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129A - 폐기물복합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복합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129A
KR20100036129A KR1020080095592A KR20080095592A KR20100036129A KR 20100036129 A KR20100036129 A KR 20100036129A KR 1020080095592 A KR1020080095592 A KR 1020080095592A KR 20080095592 A KR20080095592 A KR 20080095592A KR 20100036129 A KR20100036129 A KR 20100036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type
waste
tank
combusti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이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102008009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6129A/ko
Publication of KR2010003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배수장치, 굴착장치, 집진탈취장치, 투입장치, 선별장치, 벨트컨베이어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포장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이다. 여기서 배수장치는 배수로, 저류조, 양수기, 차수벽으로 구성되고, 집진탈취장치는 살수기, 주입기, 소독기, 집진기, 탈취기로 구성되고, 선별장치는 트롬멜선별기, 평면선별기, 자력선별기, 풍력선별기, 광학선별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벨트컨베이어장치는 일반벨트컨베이어, 진동벨트컨베이어, 탈수벨트컨베이어, 갈고리벨트컨베이어, 격자망벨트컨베이어가 있고, 저감장치는 습식형 및 건식형이 있는데 습식형은 저류수조, 유출유로, 초음파기, 가압부상기, 고압에어기, 회전갈퀴, 투입벨트컨베이어,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불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입자분리기, 주입유로, 슬러지처리기로 구성되고, 혼합장치는 일정의 통 속에 일정의 슬라이드날개, 이동통로, 회전교반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으로 고정형, 이동형, 장착형, 탑재형 중의 어느 하나로 설치되고, 분쇄장치는 원판형 또는 돌기형이 있는 것으로 이는 2축 이상 다수 축으로 적용되며 이에는 진동, 초음파, 저주파, 고주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가해지고, 고형장치는 가연물을 고형화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장치이고, 이는 압출형, 용융형, 압출용융형이 있는 특징을 가진다.
폐기물, 굴착, 선별, 이송, 혼합, 분쇄, 고형

Description

폐기물복합처리장치{Waste complex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폐기물복합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 처리시에는 폐기물의 전체처리가 종합적으로 처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매립폐기물 굴착시 배수시설의 설치가 전무하여 굴착폐기물에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고, 폐기물 처리시 집진탈취장치는 설치되지 않고, 투입장치는 단순한 장치이고, 선별장치도 단순한 장치이고, 벨트컨베이어장치도 단순 베트컨베이어에 불과하고, 저감장치는 전혀 없는 상태이고, 혼합장치는 단순 포크레인에 의하여 수행되고, 분쇄장치는 현장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고형장치는 아직까지 폐기물을 고형화하는 경우가 없고, 포장장치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종합적인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배수장치, 굴착장치, 집진탈취장치, 투입장치, 선별장치, 벨트컨베이어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포장장치로 구성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의 고안을 해결과제로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수장치는 배수로, 저류조, 양수기, 차수벽으로 구성되고, 집진탈취장치는 살수기, 주입기, 소독기, 집진기, 탈취기로 구성되고, 선별장치는 트롬멜선별기, 평면선별기, 자력선별기, 풍력선별기, 광학선별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벨트컨베이어장치는 일반벨트컨베이어, 진동벨트컨베이어, 탈수벨트컨베이어, 갈고리벨트컨베이어, 격자망벨트컨베이어가 있고, 저감장치는 습식형 및 건식형이 있는데 습식형은 저류수조, 유출유로, 초음파기, 가압부상기, 고압에어기, 회전갈퀴, 투입벨트컨베이어,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불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입자분리기, 주입유로, 슬러지처리기로 구성되고, 혼합장치는 일정의 통 속에 일정의 슬라이드날개, 이동통로, 회전교반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으로 고정형, 이동형, 장착형, 탑재형 중의 어느 하나로 설치되고, 분쇄장치는 원판형 또는 돌기형이 있는 것으로 이는 2축 이상 다수 축으로 적용되며 이에는 진동, 초음파, 저주파, 고 주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가해지고, 고형장치는 가연물을 고형화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장치로서 압출형, 용융형, 압출용융형이 있는 장치개발을 해결 수단으로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단순한 폐기물처리장치를 최첨단으로 개발한 복합형 폐기물처리장치이다. 이는 폐기물을 선별하여 선별토사 및 가연물의 현장이용을 극대화한 장치이다. 따라서 선별토사 및 가연물의 재활용 증대에 큰 기여가 된다. 특히 본 배수장치에 의하여 폐기물 굴착시 수분함유를 최소화하고, 본 굴착장치에 격자형삽에 의하여 굴착시 수분함유를 최소화하고, 본 집진탈취장치에 의하여 분진 및 악취를 제거하고, 본 투입장치에 의하여 진동 등에 의하여 고른 투입이 되고, 본 선별장치에 의하여 폐기물, 가연물, 염소함유물 등을 다양하게 선별하고, 본 벨트컨베이어장치에 의하여 탈수기능을 증대되고, 본 저감장치에 의하여 가연물에서 토사 및 이물질의 함유량을 최소화하고, 본 혼합장치에 의하여 선별토사와 양질토사의 정밀혼합을 가능케하고, 본 분쇄장치에 의하여 가연물을 고형물로 성형하기에 적합하도록 분쇄하고, 본 고형장치에 의하여 현장에서 바로 연료로 사용가능한 고형물을 만들고, 본 포장장치에 의하여 가연물 및 고형물의 이송시 비산방지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폐기물을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장치로서 배수장치, 굴착장치, 집진탈취장치, 투입장치, 선별장치, 벨트컨베이어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포장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이다. 여기서 배수장치는 배수로, 저류조, 양수기, 차수벽으로 구성되고, 집진탈취장치는 살수기, 주입기, 소독기, 집진기, 탈취기로 구성되고, 선별장치는 트롬멜선별기, 평면선별기, 자력선별기, 풍력선별기, 광학선별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벨트컨베이어장치는 일반벨트컨베이어, 진동벨트컨베이어, 탈수벨트컨베이어, 갈고리벨트컨베이어, 격자망벨트컨베이어가 있고, 저감장치는 습식형 및 건식형이 있는데 습식형은 저류수조, 유출유로, 초음파기, 가압부상기, 고압에어기, 회전갈퀴, 투입벨트컨베이어,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불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입자분리기, 주입유로, 슬러지처리기로 구성되고, 혼합장치는 일정의 통 속에 일정의 슬라이드날개, 이동통로, 회전교반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으로 고정형, 이동형, 장착형, 탑재형 중의 어느 하나로 설치되고, 분쇄장치는 원판형 또는 돌기형이 있는 것으로 이는 2축 이상 다수 축으로 적용되며 이에는 진동, 초음파, 저주파, 고주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가해지고, 고형장치는 가연물을 고형화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장치이고, 이는 압출형, 용융형, 압출용융형이 있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구성시 투입장치, 선별장치, 벨트컨베이어장치는 기본적으로 포함되고, 배수장치, 굴착장치, 집진탈취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포장장치는 선택적으로 포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장치는 폐기물이 매립된 지하의 침출수를 배수하는 것으로, 이는 배수로, 저류조, 양수기, 차수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수로는 물이 흐르는 수로이고, 이는 내부배수로 및 외곽배수로가 있고, 상기 내부배수로는 외곽배수로 또는 저류조 방향으로 향하여 하향경사를 주고, 이는 외곽배수로는 저류조 방향으로 향하여 하향경사를 주고, 상기 저류조는 배수로로부터 흘러온 물을 저류하는 곳이고, 이는 폐기물매립부지의 내부, 외곽, 외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상기 양수기는 배수로 또는 저류조에 고인 물을 양수하는 것이고, 상기 차수벽은 폐기물매립부지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이 흘러 들어오지 않도록 연직으로 설치되는 차단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착장치는 지상 또는 지하에 놓여진 폐기물을 굴착하는 장치로서, 이는 포크레인, 페이로더, 도자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포크레인은 일반삽장착포크레인 및 격자삽장착포크레인으로 구분되고, 상기 일반삽장착포크레인은 투과성이 없는 바가지삽이 장착된 포크레인이고, 상기 격자삽장착포크레인은 투과성이 있는 격자의 바가지삽이 장착된 포크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탈취장치는 상기 굴착장치, 투입장치, 선별장치, 벨트컨베이어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포장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투입되고, 이는 살수기, 주입기, 소독기, 집진기, 탈취기로 구성된 구성물이고, 상기 살수기는 물을 살수하는 것이고, 상기 주입기는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탈취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주입하는 것이고, 상기 소독기는 소독제를 살포하는 것이고, 상기 집진기는 분진을 제거하는 것이고, 상기 탈취기는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고,
