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718Y1 -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718Y1
KR200405718Y1 KR2020050030113U KR20050030113U KR200405718Y1 KR 200405718 Y1 KR200405718 Y1 KR 200405718Y1 KR 2020050030113 U KR2020050030113 U KR 2020050030113U KR 20050030113 U KR20050030113 U KR 20050030113U KR 200405718 Y1 KR200405718 Y1 KR 200405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pangle
cylinder
need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식
Original Assignee
임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식 filed Critical 임태식
Priority to KR2020050030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7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7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2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41D27/085Luminous orn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17Flat presses, pressing plates or heating devices for pressing plates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프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팡글(Spangle)을 열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의류에 부착하기 위해, 제어박스를 일체로 하고 그 아래 초음파와 열 융착봉을 구비하는 테이블을 일체로 하는 몸체의 헤드 부분에 침이 장착된 고정구를 장착한 실린더가 설치되어 실린더가 운동하면서 고정구이 터치 바가 테이프를 이송하는 이송기의 커터를 터치하여 테이프의 스팡글을 절단하고 절단된 스팡글을 상기 침이 스팡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절단된 스팡글이 정확하게 융착봉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터치 바가 스팡글을 의류에 압착하여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해 부착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팡글, 터치 바, 침

Description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Automatic Adhesive Device of Spangle Tap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전면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측면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송구의 상세도
도 5은 본 고안에 의한 고정구의 작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고정구 12 : 이송구
13 : 몸체 14 : 헤드
15 : 테이블 16 : 실린더(a,b,c)
17 : 터치 바 18 : 가이드(a,b)
19 : 레일(a,b) 21 : 침
22 : 전동 휠 23 : 테이프
24 : 지지판 25 : 가이드 홈
26 : 지지가이드 27 : 지지대
28 : 이송기 29 : 스프링(a,b,c)
31 : 고정대 32 : 커터
33 : 융착봉(a,b) 34 : 방지턱
35 : 제어박스 36 : 테이프 롤
37 : 구멍 38 : 방지부재(a,b)
200 : 스팡글
본 고안은 스팡글 테이프의 스팡글 자동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홀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스팡글(Spangle)모양이 연속으로 형성된 테이프를 열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의류에 부착하기 위해 테이프는 이송구의 이송기에 의해 이동되고 이동되는 테이프를 고정구의 실린더에 장착된 침이 스팡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하강하고 동시에 고정구에 형성된 형성된 터치 바가 하강하면서 커터를 타격하고 커팅하여 상기 침은 커팅된 스팡글을 융착봉에 정확하게 안착시키고 안착된 스팡글을 터치 바가 압착하여 의류에 부착하게 되며 의류가 거치되어 작업대로 사용되는 테이블은 x,y축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제어박스에 설정된 디자인과 동일하게 스팡글이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팡글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팡글은 의류에 부착되어 스팡글의 홀로그램이 빛에 의해 여러 색상의 빛을 반사하게 하는 것이며 이를 여러 모양으로 반사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여러 모양으로 연결되는 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스팡글이 형성된 테이프를 봉제하는 방법으로 의류에 부착하였다. 상기와 같이 봉제 방법으로 부착하는 방법은 스팡글 위로 실이 노출되어 의류의 작업 면을 심플하게 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스팡글이 부착되면서 형성하는 디자인 역시 작업자의 작업에 의한 것이므로 동일한 작업을 2번 이상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동일한 디자인을 2회 이상 실시할 수 없는 문제 점이 있고, 작업자에 따라 상이한 상품이 되므로 동일한 질의 상품을 양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스팡글 모양이 연속하여 형성된 테이프가 감긴 테이프 롤 을 몸체 일측에 설치하고 이송구는 테이블 위에 위치하여 레일에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고 고정구는 헤드에 장착하되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레일에서 상. 하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며 상기 고정구의 하 단부에는 터치 바를 형성하고 상기 터치 바를 통하여 침이 실린더에 의해 상. 하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테이프 롤의 테이프가 이송구의 가이드홈을 통과하고 지지대가 회동하고 이송기가 작동하여 가이드홈을 통과하는 테이프를 스팡글 크기 만큼 이동하여 지지판 밖으로 노출될 때 고정구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면서 침은 스팡글의 구멍에 삽입되고 동시에 고정구의 터치 바가 이송구의 커터를 터치하여 테이프를 절단하고 절단된 테이프를 고정구의 터치 바가 융착봉 위의 의류에 압착하여 융착봉의 열과 초음파에 의해 스팡글을 부착하는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정구의 터치 바가 하강하면서 커터를 터치하고 정확히 융착봉에 터치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터치 바가 커터를 터치한 후에는 바로 이송구가 후퇴하여 고정구의 작동을 자유롭게 구성한다.
