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743B1 - 플로킹 부직포 벽지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플로킹 부직포 벽지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743B1
KR100742743B1 KR1020050047063A KR20050047063A KR100742743B1 KR 100742743 B1 KR100742743 B1 KR 100742743B1 KR 1020050047063 A KR1020050047063 A KR 1020050047063A KR 20050047063 A KR20050047063 A KR 20050047063A KR 100742743 B1 KR100742743 B1 KR 100742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cking
wallpaper
adhesive
primar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5170A (ko
Inventor
김벽수
Original Assignee
(주)신명풀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명풀록 filed Critical (주)신명풀록
Priority to KR102005004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743B1/ko
Publication of KR2006012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킹 부직포 벽지 및 그 구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얇은 부직포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단섬유(파일, pile)를 사용하여 접착제 위에 1차 플로킹(flocking)을 하고, 1차 플로킹 위에 다시금 원하는 무늬를 넣기 위하여 무늬대로 접착제를 도포한 후 단섬유(파일, pile)를 이용하여 플로킹 함으로서 구성되는 질감이 우수한 플로킹 부직포 벽지에 관한 것이다.
벽지, 플로킹

Description

플로킹 부직포 벽지 구성방법{A flocking non-woven wallpaper and the formativ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분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 : 부직포 3 : 1차 접착제층
5 : 1차 플로킹층 13 : 2차 접착제층
15 : 2차 플로킹층
본 발명은 부직포를 이용한 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얇은 부직포 원단에 2번 이상의 플로킹 공정을 진행하여 원하 는 무늬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플로킹(flocking) 부직포 벽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섬유 원단을 이용하고 있는 벽지를 살펴보면, 출원번호 10-2005-0015634는 견, 모, 면, 마 등의 천연 섬유와 레이온, 나일론, 아크릴 등의 합성섬유를 통상 벽의 높이를 가지는 폭으로 제직한 직물을 무지로 염색하거나, 나바나염, 원색분해, 안료타입나염, 전사나염, 발포나염과 같은 나염공정으로 원하는 색상 및 문양을 부여하고, 방오가공, 방수가공, 방염가공(난연가공) 등의 가공을 그 표면을 입체적으로 형성한 광폭의 섬유벽지에 관한 것이고,
출원번호 20-2004-0015183은 벽지 원지인 이지(裏紙)의 표면에 옥분말을 혼합한 바인더 즉 옥접착층을 도포하고 그 위에 지사(紙絲) 또는 섬유사(纖維絲)로 제직한 직물 또는 지사(紙絲) 또는 섬유사(纖維絲)를 경사 방향으로 날음(BEAMING)한 형태를 접착(LAMINATION)시킨 상태로 이루어져 옥접착층에 혼합되어 있는 옥(玉)이 그 고유기능에서 나오는 원적외선 방사, 항균효과, 탈취효과 및 항곰팡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역할을 제공하는 것이고,
출원번호 10-2003-0073218은 폴리에스터, 나일론, 인견 및 혼합 직물 및 부직포에, 직물 및 부직포의 상면에 잉크젯 프린트로 인화되게 하는 수성코팅약제에 의한 잉크 흡수성 수용층을 도공하고, 배면에 접착제층을 붙이고 접착제층에 이형지가 대어진 잉크젯 프린터 출력을 이용한 벽지에 관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기술들은 기존의 섬유성질의 벽지원지에 기능성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사용자들에게 유익함을 주거나, 공지된 프린팅 기술을 적용 하여 색상을 가공함으로서 벽지를 제공하는 등의 단순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종이질의 벽지와 비교하여 생산단가 높고, 부착 시의 어려움이 있는 섬유벽지를 사용함에 있어 보다 차별적이며 고가인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도록 질감과, 입체적 구성을 배가시켜 표현할 수 있는 재질의 섬유질 벽지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벽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얇은 부직포원단을 사용하고, 섬유재질에 질감을 높이면서 다양한 무늬를 구성하기위하여 플로킹 가공을 반복 구성하여 벽지를 구성함으로서,
기존의 단순 섬유원단을 구성하여 프린팅함으로서 제공하던 벽지보다, 우수한 질감을 가지는 무늬의 표현이 가능하게 되어 고급스런 재질의 벽지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서 발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분리도로서 본 발명 플로킹 부직포 벽지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통상에 있어 섬유재직 과정의 플로킹은 짧은 섬유를 직물에 붙이는 것을 의미하며 어떤 직물에도 가능한 것으로, 접착제는 전체 표면에 도포될 수도 있고 무늬를 따라 프린트되기도 하며 짧은 섬유를 기계적으로 교반하거나 정전기적 효과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법이다. 섬유가 부착된 직물은 내구력이 약하고 스웨이드나 벨벳을 모방한 직물은 뻣뻣하나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요즘의 발달된 접착제는 보다 내구력이 향상되고 유연한 섬유 부착 직물을 만들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고급질감의 섬유재질의 벽지를 구성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터 단섬유인 부직포(30~50g/㎟)를 바탕재로서 이용하게 되는 데 부직포는 특성상 섬유재중 무게가 가볍고 부착성이 우수하여 바탕재질로서 그 성질이 우수하다.
상기 바탕재 부직포 상에 플로킹의 공정을 수행하는데 1차 도포되는 접착제는 수용성 아크릴수지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원하는 색상의 바탕에 따른 작고 균일한 단섬유(pile)를 선택하여 전기적 작용으로 1차 플로킹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1차 플로킹 공정이 완료가 되면, 2차 접착제 도포공정이 진행하게 되는데 2차 접착제 도포공정은 통상 무늬를 표현하는 2차 플로킹 전단계 공정으로 원하는 2차 플로킹 무늬와 대응되게 접착제를 도포하며, 사용되는 접착제는 상기 1차 접착제 도포공정과 동일한 계열을 접착제를 사용한다.
2차 접착제 도포공정이 끝이 나면, 원하는 무늬대로 도포된 접착제에 위에 2 차 무늬 플로킹 공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색상과 무늬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에 따라 단섬유(파일, pile)을 선택하여 플로킹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을 도 2,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벽에 붙이는 면으로 본 발명의 바탕재가 되는 부직포(1)의 위에 1차 접착제 도포공정으로 구성되는 1차 접착제층(3), 상기 1차 접착제층(3) 위에 바탕색을 표현하는 1차 플로킹층(5)이 구성이 된다. 이상으로 바탕재 위에 바탕색을 이루는 플로킹 공정이 끝나면,
상기 1차 플로킹층(5) 위로 원하는 무늬에 따른 2차 접착제층(13)이 구성이된다. 2차 접착제층(13)에 대응되게 2차 플로킹층(15)을 구성하면 본발명의 질감과 무늬가 잘 나타나는 섬유재질의 고급 벽지가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 및 방법은 사용자의 취향과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 및 색상에 따라 전체 공정을 반복 또는 삭제함으로 다양한 다수 층의 질감을 가지는 여러 색상을 표현할 수도 있고, 하나의 색상을 이용하더라고 질감을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로킹 부직포 벽지 구성방법을 통하여,
고급 섬유재질의 벽지를 구성함에 있어, 질감이 우수한 다수 색상을 표현하는 고급벽지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단순한 종이재 또는 질감이 잘 표현되지 않는 단면코팅방식의 색상처리 섬유벽지와 비교하여 그 구성 및 방법이 차별된 고급스런 느낌의 벽지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Claims (4)

