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569Y1 - 파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파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569Y1
KR200407569Y1 KR2020050032904U KR20050032904U KR200407569Y1 KR 200407569 Y1 KR200407569 Y1 KR 200407569Y1 KR 2020050032904 U KR2020050032904 U KR 2020050032904U KR 20050032904 U KR20050032904 U KR 20050032904U KR 200407569 Y1 KR200407569 Y1 KR 200407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ile
main body
static electricity
rotar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서영파일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파일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영파일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2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5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5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12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D1/14F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개시된 파일 공급장치는, 상부 일측에는 플록킹 가공장치에서 사용된 파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개구된 벤츄리 형상을 가지는 중력식 집진기; 중력식 집진기의 하단부에 상부 일측이 연통되며, 하부 양측단부에는 각각 재생연결관 및 폐기배출관이 형성되어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중력식 집진기에서 공급되는 파일을 재사용하기 위해 이송시키거나 폐기하도록 외부로 배출시키는 로터리 밸브; 로터리 밸브의 재생연결관이 상부 일측에 연통되어 재사용하려는 파일이 공급되며, 하단부는 벤츄리 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플록킹 가공장치의 파일분사기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로터리 밸브에서 유입되는 파일에 수증기를 분사하여 파일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가습기; 본체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저면에는 분리망이 구비되어 가습기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파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며, 각각의 파일을 분리 상태로 본체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파일분리부; 파일분리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의 회전에 의한 직선 왕복운동을 파일분리부에 전달하여 그 진동에 의해 파일이 분리망을 용이하게 분리 배출되게 하는 진동발생부가 구비된다.
플록킹, 플록, 파일, 공급장치

Description

파일 공급장치{Pile supply machin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 공급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 공급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중력식 집진기 11:유입구
12:파일투입구 20:로터리 밸브
21:재생연결관 22:폐기배출관
23:임펠러 30:본체
31:배출구 32:차단막
40:가습기 50:파일분리부
51:파일함 52:분리망
53:로드암 60:진동발생부
61:모터 62:편심로울러
63:연결축
본 고안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록킹 작업에 사용되는 미세한 섬유로 된 파일을 플록킹 가공장치로 공급하는 파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록킹(Flocking)은 피착제의 표면에 미세한 합성수지섬유로 된 파일을 식모시켜 피착제의 표면을 완전히 피복하여 식모된 파일의 물성에 따른 질감을 변화시키게 한다.
이러한, 플록킹 작업에 사용되는 파일은 지름1mm~1.5mm, 길이 0.1~0.5mm 정도의 레이온, 나이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라미드가 사용되며, 공급되는 파일들의 피착제 표면에 대한 피복은 기계적 진동이나 고압 정전기를 이용하는 가공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플록킹 가공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19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827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1123호 등에 개시된다.
그러나, 선출원된 종래의 플록킹 가공장치는 가공장치 내부로 초기 파일의 공급 및 재사용되는 파일의 공급을 단순한 스크류장치로서 파일을 이송하고 송풍기를 이용하여 가공장치의 파일공급관으로 공급함으로서 일정한 양의 파일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파일은 플록킹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압의 전기를 가한 상태에서 대전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파일이 쉽게 뭉치는 성질로 인하여 파일을 재사용시 플록킹 품질이 좋지 못하게 되며, 뭉침되는 파일이 가공장치의 파일공급관을 막히게 하거나 송풍기등에 끼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일을 재사용하기 위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습, 정전기 및 스트레스 제거를 위한 가습, 분리, 선별과 같은 별도의 선별과정을 일일이 거쳐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플록킹 가공장치에 공급되는 초기 공급파일 및 재사용 파일의 뭉침을 방지하며, 파일의 재사용을 위한 별도의 선별과정이 필요하지 않은 파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파일 공급장치는, 상부 일측에는 플록킹 가공장치에서 사용된 파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개구된 벤츄리 형상을 가지는 중력식 집진기와; 상기 중력식 집진기의 하단부에 상부 일측이 연통되며, 하부 양측단부에는 각각 재생연결관 및 폐기배출관이 형성되어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중력식 집진기에서 공급되는 파일을 재사용하기 위해 이송시키거나 폐기하도록 외부로 배출시키는 로터리 밸브와; 상기 로터리 밸브 