510Y1 (ko) 건설용 철근의 이격구
KR200163869Y1 (ko)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KR200210972Y1 (ko) 철근 받침대
CN208563960U (zh) 一种用于混凝土浇筑的定位钢板及混凝土浇筑系统
CN113265912B (zh) 预制底座和轨道支撑组件
KR200258900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지지장치
KR200314569Y1 (ko) 거푸집의 슬라브 타설용 목재합판 취부구조
KR200178202Y1 (ko) 철근 받침대
KR200280024Y1 (ko)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0184342Y1 (ko) 철근구조물의 철근 고정구조
KR200234872Y1 (ko) 철근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