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027Y1 -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 - Google Patents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027Y1
KR200407027Y1 KR2020050029582U KR20050029582U KR200407027Y1 KR 200407027 Y1 KR200407027 Y1 KR 200407027Y1 KR 2020050029582 U KR2020050029582 U KR 2020050029582U KR 20050029582 U KR20050029582 U KR 20050029582U KR 200407027 Y1 KR200407027 Y1 KR 200407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backing
wallpaper
paper
s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김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규 filed Critical 김진규
Priority to KR2020050029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0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Abstract

본 고안은 직물배접벽지 및 이의 배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접벽지를 만드는 방법 중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직물과 배접지를 부착하는 작업과정에 있어서 직물송출부분에 장력조절장치(도2)를 이용 직물배접벽지의 문제점인 주름발생현상과 기포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원단의 밀도나 두께가 다양한 종류의 원단의 배접이 가능하며, 배접지에 이미지를 넣어서(A2) 얇은 직물과 배접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고, 직물부분에서 원단의 변사가 없이 제직된 직물 (B1)또는 변사를 제거한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직물배접벽지의 다른 문제점인 U자 현상을 제거함과 동시에 배접지보다 폭이 넓은 직물(도3)을 배접하여 도배작업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물 벽지, 배접, 라미네이팅, 배접벽지, 장력조절장치, 변사 제거, 도배, 원단배접.

Description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wall-paper of fabric and the method of adhesion of fabric and pape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인 작업공정도, 도 2는 장력조절장치부분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3은 완성된 직물배접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①. 직물 ②. 배접지 ③. 롤러 ④. 추
본 고안은 직물벽지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직물배접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접벽지를 만드는 방법 중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직물과 배접지를 부착하는 작업과정에 있어서 직물송출부분에 장력조절장치(B3)를 이용하여 직물배접벽지의 문제점인 주름발생현상과 기포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원단의 밀도나 두께가 다양한 종류의 원단의 배접이 가능하며, 배접지에 이미지를 넣어서(A2) 얇은 직물과 배접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고, 직물부분에서 원단의 변사가 없이 제직된 직물(B1)또는 변사를 제거한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직물배접벽지의 다른 문제점인 U자 현상을 제거함과 동시에 배접지보다 폭이 넒은 직물을 배접(도3) 하여 도배작업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벽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벽체를 도배하는 벽재는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벽재를 요구하게 되었고 특히 직물을 벽체에 사용함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직물을 벽체에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 많은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알판 작업 형태의 벽체를 감싸는 방법과 직물의 뒷면에 배접을 하여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직물을 배접하는 방법에 있어서 손으로 직접 배접하는 형태는 너무 과도한 비용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라미네이팅 방법의 배접에서는 직물과 배접지 간의 물성의 차이로 일부 직물에 대해서만 작업이 가능하였고 이러한 배접작업과 시공상의 어려움으로 다양한 형태의 직물벽지를 개발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선 출원된 국내 공개공고 제10-2005-0079352호의 '직물 벽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서는 직물벽지의 제조방법 중 직물벽지의 기능성 가공제 및 방염제의 혼합된 코팅액을 도포하여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 다른 선 출원된 국내 특허등록 제10-0301311-0000호의 '벽지 및 그 제조방법' 에는 원단의 전면에 특수약물을 처리한 다음 기모가공 하고, 후면에는 여러 가지 성분을 코팅한 후 무늬를 전사한 다음 엠보싱 처리하는 방법으로 직물벽지 제작의 핵심인 직물과 배접지의 접착방법 및 벽체에 효율적으로 부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아쉬운 수준이다.
그래서, 본 고안에서는 배접지에 이미지를 넣어서 또는 다양한 종류의 직물벽지를 벽체에 직물벽지 디자인의 일그러짐이 없이 부착할 수 있는 벽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배접벽지를 만드는 방법 중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직물과 배접지를 부착하는 작업과정에 있어서 직물송출 부분에 장력조절장치(B3)를 이용하여 직물배접벽지의 문제점인 주름발생현상과 기포 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원단의 밀도나 두께가 다양한 종류의 원단의 배접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직물과 배접되는 배접지의 단면에 이미지를 넣은(A2) 후 얇은 직물과 배접하여 일반벽지에서 느낄 수 없는 새로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직물부분에서 원단의 변사가 없이 제직된 직물(B1) 또는 변사를 제거한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직물배접벽지의 다른 문제점인 U자 현상을 제거하여 연속무늬 디자인의 작업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배접지 보다 폭이 넓은 직물(도 3)을 배접하여 도배작업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직물벽지의 작업공정도이고 도 2는 장력조절장치부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직물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물배접벽지의 공정도로서, 그 구성은 배접 지(A1), 배접지 무늬생성(A2), 접착제도포(A3), 직물(B1), 변사제거(B2), 장력조절장치(B3), 배접(C), 및 건조단계(D)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작업에 사용되는 배접지(A1)는 작업 중 절단되지 않을 정도의 기본적인 인장강도를 요구하며 함께 부착되어 지는 직물의 디자인과 특성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디자인이 없는 직물의 경우 강하고 두꺼운 배접지가 적당하며, 다마스크 문양의 큰 디자인일 경우는 연하고 얇은 배접지를 사용하여야 도배작업 중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문양을 맞추기에 유리하다.
배접지의 단면에 이미지를 넣는 배접지 무늬생성작업(A2)은 바닥이 비치지 않는 일반적인 원단을 작업할 시에는 필요하지 않은 작업이나, 노방직물이나 바닥이 비치는 얇은 직물의 경우 배접지에 있는 이미지가 배접풀과 직물을 투과하여 은은하게 드러낼 수 있어 일반벽지에서 느낄 수 없는 새로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제직 과정에서 제직의 편리성과 가공작업의 용이성 그리고 직물의 관리를 목적으로 직물의 양쪽 가장자리에 본래의 직물의 속성과 다른 변사 부분이 만들어 진다. 이 변사 부분은 일반적으로 본래의 직물보다 두께와 물성이 서로 달라서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직물을 배접지에 접착할 시 평평하게 일자(-)모양으로 작업 되지않고 조금씩 휘어지는 U자현상이 발생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직물을 제직할 때 변사가 없이 제직된 직물(B1)이나 변사를 제거한 직물(B2)을 사용함으로써 직물배접벽지의 문제점인 U자 현상을 제거하여 벽지의 일반적인 사방연속무늬 디자인의 작업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직물을 배접지에 부착하는 작업과정에 있어서 배접지와 직물의 송출과정에 일정한 장력과 좌우 균일한 장력의 송출이 이루어 지지 않을 시 직물배접벽지의 문제점인 배접주름 발생 현상과 기포발생 현상이 일어난다. 직물송출부분에서 송출핀이나 통제된 장치에 의한 강제송출방식이 아닌 추의 중력에 의한 롤러의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작업진행의 장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장력조절장치(도 2)를 이용함으로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단의 밀도나 두께가 다양한 종류의 직물 배접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직물벽지의 도배작업 시 절단된 벽지의 가장자리에서 실의 올 풀림 현상과 배접된 직물의 특성상 이미지의 리피트를 맞추기 불편함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접벽지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직물부분을 여유 있게 배접하여 (도 3), 직물의 여유부분을 벽지 뒤쪽으로 접어서 처리하는 방법으로 올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유부분의 직물 유연성으로 이미지의 리피트를 맞추기에 용이하다.
상기 본 고안의 직물벽지의 배접방법 중 접착제의 도포(A3), 배접(C), 건조(D)의 과정은 종래의 방법 즉 일반 표구지의 배접방법과 동일한 과정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를 특정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배접방법에 의하면, 특이한 느낌의 직물벽지를 표준화 및 규격화된 생산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직물벽지를 생산할 수 있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직물벽지의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직물과 배접되는 배접지의 단면에 이미지를 넣은 후 직물을 배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접벽지.
  2. 변사가 없이 제직된 직물 또는 변사를 제거한 직물을 사용하여 배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접벽지.
  3. 배접지보다 폭이 넓은 직물을 배접하여 직물벽지의 가장자리에 직물이 여유 있게 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벽지.
  4. 삭제
KR2020050029582U 2005-10-18 2005-10-18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 KR200407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82U KR200407027Y1 (ko) 2005-10-18 2005-10-18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82U KR200407027Y1 (ko) 2005-10-18 2005-10-18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886A Division KR100925708B1 (ko) 2006-03-11 2006-03-11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027Y1 true KR200407027Y1 (ko) 2006-01-24

