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558B1 - 디스플레이 거치대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558B1
KR101701558B1 KR1020140025963A KR20140025963A KR101701558B1 KR 101701558 B1 KR101701558 B1 KR 101701558B1 KR 1020140025963 A KR1020140025963 A KR 1020140025963A KR 20140025963 A KR20140025963 A KR 20140025963A KR 101701558 B1 KR101701558 B1 KR 10170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ft
rotary shaft
rota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4343A (ko
Inventor
최영순
Original Assignee
최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순 filed Critical 최영순
Priority to KR1020140025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5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측이 설치벽면(10)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0)에 체결되면서 하측이 상기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θ1)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축프레임(110);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상하로 배치된 회동축(111)에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회동하는 제1회동브라켓(120); 및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측이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에 체결되어 하측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θ2)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의 좌우 회동에 따라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반경(R)으로 함께 좌우 회동하며, 하단에는 디스플레이(30)가 체결되는 거치프레임부(13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거치대{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나 책상 등의 설치위치의 벽면에 장착되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 및 회전반경으로 회전하는 회동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항상 정면으로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폰이나 테블릿, 노트북 등과 같이 휴대하며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이동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디스플레이를 거치시켜 고정된 위치에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함께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거치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가정에서 침대에 누워 휴식을 취하며 소정의 영상을 감상하고자 할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도록 침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누운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침대의 중앙에 누워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회동되는 조절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정면으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누워있는 자세나 위치에 따라 고개를 돌려 디스플레이 장치를 쳐다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침대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모로 누워있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은 수평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기 위해서는 고개를 90도 이상 돌려서 쳐다봐야 하였다. 따라서, 장시간 고개를 돌려 디스플레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적지않은 피로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목결림, 목디스크 등의 질병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침대에 누운상태에서 편하게 영상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침대의 중앙에서 정면을 바라보는 자세나 위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2012-0127140호(2012.11.21), 디스플레이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나 책상 등의 설치위치의 벽면에 장착되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 및 회전반경으로 회전하는 회동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항상 정면으로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회동동작되어 사용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측이 설치벽면(10)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0)에 체결되면서 하측이 상기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θ1)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축프레임(110);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상하로 배치된 회동축(111)에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회동하는 제1회동브라켓(120); 및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측이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에 체결되어 하측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θ2)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의 좌우 회동에 따라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반경(R)으로 함께 좌우 회동하며, 하단에는 디스플레이(30)가 체결되는 거치프레임부(13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은, 상측이 상기 고정프레임(20)에 수평배치된 힌지축(21)에 힌지결합되어 하측이 상기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며, 상기 설치벽면(10)과 회전축프레임(110) 사이에 양측이 체결되며, 연장된 길이가 증감되게 동작하여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상하 회동각도(θ1)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은, 상하 배치되어 상기 설치벽면(10)에 지지되는 지지판(141)과, 상기 지지판(141)의 측부에 돌출형성되어 내부에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홈이 형성된 고정캡(142)과,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의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축지지부(144)와,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축홈에 관통삽입되게 배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원형홈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볼헤드(146)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숫나사산이 형성된 조절축(147) 및, 상기 조절축(147)의 타단에 고정결합되어 조절축(147)을 회전시키는 손잡이(14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거치프레임부(130)는, 상측이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에 수평배치된 힌지축(121)에 힌지결합되어 