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482B1 -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482B1
KR101353482B1 KR1020120082513A KR20120082513A KR101353482B1 KR 101353482 B1 KR101353482 B1 KR 101353482B1 KR 1020120082513 A KR1020120082513 A KR 1020120082513A KR 20120082513 A KR20120082513 A KR 20120082513A KR 101353482 B1 KR101353482 B1 KR 10135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rail
movable body
fixed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131A (ko
Inventor
장용석
최은석
Original Assignee
삼현테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현테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삼현테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2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62Supporting the apparatus as a whole, e.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는 전자기기를 설치면에 지지하는 스탠드에 있어서, 스탠드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마련되는 레일과, 레일에 고정 마련되는 고정체와, 레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면과 접촉하는 가동체와, 가동체와 고정체 사이에 마련되어 가동체가 일정한 힘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Stand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it}
본 발명은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회전 가능한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 PDP, LED TV, 3D TV 등의 전자기기들은 전자기기 본체를 거치프레임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하거나 스탠드를 이용하여 가구 등의 바닥면에 지지하여 사용한다. 특히, 최근 판매되고 있는 전자기기들은 본체가 점점 슬림화됨에 따라 일체로 마련되는 스탠드도 디자인적인 면을 고려해서 슬림해지고 있다.
종래 전자기기들은 대형 본체에 맞게 스탠드도 대형이기 때문에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스탠드 내부에 본체의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소형화 경향에 맞춰 제작되는 슬림한 스탠드에는 본체의 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본체의 설치 방향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는 스탠드 자체를 설치면으로부터 회전 이동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슬림하면서 좌우 회전이 가능한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고 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를 설치면에 지지하는 스탠드에 있어서, 스탠드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마련되는 레일과, 레일에 고정 마련되는 고정체와, 레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면과 접촉하는 가동체와, 가동체와 고정체 사이에 마련되어 가동체가 일정한 힘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탠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정하중 스프링(constant force spring)이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원호 형상의 레일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체는 레일의 중앙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권취단과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체는 내부에 중공과 개구공을 구비하여, 상기 중공에는 권취단이 설치되고 상기 개구공에는 고정단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고정체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걸린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권취단과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중공과 개구공을 포함하는 고정체를 구비하여, 상기 중공에는 권취단이 설치되고 상기 개구공에는 고정단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가동체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걸린다.
또한, 상기 가동체는 설치면 측에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가동체와 마주보는 면에 회동결합면을 구비하여 설치면이 경사진 경우 가동체가 회동결합면을 중심으로 틸팅되도록 하여 커버가 설치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롤러유닛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과 롤러유닛은 동일한 원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스탠드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는 설치면과 접하는 스탠드의 바닥면에 회전제어유닛 및 롤러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스탠드가 설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도 좌우로 회전하여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는 회전제어유닛의 내부에 한 쌍의 정하중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좌우 회전 시 일정한 힘으로 전자기기를 좌우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에 마련되는 회전제어유닛과 롤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제어유닛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의 회전제어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의 회전제어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의 회전제어유닛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의 회전제어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에 마련되는 회전제어유닛과 롤러유닛을 구비하는 스탠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의 회전제어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일례로 모니터, TV 등의 디스플레이(1)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탠드를 이용하는 다른 전자기기에도 당업자가 적절하게 변형 및 수정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스탠드는 전자기기 본체와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스탠드(2)는 전자기기 본체를 가구나 바닥 등의 설치면에 거치한 상태에서 약 20도 정도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스탠드(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바닥면에 복수의 회전제어유닛(10)과 롤러유닛(20)을 구비하며, 회전제어유닛(10)과 롤러유닛(20)은 스탠드(2)의 바닥면보다 약간 돌출 마련되어 설치면에 지지된다.
회전제어유닛(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에 매립 설치되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에 마련되는 레일(12)과, 레일(12)에 마련되는 고정체(13)와, 레일(12)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체(15)와, 고정체(13)와 가동체(15)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9)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회전제어유닛(10)이 스탠드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으로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원호 형상을 가지며, 양단은 판 형상의 베이스 몸체로부터 직각 밴딩하여 스토퍼(11a)를 형성함으로써 가동체(15)가 움직일 수 있는 구간을 제한한다.
