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639U - 철근 간격 고정구 - Google Patents

철근 간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639U
KR19980067639U KR2019970012226U KR19970012226U KR19980067639U KR 19980067639 U KR19980067639 U KR 19980067639U KR 2019970012226 U KR2019970012226 U KR 2019970012226U KR 19970012226 U KR19970012226 U KR 19970012226U KR 19980067639 U KR19980067639 U KR 199800676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spacing
concrete
reinforcing bar
reinforc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Original Assignee
이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규 filed Critical 이원규
Priority to KR2019970012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639U/ko
Publication of KR19980067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639U/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물의 형성시에 설치가 되는 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철근의 간격을 손쉽게 간편하게 할 수 있음으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감리시에 감리사가 철근의 설치상태와 철근간의 간결을 빠른 시간내에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부실공사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공사를 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내부에 들어가는 철근을 작업자가 대략 눈으로 측정을 하여 설치고정함으로 철근의 설치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되었었다.
그러므로 철근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콘크리트에 받는 하중을 고루게 분산시키지를 못하여 바닥이나 벽면이 균열이 가게 되는 등의 부실공사가 이루어지게 되었었다.
그리고 설계도면에 맞추어 철근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일일히 철근의 간격을 자로서 재어야만 함으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늦추어지게 되는 등의 불이익이 생겼으며, 감리사가 감리시에 철근의 설치상태와 철근간의 간격을 확인을 하여야만 함으로 철근의 설치한 후부터 콘크리트의 타설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설치한 철근이 부식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을 시키더라도 철근과 콘크리트가 상호 응결이 되지 않아 부실공사의 주요 원인이 되어 왔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느다란 철근을 일정한 규격으로 양측을 절곡시키되 S 자형과 C 자형으로 형성을 하고 또한 일자형에 중앙부분이 돌출형상으로 절곡하여 간격 고정구를 형성하여 철근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상호 걸어서 고정을 시킴으로 철근의 설치시에 일일히 자로 재어서 철근을 설치하거나 감리를 하던 것을 간격 고정구의 치수만을 파악하여 철근의 간격을 쉽게 판별할 수 있어 철근의 설치작업과 감리작업을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철근이 외부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여서 철근의 부식을 방지함으로 부실공사의 원인을 제거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간격 고정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로서,
(가)도는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슬라브에 설치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나)도는 (가)도의 확대종단면도이며,
(다)도는 본 고안의 단부를 절곡시켜 철근을 고정시킨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제 6 도는 벽체 또는 슬라브에 들어가는 철근 구조물을 형성시 본 고안으로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가)도는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나) 도는 (가)도의 확대종단면도이다.
제 7 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가)도는 데크 플레이트로 슬라브를 형성시 설치되는 철근을 고정시키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나) 도는 (가)도의 확대종단면도이다.
제 8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사용하여 벽체 또는 슬라브에 설치되는 철근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고정시키는 상태로서,
(가)도는 설치상태의 사시도이고,
(나) 도는 (가)도의 확대종단면도이다.
제 9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서 벽체를 형성시 단일개의 철근 구조물이 설치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제 10 도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로서 벽체를 형성시 복수개의 철근 구조물이 설치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20, 23 : 간격 고정구2, 11 : 상부절곡부
3, 6, 12, 15 : 단부4, 7, 13, 16, 22, 25, 27 : 걸림홈
5, 14 : 하부절곡부8 : 데크 플레이트
21, 24, 26 : 절곡부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물을 구축함에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고자 하는 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철근 구조물의 공사 작업을 단축시키며, 감리시에 편리하게 감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철근 간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을 구축시에 뼈대로 들어가는 철근이 다양한 굵기로 형성이 되어 있고, 이와 같이 다양한 굵기의 철근을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엮어서 콘크리트의 내부에 설치가 되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시에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콘크리트 건물의 구축방법이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건물을 구축함에 있어 들어가게 되는 철근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가로와 세로로 설치가 되는 철근간에 상호 고정이 되어 있어야만 건물의 벽과 슬라브가 균열이 가지 않게 되어 건물이 쓰러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철근 구조물을 설치함에 있어 철근간의 간격을 설치자의 육안으로 대충 거리를 산정하여 철근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서 건축도면과는 다르게 철근 구조물이 형성이 되어 양생된 콘크리트가 받게 되는 하중을 이기지 못하여 건물의 바닥이나 벽면에 균열이 생기어 오래가지를 못하고 쓰러지게 되었었다.