하측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며,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와 거치프레임부(130) 사이에 양측이 체결되며, 연장된 길이가 증감되게 동작하여 상기 거치프레임부(130)의 상하 회동각도(θ2)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하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거치프레임부(130)를 향해 연장배치된 제1프레임(151)과, 일단이 상기 거치프레임부(13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프레임(151)을 향해 연장배치되어 상기 거치프레임부(13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51)과 상호 겹쳐지게 슬라이딩되는 제2프레임(152) 및, 상기 제1프레임(151)과 제2프레임(152)에 관통삽입되어 각 프레임(151,152)이 상호 겹쳐진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153)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성기 거치프레임부(130)는, 일단이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의 힌지축(12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메인프레임(131)과, 상기 메인프레임(131)의 타단에 배치되어 거치프레임부(130)의 전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절곡프레임(132)과, 상기 절곡프레임(132)의 단부에 상하배치된 회전축(135)에 일단이 체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되는 수평프레임(133) 및, 상기 수평프레임(133)의 타단에 체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30)를 거치시키는 브라켓(19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상측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된 걸림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 또는 거치프레임부(130)에는, 상기 걸림홈(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중앙에 체결된 회동축(163)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일단은 탄성부재(161)에 의해 가압되며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턱(162)이 형성된 회동고정수단(160)이 배치되며, 상기 회동고정수단(160)은,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 또는 거치프레임부(130)가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턱(162)이 각 걸림홈(112)에 순차적으로 삽입 및 이탈을 반복하며,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의 회동이 정지하면 상기 지지턱(162)을 걸림홈(112)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61)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정지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과 회동축(111)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축(111)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축(111)을 중심으로 회전축프레임(110)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타방향으로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제1회동완충수단(170); 및 상기 회전축프레임(110)과 회동축(111)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축(111)의 타측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축(111)을 중심으로 회전축프레임(110)이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일방향으로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제2회동완충수단(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측이 설치벽면(10)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0)에 체결되어 하측이 상기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θ1)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축프레임(110); 및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측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상하로 배치된 회동축(111)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반경(R)으로 좌우 회동하며, 하단에는 디스플레이(30)가 체결되는 거치프레임부(13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은, 상측이 상기 고정프레임(20)에 수평배치된 힌지축(21)에 힌지결합되어 하측이 상기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며, 상기 설치벽면(10)과 회전축프레임(110) 사이에 양측이 체결되며, 연장된 길이가 증감되게 동작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회전축프레임(110)의 회동각도(θ1)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침대나 책상 등의 설치위치의 벽면에 장착되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 및 회전반경으로 회전하는 회동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항상 정면으로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회동동작되어 사용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얼굴을 돌려 디스플레이를 봄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피로감이나 목결림, 목디스크 등의 질병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회전축프레임로부터 상하 회동되는 거치프레임부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제1회동각 조절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벽면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하는 회전축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제2회동각 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반경의 축선이 되는 회전축프레임의 상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각도로 디스플레이를 회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주변의 시설물에 의해 회동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회동각도로 디스플레이를 배치시킬 수 있다.
셋째, 디스플레이가 거치되는 브라켓이 거치프레임부의 수평배치된 수평프레임에 체결되어 디스플레이 각도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방향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며 원하는 표시방향으로 동작되도록 거치대를 조작해야 하는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회전축프레임과 상기 회전축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배치된 회동축 사이에는 회전축프레임이 회동되는 방향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완충시키는 제1회동완충수단 및 제2회동완충수단이 배치되므로, 각 회동완충수단의 가압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회동시키는 회동동작이 보다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회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거치대가 빠르게 회동되면서 주변의 시설물과 충돌하거나 회동부위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회전축프레임의 외주면 둘레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회동브라켓 또는 거치프레임부 상에서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회동고정수단이 배치되어, 회동고정수단의 