상기 살수기, 주입기, 소독기는 저장통, 압력펌프, 공급호스, 분사노즐로 구성되고, 상기 저장통, 압력펌프, 공급호스, 분사노즐은 살수기, 주입기, 소독기에 하나로 통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각각 개별로 설치되고, 상기 저장통은 물,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소독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이고, 상기 압력펌프는 저장통에 저장된 물,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소독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압력으로 밀어내는 것이고, 상기 공급호스는 압력펌프의 압력으로 밀어진 물,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소독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분사노즐로 보내는 것으로, 이는 중공의 원통형 호스이고, 상기 분사노즐은 공급호스로부터 공급된 물,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소독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살수 또는 주입 또는 살포하는 것으로, 이는 공급호스의 말단에 설치된다.
상기 집진기 및 탈취기는 흡입구, 흡입호스, 진공펌프, 처리조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 흡입호스, 진공펌프, 처리조는 집진기 및 탈취기에 하나로 통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각각 개별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는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흡입하는 입구이고, 이는 흡입호스의 말단에 연결되고, 이의 형상에는 우산형, 오리입형, 호스형이 있고, 상기 우산형은 흡입구가 우산형상인 것이고, 상기 오리입형은 흡입구가 오리입형상인 것이고, 상기 호스형은 흡입구가 흡입호스 자체인 것이고, 상기 흡입호스는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조로 보내는 것으로, 이는 중공의 원통형 호스이고, 상기 진공펌프는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진공압으로 흡입하여 이를 처리조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처리조는 흡입호스를 통하여 흡입된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것으로, 이는 필터조, 싸이클론조, 전기집진조, 흡착조, 수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 이상 구성시 필터조, 싸이클론조, 전기집진조, 흡착조, 수조는 병렬 또는 직렬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조는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여과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이는 섬유포, 섬유막, 섬유사, 스펀지, 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매입된 조이고, 상기 싸이클론조는 싸이클론이 장착된 조로서, 이는 압력으로 흡입된 분진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입자분리하여 공기에서 분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전기집진조는 이는 전기집진기능을 가진 조로서, 직류고전압에 의한 코로나 방전으로 분진을 음전기로 대전시켜 분진을 양전기의 집진판에 흡착시켜 제거시키는 것으로, 상기 흡착조는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이는 활성탄, 나노탄소튜브, 활성알루미나, 광촉매, 숯, 왕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매입된 조이고, 상기 수조는 압력으로 흡입된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수조를 통과시켜 수중에 포획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이는 물이 담겨진 조이다.
상기 구성물은 고정형, 이동형, 장착형, 탑재형 중의 어느 하나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형은 구성물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지 않아 이동성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고, 상기 이동형은 구성물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바닥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성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장착형은 구성물이 고정된 시설물 또는 구조물의 일부에 장착된 것이고, 상기 탑재형은 구성물이 이동되는 차량 또는 중장비의 일부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장치는 폐기물을 선별장치로 투입하는 장치이고, 이는 단순호퍼, 진동호퍼, 열풍호퍼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단순호퍼는 진동 또는 열풍이 없는 호퍼이고, 상기 진동호퍼는 호퍼에 진동이 가해지는 호퍼이고, 상기 진동은 진동기, 초음파기, 저주파기, 고주파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제공되고, 상기 진동기, 초음파기, 저주파기, 고주파기는 호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열풍호퍼는 호퍼 내부에 열풍이 가해지는 호퍼이고, 상기 열풍은 열풍기에 의하여 제공되고, 상기 열풍기에서 생성된 열풍은 열풍노즐을 통하여 호퍼 내부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장치는 폐기물을 선별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로서, 이는 트롬멜선별기, 평면선별기, 자력선별기, 풍력선별기, 광학선별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이는 폐기물을 선별토사, 가연물, 불연물 중의 어느 둘 이상으로 분리하거나, 또는 선별토사, 가연물, 불연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다시 선별토사는 2종 이상의 토사 종류별로, 가연물은 2종 이상의 가연물 종류별로, 불연물은 2종 이상의 불연물 종류별로 세분하여 분리하거나, 또는 폐기물 또는 가연물에서 염소성분함유물질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트롬멜선별기는 유공구멍이 있는 원통형 트롬멜에 선별대상물질을 통과시켜 유공구멍 통과물질 및 비통과물질로 선별하는 것이고, 이의 외부에는 타공망치, 평면솔, 회전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고, 이의 내부에는 고무판, 칼날, 열풍노즐, 고압공기노즐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고, 이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진동기, 초음파기, 저주파기, 고주파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고, 상기 평면선별기는 유공구멍이 있는 평면형 스크린에 선별대상물질을 통과시켜 유공구멍 통과물질 및 비통과물질로 선별하는 것이고, 이의 어느 부위에 타공망치, 평면솔, 회전솔, 고무판, 칼날, 열풍노즐, 고압공기노즐, 진동기, 초음파기, 저주파기, 고주파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고, 상기 타공망치는 고무망치 또는 플라스틱망치로서,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평면솔은 일정의 면적을 가진 평면형의 브러시솔로서,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회전솔은 일정의 직경을 가진 원통형의 브러시솔로서,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고무판은 폭 및 두께보다는 길이가 긴 고무판으로서,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칼날은 길이가 긴 칼날으로서,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열풍노즐은 열풍이 분출되는 노즐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고압공기노즐은 고압공기가 분출되는 노즐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진동기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초음파기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저주파기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고주파기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된다.