고정구가 하강할 때 고정구에 포함되는 침은 터치 바가 커터를 터치하기 전에 테이프의 스팡글 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테이프의 스팡글이 커터에 커팅되는 경우 스팡글이 산개하지 않고 의류의 부착 지점에 정확히 이동시키도록 하고 침은 그 단부가 의류에 접촉됨과 동시에 원단과 침을 보호하기 위해 후퇴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은 고정구(11)와 이송구(12)가 장착되며 스팡글(200) 테이프(23)가 감긴 테이프 롤(36)이 장착되는 몸체(13)와 본 고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35)와 x,y로 이동하면서 융착봉(33a,33b)을 선택하여 융착하도록 하고 제어박스(35)에 설정된 디자인대로 스팡글(200)을 부착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테이블(15)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이송구를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고정구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13)는 프레임에 거치 고정되는 상태이고, 헤드(14)는 몸체(13)에서 전면으로 돌출하여 고정구(11)와 이송구(12)를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테이프 롤(36)은 테이프(23)가 풀리면서 이송구(12)의 가이드홈(25)을 통과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며 테이블(15)은 프레임에 고정되어 x,y축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융축봉(33a,3b)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제어박스(35)는 몸체(13) 배면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고정구(11)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13)의 헤드(14)에 장착되고 헤드(14)에는 레일(19a)이 장착되며 고정구(11)에는 가이드(18a)가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18a)와 레일(19a)이 결합하여 헤드(14)와 레일(19a)과 고정구(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고정구(11) 상단부에는 실린더(16a)가 장착되어 고정구(11)가 레일(19a)에 가이드(18a)되면서 상. 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11)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길이에 걸처 중앙 방향으로 천공되어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 단부에는 터치 바(17)가 장착되며 상 단부에는 실린더(16a)가 장착된다. 상기 공간에는 실린더(16b)가 장착되어 있고 상부는 고정구(11)에 고정되며 실린더(16b)의 로드 단부에는 침(21)이 장착되어 터치 바(17)를 통과하여 터치 바(17)의 하 단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구(11)는 고정구(11)의 상단부의 실린더(16a) 작동으로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강 거리는 의류를 압착할 수 있는 거리이다. 고정구(11)의 공간에 설치된 실린더(16b)의 작동으로 침(21)이 상. 하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침(21)의 하강 거리는 침(21)의 하단부가 의류에 접촉하는 거리이다.
상기 이송구(12) 상부가 헤드(14)의 복부에 지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헤드(14) 복부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일(19b)이 고정되고 상기 레일(19b)에는 가이드(18b)가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18b)에는 이송구(12)의 상부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이송구(12)가 레일(19b)에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이송구(12)는 헤드(14)에 매달리는 구조이고 테이블(15)에 근접하는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구(12)의 지지판(24a)의 상단부는 가이드(18b)에 고정되며 지지판(24a)의 복부에는 전동 휠(22)이 장착되며 상기 전동 휠(22)은 전원에 의해 소정의 각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동 휠(22)은 정회전과 역회전이 용이하도록 휠(22)의 상부에 방지턱(34)을 형성하여 방지턱(34)의 양쪽에 형성된 방지부재(38a,38b)에 의해 상기 방지턱(34)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구성되고 방지턱(34)과 방지부재(38a)에는 스프링(29a)이 연결되어 방지턱(34)은 항상 스프링(29a)의 탄성 방향의 방지부재(38a)에 접촉하여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전동 휠(22)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대(27)가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7)에는 이송기(28)가 장착되어 있고 이송기(28)와 전동 휠(22)에는 스프링(29b)이 장착되어 이송기(28)가 항상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그 끝은 사각으로 절단되어 예리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판(24)의 하단부에서 연계되는 지지판(24)에는 그 길이에 걸처 테이프(23)가 이송되는 가이드홈(25)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5) 위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홈(25)을 통과하는 테이프(23)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지지가이드(26)가 형성되어 테이프(23)가 상기 지지가이드(26) 아래로 이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가이드(26)에는 이송기(28)의 끝은 가이드홈(25)에 삽입되는 구조이고 삽입되는 상태에서 이송기(28)의 끝은 스팡글(200)의 구멍(37)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판(24) 단부에는 커터(32)가 장착되어 테이프(23)를 스팡글(200) 단위로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구(11)가 하강할 때, 터치바(17)가 커터(32)를 압박하게 되고 커터(32) 역시 하강하면서 지지판(24) 위의 테이프(23)가 절단되는 구조이며 커터(32)가 작동한 후에는 고정대(31)의 스프링(29c)에 의해 커터(32)가 상승하여 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테이블(15)의 중앙에는 융착봉(33a,33b)이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테이블(15)은 프레임에 설치된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x,y 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융착봉(33a,33b) 사용을 초음파봉(33a) 또는 열 융착봉(33b)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의류에 부착되는 스팡글(200)의 작업을 평면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은 제어박스(35)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에 동력이 작용하여 작동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박스(35)에 작업의 프로그램이 입력된 상태이다.