그리고 건축도면에 맞게 철근 구조물의 철근간격을 일정하게 거리를 유지시키고자 자로서 거리를 재어 가로철근과 세로철근을 고정시킴으로 철근 구조물의 작업이 난해하여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 인하여 공사의 준공기한을 넘기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건물의 슬라브를 형성함에 있어 데크 플레이트의 골부분에 들어가는 철근과 상부에 설치되는 철근간을 철사로서 상호 걸어서 연결을 시킴으로 상호간의 하중의 힘을 분산시킬 수 없어 슬라브가 균열이 가게 되는 것이 빈번하였었고, 데크 플레이트의 골부분에 들어가는 철근을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콘크리트와 상호 응결이 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로 간격을 유지시킴으로 철근 하부를 지지하여 놓은 합성수지재에서부터 균열이 생기어 슬라브가 쉽게 무너지게 되었으며, 벽면에 들어가는 철근 구조물이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고, 양측의 판넬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양측의 판넬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철근 구조물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철사로서 별도의 고정수단과 철근 구조물을 엮어서 고정을 시킴으로 공사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공사기간을 늦추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실공사가 발생되는 일예로서 감리사가 철근 구조물의 설치됨을 감리할시에 많은 양의 철근 구조물의 상태를 감리함에 있어 일일히 철근의 간격을 확인하여야만 함으로 감리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철근이 부식되어 철근과 콘크리트가 상호 응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부실공사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철근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호 고정구로 걸어서 고정을 시킴으로 손쉽게 철근간의 간격과 철근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하며, 감리사가 철근 구조물의 감리시에 감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여 철근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실공사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데 주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17, 18, 28, 29)이 결합될 수 있는 걸림홈(4, 7)을 내측으로 갖는 상, 하부절곡부(2, 5)를 상, 하부의 단부(3, 6)측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절곡을 시켜서 S자 형태의 간격 고정구(1)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서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17, 18, 28, 29)이 결합될 수 있는 걸림홈(13, 16)을 갖는 상, 하부 절곡부(11, 14)를 상, 하부의 단부(12, 15)측을 상호 같은 방향으로 절곡시켜서 C자 형태의 간격 고정구(10)를 형성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서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구조물(9)의 가로철근(28)이 결합하는 걸림홈(22)을 갖는 절곡부(21)를 중앙부에 돌기형상으로 절곡형성하고, 양측으로 좌, 우측판넬(30, 31)이 철근 구조물(9)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간격 고정구(20)를 형성하고,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로서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구조물(9)의 가로철근(29)이 결합하는 걸림홈(25, 27)을 갖는 절곡부(24, 26)를 복수개로 돌기형상으로 절곡 형성하고 좌, 우측판넬(30, 31)이 철근 구조물(9)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간격 고정구(23)를 형성한다.
미 설명부호 3, 6, 12, 15 는 단부이고, 8은 데크 플레이트이며, 17은 상부가로철근이고, 18은 하부세로철근이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면 건물을 형성시에 슬라브의 바닥을 제 5 도에서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8)로 형성을 함에 있어 데크 플레이트(8)의 골에 설치를 하는 하부 세로철근(18)과 골과는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상부 가로철근(17)을 설치하고, 본 고안인 간격 고정구(1)의 하부절곡부(5)의 걸림홈(7)에 하부 세로철근(18)을 결합한 후 상부절곡부(2)의 걸림홈(4)에 상부 가로철근(17)을 결합시키면 슬라브에 설치되는 상부 가로철근(17)과 하부 세로철근(18)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타발한 다음 양생하고 나면 간격 고정구(1)에 의해 상,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 세로철근(17, 18)간에 상호 힘을 분산시키게 되어 슬라브가 균열이 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가로철근(17)에 세로철근(18)을 걸어서 설치를 함으로 짧은 시간안에 철근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가로철근(17)과 세로철근(18)을 경고히 고정을 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 5 도의 (다)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 절곡부(2, 5)의 단부(3, 6)를 집게와 같은 공구로서 가로철근(17)과 세로철근(18)의 외주연으로 구부리면 별도의 철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상호 고정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이나 슬라브에 들어가는 가로철근(28)과 세로철근(29)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을 시켜 철근 구조물(9)을 형성함에 있어 본 고안인 간격 고정구(1)를 사용하여 가로철근(28)과 가로철근(28) 또는 세로철근(29)과 세로철근(29)간을 걸어서 고정을 시킴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철근간을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 철근의 설치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서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 절곡부(11, 14)를 같은 방향으로 절곡을 시켜서 C자 형태로 형성을 함으로서 상기한 본 고안의 간격 고정구(1)와 동일한 효과를 갖음과 동시에 간격 고정구(10)의 제조시 일측방향으로 절곡을 시킴으로 제조가 간편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서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홈(22)을 갖는 절곡부(21)를 중앙의 위치에 절곡형성함으로서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의 형성시에 가로철근(28)과 세로철근(29)으로 이루어진 철근 구조물(9)을 좌, 우측판넬(30, 31)의 중앙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좌, 우측판넬(30, 31)이 내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벽면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간격 고정구(20)의 절곡부(21)에 형성한 걸림홈(22)에 철근 구조물(9)의 가로철근(28) 상부로부터 결합을 시킴과 동시에 간격 고정구(20)의 양측이 좌, 우측판넬(30, 31)의 내측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하면 된다.
