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167B1 - 철근받침대 - Google Patents

철근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167B1
KR102320167B1 KR1020210032844A KR20210032844A KR102320167B1 KR 102320167 B1 KR102320167 B1 KR 102320167B1 KR 1020210032844 A KR1020210032844 A KR 1020210032844A KR 20210032844 A KR20210032844 A KR 20210032844A KR 102320167 B1 KR102320167 B1 KR 102320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einforcing bar
support
concre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도근
Original Assignee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2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시 거푸집 바닥으로부터 철근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제품 제조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뒤집어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바닥에 배근되는 철근과 결합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 기준을 설정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철근받침대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갈고리 형상의 한 쌍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하부에 하측으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갈고리 형상의 한 쌍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하부에 하측으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결합부;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와 한 쌍의 제2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하판;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와 한 쌍의 제2결합부의 사이이면서 하판의 네모서리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하부가 하측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각각 가로 방향 철근과 세로 방향 철근의 상측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를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받침대{Reinforcing bar Pedestal}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시 거푸집 바닥으로부터 철근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제품 제조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뒤집어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바닥에 배근되는 철근과 결합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 기준을 설정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철근받침대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는 뛰어나지만 인장강도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내측에 철근을 배근한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취약한 인장강도를 보강한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에 의한 건축물의 시공은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거푸집에 설치되는 철근은 콘크리트의 타설 이전에 철근의 배근 높이가 설계치에 알맞게 되도록 하는 철근받침대를 사용한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중 바닥슬래브의 시공은 교차되어 설치된 가로 방향 철근과 세로 방향 철근에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기준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가 사용된다.
상기한 것 중 철근받침대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6271호 “철근파지부를 개량하여서 된 철근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기둥부(1)와, 기둥부(1)의 상부에 설치되는 철근파지부(2; Holder)로 구성되고, 철근파지부(2)는 철근을 올려놓는 철근재치부(21; Seat)와 철근이 철근재치부(21)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철근을 붙잡는 철근파지구(22; arm)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철근파지구(22)가 대(大)파지구(221)와 대파지구(221) 내측에 설치되는 소(小)파지구(222)의 2개의 파지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파지부를 개량하여서 된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대파지구는 큰 직경들의 철근들 예컨대 직경 16mm 이상의 철근을, 그리고 소파지구는 작은 직경의 철근들 예컨대 직경 10mm~13mm 의 철근을 파지할 수 있게 하여, 철근받침대의 사용 가능 영역을 크게 확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철근받침대의 선택 및 사용에 큰 편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한 내용중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1663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밑면과 측면이 개구된 요부, 요부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훅크부, 윗면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홈이 구비되는 본체, 본체의 홈에 형성되는 나사축, 상기 나사축에 나사 결합되는 표시구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미리 설치된 철근 구조물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타설 치수에 맞도록 일정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각각 철근받침대의 용도,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용도로는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나 철근받침대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가 모두 필요로 하는 시공에서 철근받침대 또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하나의 제품을 통해 철근받침대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용도를 혼용하여 사용하지 못함에 따라 시공의 효율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철근받침대 또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용도를 함께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6271호 (공고일자 2011.06.1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1663호 (공고일자 2008.10.02)
본 발명은 철근받침대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지부가 바닥에 지지되도록 한 후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철근을 거치하여 철근을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지지부가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뒤집어서 가로 방향 철근과 세로 방향 철근과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하는 경우 지지부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기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철근받침대 하나의 구성을 통해 철근받침대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두가지 용도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철근받침대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가 모두 필요로 하는 시공에서 철근받침대 또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하나의 제품을 통해 철근받침대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용도를 혼용하여 사용하지 못함에 따라 시공의 효율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근받침대는,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하단부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후크, 및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후크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단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요홈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결합부;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하단부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후크, 및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후크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단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요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된, 한 쌍의 제2결합부;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와 한 쌍의 제2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하판;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와 