지지턱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회전축프레임의 회동정지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회동각도로 디스플레이의 표시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의 자중에 의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가 설치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프레임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회동각 조절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회전반경이 조절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2회동각 조절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회동각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된 디스플레이의 회전반경을 나타낸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회동고정수단에 의해 회전축프레임의 회동상태가 고정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회동완충수단 및 제2회동완충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100)는, 침대나 책상 등의 설치위치에 근접된 설치벽면(10)에 장착되어 사용자(U)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 및 회전반경(R1,R2)으로 회전하는 회동구조를 통해 사용자(U)의 위치 및 자세와 무관하게 사용자(U)가 항상 정면으로 디스플레이(30)를 볼 수 있도록 회동동작되어 사용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거치대로서, 이하에서는 설치벽면(10)에 장착되는 회전축프레임(110)과 디스플레이(30)가 장착되는 거치프레임부(130)의 체결상태에 따라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100)는, 회전축프레임(110)의 상부에 거치프레임부(130)가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프레임(110), 제1회동브라켓(120), 거치프레임부(130),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 및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은, 디스플레이(30)가 체결된 거치프레임부(130)의 회전반경의 중심축이 되는 프레임 구조물로서, 상하로 연장배치되며 상측이 설치벽면(10)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하측이 일정각도(θ1)로 상하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20)은 디스플레이 거치대(100)가 설치벽면(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벽면(10)에 체결되는 프레임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나사공(22)이 형성되어 고정나사(23)를 통해 설치벽면(1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설치벽면(10)에 기설치된 못이나 나사 등에 나사공(22)을 삽입하여 고정프레임(20)이 지지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20)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21)이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회동축(111)이 구비되는데, 상기 회동축(111)은 도면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프레임(11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에 관통삽입되어 양단이 회전축프레임(110)의 상단과 하단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프레임(110)의 상단과 하단에만 배치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은, 거치프레임부(130)가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면서 동시에 좌우로 회동될 수 있게 지지하는 연결구로서,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상하로 배치된 회동축(111)에 힌지결합되어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동작하며, 일측에는 거치프레임부(130)가 체결되기 위한 힌지축(121)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거치프레임부(130)는,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회동동작하면서 단부에 체결된 디스플레이(30)의 표시방향(A)을 조절하는 프레임 구조물로서, 상측이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의 힌지축(121)에 힌지결합되어 회전축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θ2)로 상하 회동하고,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의 좌우 회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반경(R)으로 함께 좌우 회동하며, 하측은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단부에 디스플레이(30)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프레임부(130)는 일단이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의 힌지축(12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메인프레임(131)과, 상기 메인프레임(131)의 타단에 배치되어 거치프레임부(130)의 전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절곡프레임(132)과, 상기 절곡프레임(132)의 단부에 상하배치된 회전축(135)에 일단이 체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되는 수평프레임(133) 및, 상기 수평프레임(133)의 타단에 체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30)를 거치시키는 브라켓(19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절곡프레임(132)에 의해 거치프레임부(130)의 길이가 조절됨에 있어서, 절곡프레임(132)은 메인프레임(1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절곡프레임(132)에는 복수 개의 조절축공(134a)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메인프레임(131) 상에서 상기 조절축공(134a)이 이격 배치된 연장선 상에도 통공이 형성되어, 임의의 조절축공(134a)과 메인프레임(131)의 통공이 상하로 정렬된 상태에서 각 통공에 고정핀(134)을 관통삽입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는 복수 개의 조절축공(134a) 중 원하는 길이로 조절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131)의 통공과 매칭되어 정렬되는 조절축공(134a)에 상기 고정핀(134)을 삽입함으로써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다시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삽입된 고정핀(134)을 탈거하고 길이조절후 각 통공에 고정핀(134)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거치프레임부(130)의 전체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절곡프레임(132)은 단부가 하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30)의 좌,우,상,하로 회동될 수 있는 회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33)과 브라켓(190) 사이에는 브라켓(190)에 체결된 디스플레이(30)의 상,하 회동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하각도 조절부(136)와, 디스플레이(30)의 좌,우 회동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좌우각도 조절부(137)가 브라켓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33)의 회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각도를 회동축(135)을 중심으로 360도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표시방향(A)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며 원하는 표시방향으로 동작되도록 거치대를 조작해야 하는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은, 