베이스에 결합되는 레일(12)은 베이스(11)와 동일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을 가진다. 레일은 단방향으로 일측(도면에서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레일부(12a)를 가지며, 원호의 내측면 중심에 센터홀(12b)을 갖는다. 레일(12)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마련되는 개구는 베이스(11)의 스토퍼(11a)에 의해 폐쇄된다.
고정체(13)는 레일(12)과 마찬가지로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며, 레일(12)의 센터홀(12b)과 결합되는 센터돌기(13a)를 중심에 구비하여 레일(12) 내벽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체(13)의 양단에는 레일(12)의 내벽과 이격해서 걸림홈(13b)이 양측에 마련되어 후술할 한 쌍의 탄성부재(19) 중 하나의 고정단(19a)이 좌우 이동 시 선택적으로 걸린다.
가동체(15)는 레일(12) 내부에 삽입되어 원호 형상의 레일부(12a)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가동체(15)의 전후면에는 레일가이드(15a,15b)가 돌출 마련되어 좌우 이동 중 레일부(12a)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이 레일가이드(15a,15b)에 의해 가동체(15)는 레일(12)을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전방측 레일가이드(15a)는 좌우 이동 중 레일(12) 내부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체(13)에 걸리지 않도록 수평레일가이드(15c)를 구비한다. 수평레일가이드(15c)의 하측은 고정체(13)가 통과하며, 상측은 레일부(12a)의 내면이 슬라이딩 접촉한다.
또한, 가동체(15)는 내부에 한 쌍의 중공(15d)을 가지며, 중공(15d)은 가동체(15)에 마련되는 개구공(15e)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개구공(15e)은 서로 대향해서 외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공(15e)을 형성하기 위해 가동체(15)는 전방측 레일가이드(15a)가 마련된 가이드웰(16)이 본체로부터 이격 마련된다. 중공(15d)에는 탄성부재(19)의 일측 권취단(19b)이 설치되며, 탄성부재(19)의 타측 고정단(19a)은 개구공(15e)을 통해 가동체(15) 외부로 노출되어 고정체(13)의 걸림홈(13b)에 걸린다. 가동체(15)는 하부에 조립되는 가동체 커버(17)에 의해 내부가 폐쇄되며, 커버(17)에는 설치면과 접촉하는 러버 플레이트(18)가 설치된다. 가동체 커버(17)와 러버 플레이트(18)는 레일부(12a)보다 돌출되어 설치면에 접촉된다.
탄성부재(19)는 일정한 곡율로 밴딩된 판 형상의 스프링으로 직선으로 잡아 늘릴 때 생기는 하중이 스트로크에 관계없이 일정한 정하중 스프링(constant force spring)이다. 정하중 스프링은 한 방향으로만 하중을 갖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체(13)를 중심으로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탠드의 특성상 탄성부재(19)를 좌우 한 쌍으로 마련하고 상호 반대방향으로 설치한다. 탄성부재(19)는 고정단(19a)과 권취단(19a)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롤러유닛(20)은 하우징 내의 샤프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통상의 롤러 구조로서, 다수개가 스탠드(2)에 회전제어유닛(10)과 동일한 원주 상에 배치되어 스탠드(2)의 회전을 보다 부드럽게 구현하고 설치면과의 평형 밸런스를 유지한다. 롤러유닛(20)은 스탠드의 사이즈에 따라 삭제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전자기기 본체의 좌우 방향을 조절하기 전 초기 설정으로 스탠드(2)의 가동체(15)는 레일(12)의 중앙 즉, 고정체(13)의 후방에 위치하며, 한 쌍의 탄성부재(19)의 각 고정단(19a)은 고정체(13)의 양측 걸림홈(13b)에 각각 걸린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기기 본체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전자기기 본체를 좌우로 움직이면, 스탠드(2)의 바닥면에 매립 고정되어 있는 레일(1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면에 고정되어 있는 가동체(1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즉, 레일(12)이 이동하면 가동체(15)는 레일(12)에 고정 마련되어 있는 고정체(13)에 대해 거리가 멀어지며, 이때 멀어지는 거리만큼 걸림홈(13b)에 걸려 있는 일측 탄성부재(19)의 고정단(19a) 스트로크가 늘어나면서 일정한 하중이 전자기기 본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좌우 0 ~ 20도 중 어느 각도로 틀더라도 항상 일정한 텐션(하중)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트로크가 연장되는 탄성부재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다른 탄성부재(19)의 고정단(19a)은 고정체(13)의 걸림홈(13b)로부터 이격되므로 하중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라 스탠드(2)에 마련되는 회전제어유닛(10)은 스탠드에 조립하기 전 단품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9)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체(15)가 이동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최초 상태(가동체와 고정체가 일치)로 돌아가지만, 전자기기에 설치할 경우에는 전자기기 본체의 자중에 의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대항하는 하중이 회전제어유닛에 충분히 가해지기 때문에 이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9)는 권취단(19b)에 위치하는 판스프링의 단부가 중공 내부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베이스(11)의 스토퍼(11a)에 의해 가동체(15)의 이동거리가 제한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탄성 동작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에 마련되는 회전제어유닛(30)은 일 실시 예의 회전제어유닛(10)과 대비해 볼 때, 한 쌍의 탄성부재(19)가 가동체(35)가 아닌 고정체(33)에 마련되며, 고정체(33)는 레일(32)에 일체로 마련되는 점이 상이하다.
