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561B1 -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561B1
KR100213561B1 KR1019960077482A KR19960077482A KR100213561B1 KR 100213561 B1 KR100213561 B1 KR 100213561B1 KR 1019960077482 A KR1019960077482 A KR 1019960077482A KR 19960077482 A KR19960077482 A KR 19960077482A KR 100213561 B1 KR100213561 B1 KR 10021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groove
upper flange
buildi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170A (ko
Inventor
김동규
김규석
문태섭
김덕재
엄철환
Original Assignee
허영준
대원강업주식회사
조국필
주식회사진방철강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고학봉
포스코개발주식회사
정영재
동국강재주식회사
장명식
주식회사제일중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준, 대원강업주식회사, 조국필, 주식회사진방철강,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고학봉, 포스코개발주식회사, 정영재, 동국강재주식회사, 장명식, 주식회사제일중공 filed Critical 허영준
Priority to KR101996007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561B1/ko
Publication of KR1998005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발명은 건축물의 바닥슬라브용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상부에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간에 일체성을 확보하여 내화성을 증대하여 주면서도 철근배근 작업시 철근받침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하부플랜지(10)와, 경사웨브(20)와, 상부플랜지(30)로 이루어져서 밑변이 트여진 개구부(40)를 가지되 상기 상부플랜지(30)의 폭이 상기 개구부(4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역사다리꼴형상으로 반복적으로 절곡되어서 구성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30)면 좌우측변 가까이에 각각 좌측홈부(31) 및 우측홈부(32)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데크프레이트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4)간에 일체성을 확보하여 내화성을 증대하면서도 그 상부에 배근되는 배근철근(2)을 지지하는 철근받침대(3)를 상기 좌측홈부(31) 및 우측홈부(32)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제1도는 본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발명의 단면도
제3도는 본발명의 엠보싱리브를 나타내는 일부측면도
제4도는 본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골도 2 : 배근철근
3 : 철근받침대 4 : 콘크리트
10 : 하부플랜지 11 : 사다리꼴홈
20 : 경사웨브 21 : 엠보싱리브
30 : 상부플랜지 31 : 좌측홈부
32 : 우측홈부 40 : 개구부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슬라브용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상부에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간에 일체성을 확보하여 내화성을 중대하여 주면서도 철근배근 작업시 철근받침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문제점]
종래의 일반적 합성데크플레이트는 금속평판을 반복적으로 절곡하여 밑변이 트여지는 개구부를 가지는 사다리꼴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플랜지, 경사웨브, 상부플랜지로 이루어진다. 그 단면상 형태는 상부플랜지의 폭이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정사다리꼴형태와, 또한 상부플랜지의 폭이 개구부의 보다 큰 역사다리꼴형태로 절곡되어서 이루어지는 2가지 형태가 있다.
이와 같이 합성데크플레이트의 형태중 역사다리꼴형태는 정사다리꼴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하여 하부플랜지와 경사웨브간에 절곡되어서 형성되는 홈부를 형성하므로 그 상부에 타설되어서 경화되는 콘크리트간에 부착력이 증대된다. 따라서 역사다리꼴형태로 만들어지는 합성데크플레이트는 콘크리트간에 부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내화성 부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내화성 데크플레이트는 그 상부플랜지면이 평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첫째, 상부플랜지면과 콘크리트간에 부착력이 약하여 화재시에 쉽게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둘째,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철근을 배근할시 철근과 상부플랜지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철근받침대가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고 그 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그 상부에 미경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서 경화되는 콘크리트간에 일체성을 확보하여 줌으로서 화재시에 내화성능을 증대하여 주도록 하며, 둘째, 그 상부에 배근되는 배근철근작업시 그 배근철근을 지지하는 철근받침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를 제공 하는데 있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는 전체적으로 하부플랜지(10)와, 경사웨브(20)와, 상부플랜지(30)로 이루어져서 밑변이 트여진 개구부(40)를 가지되 상기 상부플랜지(30)의 폭이 상기 개구부(4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역사다리꼴형상으로 반복적으로 절곡되어서 구성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30)면 좌우측변 가까이에 각각 좌측홈부(31) 및 우측홈부(32)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들에 도시되는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도 전체적으로 하부플랜지(10)와, 경사웨브(20)와, 상부플랜지(30)로 이루어져서 밑변이 트여진 개구부(40)를 가지되 상기 상부플랜지(30)의 폭이 상기 개구부(4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역사다리꼴형상으로 반복적으로 절곡되어서 구성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30)면 좌우측변 가까이에 각각 좌측홈부(31) 및 우측홈부(32)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상 전체적인 폭이 600이고 높이가 50인 치수를 가지는 합성데크플레이트 단위체이다.
상기 하부플랜지(10)는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철골보(1)상부에 얹혀져서 맞닿는 부분이며, 그 가운데에 하부가 트여지며 상부가 넓은 사다리꼴홈(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사다리꼴홈 내부에 천정을 지지하는 고정장치를 매달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하부플랜지는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전체폭은 166이며, 그 가운데 형성된 사다리꼴홈(11)의 치수는 홈의 상부폭이 34, 하부의 개구부폭이 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웨브(20)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 하플랜지를 연결하는 구조부로서, 약 107°정도의 둔각지게 기울어져서 상부로 연장되며 그 높이는 50이다.
