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404Y1 - 안전 캡 - Google Patents

안전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404Y1
KR200407404Y1 KR2020050031922U KR20050031922U KR200407404Y1 KR 200407404 Y1 KR200407404 Y1 KR 200407404Y1 KR 2020050031922 U KR2020050031922 U KR 2020050031922U KR 20050031922 U KR20050031922 U KR 20050031922U KR 200407404 Y1 KR200407404 Y1 KR 200407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safety
side pressing
thre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순
Original Assignee
김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순 filed Critical 김상순
Priority to KR2020050031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4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4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6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 B65D50/063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the closure or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two spaced sets of screw threa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번 개방으로 사용 완료되는 워셔액 용기 등에 주로 적용되는 안전 캡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용기(2)의 네크부(3)에 형성된 걸림턱(4)으로 캡(5)의 하부에 분리부(6)로 기점으로 끊어지는 걸림링(7)을 걸어 지지하고, 상기 캡(5)의 양측으로는 그 내측에 나사부(12)를 형성하는 측면 가압부(10)를 내측으로 가압 조작 가능하게 연결 형성하되, 상기 측면 가압부(10)의 나사부(12)는 용기 네크부(3)의 나사부(13)와 겉돌게 맞물리면서 측면 가압부(10)를 가압한 상태로만 상호 맞물리며 개폐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캡의 개방 조작전에는 캡과 용기의 나사부가 상호 겉돌면서 캡의 개방이 방지되고, 상기 캡의 양측 측면 가압부를 가압 조작함에 따라 캡과 용기의 나사부가 상호 맞물리면서 개방작동하므로 구조의 간단화 및 안전성을 더욱 극대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안전, 안전 캡, 용기, 측면 가압부

Description

안전 캡{A SAFETY CAP}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용기 3: 네크부
5: 캡 7: 걸림링
10: 측면 가압부 12,13; 나사부
15: 연결부
본 고안은 한번 개방으로 사용 완료되는 워셔액 용기 등에 주로 적용되는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캡 양측으로 형성된 측면 가압부의 내측으로 나사부를 형성하되 상기 측면 가압부를 외력에 의해 가압하여야만 용기의 나사부와 상호 맞물리면서 캡 개방이 가능하게 되는 안전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용기 캡은 용기의 네크부와 캡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호 나합함으로써 개폐 가능하도록 사용하였다.
이러한 용기 캡은 어린이들이 쉽게 돌려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부주의와 호기심 등으로 열어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용기 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전 장치가 다수의 형태로 개시된 바 있으나, 그 구조가 내 외부캡으로 이루어져 복잡하고, 작동 또한 대부분 내캡에 대하여 외캡을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개방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성은 확보가 가능하나 그개방 조작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아니라, 상기 용기 캡에는 캡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용기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캡 하부에 분리부로 연결된 걸림링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의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것은 상기 캡 개방시 캡을 외력에 의해 강제로 돌려 캡으로 부터 걸림링과 연결된 분리부가 분리되므로 캡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만으로는 캡의 안전성을 극대화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캡 개방을 제한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부가적으로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 구조의 캡으로 하면서도 상기 캡에 구비된 측면 가압부를 누르기전에는 캡의 개방 조작이 방지되고, 상기 캡의 양측 측면 가압부를 가압하여야만 캡이 걸림링으로 부터 분리되면서 개방 조작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간 단화 및 개방 안전성의 극대화가 가능하게 되는 안전 캡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네크부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캡 하부에 분리부로 연결된 걸림링을 걸어 지지하고, 상기 캡의 양측으로 내측에 나사부를 형성하는 측면 가압부를 내측으로 가압 가능하게 연결 형성하되, 상기 측면 가압부의 나사부는 용기 네크부의 나사부와 겉돌게 맞물리면서 측면 가압부를 가압한 상태로만 상호 맞물리며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안전 캡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의 네크부(3)에 캡(5)을 나사 결합하되, 상기 네크부(3)에 형성된 걸림턱(4)으로 캡(5) 하부에 분리부(6)로 연결된 걸림링(7)을 걸어 지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캡(5)의 양측으로 그 내주면 나사부(12)를 형성하는 측면 가압부(10)를 내측으로 가압 조작 가능하게 연결 형성하되, 상기 측면 가압부(10)의 나사부(12)는 상기 측면 가압부(10)를 가압하기 전에는 상기 용기(2)의 네크부(3)에 형성된 나사부(13)와 겉돌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 가압부(10)를 가압한 상태에서만 상호 맞물리며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 가압부(10)는 캡(5)과 연결되는 연결부(15)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므로 전후로 탄성적인 가압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 가압부(10)는 캡(5)의 나머지 부분과 구분되게 외측으로 약 간 돌출되게 형성함과 함께 그 외측에 요철부를 생략하는 등의 방법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캡(5) 하부의 걸림링(7)과 연결되는 분리부(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5)과 걸림링(7)을 부분적으로 연결하여 끊어지게 구성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끊어짐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캡(5)의 양측으로 구비된 측면 가압부(10)를 상호 가압함에 따라 상기 측면 가압부(10)의 나사부(12)와 용기(2)의 나사부(13)가 상호 맞물리면서 캡(5)이 개방 조작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5)을 개방하려고 돌리면 상기 캡(5)의 측면 가압부(10) 내측으로 형성된 나사부(12)와 용기(2)의 네크부(3)로 형성된 나사부(13)가 상호 겉돌면서 캡(5)의 개방이 방지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캡(5) 양측의 측면 가압부(10)를 내측으로 가압한 상태에서만 상기 측면 가압부(10)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나사부(12)와 용기 네크부(3)의 나사부(13)가 상호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캡(5)을 강제로 회전시키면 측면 가압부(10)의 나사부(12)가 용기(2)의 네크부(3)로 형성된 나사부(13)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캡(5)의 하부로 구비된 걸림링(7)은 용기(2)의 걸림턱(4)에 상호 걸려있기 때문에 분리부(6)를 기점으로 강제로 끊어지면서 분리되고, 계속적으로 측면 가압부(10)를 가압 회전함으로써 캡(5)은 용기(2)의 네크부(3)로부터 개방 조작되어 진다.
즉, 상기한 본 고안의 캡(5)은 양측의 측면 가압부(10)를 가압한 상태로만 내측의 나사부(12)가 용기(2)의 나사부(13)와 맞물리면서 개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안전 캡은 한번 개방으로 사용 완료되는 워셔액 용기 등에 주로 적용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안전 캡은 측면 가압부(10)로만 나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2)가 형성된 측면 가압부(10)가 캡의 다른 부분보다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캡(5)을 용기(2)의 네크부(3)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로 그 상부에서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네크부(3)상에 걸림링(7)을 포함하여 캡(5)이 신속하게 결합되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캡(5)의 결합이 가능하게 됨은, 상기 캡(5)의 측면 가압부(10)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12)와 용기(2)의 네크부(3)에 형성된 나사부(13)가 상호 겉돌도록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강제적인 압입에 의한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캡(5)에 의한 용기(2)의 네크부(3) 개방단부는, 캡(5)을 개방 조작하기 전에는 단단히 밀폐되어져 있다. 즉, 캡(5)의 하부로 구비된 걸림링(7)이 네크부(3)의 걸림턱(4)에 강제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단단히 걸려져 있기 때문에 캡(5)을 개방 조작하여 상기 걸림링(7)을 강제로 분리시키지 않는 이상 상기 네크부(3)의 개방단부는 캡(5)에 의해 단단히 밀폐되어져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 캡은 캡의 양측으로 내측에 나사부가 구비된 측면 가압부를 가압 가능케 연결 형성하되, 상기 측면 가압부를 가압하여야만 그 나사부가 용기의 나사부와 상호 맞물리며 개폐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안전 캡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그 개폐 안전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용기(2)의 네크부(3)에 캡(5)을 나사 결합하되, 상기 네크부(3)에 형성된 걸림턱(4)으로 캡(5)의 하부에 분리부(6)로 연결된 걸림링(7)을 걸어 지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캡(5)의 양측으로 내주면에 나사부(12)를 형성하는 측면 가압부(10)를 내측으로 가압 가능하게 연결 형성하되, 상기 측면 가압부(10)의 나사부(12)는 상기 측면 가압부(10)를 가압하기 전에는 용기(2)의 네크부(3)에 형성되는 나사부(13)와 겉돌게 결합되고, 상기 측면 가압부(10)를 가압한 상태에서만 상호 맞물려 개폐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압부(10)는 캡(5)과 연결되는 연결부(15)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탄성적인 가압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캡.
KR2020050031922U 2005-11-10 2005-11-10 안전 캡 KR200407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922U KR200407404Y1 (ko) 2005-11-10 2005-11-10 안전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922U KR200407404Y1 (ko) 2005-11-10 2005-11-10 안전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404Y1 true KR200407404Y1 (ko) 2006-01-31