한 쌍의 제2결합부의 사이이면서 하판의 네모서리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하부가 하측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방홈;을 포함하고, 상측금형틀과 하측금형틀만의 종방향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받침대는, 상기 지지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각각 가로 방향 철근과 세로 방향 철근의 상측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를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철근받침대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와 한 쌍의 제2결합부의 사이이면서 하판의 네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와 상기 복수의 다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리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며 제1단차부와 제2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받침대는 지지부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기로 사용하는 경우 제1단차부와 제2단차부를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 기준선으로 사용하고 상기 다리는 콘크리트의 타설 이후 콘크리트 타설 표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근받침대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지부가 바닥에 지지되도록 한 후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철근을 거치하여 철근을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지지부가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뒤집어서 가로 방향 철근과 세로 방향 철근에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하는 경우 지지부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기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철근받침대 하나의 구성을 통해 철근받침대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두가지 용도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받침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을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근받침대를 뒤집어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로 사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철근받침대의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금형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금형틀로부터 제작이 완료된 철근받침대를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금형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임을 밝혀 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 범위가 하기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상에서의 도면은 도면에 참조에 의한 설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어서, 다소 과장된 부분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도시된 도면과 실제 제품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도 1을 참조하여 철근받침대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 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철근받침대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근받침대(1)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거푸집에 배근되는 철근과 결속되어 철근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철근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철근받침대(1)는 필요에 따라 지지부(40)가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뒤집어서 가로 방향 철근과 세로 방향 철근에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를 결합하는 경우 지지부(40)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기로 사용함으로써 철근받침대(1)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철근받침대(1) 하나의 구성을 통해 철근받침대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두가지 용도로 혼용하여 사용하여 철근받침대(1)의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0)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기로 사용하는 경우 지지부(40)의 다리(41)에 형성된 제1단차부(411)와 제2단차부(413)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선으로 사용하고 다리(41)는 콘크리트의 타설 이후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잘라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철근받침대(1)는 제1거치부(10), 제2거치부(20), 하판(30), 지지부(40), 개방홈(50)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철근받침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제1결합부(10)는 갈고리 형상의 한 쌍의 후크(11)와 후크(11)의 하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13)을 포함한다.
제1결합부(10)에는 가로 방향으로 배근된 철근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10)에는 한 쌍의 후크(11)가 형성된다. 한 쌍의 후크(11)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후크(11)는 일정 탄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철근이 후크(11)를 통과할 때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후크(11)가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철근이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11)는 철근이 후술하는 요홈(13)에 안착되면 철근을 파지하여 제1결합부(10)로부터 철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11)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요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요홈(13)은 철근의 직경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이 제1결합부(10)에 결합될 때 용이하게 요홈(13)에 철근이 안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결합부(10)와 직교하는 방향에는 한 쌍의 제2결합부(20)가 형성된다. 제2결합부(20)는 제1결합부(10)와 동일하게 갈고리 형상의 한 쌍의 후크(21)와 후크(21)의 하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23)을 포함한다.
제2결합부(20)에는 세로 방향으로 배근된 철근이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20)의 후크와(21)와 요홈(23)의 높이는 제1결합부(10)의 후크(11)과 요홈(1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는 철근의 배근시 세로 방향 철근이 가로 방향 철근의 하측에 배근되었을 때 세로 방향의 철근이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즉,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의 후크(11,21)와 요홈(13,23)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 제2결합부(20)에 먼저 세로 방향 철근이 결합되어 높은 높이에 위치한 가로 방향 철근이 제1결합부(10)에 결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결합부(20)의 후크(21)과 요홈(23)의 높이를 제1결합부(10)의 후크(11)과 요홈(13)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제2결합부(20)에 세로 방향 철근이 먼저 결합된 이후에도 제2결합부(20)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된 제1결합부(10)에 가로 방향 철근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받침대(1)는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결합부(10) 또는 한 쌍의 제2결합부(20)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는 경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의 철근 중 어느 하나의 철근만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 쌍의 제1결합부(10)와 한 쌍의 제2결합부(20)의 사이에는 하판(30)이 결합될 수 있다. 