회전축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하는 거치프레임부(130)의 회동각(θ2)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회전축프레임(110)과 거치프레임부(130) 사이에 연장배치되어 양측이 각 프레임(110,130)에 체결되며, 연장된 길이가 증감되게 동작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거치프레임부(130)의 회동각도(θ2)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하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거치프레임부(130)를 향해 연장배치된 제1프레임(151)과, 일단이 상기 거치프레임부(13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프레임(151)을 향해 연장배치되어 상기 거치프레임부(13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51)과 상호 겹쳐지게 슬라이딩되는 제2프레임(152) 및, 상기 제1프레임(151)과 제2프레임(152)에 관통삽입되어 각 프레임(151,152)이 상호 겹쳐진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153)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부(130)를 들어올리거나 하부로 가압하여 제1프레임(151)과 제2프레임(152) 간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한 상태에서, 제1프레임(151)에 형성된 장방형의 핀홈(154)을 통해 고정핀(153)을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제1프레임(151)과 제2프레임(152)의 겹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메인프레임(131)의 회동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을 통해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는 메인프레임(131)의 회동각(θ2)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151)과 제2프레임(152)이 상호 겹쳐지면서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호 대향하게 돌출형성된 나사산(155a,155b)이 형성되어, 각 나사산(155a,155b)이 치합되면서 마찰력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30)의 하중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거치프레임부(130)가 하부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프레임(110)의 하단에는 회동축(111)에 체결되어 좌우로 회동되며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힌지축(115)이 배치되는 제2회동브라켓(114)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31)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힌지축(139a)이 배치된 회동브라켓(139)이 구비되며, 상기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의 제1프레임(151)은 상기 제2회동브라켓(114)의 힌지축(115)에 체결되고 제2프레임(152)은 상기 회동브라켓(139)의 힌지축(139a)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이 회전축프레임(110)과 거치프레임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의 연장된 길이가 증감됨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51)과 제2프레임(152)의 지향각도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회동브라켓(139)과 제2회동브라켓(114)의 각 힌지축(139a,115)을 중심으로 제1프레임(151) 및 제2프레임(152)이 회동됨으로써 각 프레임 간의 간섭됨이 없이 안정적인 회동동작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은,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하는 회전축프레임(110)의 회동각(θ1)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설치벽면(10)과 회전축프레임(110) 사이에 연장배치되어 일측은 설치벽면(10)에 지지되고 타측은 회전축프레임(110)에 지지되며, 연장된 길이가 증감되게 동작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회전축프레임(110)의 회동각도(θ1)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은, 상하 배치되어 상기 설치벽면(10)에 지지되는 지지판(141)과, 상기 지지판(141)의 측부에 돌출형성되어 내부에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홈이 형성된 고정캡(142)과,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의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축지지부(144)와,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축홈에 관통삽입되게 배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원형홈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볼헤드(146)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숫나사산이 형성된 조절축(147) 및, 상기 조절축(147)의 타단에 고정결합되어 조절축(147)을 회전시키는 손잡이(148)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48)를 회전시키게 되면, 지지판(141)이 설치벽면(10) 상에 밀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축지지부(144)에 의해 회전축프레임(110)이 상향 가압되거나 하향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거치프레임부(130)의 상하 회동각(θ1)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회동각(θ1)이 조절됨에 따라 고정설치된 조절축(147)과 설치벽면(10)과의 배치각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판(141)이 조절축(147)에 고정설치된 경우 상기 배치각도의 변경에 따라 설치벽면(10)과의 접촉이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은 조절축(147)의 일단에는 구형상의 볼헤드(146)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141)에는 원형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헤드(146)가 원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절축(147)과 설치벽면(10)과의 배치각도가 달라지더라도 지지판(141)은 항상 설치벽면(10)과 밀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프레임부(130)가 갖는 회전반경(R) 내에서 임의의 위치에 거치프레임부(130)의 좌우 회동된 상태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을 회동축(111)의 상단에 밀착되게 삽입하고, 제2회동브라켓(114)을 회동축(111)의 하단에 밀착되게 삽입함으로써, 각 브라켓(120,114)와 회동축(111) 간의 마찰에 따라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거치프레임부(130)를 회전반경(R)의 임의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하중이 큰 디스플레이(30)가 거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하중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거치프레임부(130)를 정지시키기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100)는 회전축프레임(110)과 회동축(111) 사이에 회동고정수단(160)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U)가 회전반경(R)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거치프레임부(130)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상측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된 걸림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 또는 거치프레임부(130)에는, 상기 걸림홈(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중앙에 체결된 회동축(163)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일단은 