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910Y1 -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910Y1
KR200403910Y1 KR20-2005-0027356U KR20050027356U KR200403910Y1 KR 200403910 Y1 KR200403910 Y1 KR 200403910Y1 KR 20050027356 U KR20050027356 U KR 20050027356U KR 200403910 Y1 KR200403910 Y1 KR 200403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lcd monitor
height
guide membe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춘자
Original Assignee
안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춘자 filed Critical 안춘자
Priority to KR20-2005-0027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910Y1/ko
Priority to PCT/KR2006/003619 priority patent/WO2007035032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용 LCD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트북 컴퓨터의 LCD모니터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Description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and angle of LCD Monitor}
본 고안은 컴퓨터용 LCD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트북 컴퓨터의 LCD모니터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현재 LCD모니터는 노트북컴퓨터 뿐만 아니라 데크스탑 컴퓨터에서도 설치공간상의 이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노트북컴퓨터용 LCD모니터는 본체에 힌지로 결합되어 있고, 데크스탑 컴퓨터용 LCD모니터는 스탠드에 힌지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데크스탑 컴퓨터용 LCD모니터인 경우 어느 정도의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지만, 높이 조절이 되지 않아, 사용자의 눈 높이와 맞지 않을 경우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어 작업능률을 현저히 떨어트리는 경향이 있다.
본 고안의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LCD모니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LCD모니터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LCD모니터 높이조절장치는 LCD모니터에 설치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LCD모니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승강부재는 외통이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외통에 삽입되는 내통이며, 상기 LCD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상기 내통을 통과한 후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틈새로 인출하게 하면, 외부 비노출형의 케이블로 인해 깔끔해 보인다.
또한, 상기 내통에는 전환되는 상기 케이블을 안내하는 안내롤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통은 상기 외통에 삽입되는 제1내통과 제2내통, 상기 제1내통의 하단과 상기 제2내통의 상단을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제2내통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내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분리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주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결합 배면도이고, 도 3은 액정모니터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LCD모니터 높이조절장치는 LCD모니터(1)에 설치되는 승강부재(3)와, 상기 승강부재(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와, 상기 가이드부재(5)에 대해 상기 승강부재(3)의 승강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23a,23b;25a,25b)와, 상기 가이드부재(5)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15)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부재(3)는 노트북컴퓨터인 경우에는 본 실시예와 같이 LCD모니터(1)의 좌우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5)는 상기 승강부재(3)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위치결정부재(23a,23b;25a,25b)는 상기 가이드부재(5)에 대해 상기 승강부재(3)의 승강위치를 결정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멈춤핀의 역할을 하는 볼(23a,23b)과, 상기 볼(23a,23b)이 걸리는 걸림관통공(25a,25b)과, 볼(23a,23b)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미도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볼(23a,23b)과 스프링(미도시)은 가이드부재(5)에 설치되고, 걸림관통공(25a,25b)은 승강부재(3)에 천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23a,23b)을 눌러 해제한 후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위치결정부재로는 가이드부재(5)에 걸림관통공을 두고 가이드부재(5)와 승강부재(3)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을 받는 멈춤핀을 승강부재(3)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는 멈춤핀을 빼내 해제한 후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지지부재(15)는 노트북컴퓨터인 경우 본체(15), 데스크탑 컴퓨터인 경우 스탠드 받침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LCD모니터(1)는 가이드부재(5)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3)에 의해 사용자의 원하는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재(3)는 외통(3)으로, 가이드부재(5)는 내통(5)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통(3)은 내통(5)을 감싼 채 승강하도록 하면, 데이터/전력 송신용 케이블(19)은 외부 비노출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즉, 본체 커넥터와 LCD모니터 커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19)은 내통(5) 전체를 통과한 후, 내통(5)과 외통(3) 사이의 틈새로 인출함으로써, 케이블(19)은 내장(비노출)되어 외관상 깔끔하다.
틈새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두어, 외통(3)의 승강에 따른 케이블(19)과의 마찰을 해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페이서는 어느 정도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통(3)의 내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부재(3)가 승강할 때, 케이블(19)이 내통(5)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내롤(2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재(3)와 가이드부재(5)는 LCD모니터(1)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만 하고 컴퓨터본체(15)와 LCD모니터(1)의 케이블(190) 연결방식은 외부 노출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LCD모니터(1)의 높이 조절을 내부에서 연결시보다 자유로이 할 수 있고, 일반 키보드 연결 사용시 기존의 데스크탑 PC의 작업환경보다 좋은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외장형(외부 노출형) 케이블(190)은 승강에 유연할 코일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내통(5)은 상기 외통(3)에 삽입되는 제1내통(7)과 제2내통(11), 상기 제1내통(7)의 하단과 상기 제2내통(11)의 상단을 연결하는 힌지부(9)와, 상기 제2내통(11)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재(15)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내통(1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내통(7)과 제2내통(11)은 가이드부재의 역할을 하고, 제3내통(13)은 힌지축의 기능을 한다. 힌지축(13)은 본체(15)의 힌지축브래킷(19)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제3내통(13)은 LCD모니터(1)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힌지부(9)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모니터(1)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는 볼조인트(9)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조인트(9)는 소켓과 이 소켓에서 회동 가능한 볼로 구성되며, 케이블(19)이 통과할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조인트(9)는 어느 정도 구형의 평면상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볼조인트(9)에 의한 각도 범위가 매우 넓어, 사용자는 LCD모니터(1)를 가장 편리한 위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액정모니터의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백하듯이, 본 고안의 컴퓨터용 액정모니터의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LCD모니터에 설치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채택 결합함으로써, LCD모니터의 선회 및 높이를 원하는 위치에 조절하여 액정모니터와 사용자 간의 거리뿐만 아니라 눈높이도 맞출 수 있어, 작업환경을 어느 누구라도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피로감을 줄여 작업능률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승강부재는 외통이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외통에 삽입되는 내통이며, 상기 LCD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상기 내통을 통과한 후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틈새로 인출시킴으로써, LCD모니터의 승강에도 불구하고 케이블의 연결방식이 노트북컴퓨터와 마찬가지로 외부 비노출형(내장형)으로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내통에는 전환되는 상기 케이블을 안내하는 안내롤이 더 설치됨으로써, 높이조절시 케이블과 내통 간의 마찰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내통은 상기 외통에 삽입되는 제1내통과 제2내통, 상기 제1내통의 하단과 상기 제2내통의 상단을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제2내통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내통으로 구성됨으로써, 액정모니터와 사용자 간의 거리 조절 뿐만 아니라 액정모니터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분리 배면도.
도 2는 도 1에서 주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결합 배면도.
도 3은 액정모니터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외장형 케이블을 도시한 분리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LCD모니터 3 : 승강부재(외통)
5 : 가이드부재(내통) 9 : 힌지부(볼조인트)
15 : 지지부재(노트북컴퓨터본체) 19 : 내장형 케이블
21 : 안내롤 23a,23b;25a,25b : 위치결정부재
190 : 외장형 케이블