Family

ID=4929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922U KR200407404Y1 (ko) 2005-11-10 2005-11-10 안전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4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134A (ko)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다솔프라스틱 분리방지 구조를 갖는 병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134A (ko)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다솔프라스틱 분리방지 구조를 갖는 병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69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WO2015004802A1 (ja) キャップ組立体およびその打栓方法
CN101626959A (zh) 双作用儿童安全包装及用于此包装的儿童安全封盖
KR101775809B1 (ko) 캡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JP5818698B2 (ja) キャップ組立体およびその打栓方法
CH493381A (fr) Fermeture métallique de récipient
KR200407404Y1 (ko) 안전 캡
FR2534557A3 (fr) Dispositif d'obturation pour recipients sous pression
KR200467260Y1 (ko) 견고하게 밀봉되는 액체용기용 마개
KR100610513B1 (ko) 접착제 용기
KR101518258B1 (ko) 열림 방지용 용기 마개
WO2005118417A1 (fr) Moyen de bouchage pour un recipient sous pression, typiquement une bouteille a goulot standard pour vin effervescent
JP5833937B2 (ja) キャップ組立体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4009012A (ja) ねじキャップ
JP3138502U (ja) 円筒状容器
KR20080029988A (ko)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KR200390898Y1 (ko) 약병용 안전 캡
FR2670464A1 (fr) Bouchon de securite a vis.
KR20210051311A (ko) 튜브형 용기에서의 이중캡
FR2572715A1 (fr) Bouchon a temoin de spoliation
KR20090011961U (ko) 밀폐용기
JP4795104B2 (ja) キャップ
JP4705793B2 (ja) 中栓
KR200422347Y1 (ko) 용기의 마개구조
KR20130093189A (ko)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