의 재생연결관이 상부 일측에 연통되어 재사용하려는 파일이 공급되며, 하단부는 벤츄리 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플록킹 가공장치의 파일분사기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리 밸브에서 유입되는 파일에 수증기를 분사하여 파일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가습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저면에는 분리망이 구비되어 상기 가습기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파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며, 각각의 파일을 분리 상태로 상기 본체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파일분리부와; 상기 파일분리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의 회전에 의한 직선 왕복운동을 상기 파일분리부에 전달하여 그 진동에 의해 파일이 상기 분리망을 용이하게 분리 배출되게 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파일 공급장치에 대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일 공급장치는, 플록킹 가공장치(100)에서 사용된 파일이 유입되는 중력식 집진기(10)와, 상기 중력식 집진기(10)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유입되는 파일을 재사용 또는 폐기에 따라 임펠러(23)의 회전방향을 달리하여 배출되게 하는 로터리 밸브(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 밸브(20)에서 재사용 배출로 선택된 파일을 공급받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 내부에 설치되어 수증기를 분사하는 가습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 내부에 유입된 파일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며 각각의 파일을 분리 상태로 배출시키는 파일분리부(50)와, 상기 파일분리부(50)에 진동을 발생시켜 파일의 분리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진동발생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력식 집진기(10)는 플록킹 가공장치(100)의 배기펌프(110)를 통해 플록킹 가공장치(100)에서 사용된 파일이 유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중력식 집진기(10)의 상부 일측에는 플록킹 가공장치(100)의 배기펌프(110)와 연결되어 파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상부에서 유입되는 파일의 집진효율이 좋은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단부를 개구된 벤츄리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력식 집진기(10)의 상부 일측에는 사용자가 처음 플록킹 작업에 사용되는 파일이나 추가적인 파일의 투입을 위한 파일투입구(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터리 밸브(20)는 모터(24)에 의해 임펠러(23)가 정,역회전하는 밸브로서, 상부 일측이 상기 중력식 집진기(10)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상기 중력식 집진기(10)에서 공급되는 파일을 임펠러(23)의 회전방향에 따라 재사용 또는 폐기로 선택배출할 수 있게 하는 밸브이다.
이러한, 상기 로터리 밸브(20)의 하부 양단부에는 각각 재사용되는 파일의 배출을 위한 재생연결관(21) 및 폐기하고자 하는 파일의 외부 배출을 위한 폐기배출관(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터리 밸브(20)의 임펠러(23) 회전시 상기 재생연결관(21)과 폐기배출관(22)으로 상기 중력식 집진기(10)에 차있는 고압의 공기도 같이 배출되게 함으로서 상기 중력식 집진기(10)의 압력상승을 방지하여 파일이 비산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 밸브(20)의 임펠러(23)는 회전시 공급되는 파일의 절단이나 손상 및 정전기의 발생방지를 위해 고무수지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로터리 밸브(20)의 재생연결관(21)과 연통되어 재사용하려는 파일이 유입되는 통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30)의 상부 일측에는 중력에 의해 재사용하려는 파일이 상기 로터리 밸브(20)에서 유입되도록 상기 재생연결관(21)과 연통되며, 하단부는 파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벤츄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하단부에는 플록킹 가공장치(100)의 파일분사기(120)와 연결되는 배출구(31)가 형성된다.
상기 가습기는 상기 로터리 밸브(20)에서 상기 본체(30) 내부로 유입되는 파일에 수증기를 분사하여 파일 사이에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3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파일분리부(50)는 상기 가습기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파일과 섞여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며, 각각의 파일이 분리된 상태로 상기 본체(30)의 배출구(31)로 배출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파일분리부(50)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저면에 분리망(50)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본체(3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기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파일과 섞여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며, 파일은 각각 분리상태로 배출시키는 파일함(51)이 구비된다.
상기 파일함(51)은 파일 사이에 정전기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아크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일함(51)의 분리망(50)은 망의 간격이 10mm당 20내지 30가닥의 방사형 사각 그물망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일분리부(50)에는 상기 파일함(51)의 양측부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본체(30)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파일함(51)이 상기 본체(30)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로드암(53)이 설치된다.
