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832B1 -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832B1
KR101253832B1 KR1020100089872A KR20100089872A KR101253832B1 KR 101253832 B1 KR101253832 B1 KR 101253832B1 KR 1020100089872 A KR1020100089872 A KR 1020100089872A KR 20100089872 A KR20100089872 A KR 20100089872A KR 101253832 B1 KR101253832 B1 KR 10125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ning
hinge shaft
mounting memb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781A (ko
Inventor
카토 히데오
야마시타 모토하루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950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88952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3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1Panel PC, e.g. single housing hosting PC and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점수가 적고, 구성이 간단하며 그 자신이 록크(lock)기능을 가지고 제작단가가 싼 전자기기의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에 대하여 제2하우징을 개폐가 가능하게 연결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하우징에 부착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대하여 힌지축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제2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이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힌지축 측에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캠수단과, 상기 취부부재 측에 상기 캠수단과 접촉하여 설치된 탄성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캠수단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전자기기{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노트형 피시(PC), 랩탑형 피시(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자동차용 내비게이션장치라고 하는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이 개폐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위에 설명한 전자기기는 일반적으로 10개 키(Ten key) 또는 키보드를 설치한 장치본체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과,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한 덮개체를 겸하는 제2하우징을 개폐장치를 사용하여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장치의 대부분은 틸트힌지라 호칭하고,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제2 하우징을 임의의 개폐각도로 정지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마찰(friction)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틸트힌지의 대부분은 그 자신이 제2하우징을 제1하우징에 대하여 닫았을 때 이 닫힌 상태를 록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록크수단을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 설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록크수단은 일반적으로 제2하우징의 앞단부의 하부중앙에 걸림편을 아래쪽으로 돌출시켜 부착하고, 제1하우징 측에 이 걸림편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재를 설치한 것으로, 외관상 보기가 나쁘고 디자인상의 제약이 되며, 또한 제조단가가 비싸지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하여 개폐장치 그것에 록크기능을 가진것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록크기능을 가진 개폐장치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 2005-16604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공지이다.
이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개폐장치는 장치본체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에 부착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의 좌우측판 사이에 부착되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다수매의 마찰플레이트와, 제2하우징을 개폐가 자유롭게 지지하고 취부부재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동시에 마찰플레이트의 맞닿는면이 탄성적으로 마찰 맞닿는 힌지축으로 구성되고, 맞닿는면에 평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2하우징의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맞닿는면의 평탄부에 합쳐지는 별개의 평탄부를 힌지축에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부품점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부품점수가 적고, 구성이 간단하며 그 자신이 록크(lock)기능을 가지고 제작단가가 싼 전자기기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에 대하여 제2하우징을 개폐가 가능하게 연결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하우징에 부착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대하여 힌지축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제2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이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힌지축 측에 설치한 캠수단과, 상기 취부부재의 측에 상기 캠수단과 접촉하여 설치된 탄성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캠수단을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회전제어수단의 상기 힌지축을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캠수단을 상기 힌지축에 일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힌지축을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제어수단의 상기 캠수단을 상기 힌지축과 별개로 설치하고 그 힌지축에 회전을 규제하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지지부재 측에 그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설치한 캠수단과, 상기 취부부재 측에 상기 캠수단과 접촉하여 설치한 탄성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제어수단에 마찰기구를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취부부재에 고정시킨 베이스부재와, 이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만곡부에 접촉하여 상기 취부부재의 양측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축 걸침(軸架)된 곳의 일측단 측에 지지부재를 부착한 힌지축과, 이 힌지축에 설치한 캠부에 누름접합(壓接)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단 일측에 그 일측단 측을 부착한 곳의 판스프링의 탄성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만곡부에 만곡요입부를 가진 스프링을 상기 힌지축의 캠부에 접촉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힌지축을 축방향으로 이동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판스프링 상의 탄성수단을 그 대략 중앙부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부를 설치한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폐장치를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 설치한 전자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서, 부품점수가 적고, 구성이 간단하게 되기 때문에 대폭적인 제작단가를 싸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제1하우징에 대하여 제2 하우징을 닫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록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서, 부품점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단가가 싼 개폐장치로서, 노트형 피시(PC)를 시작으로 하는 각종 전자기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개폐시키는 록크기능이 부착된 개폐장치로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사용 상태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사용 상태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사용 상태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10에 나타낸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10에 나타낸 개폐장치의 측단면도.
도 13는 도10에 나타낸 개폐장치의 사용상태설명도.
도 14는 도10에 나타낸 개폐장치의 사용상태설명도.
도 15는 도10에 나타낸 개폐장치의 사용상태설명도.