도 8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레일(32)은 중심에 탄성부재(19) 한 쌍의 각 권취단(19b)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33a)과 개구공(33b)을 구비하며, 개구공(33b)은 레일(32)에 마련되는 고정체(33)의 가이드웰(34)을 고정체 본체로부터 돌출시켜 마련한다.
또한, 가동체(35)는 탄성부재(19)의 고정단(19a)이 걸리도록 걸림홈(35a)을 양단에 구비한다. 걸림홈(35a)은 이동 방향에 따라 한 쌍의 탄성부재(19)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여 탄성부재가 외력에 대해 일정한 하중을 받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가동체(35)는 내부에 경사조절유닛을 갖는다. 경사조절유닛은 스탠드(2)가 거치되는 설치면이 경사진 경우에도 가동체(35)의 커버(37) 및 러버 플레이트(39)가 항상 설치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스탠드(2)가 밀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9의 (a)(b)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동체(35)의 하면에 결합하는 커버(37)는 가동체(35)와 마주보는 결합면에 고정결합면(37a)과 회동결합면(37b)을 구비한다. 고정결합면(37a)은 가동체(35)와 장방형의 홈돌기 형태로 결합되며, 돌기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한 쌍의 스프링(38a)이 마련된다. 회동결합면(37b)은 고정결합면(37a)의 좌우 측에 마련되고 호 형상의 홈돌기 형태로 가동체(35)와 결합되며, 돌기 내부에는 수직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핀(38b)이 마련된다. 회동결합면(37b)과 가이드핀(38b)은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면이 경사진 경우 가동체(35)가 회동결합면(37b)을 중심으로 틸팅되도록 가이드하며, 스프링(38a)은 스탠드(2)가 설치면에 경사져 있더라도 가동체(35)와 레일(32)을 탄성 지지하여 스탠드의 좌우 이동 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경사조절유닛은 일 실시 예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제어유닛(30)은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회전제어유닛(30A)이 스탠드의 좌우 측면에 마련되고 그 사이사이에 롤러유닛(20)이 다수 설치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 하나의 회전제어유닛(30B)이 스탠드의 중심에 마련되어 스탠드의 좌우 이동을 보다 용이하도록 한다. 스탠드의 중심에 마련되는 회전제어유닛(30)과 측면에 마련되는 회전제어유닛(30)은 이동하는 회전각이 다르기 때문에 회전제어유닛의 크기는 당업자가 적절히 수정 및 변경하여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세 개의 회전제어유닛(30A,30B)이 정확히 연동될 수 있도록 각 회전제어유닛(30A,30B)들은 싱크케이블(40)로 연결된다. 싱크케이블(40)은 플럭시블한 소재의 POM 또는 Nylon이 사용될 수 있다. 싱크케이블(40)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각 회전제어유닛(30A,30B)은 가동체(35)의 양단에 케이블고정홀(36)을 각각 구비한다. 케이블고정홀(36)과 싱크케이블(40)은 후크 등의 방식으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연결 시에는 마주보는 회전제어유닛(30A,30B)의 각 가동체를 약 10도 정도씩 상호 근접 이동시켜 강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회전제어유닛 및 롤러유닛을 포함하는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동작은 상술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1..전자기기 본체(디스플레이) 2..스탠드
10..회전제어유닛 12..레일
13..고정체 15..가동체
19..탄성부재 20..롤러유닛
30,30A,30B..회전제어유닛 32..레일
33..고정체 35..가동체
37..커버 40..싱크케이블

Claims (9)

  1. 삭제
  2. 전자기기를 설치면에 지지하는 스탠드에 있어서,
    스탠드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고정 마련되는 고정체와, 상기 레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면과 접촉하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와 고정체 사이에 마련되어 가동체가 일정한 힘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정하중 스프링(constant force spring)이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스탠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원호 형상의 레일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체는 레일의 중앙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스탠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권취단과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체는 내부에 중공과 개구공을 