상기 자력선별기는 선별대상물질에서 금속물질을 선별하는 것으로서, 이는 벨트컨베이어 및 자석물질로 구성되고, 이는 평행형, 경사교차형, 직교형이 있고, 상기 자석물질은 벨트컨베이어의 양측 회전바퀴 중의 어느 한측에 부여되고, 상기 평행형은 자력선별기용 벨트컨베이어가 선별대상물질이 놓여져 이송되는 벨트켄베이어와 평행하게 설치된 것이고, 상기 경사교차형은 자력선별기용 벨트컨베이어가 선별대상물질이 놓여져 이송되는 벨트켄베이어와 경사지게 교차하여 설치된 것이고, 상기 직교형은 자력선별기용 벨트컨베이어가 선별대상물질이 놓여져 이송되는 벨트켄베이어와 직교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풍력선별기는 풍력을 가하여 선별대상물질에서 가연물 등의 경량물질을 분리하는 것이고, 이는 일반형 및 분리형이 있고, 상기 일반형은 선별대상물질에서 분리된 경량물질을 재선별하지 않는 것이고, 상기 분리형은 선별대상물질에서 분리된 경량물질을 중량별로 재선별하는 것이고, 이는 수평분리형 및 수직분리형이 있고, 상기 중량별은 2종류 이상의 중량이고, 통상으로는 중량(重量), 중량(中量), 경량의 3종류로 하고, 상기 수평분리형은 풍력선별기의 풍력이 가해지는 몸통이 수평인 것이고, 상기 수직분리형은 풍력선별기의 풍력이 가해지는 몸통이 수직인 것이다.
상기 광학선별기는 가연물을 2종 이상의 가연물 종류별로 세분하여 분리하거나 또는 가연물에서 염소성분함유물질을 분리하는 기기이고, 이는 벨트컨베이어 상부에 놓인 가연물에 반사율이 높은 단파장적외선인 근적외선(NIR: near infrared light)을 쬐어 광흡수량을 분석함으로써 가연물에서 폐종이, 폐섬유, 폐플라스틱, 폐스티로폼, 폐합성수지, 폐가죽, 폐고무, 폐비닐, 폐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거나 또는 가연물에서 염소성분함유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장치는 폐기물, 선별토사, 가연물, 불연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송시키는 장치이고, 이는 굴착장치, 투입장치, 선별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포장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중의 어느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가 되고, 이 는 컨베이어벨트 및 회전바퀴로 구성되고, 이는 일반벨트컨베이어, 진동벨트컨베이어, 탈수벨트컨베이어, 갈고리벨트컨베이어, 격자망벨트컨베이어가 있고, 상기 일반벨트컨베이어는 진동, 탈수, 갈고리, 격자망이 없는 벨트컨베이어이고, 상기 진동벨트컨베이어는 진동이 가해지는 벨트컨베이어이고, 상기 진동은 벨트의 일정부위에 일반진동, 초음파, 저주파, 고주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가해지는 것이고, 상기 일반진동, 초음파, 저주파, 고주파는 진동기, 초음파기, 저주파기, 고주파기로부터 각각 제공되고, 상기 탈수벨트컨베이어는 벨트에 유공구멍이 하나 이상 다수개 형성된 벨트컨베이어이고, 상기 갈고리벨트컨베이어는 벨트에 갈고리가 하나 이상 다수개 부착된 벨트컨베이어이고, 상기 갈고리는 일자형, 다발형, 유공형, 스프링형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일자형은 하나의 가는줄로 된 것이고, 상기 다발형은 다수개의 가는줄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유공형은 갈고리의 내부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구멍으로 고압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스프링형은 갈고리와 벨트가 만나는 부분에 스프링이 설치된 것이고, 상기 격자망벨트컨베이어는 격자망이 달린 벨트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감장치는 폐기물 또는 가연물에 함유된 토사, 이물질, 불연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또는 제거하여 가연물의 중량을 저감시키는 장치이고, 이는 습식형 및 건식형이 있고, 상기 습식형은 저류수조, 유출유로, 초음파기, 가압부상기, 고압에어기, 회전갈퀴, 투입벨트컨베이어,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불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입자분리기, 주입유로, 슬러지처리기로 구성되고, 상기 저류수조는 세척수가 담겨지고 폐기물이 투입되는 탱크이고, 상기 유출유로는 저류수조 내의 세척수가 입자분리기까지 흘러나가는 유로이고, 이의 내부에는 유출유로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웨어칸막이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초음파기는 초음파가 발생되는 기기이고, 이는 저류수조 내부의 일정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상기는 미세기포를 주입하여 경량물질을 부상시키는 것으로, 이로는 기포발생기가 이용되고, 상기 기포발생기는 저류수조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고압에어기는 저류수조의 수중에서 고압공기를 품는 것이고, 상기 고압공기는 에어콤프레셔에서 공급되고, 이는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갈퀴는 자체 회전하면서 물에 뜬 가연물을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방향으로 보내는 것이고, 상기 투입벨트컨베이어는 저류수조 내로 폐기물을 투입하는 것이고, 상기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는 저류수조 내로부터 가연물을 반출하는 것이고, 상기 불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는 저류수조 내로부터 불연물을 반출하는 것이고, 상기 입자분리기는 세척수 또는 슬러지 내의 입자를 분리하는 것으로, 이는 싸이클론방식으로 분리되고, 상기 주입유로는 입자분리기를 통과한 세척수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저류수조에 재주입하는 유로이고, 상기 슬러지처리기는 슬러지를 처리하는 것이고, 이는 압축탈수, 전기탈수, 원심탈수, 화학응집, 고형처리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슬러지는 저류수조, 유출유로, 입자분리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되어 슬러지처리기로 유입되고, 상기 압축탈수는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전기탈수는 전기삼투를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원심탈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화학응집은 응집제를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고형처리는 고화제는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다.