상기 진동발생부(60)는 상기 파일분리부(50)의 파일함(51)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파일함(51)이 직선 왕복운동을 함으로서 상기 파일함(51)으로 유입되는 파일이 을 분리망(50) 통해 용이하게 분리배출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진동발생부(60)에는 상기 본체(30) 외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1)와, 상기 모터(61)의 축단에 결합되는 편심로울러(62) 및, 일단은 상기 편심로울러(62) 일측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본체(30)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파일함(51)의 전판이나 후판 일측부에 결합되는 연결축(6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61)가 작동되어 축이 회전하면, 상기 편심로울러(62)는 상기 모터(61)의 축과 같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편심로울러(62)가 편심회전하면서 상기 연결축(63)을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행하게 되면, 상기 연결축(63)의 직선 왕복운동이 상기 파일함(51)으로 전달되어 상기 파일함(51)에는 직선 왕복운동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로터리 밸브(20)에서 공급되는 파일이 상기 파일분리부(50)의 파일함(51)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막(3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실시예에 의한 파일 공급장치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록킹 가공장치(100)에서 사용된 파일이 배기펌프(110)에 의해 상기 중력식 집진기(10)의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중력시 집진기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중력식 집진기(10) 내부로 유입된 파일은 중력에 의해 하부로 가라앉게 되며, 상기 중력식 집진기(10) 하단부에 연통된 상기 로터리 밸브(2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사용자가 파일을 재사용하고자 하거나, 아니면 외부로 배출하여 폐기하느냐에 따라 모터(24)의 회전방향을 달리하여 상기 로터리 밸브(20)의 임펠러(23) 회전방향도 달리 제어하게 된다.
즉, 파일 재사용시에는 파일이 상기 재생연결관(21)으로 배출되도록 임펠러(23)를 회전시키며, 파일 폐기시에는 상기 재생연결관(21)으로의 배출 역방향으로 임펠러(23)를 회전시키면 파일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로터리 밸브(20)의 재생연결관(21)으로 배출되는 파일은 상기 본체(3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본체(30)로 유입되는 파일은 상기 본체(30) 내측의 가습기(40)에서 수증기가 분사되면서 파일의 정전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가습기(40)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파일은 상기 파일분리부(50)의 파일함(51)으로 유입되며, 이때 상기 진동발생부(60)의 모터(61)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직선 왕복운동이 상기 파일함(51)으로 전달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파일함(51)으로 유입된 파일에서 상기 분리망(50)에 의해 이물질은 걸러지며, 파일들은 상기 분리망(50)의 각 구성망을 통과하면서 각기 분리된 상태로 상기 본체(30)의 배출구(31)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배출구(31)를 통해 배출되는 분리상태의 파일들은 플록킹 가공장치(100)의 파일분사기(120)로 공급되면서 플록킹 작업에 재사용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파일 공급장치는 플록킹 가공장치(100)에서 사용된 파일이나 새로 투입되는 파일에 수증기를 분사하여 정전기에 의한 상호간의 뭉침을 방지하며, 상기 파일분리부(50)의 파일함(51)으로 공급되는 파일은 상기 파일함(51)이 상기 진동발생부(60)의 모터(61)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직선 왕복운동에 의한 진동으로 공급된 파일들이 상기 분리망(50)을 통해 각각 분리된 상태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서 다시 플록킹 가공장치(100)에 파일의 공급시에도 뭉침이 없어지게 되어 플록킹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파일 공급장치는, 플록킹 가공장치에 공급되는 초기 공급파일 및 재사용 파일에 가습기에서 수증기를 분사하여 정전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파일함의 진동에 의해 분리망을 통과되게 함으로서 플록킹 가공장치로 파일 재투입시에도 각각 분리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어 플록킹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상부 일측에는 플록킹 가공장치에서 사용된 파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개구된 벤츄리 형상을 가지는 중력식 집진기와;
    상기 중력식 집진기의 하단부에 상부 일측이 연통되며, 하부 양측단부에는 각각 재생연결관 및 폐기배출관이 형성되어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중력식 집진기에서 공급되는 파일을 재사용하기 위해 이송시키거나 폐기하도록 외부로 배출시키는 로터리 밸브와;
    상기 로터리 밸브의 재생연결관이 상부 일측에 연통되어 재사용하려는 파일이 공급되며, 하단부는 벤츄리 형상을 가지는 상태로 플록킹 가공장치의 파일분사기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리 밸브에서 유입되는 파일에 수증기를 분사하여 파일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가습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저면에는 분리망이 구비되어 상기 가습기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파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며, 각각의 파일을 분리 상태로 상기 본체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파일분리부; 및,
    상기 파일분리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의 회전에 의한 직선 왕복운동을 상기 파일분리부에 전달하여 그 진동에 의해 파일이 상기 분리망을 용이하게 분리 배출되게 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분리부는
    상부가 개구되고 저면에 분리망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기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파일과 섞여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며, 파일은 각각 분리상태로 배출시키는 파일함과,
    상기 파일함의 양측부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파일함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로드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함은 유입되는 파일 사이에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아크릴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공급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망은 망의 간격이 10mm당 20내지 30가닥의 방사형 사각 그물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본체 외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단에 결합되는 편심로울러 및,
    일단은 상기 편심로울러 일측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본체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파일함의 전판이나 후판 일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로울러의 편심회전에 의한 직선 왕복운동을 상기 파일함에 전달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로터리 밸브에서 공급되는 파일이 상기 파일분리부의 파일함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막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식 집진기의 상부 일측에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파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파일투입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공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밸브의 임펠러는 회전시 유입된 파일이나 손상 및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수지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공급장치.