그러므로 철근 구조물(9)은 좌, 우측판넬(30, 31)의 중앙 위치에 고정이 되고, 좌, 우측판넬(30, 31)간의 간격은 간격 고정구(20)의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 벽면의 형성시 동일한 두께를 형성하게 되며, 좌, 우측판넬(30, 31)과 철근 구조물(9)의 설치가 간편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로서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홈(25, 27)을 갖는 절곡부(24, 26)를 중앙의 양측 위치에 절곡형성함으로서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의 형성시에 가로철근(28)과 세로철근(29)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철근 구조물(9)을 좌, 우측판넬(30, 31)의 중앙 양측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좌, 우측판넬(30, 31)이 내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벽면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간격 고정구(23)의 절곡부(24, 26)에 형성한 걸림홈(25, 27)에 철근 구조물(9)의 가로철근(28) 상부로부터 결합을 시킴과 동시에 간격 고정구(23)의 양측이 좌, 우측판넬(30, 31)의 내측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하면 된다.
그러므로 철근 구조물(9)은, 좌, 우측판넬(30, 31)의 중앙 양측위치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서 고정이 되고, 좌, 우측판넬(30, 31)간의 간격은 간격 고정구(23)의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 벽면의 형성시 동일한 두께를 형성하게 되며, 좌, 우측판넬(30, 31)과 철근 구조물(9)의 설치가 간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의 효과를 보면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하는 철근의 간격을 균일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킴에 본 고안으로서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철근 구조물의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감리사가 철근 구조물을 검사할 시에 일일히 철근의 간격을 확인하지 않아도 됨으로 철근이 부식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부실공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양단부(3, 6)측으로 걸림홈(4, 7)을 갖는 상, 하부절곡부(2, 5)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절곡을 하여 S자 형태의 간격 고정구(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간격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고정구를 형성함에 있어 양단부(12, 15)측으로 걸림홈(13, 16)을 갖는 상, 하부 절곡부(11, 14)를 상호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여 C자 형태의 간격 고정구(1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간격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고정구를 형성함에 있어 일측 중앙부에 걸림홈(22)을 갖는 절곡부(21)를 절곡 형성하여 간격 고정구(2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간격 고정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고정구를 형성함에 있어 일측 중앙부의 양측에 걸림홈(25, 27)을 갖는 절곡부(24, 26)를 형성하여 간격 고정구(23)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간격 고정구.
KR2019970012226U 1997-05-28 1997-05-28 철근 간격 고정구 KR199800676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226U KR19980067639U (ko) 1997-05-28 1997-05-28 철근 간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226U KR19980067639U (ko) 1997-05-28 1997-05-28 철근 간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639U true KR19980067639U (ko) 1998-12-05

Family

ID=6968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226U KR19980067639U (ko) 1997-05-28 1997-05-28 철근 간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63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34B1 (ko) * 2007-01-03 2007-04-20 김경달 테이블 데크
KR100919702B1 (ko) * 2008-11-28 2009-10-06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횡보강 배근 장치를 이용한 횡보강근 시공 방법
CN108005285A (zh) * 2018-01-22 2018-05-08 齐齐哈尔大学 一种钢筋骨架间距可调式的多层叠合板
KR101875846B1 (ko) * 2016-12-08 2018-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부이음쇠로 제작된 펀칭전단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펀칭전단보강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34B1 (ko) * 2007-01-03 2007-04-20 김경달 테이블 데크
KR100919702B1 (ko) * 2008-11-28 2009-10-06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횡보강 배근 장치를 이용한 횡보강근 시공 방법
KR101875846B1 (ko) * 2016-12-08 2018-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부이음쇠로 제작된 펀칭전단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펀칭전단보강공법
CN108005285A (zh) * 2018-01-22 2018-05-08 齐齐哈尔大学 一种钢筋骨架间距可调式的多层叠合板
CN108005285B (zh) * 2018-01-22 2024-01-30 齐齐哈尔大学 一种钢筋骨架间距可调式的多层叠合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2680A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masonry veneer to structural support substrates
US6629393B2 (en) Masonry reinforcing tie
US7437858B2 (en) Welded wire reinforcement for modular concrete forms
US3307304A (en) Composite structural systems
US20020088194A1 (en) Lightweight building component
US5813177A (en) Built-up partition wall framework system
EP0693597A1 (en) Modular dowel assembly for fixing a lining element to a panel of an expanded plastic material and structural element incorporating said assembly
EP0390547B1 (en) Tiled wall assembly
CA2418885A1 (en) Lightweight building component
RU1838543C (ru) Строительна панель обшивки
KR100726687B1 (ko) 창호용 인방
KR200417259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6284113B1 (ja) タイル係止部材の固定金具
KR19980067639U (ko) 철근 간격 고정구
RU2440474C2 (ru) Вентилируемая стена, содержащая поддерживающие элементы и облицовоч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для них
CZ286637B6 (cs) Stavební panel
KR19980028582A (ko) 일체식 보거푸집
US7251919B2 (en) Lightweight building component
KR200405522Y1 (ko)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KR101960398B1 (ko) 건식 쌓기형 외부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RU62622U1 (ru) Сбор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р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каркаса, элемент перекрытия
RU2261963C2 (ru) Элемент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пластинчатые элементы жесткости для такого элемента
KR890000964B1 (ko) 건축용 철근 파넬
KR10260669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공 형성 구조물
KR102654294B1 (ko)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