상기 제어박스(35)의 작업 프로그램은 각 실린더(16a,16b,16c)의 실시 상태, 전동 휠(22)의 구동, 융착봉(33a,33b)의 예열, 테이프(23)의 스팡글(200) 부착에 의한 디자인의 작업 상태 등으로 이루어저 있다.
동력에 의해 전동 휠(22)이 회전하여 전동 휠(22)에 고정된 방지턱(34)이 우측 방지부재(38a)에 터치하게 되면 좌측방지부재(38b)와 방지턱(34)과 결속된 스프링(29b)의 탄성으로 상기 방지턱(34)은 원 위치하여 좌측방지부재(38b)에 터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동 휠(22)은 방지턱(34)이 양쪽 방지부재(38a,38b) 사이를 왕복 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동 휠(22)이 회전하면서 방지턱(34)이 왕복 운동하게 되면 전동 휠(22)에 회동하도록 고정된 지지대(27)가 방지턱(34)과 같은 방법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27)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기(28)가 고정되어 있고 이송기(28)의 끝은 지지가이드(26)의 가이드 홈(25)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지지대(27)의 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송기(28)가 가이드홈(25)에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기(28)가 정지 상태에서 이송기(28)의 끝이 스팡글(200)의 구멍(37)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이송기(28)가 이송기(28) 끝 방향으로 이동할 때 테이프(23)가 이동하게 되고 이송기(28)가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때는 이송기(28)의 끝이 테이프(23)의 스팡글(200)의 구멍(37)에서 이탈되므로 테이프(23)는 이동하지 않게 되어 전동 휠(22)의 작동으로 테이프(23)는 이송기(28)가 이송기(28)의 끝 방향으로 이동할 때만 한 방향으로 스팡글(200)의 한개의 크기 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23)가 이동하여 스팡글(200)이 지지판(24) 밖으로 노출되면 실린더(16a)의 작동으로 고정구(11)가 하강하게 되며 동시에 실린더(16b)의 작동으로 침(21)이 신속하게 하강하여 고정구(11)의 터치 바(17)를 통과하고 스팡글(200)의 구멍(37)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침(21)이 스팡글(200)의 구멍(37)을 통과하는 시차로 터치 바(17)가 커터(32)를 압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팡글(200)이 커팅되면 거의 동시에 실린더(16c)가 작동하여 터치 바(17)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송구(12)를 후퇴하게 되고 고정대(31)의 스프링(29c)에 의해 커터(32)가 상승하여 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구(12)가 후퇴하는 것과 동시에 침(21)은 의류(101)에 접촉하면서 스팡글(23) 역시 의류에 안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팡글(200)이 안착한 위치는 융착봉(33a,33b) 위가 된다.
상기와 같이 스팡글(200)이 의류에 안착하게 되면 거의 동시에 침(21)은 실린더(16b)의 작동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침(21)이 상승하게 되면 동시에 터치 바(17)가 하강하여 스팡글(200)을 압박하게 되어 융착봉933a,33b)의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해 스팡글(200)은 의류에 부착하게 된다.