상기 건식형은 선별기형, 벨트컨베이어형, 갈고리형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선별기형은 열풍기 또는 고온선풍기가 장착된 상기 트롬멜선별기 또는 평면선별기를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장착은 트롬멜선별기의 내부 또는 외부 그리고 평면선별기의 외부에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 벨트컨베이어형은 상기 진동벨트컨베이어, 탈수벨트컨베이어, 갈고리벨트컨베이어, 격자망벨트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장치는 일정한 체적을 가진 통 속에 일정의 슬라이드날개, 이동통로, 회전교반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으로서, 이는 2종류 이상의 입상형 물질을 교반하여 혼합물질을 생성하는 장치이고, 이는 고정형, 이동형, 장착형, 탑재형 중의 어느 하나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날개는 일정의 크기를 가진 날개판으로서, 이는 상기 통속에 하나 이상 다수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로는 일정의 구경을 가진 통로로서, 이는 상기 통속에 감아지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교반기는 교반날개 및 회전모타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개는 일정축에 다수개의 날개가 부착된 것이고, 상기 회전모타는 교반날개의 일정축을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기 고정형은 혼합장치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지 않아 이동성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고, 상기 이동형은 혼합장치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바닥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성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장착형은 혼합장치가 고정된 시설물 또는 구조물의 일부에 장착된 것이고, 상기 탑재형은 혼합장치가 이동되는 차량 또는 중장비의 일부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장치는 폐기물 또는 가연물을 잘게 분쇄하는 장치이고, 이는 중심 축 및 날로 구성되고, 이는 날의 형상에 따라 이는 원판형 또는 돌기형이 있고, 이는 2축 이상 다수 축으로 적용되고, 이에는 진동, 초음파, 저주파, 고주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가해지고, 상기 원판형은 날의 모양이 원판 형상으로 된 것이고, 상기 돌기형은 날의 모양이 돌기 형상으로 된 것이고, 상기 원판 및 돌기는 중심축의 주위에 하나 이상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가연물은 축과 축 사이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형장치는 가연물을 고형화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장치이고, 이는 압출형, 용융형, 압출용융형이 있고, 상기 펠렛은 일정한 길이 및 단면을 가진 가연물의 가공품이고, 상기 압출형은 성형통, 압력기, 성형노즐, 카타기로 구성되고, 상기 용융형은 성형통, 용융기, 성형노즐, 카타기로 구성되고, 상기 압출용융형은 압출형과 용융형을 복합한 것으로 이는 성형통, 압력기, 용융기, 성형노즐, 카타기로 구성되고, 상기 압력기는 콤프레셔, 압력판,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상기 성형통은 가연물이 투입되어 성형되는 일정한 크기의 통이고, 상기 압력기는 성형통 내의 가연물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고, 상기 용융기는 성형통 내의 가연물에 열을 가하는 것이고, 상기 성형노즐은 성형통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로부터 펠렛이 유출되고, 상기 카타기는 성형노즐로부터 유출되는 펠렛을 적정의 크기로 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장치는 가연물 또는 펠렛을 포장하는 것이고, 이는 압축포장기이고, 상기 압축포장기는 다수개의 가연물 또는 펠렛에 압축을 가하면서 비닐시이트 또는 고분자합성시이트 및 끈으로 가연물 또는 펠렛을 포장하는 것이고, 상기 고분자합성시이트는 상기 비닐시이트를 제외한 기타 고분자합성재료로 만들어진 시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도면 및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장치, 굴착장치, 집진탈취장치, 투입장치, 선별장치, 벨트컨베이어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포장장치의 흐름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폐기물, 선별토사, 가연물의 처리 흐름도가 제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배수로, 저류조, 양수기, 차수벽을 적정하게 설치하여 폐기물 굴착전 또는 굴착중에 사전 배수를 실시하여 굴착 폐기물 내에 수분함량을 최소화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탈취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현장에 처리공정별로 적정하게 설치하여 분진발생 및 악취발산을 저감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반형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풍력선별기는 풍력을 가하여 선별대상물질에서 가연물 등의 경량물질을 분리하는 것이고, 이는 일반형 및 분리형이 있다. 일반형은 선별대상물질에서 분리된 경량물질을 재선별하지 않는 것이고, 분리형은 선별대상물질에서 분리된 경량물질을 중량별로 재선별하는 것이고, 이는 수평분리형 및 수직분리형이 있고, 여기서 중량별은 2종류 이상의 중량이고, 통상으로는 중량(重量), 중량(中量), 경량의 3종류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분리형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수평분 리형은 풍력선별기의 풍력이 가해지는 몸통이 수평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분리형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수직분리형은 풍력선별기의 풍력이 가해지는 몸통이 수직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장치 중 갈고리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갈고리벨트컨베이어는 벨트에 갈고리가 하나 이상 다수개 부착된 벨트컨베이어이고, 갈고리는 일자형, 다발형, 유공형, 스프링형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장치 중 갈고리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발형 갈고리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다발형은 다수개의 가는줄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일자형 갈고리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일자형은 하나의 가는줄로 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공형 갈고리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유공형은 갈고리의 내부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것이고, 구멍으로 고압공기가 주입된다. 스프링형은 갈고리와 벨트가 만나는 부분에 스프링이 설치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격자망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격자망벨트컨베이어는 격자망이 달린 벨트컨베이어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습식형 저감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습식형은 저류수조, 유출유로, 초음파기, 가압부상기, 고압에어기, 회전갈퀴, 투입벨트컨베이 어,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불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입자분리기, 주입유로, 슬러지처리기로 구성되고, 저류수조는 세척수가 담겨지고 폐기물이 투입되는 탱크이고, 유출유로는 저류수조 내의 세척수가 입자분리기까지 흘러나가는 유로이고, 이의 내부에는 유출유로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웨어칸막이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고, 초음파기는 초음파가 발생되는 기기이고, 이는 저류수조 내부의 일정부위에 설치되고, 가압부상기는 미세기포를 주입하여 경량물질을 부상시키는 것으로, 이로는 기포발생기가 이용되고, 기포발생기는 저류수조 바닥에 설치되고, 고압에어기는 저류수조의 수중에서 고압공기를 품는 것이고, 고압공기는 에어콤프레셔에서 공급되고, 이는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회전갈퀴는 자체 회전하면서 물에 뜬 가연물을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방향으로 보내는 것이다. 투입벨트컨베이어는 저류수조 내로 폐기물을 투입하는 것이고,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는 저류수조 내로부터 가연물을 반출하는 것이고, 불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는 저류수조 내로부터 불연물을 반출하는 것이다. 