한편,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사웨브(20)면에 다수의 소정형상의 엠보싱리브(21)들이 형성되도록 하되 그 형태가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소정각도로 빗경사지게 형성된다. 엠보싱리브(22)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만들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원형, 직사각형, X형 등이며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도 만들 수 있다. 이는 경사웨브(20)면에 다수의 소정형상의 엠보싱리브(21)들이 형성됨으로서 콘크리트(4)간에 일체성을 증대하여 준다.
이 같은 엠보싱리브는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치수가 가로25, 세로10, 깊이2로 이루어져서 간격20, 경사각도 약 30°로 형성되되, 경사웨브(20)의 상하부에 각각 19만큼 떨어진채 가운데 형성된다. 이 같은 엠보싱리브들은 상, 하부플랜지면에도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상부플랜지(30)는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우측에 각각 역삼각형태의 좌측홈부(31) 및 우측홈부(32)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콘크리트(4)간에 일체성을 증대하여 주면서도 철근받침대(3)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구조부이다.
이 같은 상부플랜지는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폭은 166이며, 좌측홈부(31) 및 우측홈부(32)들은 각각 외변에서 33만큼 떨어진채 형성되며 홈의 상부폭은 15이다.
상기 개구부(40)의 폭은 상부플랜지(30)의 폭보다 작은140이다.
한편, 본 발명은 각 유니트로 제작되며 좌우측 단부에 연결고리가 형성되어서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유니트의 연결고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치수의 단위는 (mm)이며, 이 치수들은 10% 내외로 유동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플랜지(30) 면에 단면상 좌우측에 각각 역삼각형태의 좌측홈부(31) 및 우측홈부(32)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서, 첫째, 그 상부에 미경화콘크리트가 타설되어서 경화되는 콘크리트(4)가 상기 역삼각형태의 좌측홈부(31), 우측홈부(32)에 각각 삽입되어 부착되어서 일체성을 확보하게 됨으로서 화재시 내화성능을 증대하여 주는 효과를 가지며, 둘째, 상부플랜지(30)상면 좌우측에 역삼각형태의 좌측홈부(31) 및 우측홈부(32)에 배근철근(2)을 지지해주는 철근받침대(3)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는 상부플랜지면의 좌우측에 각각 역삼각형태의 좌측홈부 및 우측홈부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그 상부에 타설되어 경화되는 콘크리트간에 일체성을 확보하여 화재시 내화성능을 증대하여 주면서도 좌측홈부 및 우측홈부에 배근철근을 지지해주는 철근받침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전체적으로 하부플랜지(10)와, 경사웨브(20)와, 상부플랜지(30)로 이루어져서 밑변이 트여진 개구부(40)를 가지되 상기 상부플랜지(30)의 폭이 상기 개구부(4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역사다리꼴형상으로 반복적으로 절곡되어서 구성되는 합성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30)면 좌우측변 가까이에 각각 좌측홈부(31) 및 우측홈부(32)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데크프레이트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4)간에 일체성을 확보하여 내화성을 증대하면서도 그 상부에 배근되는 배근철근(2)을 지지하는 철근받침대(3)를 상기 좌측홈부(31) 및 우측홈부(32)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10)는 하부가 트여지며 상부가 넓은 사다리꼴홈(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경사웨브(20)에 다수의 소정형상의 엠보싱리브(21)들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리브(21)는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소정각도로 빗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KR1019960077482A 1996-12-30 1996-12-30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KR10021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482A KR100213561B1 (ko) 1996-12-30 1996-12-30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482A KR100213561B1 (ko) 1996-12-30 1996-12-30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170A KR19980058170A (ko) 1998-09-25
KR100213561B1 true KR100213561B1 (ko) 1999-08-02

Family

ID=1949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482A KR100213561B1 (ko) 1996-12-30 1996-12-30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064B1 (ko) 2009-04-02 2011-06-13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철근보강형 골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90B1 (ko) * 2005-11-17 2007-04-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차음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101656039B1 (ko) 2015-01-29 2016-09-08 주식회사 얼반테이너 내화구조의 바닥 슬라브를 갖는 건축용 컨테이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064B1 (ko) 2009-04-02 2011-06-13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철근보강형 골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170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0359A (en) Expansion joint cover assembly
KR101959041B1 (ko) 탈형 보 데크용 스페이서
US8112959B2 (en) Device connecting concrete slabs at an expansion joint
US3175656A (en) Means for mounting acoustical ceilings
KR100213561B1 (ko)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GB2365456A (en) Construction panel
KR1012222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US4669245A (en) A device for the forming joints in a floor pavement of the industrial type generally made of concrete
KR200163869Y1 (ko)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KR20100002506A (ko) 골형 웨브 강판 조립보
KR200167589Y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0166641B1 (ko) 건축용 바닥 구조재
JP3218338U (ja) 屋根板材
JPH0615085Y2 (ja) 支持具
KR19980058169A (ko)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KR0127135Y1 (ko) 콘크리트몰탈타설기준대를 가진 철근받침대
KR20010093458A (ko) 건축용 데크플레이트
KR19980067639U (ko) 철근 간격 고정구
JP2591322Y2 (ja) グレーチング用のtバー
JPS5851293Y2 (ja) 床構造
KR0127418Y1 (ko) 철근 받침대
JP2575022Y2 (ja) セルラーデッキ
JP2734853B2 (ja) 床スラブの構築法
JP2023179073A (ja) 主筋支持金具
JPS62133242A (ja) 彎曲状建築用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