도 16은 도10에 나타낸 개폐장치의 사용상태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제1하우징에 부착된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대하여 힌지축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제2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하고, 이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힌지축 측에 설치한 캠수단과, 상기 취부부재 측에 상기 캠수단과 접촉하여 설치된 탄성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캠수단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회전제어수단을, 상기 힌지축을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캠수단을 상기 힌지축과 별개로 설치하고, 그 힌지축에 회전을 규제하도록 부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들의 것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특히 회전제어수단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여러 가지 형태가 고려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전자기기 중에도 노트형 피시(PC)에 실시한 경우에 대해서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전자기기는 노트형 피시(PC) 이외의 랩탑형 피시(PC), PDA, 및 자동차용 내비게이션장치 등의 전자기기도 포함된다.
도면에 의하면, 도1에서 지시기호 1로 나타낸 것은, 예를 들면 노트형 피시(PC)로서, 이 노트형 피시(PC)(1)는, 10개 키 또는 키보드(2a)등을 그의 상면에 설치한 제1하우징(2)과, 하면에 디스플레이장치(3a)를 설치한 제2하우징(3)을 구비하고, 제1하우징(2)과 제2하우징(3)이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4, 4)를 개재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개폐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개폐장치(4, 4)는 원칙적으로 한쌍으로 사용되지만,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하 그의 한쪽만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한쌍의 개폐장치 중, 한쪽만을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로 사용하고, 다른쪽을 별개의 구성의 개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4)는, 특히 도4 내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의 뒷부분 상단에 설치한 취부요입부(2b)내에 부착된 취부부재(5)와, 제2 하우징(3)의 후단부 하면에 설치한 취부요입부(3b)내에 부착된 지지부재(6)와, 이 지지부재(6)를 취부부재(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7)과, 취부부재(5)에 대하여 지지부재(6)를 제2 하우징(3)의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닫은 상태로 록크하는 회전제어수단(8)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취부부재(5)는 예를들면 SUS와 같은 금속플레이트를 프레스가공에 의해 프레스 성형한 것으로서, 평면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낸 바닥판(5a)과, 이 바닥판(5a)의 양측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양측판(5b, 5b)과, 바닥판(5a)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후판(5c)으로 구성되고, 바닥판(5a) 에는 다수의 부착공(5d, 5d)이 설치되고, 양측판(5b, 5b)에는 축중심을 공통으로 하여 연결공(5e, 5e)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판(5c)에서는 그의 양측단부에서 걸림편(5f, 5f)이 설치되고, 이 걸림편(5f, 5f)의 앞단을 양측판(5b, 5b)에 설치한 걸어맞춤홈(5g, 5g)에 삽입시키고 있다.
지지부재(6)는 동일하게 SUS제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서 형성한 것으로서, 평면이 앵글형상을 나타낸 심플한 구성으로, 측판(6a)과, 이 측판(6a)에서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부착판(6b)과, 측판(6a)에 설치한 변형 연결공(6c)으로 구성되고, 부착판(6b)에는 다수의 부착공(6d, 6d)이 설치되어 있다.
힌지축(7)은 예를들면 SUS제의 환봉을 절삭가공함으로서 형성한 것으로서, 일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7a)와, 이 플랜지부(7a)에 이어져 설치된 큰 직경 변형축부(7b)와, 이 큰 직경 변형축부(7b)에 이어져 설치된 작은 직경 변형축부(7c)와,