구비하여, 상기 중공에는 권취단이 설치되고 상기 개구공에는 고정단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고정체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걸리는 스탠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권취단과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중공과 개구공을 포함하는 고정체를 구비하여, 상기 중공에는 권취단이 설치되고 상기 개구공에는 고정단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가동체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걸리는 스탠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설치면 측에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가동체와 마주보는 면에 회동결합면을 구비하여 설치면이 경사진 경우 가동체가 회동결합면을 중심으로 틸팅되도록 하여 커버가 설치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스탠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롤러유닛이 더 마련되는 스탠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롤러유닛은 동일한 원주 상에 배치되는 스탠드.
  9.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마련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20082513A 2012-05-03 2012-07-27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353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622 2012-05-03
KR20120046622 2012-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31A KR20130124131A (ko) 2013-11-13
KR101353482B1 true KR101353482B1 (ko) 2014-01-27

Family

ID=4985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513A KR101353482B1 (ko) 2012-05-03 2012-07-27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043A (ko) * 2019-01-14 202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9802B1 (ko) * 2020-09-28 2022-09-30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차량용 터치디스플레이 조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869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회전구조
KR20070029500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KR20090022540A (ko) * 2007-08-31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869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회전구조
KR20070029500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KR20090022540A (ko) * 2007-08-31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31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746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101776262B1 (ko) 접철식 기기
KR10256555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036181A1 (en) Combined mechanism for sliding movement and rotating movement and a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the same
JP201314119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支持装置
KR20100034169A (ko) 슬라이드장치와 틸팅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기기
KR20160038313A (ko) 통신용 단말기
KR10135348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08650367B (zh) 手机夹持机构及头戴产品
KR10145671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0731900B1 (ko) 회전힌지장치
KR20100012517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1061760B1 (ko) 휴대단말기용 스윙타입 힌지모듈
JP2011146025A (ja) 携帯式電子装置
KR100826198B1 (ko) 영상표시장치
JP6753590B1 (ja) 筐体の角度調整機構及び電子機器
KR1011057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힌지 장치
JP2018204209A (ja) 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キャビネット
JP5131043B2 (ja) 表示ユニットの可動組付構造、及び電子機器
KR20100081182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 장치
KR100907445B1 (ko) Pmp 케이스
KR100867234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스윙 장치
KR101400552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13875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8117B1 (ko) 통신단말기용 스윙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