탄성부재(161)에 의해 가압되며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턱(162)이 형성된 회동고정수단(16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회동고정수단(160)은,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 또는 거치프레임부(130)가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턱(162)이 각 걸림홈(112)에 순차적으로 삽입 및 이탈을 반복하며,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의 회동이 정지하면 상기 지지턱(162)을 걸림홈(112)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61)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정지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100)는 회전축프레임(110)의 회동축(111) 상에서 동일축선 상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회동완충수단(170) 및 제2회동완충수단(18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동완충수단(170)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과 회동축(111)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축(111)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축(111)을 중심으로 회전축프레임(110)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타방향으로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완충수단이며, 상기 제2회동완충수단(180)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과 회동축(111)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축(111)의 타측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축(111)을 중심으로 회전축프레임(110)이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일방향으로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완충수단이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회동축(111) 상에서 제1회동완충수단(170)의 타단이 지지되는 위치에는 제1회동완충수단(170)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171)이 마련되며, 상기 제2회동완충수단(180)의 타단이 지지되는 위치에는 제2회동완충수단(180)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18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회동완충수단(170)의 타단과 제2회동완충수단(180)의 타단은 회전축프레임(110)이 회전함에 따라 탄성반발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각 지지턱(171,181)에 지지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축프레임(11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각 지지턱(171,181)으로부터 이탈되어 지지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때, 각 지지턱(171,181)에는 제1회동완충수단(170)의 타단과 제2회동완충수단(180)의 타단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삽입홈(172,182)이 형성됨으로써 각 지지턱(171,181)에 지지되는 부분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삽입홈(172,182)은 각 회동완충수단(170,180)이 지지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됨에 따라, 지지되지 않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각 회동완충수단(170,180)의 타단이 쉽게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회동완충수단(170)과 제2회동완충수단(180)의 구성으로 인해, 각 회동완충수단(170,1780)의 가압에 의해 디스플레이(30)를 회동시키는 회동동작이 보다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30)를 회동시키기 위한 사용자(U)의 가압력에 의해 거치대가 빠르게 회동되면서 주변의 시설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11을 참조하여 회전축프레임(110)의 하단에 거치프레임부(130)가 체결되는 형태로 구비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100)는, 상측이 설치벽면(10)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0)에 체결되어 하측이 상기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θ1)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회전축프레임(110) 및,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측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상하로 배치된 회동축(111)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반경(R)으로 좌우 회동하며, 하단에는 디스플레이(30)가 체결되는 거치프레임부(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프레임부(130)는 회전축프레임(110)와의 체결부위가 외측으로 절곡형성됨으로써 측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은 상측이 상기 고정프레임(20)에 수평배치된 힌지축(21)에 힌지결합되어 하측이 상기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설치벽면(10)과 회전축프레임(110) 사이에 양측이 체결되며, 연장된 길이가 증감되게 동작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회전축프레임(110)의 회동각도(θ1)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 밖에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100)의 구성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100)는 회전축프레임(110)과 거치프레임부(130) 간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으며 ,이 밖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100)가 갖는 부가적인 기술구성들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어 다양한 효과들을 공통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대(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침대나 책상 등의 설치위치의 벽면에 장착되어 사용자(U)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 및 회전반경으로 회전하는 회동구조를 통해 사용자(U)의 위치 및 자세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항상 정면으로 디스플레이(30)를 볼 수 있도록 회동동작되어 사용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U)가 얼굴을 돌려 디스플레이를 봄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피로감이나 목결림, 목디스크 등의 질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프레임(110)으로부터 상하 회동되는 거치프레임부(13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디스플레이(30)의 회전반경(R1)을 증감시켜 디스플레이(30)와 사용자(U)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하는 회전축프레임(110)의 회동각도(θ1)를 조절하는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거치프레임부(130)의 회전반경(R2)을 증감시켜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회전반경(R)의 축선이 되는 회전축프레임(110)의 상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각도로 디스플레이(30)를 회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주변의 시설물에 의해 회동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회동각도로 디스플레이(30)를 배치시킬 수 있다.