입자분리기는 세척수 또는 슬러지 내의 입자를 분리하는 것으로, 이는 싸이클론방식으로 분리되고, 주입유로는 입자분리기를 통과한 세척수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저류수조에 재주입하는 유로이고, 슬러지처리기는 슬러지를 처리하는 것이고, 이는 압축탈수, 전기탈수, 원심탈수, 화학응집, 고형처리 중의 어느 하나이고, 슬러지는 저류수조, 유출유로, 입자분리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되어 슬러지처리기로 유입되고, 압축탈수는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전기탈수는 전기삼투를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원심탈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화학응집은 응집제를 이용하여 탈 수하는 것이고, 고형처리는 고화제는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날개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혼합장치는 일정한 체적을 가진 통 속에 일정의 슬라이드날개, 이동통로, 회전교반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으로서, 이는 2종류 이상의 입상형 물질을 교반하여 혼합물질을 생성하는 장치이고, 이는 고정형, 이동형, 장착형, 탑재형 중의 어느 하나로 설치된다. 슬라이드날개는 일정의 크기를 가진 날개판으로서, 이는 상기 통속에 하나 이상 다수개 경사지게 설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로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동통로는 일정의 구경을 가진 통로로서, 이는 상기 통속에 감아지게 설치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교반기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회전교반기는 교반날개 및 회전모타로 구성되고, 교반날개는 일정축에 다수개의 날개가 부착된 것이고, 회전모타는 교반날개의 일정축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도 17는 본 발명에 의한 혼합장치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고정형은 혼합장치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지 않아 이동성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이동형은 혼합장치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바닥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성을 가지는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탑재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탑재형은 혼합장치가 이동되는 차량 또는 중장비의 일부에 탑재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원판형 날의 분쇄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분쇄장치는 폐기물 또는 가연물을 잘게 분쇄하는 장치이고, 이는 중심축 및 날로 구성되고, 이는 날의 형상에 따라 이는 원판형 또는 돌기형이 있고, 이는 2축 이상 다수 축으로 적용되고, 이에는 진동, 초음파, 저주파, 고주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가해진다. 원판형은 날의 모양이 원판 형상으로 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돌기형 날의 분쇄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돌기형은 날의 모양이 돌기 형상으로 된 것이다. 원판 및 돌기는 중심축의 주위에 하나 이상 다수개가 설치되고, 가연물은 축과 축 사이에 투입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출형 고형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고형장치는 가연물을 고형화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장치이고, 이는 압출형, 용융형, 압출용융형이 있다. 펠렛은 일정한 길이 및 단면을 가진 가연물의 가공품이다. 압출형은 성형통, 압력기, 성형노즐, 카타기로 구성된다. 압력기는 콤프레셔, 압력판,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성형통은 가연물이 투입되어 성형되는 일정한 크기의 통이고, 압력기는 성형통 내의 가연물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다. 성형노즐은 성형통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로부터 펠렛이 유출되고, 카타기는 성형노즐로부터 유출되는 펠렛을 적정의 크기로 자르는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용융형 고형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용융형은 성형통, 용융기, 성형노즐, 카타기로 구성되고, 용융기는 성형통 내의 가연물에 열을 가하는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출용융형 고형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압출용 융형은 압출형과 용융형을 복합한 것으로 이는 성형통, 압력기, 용융기, 성형노즐, 카타기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장치, 굴착장치, 집진탈취장치, 투입장치, 선별장치, 벨트컨베이어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포장장치의 흐름도를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탈취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반형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분리형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분리형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장치 중 갈고리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장치 중 갈고리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발형 갈고리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일자형 갈고리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공형 갈고리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격자망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습식형 저감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날개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로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교반기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7는 본 발명에 의한 혼합장치를 나타낸 입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입체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입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탑재형 혼합장치를 나타낸 입체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원판형 날의 분쇄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돌기형 날의 분쇄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출형 고형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용융형 고형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출용융형 고형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폐기물 2 : 선별토사
3 : 가연물 4 : 불연물
5 : 양질토사 10 : 배수장치
11 : 배수로 12 : 저류조
13 : 양수기 14 : 차수벽
20 : 굴착장치 30 : 집진탈취장치
31 : 살수기 31-1 : 저장통
31-2 : 압력펌프 31-3 : 공급호스
31-4 : 분사노즐 32 : 주입기
33 : 소독기 34 : 집진기
34-1 : 흡입구 34-2 : 흡입호스
34-3 : 진공펌프 34-4 : 처리조
34-5 : 싸이클론조 35 : 탈취기
40 : 투입장치 50 : 선별장치
51 : 선별대상물질 52 : 풍력
53 : 일반형 54 : 수평분리형
55 : 수직분리형 56 : 중량(重量)
57 : 중량(中量) 58 : 경량
60 : 벨트컨베이어장치 61 : 벨트
62 : 갈고리 63 : 일자형 갈고리
64 : 다발형 갈고리 65 : 유공형 갈고리
65-1 : 고압공기 66 : 스프링형 갈고리
67 : 격자망벨트컨베이어 68 : 진동기
70 : 저감장치 71 : 저류수조
72 : 유출유로 73 : 초음파기
74 : 가압부상기 75 : 고압에어기
76 : 회전갈퀴 77 : 투입벨트컨베이어
78 :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79 : 불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80 : 입자분리기 81 : 주입유로
82 : 슬러지처리기 90 : 혼합장치
91 : 통 92 : 슬라이드날개
93 : 이동통로 94 : 회전교반기
100 : 분쇄장치 101 : 중심축
102 : 원판형 날 103 : 돌기형 날
110 : 고형장치 111 : 펠렛
112 : 성형통 113 : 압력기
114 : 용융기 115 : 성형노즐
120 : 포장장치

Claims (13)