KR2020050032904U 2005-11-22 2005-11-22 파일 공급장치 KR200407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04U KR200407569Y1 (ko) 2005-11-22 2005-11-22 파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04U KR200407569Y1 (ko) 2005-11-22 2005-11-22 파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569Y1 true KR200407569Y1 (ko) 2006-01-31

Family

ID=49296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904U KR200407569Y1 (ko) 2005-11-22 2005-11-22 파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5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907Y1 (ko) 2007-09-12 2009-09-10 서영파일테크 주식회사 파일 공급장치
KR101305647B1 (ko) 2012-03-14 2013-09-09 박명수 플로킹 카펫 제조용 파일 식모 장치
KR101863077B1 (ko) * 2017-06-27 2018-06-01 서영파일테크 주식회사 파일 공급장치
KR102669066B1 (ko) 2023-06-30 2024-05-27 서영파일테크 주식회사 플로킹 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907Y1 (ko) 2007-09-12 2009-09-10 서영파일테크 주식회사 파일 공급장치
KR101305647B1 (ko) 2012-03-14 2013-09-09 박명수 플로킹 카펫 제조용 파일 식모 장치
KR101863077B1 (ko) * 2017-06-27 2018-06-01 서영파일테크 주식회사 파일 공급장치
KR102669066B1 (ko) 2023-06-30 2024-05-27 서영파일테크 주식회사 플로킹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40157B (zh) 垃圾分类回收处理系统及垃圾分类回收方法
KR20100036129A (ko) 폐기물복합처리장치
KR200407569Y1 (ko) 파일 공급장치
KR101907579B1 (ko)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200445907Y1 (ko) 파일 공급장치
CN207641981U (zh) 一种车间粉料负压吸附分级系统
KR101742442B1 (ko) 합성수지 원료의 분진제거장치
CN112827816A (zh) 振动筛及粉末分离设备
CN210816131U (zh) 一种带废水处理的沙石分离装置
KR20120108424A (ko) 고철의 산화 녹 제거 장치
CN104815794A (zh) 一种新型风送式轻柔薄片物料的杂质分离装置及方法
KR101920265B1 (ko) 캔 폐기물 압축방법
JP2011140001A (ja) 濾材洗浄装置及び濾材洗浄方法
KR101863592B1 (ko) 폐 캔 재활방법
US20060157389A1 (en) Apparatus for defibering paper or dry pulp
CN108724990B (zh) 处理装置、薄片制造装置、处理方法以及薄片的制造方法
CN213727719U (zh) 直线筛和筛分设备
JP2020049598A (ja) ブラスト加工装置及びブラスト加工方法
JP2023068944A (ja) 金属フィルタの再利用方法及び再利用装置
CN105344472A (zh) 一种振动给料式垃圾磁选预处理系统
CN210545717U (zh) 一种金属粉末去除非金属杂质装置
KR101863077B1 (ko) 파일 공급장치
KR200367819Y1 (ko) 화장품 용기에 분말형 제품을 충전하는 장치
CN101703998B (zh) 丁基胶塞除静电振动筛屑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