상기 융착봉(33a,33b)은 초음파 융착봉(33a)과 열 융착봉(33b)이 형성되므로 융착봉(33a,33b)을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테이블(15)이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x,y 축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스팡글 테이프의 부착장치는 깨끗하고 심플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제어박스의 프로그램에 의해 작업을 하게 되므로 동일한 디자인을 연속하여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에는 실린더가 장착되고 하단부에는 터치 바가 장착되어 터치 바가 하강하면서 커터를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배면에 가이드가 고정되고 가이드는 헤드에 고정된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 하 운동하는 고정구와, 아래 지지판과 연계된 지지판 상부에 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는 레일에 결합되며 아래 지지판의 상면에는 테이프가 이동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어 회동되는 전동 휠과 상기 전동 휠에 회동하도록 고정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테이프를 이동시키는 이송기와 이동하는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로 구성되는 이송구와, 헤드에 장착되어 이송구의 가이드홈에 테이프를 제공하는 테이프롤과, 융착봉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x,y 축으로 이동하면서 초음파 융착봉과 열 융착봉을 이동시키면서 작업할 수 있는 테이블과 고정구와 이송구와 테이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 내에는 실린더가 장착되고 실린더 하단부에는 침이 장착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침이 상. 하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침이 스팡글의 구멍에 삽입되어 커팅된 스팡글이 의류에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송구의 전동 휠에는 방지턱이 형성되고 방지턱 양쪽에는 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전동 휠의 이동시 방지턱이 방지부재에 차단되도록 구성되며 전동 휠에 회동하도록 고정된 지지대에 고정되어 전동 휠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테이프를 이동시키는 이송기는 그 끝이 스팡글의 구멍에 삽입되어 스팡글의 크기만큼 한 방향으로 테이프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2020050030113U 2005-10-24 2005-10-24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200405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13U KR200405718Y1 (ko) 2005-10-24 2005-10-24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13U KR200405718Y1 (ko) 2005-10-24 2005-10-24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718Y1 true KR200405718Y1 (ko) 2006-01-11

Family

ID=4175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113U KR200405718Y1 (ko) 2005-10-24 2005-10-24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7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19Y1 (ko) 2008-07-31 2011-05-23 차용욱 초음파를 이용한 스팽글 성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19Y1 (ko) 2008-07-31 2011-05-23 차용욱 초음파를 이용한 스팽글 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112B1 (ko) 의류 장식구 자동 부착장치
DE602008000625D1 (de) Nähmaschine mit Oberfadenschneide- und Haltemechanismus
DE602008000681D1 (de) Nähmaschine mit Oberfadenschneide- und Haltemechanismus
US4034689A (en) Device for manufacturing braided openings in cuts of articles of clothing
TWI412642B (zh)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thread blooming
KR200405718Y1 (ko)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US20120272883A1 (en) Heat Cutting Device For Embroidery Sewing Machine
KR100876706B1 (ko) 테두리 장식용 재봉틀의 주머니 천 공급장치
US10167096B2 (en) Packing machine core and strap cutting and ironing adhering method
JP2008073525A (ja) 自動縫製組立品及び前記自動縫製組立品用供給ステーション
CN107938192A (zh) 切底线装置、缝纫机和缝纫机的控制方法
JP3192567U (ja) ベルト・ループを準備するための装置
CN109385761B (zh) 一种自动上料装置
TW201837258A (zh) 具可動式吸線管的縫紉機切線裝置
KR102496909B1 (ko) 타깃 솔기 돌출부를 갖는 솔기의 시작 상단 쓰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어셈블리
JP4726567B2 (ja) 玉縁縫いミシン
KR101295307B1 (ko) 자동시퀸자수장치, 자수기용 시퀸자수유닛 및 모티브제조장치
JPH04227297A (ja) 工業用ミシンの縫い込み場所へのラベル送り装置
ITMI20012622A1 (it) Macchina per l'applicazione a caldo di nastri o filò rigidi e/o elastici su supporti tessili e non
KR20170135477A (ko) 피륙 공급장치
CH673293A5 (ko)
CN110965217A (zh) 裤襻上料机构、缝纫设备以及裤襻上料方法
KR950703095A (ko) 작업물 위치조정 장치(workpiece positioning apparatus)
CN210368207U (zh) 一种布料感应机构及上料机构
CN211546878U (zh) 一种织带塑料片自动缝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