더불어, 회전축프레임(110)의 외주면 둘레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112)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회동브라켓(120) 또는 거치프레임부(130) 상에서 상기 걸림홈(112)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회동고정수단(160)이 배치되어, 회동고정수단(160)의 지지턱(162)이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회전축프레임(110)의 회동정지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U)가 원하는 회동각도로 디스플레이(30)의 표시방향(A)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30)의 자중에 의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설치벽면 20...고정프레임
30...디스플레이 100...디스플레이 거치대
110...회전축프레임 111...회동축
120...제1회동브라켓 130...거치프레임부
140...제1회동각 조절수단 150...제2회동각 조절수단
160...회동고정수단 170...제1회동완충수단
180...제2회동완충수단

Claims (10)

  1. 설치벽면(10)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0)에 수평배치된 힌지축(21)에 상측이 힌지결합되어 하측이 상기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회전축프레임(110);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상하로 배치된 회동축(111)에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회동하는 제1회동브라켓(120);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측이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에 체결되어 하측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θ2)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의 좌우 회동에 따라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반경(R)으로 함께 좌우 회동하며, 하단에는 디스플레이(30)가 체결되는 거치프레임부(130); 및
    상기 설치벽면(10)과 회전축프레임(110) 사이에 연장배치되어 일측은 설치벽면(10)에 지지되고 타측은 회전축프레임(110)에 지지되며, 연장된 길이가 증감되게 동작하여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상하 회동각도(θ1)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은,
    상하 배치되어 상기 설치벽면(10)에 지지되는 지지판(141)과,
    상기 지지판(141)의 측부에 돌출형성되어 내부에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홈이 형성된 고정캡(142)과,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의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축지지부(144)와,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축홈에 관통삽입되게 배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원형홈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볼헤드(146)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숫나사산이 형성된 조절축(147) 및,
    상기 조절축(147)의 타단에 고정결합되어 조절축(147)을 회전시키는 손잡이(14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부(130)는, 상측이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에 수평배치된 힌지축(121)에 힌지결합되어 하측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며,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와 거치프레임부(130) 사이에 양측이 체결되며, 연장된 길이가 증감되게 동작하여 상기 거치프레임부(130)의 상하 회동각도(θ2)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각 조절수단(150)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하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거치프레임부(130)를 향해 연장배치된 제1프레임(151)과,
    일단이 상기 거치프레임부(13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프레임(151)을 향해 연장배치되어 상기 거치프레임부(13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51)과 상호 겹쳐지게 슬라이딩되는 제2프레임(152) 및,
    상기 제1프레임(151)과 제2프레임(152)에 관통삽입되어 각 프레임(151,152)이 상호 겹쳐진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153)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6.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부(130)는,
    일단이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의 힌지축(12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메인프레임(131)과,
    상기 메인프레임(131)의 타단에 배치되어 거치프레임부(130)의 전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절곡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절곡프레임(132)과,
    상기 절곡프레임(132)의 단부에 상하배치된 회전축(135)에 일단이 체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되는 수평프레임(133) 및,
    상기 수평프레임(133)의 타단에 체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30)를 거치시키는 브라켓(190)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7.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상측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된 걸림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 또는 거치프레임부(130)에는, 상기 걸림홈(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중앙에 체결된 회동축(163)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일단은 탄성부재(161)에 의해 가압되며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턱(162)이 형성된 회동고정수단(160)이 배치되며,
    상기 회동고정수단(160)은,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 또는 거치프레임부(130)가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턱(162)이 각 걸림홈(112)에 순차적으로 삽입 및 이탈을 반복하며, 상기 제1회동브라켓(120)의 회동이 정지하면 상기 지지턱(162)을 걸림홈(112)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61)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정지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8.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프레임(110)과 회동축(111)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축(111)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축(111)을 중심으로 회전축프레임(110)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타방향으로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제1회동완충수단(170); 및
    상기 회전축프레임(110)과 회동축(111)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축(111)의 타측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축(111)을 중심으로 회전축프레임(110)이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일방향으로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제2회동완충수단(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9. 설치벽면(10)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0)에 수평배치된 힌지축(21)에 상측이 힌지결합되어 하측이 상기 설치벽면(10)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회전축프레임(110);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측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에 상하로 배치된 회동축(111)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전축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반경(R)으로 좌우 회동하며, 하단에는 디스플레이(30)가 체결되는 거치프레임부(130);
    상기 설치벽면(10)과 회전축프레임(110) 사이에 연장배치되어 일측은 설치벽면(10)에 지지되고 타측은 회전축프레임(110)에 지지되며, 연장된 길이가 증감되게 동작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회전축프레임(110)의 회동각도(θ1)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제1회동각 조절수단(14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대.