Claims (4)

  1. LCD모니터에 설치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
    상기 가이드부재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모니터 높이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외통이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외통에 삽입되는 내통이며,
    상기 LCD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상기 내통을 통과한 후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틈새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모니터 높이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에는 전환되는 상기 케이블을 안내하는 안내롤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모니터 높이조절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상기 외통에 삽입되는 제1내통과 제2내통, 상기 제1내통의 하단과 상기 제2내통의 상단을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제2내통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내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모니터 높이조절장치.
KR20-2005-0027356U 2005-09-23 2005-09-23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 KR200403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356U KR200403910Y1 (ko) 2005-09-23 2005-09-23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
PCT/KR2006/003619 WO2007035032A1 (en) 2005-09-23 2006-09-12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and angle of lcd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356U KR200403910Y1 (ko) 2005-09-23 2005-09-23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910Y1 true KR200403910Y1 (ko) 2005-12-14

Family

ID=3788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356U KR200403910Y1 (ko) 2005-09-23 2005-09-23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3910Y1 (ko)
WO (1) WO20070350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95Y1 (ko) * 2007-12-07 2009-12-03 안춘자 액정모니터 높이조절장치
KR101486525B1 (ko) 2013-11-20 2015-02-0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키보드 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6121A (ja) * 1997-05-23 1998-12-08 Nec Shizuoka Ltd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200392476Y1 (ko) * 2005-05-30 2005-08-17 류동선 노트북의 모니터 승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95Y1 (ko) * 2007-12-07 2009-12-03 안춘자 액정모니터 높이조절장치
KR101486525B1 (ko) 2013-11-20 2015-02-0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키보드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5032A1 (en)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8556B (zh) 電子裝置及其鉸鏈組件
US20170208703A1 (en) Pivo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6539582B1 (en) Hinge device
WO2016115819A1 (zh) 可折叠移动终端
US20060181842A1 (en) Portable computer with position-adjustable keyboard
US7542276B2 (en) Portable computer with support legs
EP3652608B1 (en) Friction hinge with clutch-based resistance
US20140130304A1 (en) Laptop keyboard tilting assembly
US20100223758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
KR100765242B1 (ko) 평판형 tv용 벽걸이식 거치대
TWM539645U (zh) 用於電子裝置的鉸鏈
US6430777B1 (en) Pivot device for a notebook computer
KR200403910Y1 (ko)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
KR101701558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US8593797B2 (en) Display device
WO2015046903A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1009572B1 (ko) 노트북 거치대
KR100659716B1 (ko) 듀얼 모니터 힌지장치
KR101410637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120015146A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US2015014467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220627324U (zh) 显示装置
CN215264580U (zh) 一种笔记本电脑
KR19990009159U (ko) 사용각도 조절가능한 카메라와 마이커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JP3541341B2 (ja) 情報処理装置用卓のキーボード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