  1. 섬유원단에 플록킹 공정을 통하여 벽지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벽지에 붙이는 바탕이 되는 부직포(1)층을 구성하고, 상기 부직포(1)층 위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1차 접착제 도포 공정과,
    상기 1차 접착제도포 공정으로 구성되는 접착제층(3)위로 바탕색을 플로킹 공정을 통하여 구성하는 1차 플로킹 공정과,
    상기 1차 플로킹 공정으로 구성된 1차 플로킹층(5) 위로 구성코자 하는 모양에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는 2차 접착제 도포 공정과,
    상기 2차 접착제 도포 공정으로 구성된 2차 접착제층(13) 위에 대응되게 플로킹 공정을 하는 2차 플로킹 공정을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플로킹 부직포 벽지 구성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50047063A 2005-06-02 2005-06-02 플로킹 부직포 벽지 구성방법 KR100742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063A KR100742743B1 (ko) 2005-06-02 2005-06-02 플로킹 부직포 벽지 구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063A KR100742743B1 (ko) 2005-06-02 2005-06-02 플로킹 부직포 벽지 구성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794U Division KR200392862Y1 (ko) 2005-06-02 2005-06-02 플로킹 부직포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170A KR20060125170A (ko) 2006-12-06
KR100742743B1 true KR100742743B1 (ko) 2007-07-30

Family

ID=3772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063A KR100742743B1 (ko) 2005-06-02 2005-06-02 플로킹 부직포 벽지 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7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74462A (zh) * 2022-11-03 2023-03-31 陈猛 用于研磨的两次植绒材料及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170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2205B2 (ja) 複合布帛
JP7155119B2 (ja) 合成皮革
KR200392862Y1 (ko) 플로킹 부직포 벽지
KR100742743B1 (ko) 플로킹 부직포 벽지 구성방법
CN201452736U (zh) 一种神奇印花地毯
KR100946796B1 (ko) 식모형 카페트타일의 제조방법
EP3192907B1 (en) Method for producing a printed carpet
JP5342710B2 (ja) インクジェット装飾材
US20020164913A1 (en) Composite material
KR101379845B1 (ko) 고수축포를 이용한 입체무늬 형성방법
JP2019123957A (ja) 立毛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立毛シート
CN201080575Y (zh) 一种具有凹凸纹的复合织物
KR100388851B1 (ko) 우수한 벽면 은폐력 및 입체형상을 가지는 부직포 벽지 및그 제조방법
KR101350578B1 (ko) 재부착 용이한 벽지 제조 방법 및 벽지
KR200361002Y1 (ko) 축광 플로킹 원단
CN213891609U (zh) 一种环保水性复合压花单面绒
KR101095504B1 (ko) 식모형 카페트타일의 제조방법
CN208558544U (zh) 一种环保仿小牛皮面料
JP4535800B2 (ja) 内装材の壁面等への施工および内装仕上げ方法
JP2024008187A (ja) 合成皮革調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76571A (ko) 입체무늬가 있는 원단 벽지
JP2014047437A (ja) 模様付き布帛とその製造方法、模様付きシート原反、並びに模様付きシート
BE1027965A1 (nl) Werkwijze voor het vormen van een tapijt met een vernieuwde afboording
JP2001172857A (ja) 着色模様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26547B2 (ja) パイル生機、カーペット、及びパイル生機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