하판(30)은 한 쌍의 제1결합부(10)와 한 쌍의 제2결합부(2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하판(30)은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결합부(10)의 하측 또는 제2결합부(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결합부(10)와 한 쌍의 제2결합부(20)의 사이이면서 하판(30)의 네모서리에는 지지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한 쌍의 제1결합부(10)와 한 쌍의 제2결합부(20)의 사이이면서 하판(30)의 네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41)와 복수의 다리(4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다리(41)는 한 쌍의 제1결합부(10)와 한 쌍의 제2결합부(20)의 사이이면서 하판(30)의 네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철근받침대(1)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다리(41)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며 제1단차부(411)와 제2단차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다리(41)는 제1단차부(411)를 기점으로 폭이 한번 좁아지며, 제2단차부(413)를 기점으로 폭이 한번 더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다리(41)는 연결부(43)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43)는 복수의 다리(41)를 연결하는 X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3)가 복수의 다리(41)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지지부(40) 전체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필요에 따라 지지부(40)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로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를 각각 가로 방향 철근과 세로 방향 철근의 상측에 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기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근받침대(1)를 필요에 따라 뒤집어서 지지부(40)가 상측으로 위치하도록하여 가로 방향 철근과 세로 방향 철근을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와 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철근받침대(1) 하나의 구성을 통해 철근받침대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두가지 용도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40)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로 사용하는 경우 지지부(40)의 다리(41)에 형성된 제1단차부(411)와 제2단차부(413)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단차부(411)와 제2단차부(413)는 콘크리트 타설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기준선으로 사용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표면이 수평면이 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복수의 다리(41)는 콘크리트의 타설 이후 콘크리트 타설 표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잘라낼 수 있다.
따라서, 철근받침대(1)의 구성을 통해 철근받침대 뿐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로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철근받침대(1)의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완전히 개방되는 개방홈(50)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홈(50)은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의 후크(11,21)에서부터 하단부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홈(50)은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손가락을 걸어서 손잡이로 사용 가능함에 따라 철근받침대(1)의 크기가 크더라도 작업자가 손쉽게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개방홈(50)은 본 발명의 철근받침대(1)를 뒤집어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로 사용하는 경우 내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개방홈(50)을 통해 철근받침대(1)의 내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콘크리트와 철근과 철근받침대(1)가 일체화 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경화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켜줄 수 있어 콘크리트 경화 작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콘크리트의 강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홈(50)은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가 상단부부터 하측까지 완전하게 관통되게 형성됨으로써 철근받침대(1)의 제작공정시 상하측 방향으로 걸림이 발생하는 부분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근받침대는 상측금형틀(110)과 하측금형틀(120)의 상하왕복 운동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철근받침대(1)는 본 발명과 같은 개방홈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완성된 철근받침대를 금형틀로부터 분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완성된 철근받침대(1)의 원활한 분리를 위하여 종래의 제작 공정에서는 상하 왕복 운동이 실시되는 상측금형틀과 4방향으로 분리되는 하측금형틀이 사용된다.
상측금형틀과 하측금형틀은 서로 맞닿음으로써 철근받침대(1)를 금형하고, 완성된 철근받침대(1)의 분리 공정을 위하여 상측금형은 상측으로 상승되고 하측금형은 4방향으로 분리됨으로써 철근받침대(1)를 금형틀로부터 분리해내어 제작 공정을 완료한다.
그러나, 전술한 하측금형틀은 4방향으로 분리되어야 함에 따라 충분한 가동범위가 확보되어야 하는 특성상 복수의 금형틀이 설치되는 하나의 밑판에 다수의 금형틀을 설치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개방홈(50)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철근받침대(1)는 상측금형틀(110)과 하측금형틀(120)의 상하 분리만으로도 완성된 철근받침대(1)가 금형틀에 걸림이 발생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금형틀로부터 완성된 철근받침대(1)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금형틀(110)과 하측금형틀(120)의 상하 왕복만으로도 철근받침대(1)를 용이하게 제작 및 분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철근받침대(1)는 종래의 금형틀과 다르게 상측금형틀(110)과 하측금형틀(120)의 상하 왕복만으로 제작 공정이 가능함에 따라 하나의 밑판의 다수의 금형틀을 설치할 수 있어 한번의 공정을 통해 보다 많은 철근받침대(1)를 제작할 수 있어 제작 공정의 효율성이 대폭 상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철근받침대
10: 제1결합부 11: 후크
13: 요홈
20: 제2결합부 21: 후크
23: 요홈
30: 하판
40: 지지부
41: 다리 411: 제1단차부
413: 제2단차부
43: 연결부
50: 개방홈
110: 상측금형틀
120: 하측금형틀

Claims (4)

  1.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하단부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후크(11), 및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후크(11)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단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요홈(13)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결합부(10);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하단부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후크(21), 및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후크(21)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단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요홈(2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10)와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된, 한 쌍의 제2결합부(20);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10)와 한 쌍의 제2결합부(20)를 상호 연결하는 하판(30);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10)와 한 쌍의 제2결합부(20)의 사이이면서 하판(30)의 네모서리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부(40);
    상기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의 하부가 하측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방홈(50);을 포함하고,
    상측금형틀(110)과 하측금형틀(120)만의 종방향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로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를 각각 가로 방향 철근과 세로 방향 철근의 상측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40)를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10)와 한 쌍의 제2결합부(20)의 사이이면서 하판(30)의 네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41)와 상기 복수의 다리(4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43)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리(41)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며 제1단차부(411)와 제2단차부(4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기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1단차부(411)와 제2단차부(413)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 기준선으로 사용되고 상기 다리(41)는 콘크리트의 타설 이후 콘크리트 타설 표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대.