  1. 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배수장치, 굴착장치, 집진탈취장치, 투입장치, 선별장치, 벨트컨베이어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포장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시 투입장치, 선별장치, 벨트컨베이어장치는 기본적으로 포함되고, 배수장치, 굴착장치, 집진탈취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포장장치는 선택적으로 포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폐기물복합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폐기물이 매립된 지하의 침출수를 배수하는 것으로, 이는 배수로, 저류조, 양수기, 차수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수로는 물이 흐르는 수로이고, 이는 내부배수로 및 외곽배수로가 있고,
    상기 내부배수로는 외곽배수로 또는 저류조 방향으로 향하여 하향경사를 주 고, 이는 외곽배수로는 저류조 방향으로 향하여 하향경사를 주고,
    상기 저류조는 배수로로부터 흘러온 물을 저류하는 곳이고, 이는 폐기물매립부지의 내부, 외곽, 외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상기 양수기는 배수로 또는 저류조에 고인 물을 양수하는 것이고,
    상기 차수벽은 폐기물매립부지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이 흘러 들어오지 않도록 연직으로 설치되는 차단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장치는 지상 또는 지하에 놓여진 폐기물을 굴착하는 장치로서, 이는 포크레인, 페이로더, 도자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포크레인은 일반삽장착포크레인 및 격자삽장착포크레인으로 구분되고,
    상기 일반삽장착포크레인은 투과성이 없는 바가지삽이 장착된 포크레인이고,
    상기 격자삽장착포크레인은 투과성이 있는 격자의 바가지삽이 장착된 포크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집진탈취장치는 상기 굴착장치, 투입장치, 선별장치, 벨트컨베이어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포장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투입되고, 이는 살수기, 주입기, 소독기, 집진기, 탈취기로 구성된 구성물이고,
    상기 살수기는 물을 살수하는 것이고,
    상기 주입기는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탈취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주입하는 것이고,
    상기 소독기는 소독제를 살포하는 것이고,
    상기 집진기는 분진을 제거하는 것이고,
    상기 탈취기는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고,
    상기 살수기, 주입기, 소독기는 저장통, 압력펌프, 공급호스, 분사노즐로 구성되고,
    상기 저장통, 압력펌프, 공급호스, 분사노즐은 살수기, 주입기, 소독기에 하나로 통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각각 개별로 설치되고,
    상기 저장통은 물,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소독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이고,
    상기 압력펌프는 저장통에 저장된 물,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소독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압력으로 밀어내는 것이고,
    상기 공급호스는 압력펌프의 압력으로 밀어진 물,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소독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분사노즐로 보내는 것으로, 이는 중공의 원통형 호스이고,
    상기 분사노즐은 공급호스로부터 공급된 물, 공기, 산소, 오존, 음이온, 수분, 미생물, 소독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살수 또는 주입 또는 살포하는 것으로, 이는 공급호스의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기 및 탈취기는 흡입구, 흡입호스, 진공펌프, 처리조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 흡입호스, 진공펌프, 처리조는 집진기 및 탈취기에 하나로 통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각각 개별로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는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흡입하는 입구이고, 이는 흡입호스의 말단에 연결되고, 이의 형상에는 우산형, 오리입형, 호스형이 있고,
    상기 우산형은 흡입구가 우산형상인 것이고,
    상기 오리입형은 흡입구가 오리입형상인 것이고,
    상기 호스형은 흡입구가 흡입호스 자체인 것이고,
    상기 흡입호스는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조로 보내는 것으로, 이는 중공의 원통형 호스이고,
    상기 진공펌프는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진공압으로 흡입하여 이를 처리조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처리조는 흡입호스를 통하여 흡입된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것으로, 이는 필터조, 싸이클론조, 전기집진조, 흡착조, 수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 이상 구성시 필터조, 싸이클론조, 전기집진조, 흡착조, 수조는 병렬 또는 직렬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조는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여과하여 제거하는 것 으로, 이는 섬유포, 섬유막, 섬유사, 스펀지, 솜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매입된 조이고,
    상기 싸이클론조는 싸이클론이 장착된 조로서, 이는 압력으로 흡입된 분진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입자분리하여 공기에서 분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전기집진조는 이는 전기집진기능을 가진 조로서, 직류고전압에 의한 코로나 방전으로 분진을 음전기로 대전시켜 분진을 양전기의 집진판에 흡착시켜 제거시키는 것으로,
    상기 흡착조는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이는 활성탄, 나노탄소튜브, 활성알루미나, 광촉매, 숯, 왕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매입된 조이고,
    상기 수조는 압력으로 흡입된 분진 또는 악취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수조를 통과시켜 수중에 포획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이는 물이 담겨진 조이고,
    상기 구성물은 고정형, 이동형, 장착형, 탑재형 중의 어느 하나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형은 구성물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지 않아 이동성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고,
    상기 이동형은 구성물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바닥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성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장착형은 구성물이 고정된 시설물 또는 구조물의 일부에 장착된 것이고,
    상기 탑재형은 구성물이 이동되는 차량 또는 중장비의 일부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장치는 폐기물을 선별장치로 투입하는 장치이고, 이는 단순호퍼, 진동호퍼, 열풍호퍼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단순호퍼는 진동 또는 열풍이 없는 호퍼이고,
    상기 진동호퍼는 호퍼에 진동이 가해지는 호퍼이고,
    상기 진동은 진동기, 초음파기, 저주파기, 고주파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제공되고,
    상기 진동기, 초음파기, 저주파기, 고주파기는 호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열풍호퍼는 호퍼 내부에 열풍이 가해지는 호퍼이고,
    상기 열풍은 열풍기에 의하여 제공되고,
    상기 열풍기에서 생성된 열풍은 열풍노즐을 통하여 호퍼 내부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는 폐기물을 선별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로서, 이는 트롬멜선별 기, 평면선별기, 자력선별기, 풍력선별기, 광학선별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이는 폐기물을 선별토사, 가연물, 불연물 중의 어느 둘 이상으로 분리하거나, 또는 선별토사, 가연물, 불연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다시 선별토사는 2종 이상의 토사 종류별로, 가연물은 2종 이상의 가연물 종류별로, 불연물은 2종 이상의 불연물 종류별로 세분하여 분리하거나, 또는 폐기물 또는 가연물에서 염소성분함유물질을 분리하는 장치이고,
    상기 트롬멜선별기는 유공구멍이 있는 원통형 트롬멜에 선별대상물질을 통과시켜 유공구멍 통과물질 및 비통과물질로 선별하는 것이고, 이의 외부에는 타공망치, 평면솔, 회전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고, 이의 내부에는 고무판, 칼날, 열풍노즐, 고압공기노즐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고, 이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진동기, 초음파기, 저주파기, 고주파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고,