Family

ID=49296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582U KR200407027Y1 (ko) 2005-10-18 2005-10-18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0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2413B2 (en) Deflecting member for making fibrous structures
CN102644363B (zh) 一种无缝刺绣墙布及其制作方法
KR101101265B1 (ko) 직물 벽지와 그의 제조방법
CN103382759B (zh) 无缝刺绣墙布及其制作方法
KR100925708B1 (ko)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
NO125854B (ko)
KR200407027Y1 (ko) 직물벽지 및 이의 배접방법.
KR101344579B1 (ko) 난연직물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19280B1 (ko) 후로킹 타일카펫 제조방법
KR100946796B1 (ko) 식모형 카페트타일의 제조방법
US20210354499A1 (en) Canvas flocking diamond picture
KR200392862Y1 (ko) 플로킹 부직포 벽지
KR20100080721A (ko) 전사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27029B1 (ko) 자수용 바탕감 제조방법
JP4809289B2 (ja) 栞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42743B1 (ko) 플로킹 부직포 벽지 구성방법
JP2003286699A (ja) 抄造された壁紙加工用原紙とその製造方法
KR102311806B1 (ko) 패턴 용지를 생성하는 방법
KR101095504B1 (ko) 식모형 카페트타일의 제조방법
JP2019123957A (ja) 立毛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立毛シート
CN101549613A (zh) 具有显界线工艺画的制作工艺
KR20130011514A (ko) 굴곡진 주름모양을 갖는 미술용 캔버스의 제조방법
JP4535800B2 (ja) 内装材の壁面等への施工および内装仕上げ方法
JPH10226966A (ja) 倒伏繊維を含んだ植毛加工布とその製造方法
KR920005840B1 (ko) 기재(基材)표면에 나뭇잎이나 풀잎을 접착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