  10. 삭제
KR1020140025963A 2014-03-05 2014-03-05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1701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63A KR101701558B1 (ko) 2014-03-05 2014-03-05 디스플레이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963A KR101701558B1 (ko) 2014-03-05 2014-03-05 디스플레이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343A KR20150104343A (ko) 2015-09-15
KR101701558B1 true KR101701558B1 (ko) 2017-02-01

Family

ID=5424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963A KR101701558B1 (ko) 2014-03-05 2014-03-05 디스플레이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5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652A (ko) 2021-03-05 2022-09-14 서일용 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230052870A (ko) 2021-03-05 2023-04-20 서일용 디스플레이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841B1 (ko) * 2017-12-20 2019-07-26 주식회사 대성지이-쓰리 교육용 엔진스탠드
KR102122645B1 (ko) * 2018-07-04 2020-06-26 서일용 디스플레이 거치장치
KR102135535B1 (ko) * 2019-12-31 2020-07-17 박우석 티비에 장착이 가능한 다기능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92B1 (ko) * 2007-01-08 2008-06-19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틸팅장치 및 디스플레이 회동장치
KR100866639B1 (ko) * 2007-07-26 2008-11-04 브라이언성호 강 디스플레이용 회전장치
JP2010066594A (ja) 2008-09-11 2010-03-25 Shimonishi Giken Kogyo Kk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485B1 (ko) * 2002-10-29 2010-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천정/벽걸이 장치
KR101235787B1 (ko) 2011-05-13 2013-02-21 어식 디스플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92B1 (ko) * 2007-01-08 2008-06-19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틸팅장치 및 디스플레이 회동장치
KR100866639B1 (ko) * 2007-07-26 2008-11-04 브라이언성호 강 디스플레이용 회전장치
JP2010066594A (ja) 2008-09-11 2010-03-25 Shimonishi Giken Kogyo Kk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652A (ko) 2021-03-05 2022-09-14 서일용 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230052870A (ko) 2021-03-05 2023-04-20 서일용 디스플레이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343A (ko) 201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558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JP6962963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KR100710313B1 (ko) 영상표시장치
JP3148195U (ja) モニター支持装置
US10309137B2 (en) Hinge structure
US6712321B1 (en)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panel
TWI650635B (zh) 可攜式電子裝置及其支撐裝置
US20070023599A1 (en) Adjustable display mount apparatus and system
US20070029458A1 (en) Display moveable in two dimensions
US8056877B2 (en) Support mechanism
TWM501698U (zh) 弧形顯示器支架
US20130075546A1 (en) Monitor stand
US8243213B2 (en) Monitor apparatus
KR100609852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9504173B2 (en) Portable electronic product
WO2006000127A1 (en) Hinge system for computer display device
CN102979812B (zh) 一种云台万向定位机构及应用该机构的灯光控制台
KR100826198B1 (ko) 영상표시장치
US9169963B1 (en) Stand device
KR101410637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135348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403910Y1 (ko) 액정모니터 높이 및 각도조절장치
KR101483407B1 (ko) 탁자 상판의 각도 조절장치
CN202991830U (zh) 一种云台万向定位机构及应用该机构的灯光控制台
KR20070029500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