    상기 평면선별기는 유공구멍이 있는 평면형 스크린에 선별대상물질을 통과시켜 유공구멍 통과물질 및 비통과물질로 선별하는 것이고, 이의 어느 부위에 타공망치, 평면솔, 회전솔, 고무판, 칼날, 열풍노즐, 고압공기노즐, 진동기, 초음파기, 저주파기, 고주파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되고,
    상기 타공망치는 고무망치 또는 플라스틱망치로서,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평면솔은 일정의 면적을 가진 평면형의 브러시솔로서,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회전솔은 일정의 직경을 가진 원통형의 브러시솔로서,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고무판은 폭 및 두께보다는 길이가 긴 고무판으로서,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칼날은 길이가 긴 칼날으로서,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열풍노즐은 열풍이 분출되는 노즐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고압공기노즐은 고압공기가 분출되는 노즐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진동기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초음파기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저주파기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고주파기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는 하나 이상 개수로 부착되고,
    상기 자력선별기는 선별대상물질에서 금속물질을 선별하는 것으로서, 이는 벨트컨베이어 및 자석물질로 구성되고, 이는 평행형, 경사교차형, 직교형이 있고,
    상기 자석물질은 벨트컨베이어의 양측 회전바퀴 중의 어느 한측에 부여되고,
    상기 평행형은 자력선별기용 벨트컨베이어가 선별대상물질이 놓여져 이송되는 벨트켄베이어와 평행하게 설치된 것이고,
    상기 경사교차형은 자력선별기용 벨트컨베이어가 선별대상물질이 놓여져 이송되는 벨트켄베이어와 경사지게 교차하여 설치된 것이고,
    상기 직교형은 자력선별기용 벨트컨베이어가 선별대상물질이 놓여져 이송되는 벨트켄베이어와 직교되게 설치된 것이고,
    상기 풍력선별기는 풍력을 가하여 선별대상물질에서 가연물 등의 경량물질을 분리하는 것이고, 이는 일반형 및 분리형이 있고,
    상기 일반형은 선별대상물질에서 분리된 경량물질을 재선별하지 않는 것이고,
    상기 분리형은 선별대상물질에서 분리된 경량물질을 중량별로 재선별하는 것이고, 이는 수평분리형 및 수직분리형이 있고,
    상기 중량별은 2종류 이상의 중량이고, 통상으로는 중량(重量), 중량(中量), 경량의 3종류로 하고,
    상기 수평분리형은 풍력선별기의 풍력이 가해지는 몸통이 수평인 것이고,
    상기 수직분리형은 풍력선별기의 풍력이 가해지는 몸통이 수직인 것이고,
    상기 광학선별기는 가연물을 2종 이상의 가연물 종류별로 세분하여 분리하거나 또는 가연물에서 염소성분함유물질을 분리하는 기기이고, 이는 벨트컨베이어 상부에 놓인 가연물에 반사율이 높은 단파장적외선인 근적외선을 쬐어 광흡수량을 분석함으로써 가연물에서 폐종이, 폐섬유, 폐플라스틱, 폐스티로폼, 폐합성수지, 폐가죽, 폐고무, 폐비닐, 폐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거나 또는 가연물에서 염소성분함유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장치는 폐기물, 선별토사, 가연물, 불연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송시키는 장치이고, 이는 굴착장치, 투입장치, 선별장치, 저감장치, 혼합장치, 포장장치, 분쇄장치, 고형장치 중의 어느 사이에 하나 이상 설치가 되고, 이는 컨베이어벨트 및 회전바퀴로 구성되고, 이는 일반벨트컨베이어, 진동벨트컨베이어, 탈수벨트컨베이어, 갈고리벨트컨베이어, 격자망벨트컨베이어가 있고,
    상기 일반벨트컨베이어는 진동, 탈수, 갈고리, 격자망이 없는 벨트컨베이어이고,
    상기 진동벨트컨베이어는 진동이 가해지는 벨트컨베이어이고,
    상기 진동은 벨트의 일정부위에 일반진동, 초음파, 저주파, 고주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가해지는 것이고,
    상기 일반진동, 초음파, 저주파, 고주파는 진동기, 초음파기, 저주파기, 고주파기로부터 각각 제공되고,
    상기 탈수벨트컨베이어는 벨트에 유공구멍이 하나 이상 다수개 형성된 벨트컨베이어이고,
    상기 갈고리벨트컨베이어는 벨트에 갈고리가 하나 이상 다수개 부착된 벨트컨베이어이고,
    상기 갈고리는 일자형, 다발형, 유공형, 스프링형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의 조합이고,
    상기 일자형은 하나의 가는줄로 된 것이고,
    상기 다발형은 다수개의 가는줄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유공형은 갈고리의 내부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구멍으로 고압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스프링형은 갈고리와 벨트가 만나는 부분에 스프링이 설치된 것이고,
    상기 격자망벨트컨베이어는 격자망이 달린 벨트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장치는 폐기물 또는 가연물에 함유된 토사, 이물질, 불연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 또는 제거하여 가연물의 중량을 저감시키는 장치이고, 이는 습식형 및 건식형이 있고,
    상기 습식형은 저류수조, 유출유로, 초음파기, 가압부상기, 고압에어기, 회전갈퀴, 투입벨트컨베이어,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불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입자분리기, 주입유로, 슬러지처리기로 구성되고,
    상기 저류수조는 세척수가 담겨지고 폐기물이 투입되는 탱크이고,
    상기 유출유로는 저류수조 내의 세척수가 입자분리기까지 흘러나가는 유로이고, 이의 내부에는 유출유로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웨어칸막이가 하나 이상 설치 되어 있고,
    상기 초음파기는 초음파가 발생되는 기기이고, 이는 저류수조 내부의 일정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상기는 미세기포를 주입하여 경량물질을 부상시키는 것으로, 이로는 기포발생기가 이용되고,
    상기 기포발생기는 저류수조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고압에어기는 저류수조의 수중에서 고압공기를 품는 것이고,
    상기 고압공기는 에어콤프레셔에서 공급되고, 이는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갈퀴는 자체 회전하면서 물에 뜬 가연물을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 방향으로 보내는 것이고,
    상기 투입벨트컨베이어는 저류수조 내로 폐기물을 투입하는 것이고,
    상기 가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는 저류수조 내로부터 가연물을 반출하는 것이고,
    상기 불연물배출벨트컨베이어는 저류수조 내로부터 불연물을 반출하는 것이고,
    상기 입자분리기는 세척수 또는 슬러지 내의 입자를 분리하는 것으로, 이는 싸이클론방식으로 분리되고,
    상기 주입유로는 입자분리기를 통과한 세척수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저류수조에 재주입하는 유로이고,
    상기 슬러지처리기는 슬러지를 처리하는 것이고, 이는 압축탈수, 전기탈수, 원심탈수, 화학응집, 고형처리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슬러지는 저류수조, 유출유로, 입자분리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되어 슬러지처리기로 유입되고,
    상기 압축탈수는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전기탈수는 전기삼투를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원심탈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화학응집은 응집제를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고형처리는 고화제는 이용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건식형은 선별기형, 벨트컨베이어형, 갈고리형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선별기형은 열풍기 또는 고온선풍기가 장착된 상기 트롬멜선별기 또는 평면선별기를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장착은 트롬멜선별기의 내부 또는 외부 그리고 평면선별기의 외부에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 벨트컨베이어형은 상기 진동벨트컨베이어, 탈수벨트컨베이어, 갈고리벨트컨베이어, 격자망벨트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장치는 일정한 체적을 가진 통 속에 일정의 슬라이드날개, 이동통로, 회전교반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으로서, 이는 2종류 이상의 입상형 물질을 교반하여 혼합물질을 생성하는 장치이고, 이는 고정형, 이동형, 장착형, 탑재형 중의 어느 하나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날개는 일정의 크기를 가진 날개판으로서, 이는 상기 통속에 하나 이상 다수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로는 일정의 구경을 가진 통로로서, 이는 상기 통속에 감아지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교반기는 교반날개 및 회전모타로 구성되고,
    상기 교반날개는 일정축에 다수개의 날개가 부착된 것이고,
    상기 회전모타는 교반날개의 일정축을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기 고정형은 혼합장치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지 않아 이동성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고,