KR1020210032844A 2021-03-12 2021-03-12 철근받침대 KR10232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844A KR102320167B1 (ko) 2021-03-12 2021-03-12 철근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844A KR102320167B1 (ko) 2021-03-12 2021-03-12 철근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167B1 true KR102320167B1 (ko) 2021-11-02

Family

ID=7847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844A KR102320167B1 (ko) 2021-03-12 2021-03-12 철근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1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202Y1 (ko) * 1995-07-01 2000-05-01 송유섭 철근 받침대
KR100659606B1 (ko) * 2006-09-14 2006-12-20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철근 배근 고정용 스페이서
KR20080018978A (ko) * 2006-08-26 2008-02-29 박창규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KR20110066271A (ko) 2009-12-11 2011-06-17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철근파지부를 개량하여서 된 철근받침대
KR20190129174A (ko) * 2018-05-10 2019-11-20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벽체 내부에 설치하는 철근용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202Y1 (ko) * 1995-07-01 2000-05-01 송유섭 철근 받침대
KR20080018978A (ko) * 2006-08-26 2008-02-29 박창규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KR100861663B1 (ko) 2006-08-26 2008-10-02 박창규 콘크리트 타설높이 표시구
KR100659606B1 (ko) * 2006-09-14 2006-12-20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철근 배근 고정용 스페이서
KR20110066271A (ko) 2009-12-11 2011-06-17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철근파지부를 개량하여서 된 철근받침대
KR20190129174A (ko) * 2018-05-10 2019-11-20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벽체 내부에 설치하는 철근용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167B1 (ko) 철근받침대
KR101090070B1 (ko) 자동화된 거푸집용 유로폼 절단 장치
CN210342450U (zh) 楼板钢筋定位装置
KR200209620Y1 (ko) 콘크리트거푸집용 팀버브라켓트
CN104763137B (zh) 一种阴阳角塑料模板
CN209855061U (zh) 一种高性能的水泥基垫块
KR102241224B1 (ko)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
KR200246048Y1 (ko) 방수턱 거푸집
KR100914045B1 (ko) 철근받침대
KR20190126549A (ko) 철근 고정구
JP3132634U (ja) 鉄筋コンクリート施工用のスペーサ
KR200394572Y1 (ko) 반구형 철근 스페이셔
CN208441442U (zh) 一种外钢模施工操作架
KR102253126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JP2006112090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JP3029332B2 (ja) 補強筋籠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スペーサ
KR200305378Y1 (ko) 스티로폼 패널 압입방지 철근 받침대
JP3230768U (ja) 鉄筋保持具
CN217537877U (zh) 一种模板拼缝平整控制器
CN220058369U (zh) 一种放线孔封堵装置
JP4291090B2 (ja) ボイドスラブの形成に用いられるブロック用支持具
CN209653396U (zh) 用于连接墙体模板和门梁模板的加固装置
CN208792763U (zh) 下沉式卫生间成型模具
CN219672148U (zh) 一种外墙导墙吊模支架及保护层控制装置
CN209189722U (zh) 一种建筑工程用的全角度钢筋支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