    상기 이동형은 혼합장치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바닥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성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장착형은 혼합장치가 고정된 시설물 또는 구조물의 일부에 장착된 것이고,
    상기 탑재형은 혼합장치가 이동되는 차량 또는 중장비의 일부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장치는 폐기물 또는 가연물을 잘게 분쇄하는 장치이고, 이는 중심축 및 날로 구성되고, 이는 날의 형상에 따라 이는 원판형 또는 돌기형이 있고, 이는 2축 이상 다수 축으로 적용되고, 이에는 진동, 초음파, 저주파, 고주파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가해지고,
    상기 원판형은 날의 모양이 원판 형상으로 된 것이고,
    상기 돌기형은 날의 모양이 돌기 형상으로 된 것이고,
    상기 원판 및 돌기는 중심축의 주위에 하나 이상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가연물은 축과 축 사이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장치는 가연물을 고형화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장치이고, 이는 압출형, 용융형, 압출용융형이 있고,
    상기 펠렛은 일정한 길이 및 단면을 가진 가연물의 가공품이고,
    상기 압출형은 성형통, 압력기, 성형노즐, 카타기로 구성되고,
    상기 용융형은 성형통, 용융기, 성형노즐, 카타기로 구성되고,
    상기 압출용융형은 압출형과 용융형을 복합한 것으로 이는 성형통, 압력기, 용융기, 성형노즐, 카타기로 구성되고,
    상기 압력기는 콤프레셔, 압력판,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상기 성형통은 가연물이 투입되어 성형되는 일정한 크기의 통이고,
    상기 압력기는 성형통 내의 가연물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고,
    상기 용융기는 성형통 내의 가연물에 열을 가하는 것이고,
    상기 성형노즐은 성형통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로부터 펠렛이 유출되고,
    상기 카타기는 성형노즐로부터 유출되는 펠렛을 적정의 크기로 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장치는 가연물 또는 펠렛을 포장하는 것이고, 이는 압축포장기이고,
    상기 압축포장기는 다수개의 가연물 또는 펠렛에 압축을 가하면서 비닐시이트 또는 고분자합성시이트 및 끈으로 가연물 또는 펠렛을 포장하는 것이고,
    상기 고분자합성시이트는 상기 비닐시이트를 제외한 기타 고분자합성재료로 만들어진 시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복합처리장치
KR1020080095592A 2008-09-29 2008-09-29 폐기물복합처리장치 KR20100036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592A KR20100036129A (ko) 2008-09-29 2008-09-29 폐기물복합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592A KR20100036129A (ko) 2008-09-29 2008-09-29 폐기물복합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129A true KR20100036129A (ko) 2010-04-07

Family

ID=4221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592A KR20100036129A (ko) 2008-09-29 2008-09-29 폐기물복합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612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81B1 (ko) * 2010-07-02 2011-01-04 대길산업주식회사 건설폐기물 내의 가연성이물질 선별 및 고순도 제조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선별·건조장치
KR20140039478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생물학적 처리를 이용한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20140039477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중금속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20140039476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유류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CN103878166A (zh) * 2014-03-12 2014-06-25 北京大学 一种城市生活垃圾分类处理方法
KR20170025787A (ko)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티케이케미칼 열가소성 폐불소고분자 수지의 미분말 제조방법
KR102354321B1 (ko) * 2021-04-27 2022-01-20 한광수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2354708B1 (ko) * 2021-05-04 2022-01-24 한승훈 폐기물 선별 방법 및 장치
CN114504904A (zh) * 2022-03-31 2022-05-17 济南瑞源智能城市开发有限公司 一种道路施工扬尘处理装置
KR20230037020A (ko) * 2020-07-01 2023-03-15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81B1 (ko) * 2010-07-02 2011-01-04 대길산업주식회사 건설폐기물 내의 가연성이물질 선별 및 고순도 제조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선별·건조장치
KR20140039478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생물학적 처리를 이용한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20140039477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중금속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20140039476A (ko) * 2012-09-24 2014-04-02 (주)신대양 유류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CN103878166A (zh) * 2014-03-12 2014-06-25 北京大学 一种城市生活垃圾分类处理方法
KR20170025787A (ko)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티케이케미칼 열가소성 폐불소고분자 수지의 미분말 제조방법
KR20230037020A (ko) * 2020-07-01 2023-03-15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354321B1 (ko) * 2021-04-27 2022-01-20 한광수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2354708B1 (ko) * 2021-05-04 2022-01-24 한승훈 폐기물 선별 방법 및 장치
CN114504904A (zh) * 2022-03-31 2022-05-17 济南瑞源智能城市开发有限公司 一种道路施工扬尘处理装置
CN114504904B (zh) * 2022-03-31 2022-11-25 济南瑞源智能城市开发有限公司 一种道路施工扬尘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6129A (ko) 폐기물복합처리장치
KR20220079808A (ko)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CN107855191B (zh) 一种垃圾处理设备
KR20180010451A (ko) 비산쓰레기와 먼지를 필터링하는 집진장치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CZ222895A3 (en) Process of treating solid waste
CN104815835A (zh) 一种轻柔薄片物料的回收处理成套设备
CN112871986B (zh) 一种厨余垃圾压缩及水油分离设备
US6368500B1 (en) System for treatment of waste
CN107617629B (zh) 能分离磁性垃圾的垃圾处理装置
KR20140032378A (ko)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206716130U (zh) 一种生活垃圾粉碎分选处理装置
CN113828626A (zh) 重金属-有机污染土壤的淋洗处置工艺
US5589073A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sbestos and other solid particles from a slurry
WO2008123704A2 (en) Solid-liquid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471372B1 (ko)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CN107900072B (zh) 能对垃圾进行预处理的垃圾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07626725B (zh) 设有除味机构的垃圾处理装置
JP2014136714A (ja) 固体燃料製造システム及び固体燃料製造方法
CN216677272U (zh) 一种厨余垃圾过滤设备
KR102186566B1 (ko) 탈취장치
CN204638700U (zh) 一种轻柔薄片物料的回收处理成套设备
CA2384734C (en) System for treatment of waste
US5330657A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sbestos particles from a slurry
CN102152880B (zh) 一种湿法拆包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21

Effective date: 201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