이 작은 직경 변형축부(7c)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특히 도2에 나타낸 코킹부(7d)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제어수단(8)은 마찰기구(9)와 흡입기구(10)로 구성되고, 마찰기구(9)는 그의 중심부축방향에 설치된 변형 삽입통과공(11a)에 힌지축(7)의 큰 직경 변형축부(7b)를 삽입통과시키고, 그 힌지축(7)으로 회전이 규제되어 부착되는 동시에 플랜지부(7a)와 취부부재(5)의 한쪽 측판(5b) 사이에 개재시킨 마찰와셔(11)와, 그의 중심부축방향에 설치된 변형 삽입통과공(12a)에 힌지축(7)의 작은 직경 변형축부(7c)를 삽입통과시키고, 그 힌지축(7)으로 회전이 규제되어 부착되는 동시에 지지부재(6)의 측판(6a) 측에 설치된 와셔(12)와, 그의 중심부축방향에 설치된 삽입통과공(13a)에 힌지축(7)의 작은 직경 변형축부(7c)를 삽입통과시켜 와셔(12)와 지지부재(6)의 측판(6a) 사이에 개재시킨 스프링와셔(13)와, 힌지축(7)의 작은 직경 변형축부(7c)의 코킹부(7d)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기구(10)는 예를들면 SUM제의 중심부축방향에 변형 삽입통과공(14a)과, 바깥둘레를 그의 축방향에 걸쳐 깎음으로서 형성된 평탄한 캠부(14b)와, 변형 삽입통과공(14a)에 힌지축(7)의 큰 직경 변형축부(7b)를 삽입통과시킨 캠수단(14)과, 취부부재(5)의 후판(5c)에 설치된 부착부(5h)에 그의 일단부(15a)를 삽입고정시킨 자유단측에 컬(curl)시킨 탄성접합부(15b)를 가지고, 이 탄성접합부(15b)를 캠수단(14)의 바깥둘레에 미끄럼 접합시키고 있는 탄성수단(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흡입기구(10)는 제2하우징(3)의 제1하우징(2)에 대한 개폐 조작시에 탄성수단(15)의 탄성접합부(15b)와 캠수단(14)의 만곡외주(14c)사이에 누름접합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도 마찰토크(friction torque)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하여 마찰기구(9)에 있어서는 마찰와셔(11), 캠수단(14), 와셔(12), 스프링와셔(13)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치한 후에, 힌지축(7)의 작은 직경 변형축부(7c)가 지지부재(6)의 측판(6a)에서 돌출한 부분을 소정의 코킹토크(caulking torque)로 코킹되는 코킹부(7d)로 함으로서 마찰와셔(11)의 일측부와 취부부재(5)의 측판(5b) 사이, 와셔(12)와 또 한쪽의 측판(5b) 및 캠수단(14)의 양단면과 취부부재(5)의 양측판(5b)사이에 각각 마찰토크를 발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트형 피시(PC)(1)의 제1하우징(2)에 대하여 제2하우징(3)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수단(15)의 탄성접합부(15b)가 캠수단(14)의 평탄한 캠부(14b)에 맞닿음 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제2하우징(3)은 제1하우징(2)에 대하여 닫은 상태로 록크되어 있다.
다음에, 노트형 피시(PC)(1)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1하우징(2)에 대하여 제2하우징(3)을 열면, 지지부재(6) 및 힌지축(7)과 함께 캠수단(14)이 회전하고, 제2하우징(3)은 흡입기구(10)의 캠수단(14)이 그의 바깥둘레에서 탄성수단(15)의 탄성접합부(15b)를 그의 누름접합 탄성력에 저항하여 아래로 밀음으로서 도4 내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0°에서 180°까지 열려진다. 다음에 이 열려진 제2하우징(3)을 닫을 때에는 통상의 닫음 조작으로 닫기를 행하여 약 5°의 닫힘 각도가 되면, 특히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수단(15)의 탄성접합부(15b)가 캠수단(14)의 평탄한 캠부(14b)에 맞닿기 시작하기 때문에 제2하우징(3)은 급속히 흡입되도록 닫히게 되고, 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 특히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수단(15)의 탄성접합부(15b)가 평탄한 캠부(14b)와 누름접합 상태가 됨으로서 제2하우징(3)은 제1하우징(2)에 대하여 닫은 상태로 록크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하여 회전제어수단(8)의 흡입기구(10)는 기능을 하게 된다.
다음에, 개폐조작 도중에 있어서는 회전제어수단(8)의 마찰기구(9)의 마찰와셔(11)가 힌지축(7)과 함께 회전하여 취부부재(5)의 한쪽의 측판(5b)사이에 마찰토크가 발생하고, 또한 와셔(12)와 또 한쪽의 측판(5b)사이 및 캠수단(14)의 양단면과 취부부재(5)의 양측판(5b)의 사이에도 마찰토크(friction torque)가 발생하고, 그 위에 탄성수단(15)의 탄성접합부(15b)와 캠수단(14)의 만곡외주(14c)사이에도 마찰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임의의 개폐각도로 제2하우징(3)을 제1하우징(2)에 대하여 정지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 2의 개폐장치(20)는 그의 회전제어수단(21)의 캠수단(22)의 중심부축방향으로 단면이 원형상인 삽입통과공(22a)이 설치되고, 그의 바깥둘레부 축방향에 평탄한 캠부(22b)가 형성되며, 그의 양단부에 설치된 걸림돌기(22c, 22c)를 지지부재(23)의 천정판(23a)에서 늘어뜨린 양측판(23b, 23b)의 원형상인 연결공(23d, 23d)의 주위에 설치된 걸어맞춤공(23c, 23c)에 삽입하여 걸게한다.
힌지축(24)은 플랜지부(24a)와, 큰 직경 변형축부(24b)와, 축부(24c)와, 작은 직경 변형축부(24d)와, 코킹부(24e)로 구성되고, 축부(24c)의 형상은 단면이 환봉형상이다.
취부부재(25)는 바닥판(25a)과, 이 바닥판(25a)의 양측부에서 세워 설치된 양측판(25b, 25b)과, 이 양측판(25b, 25b)의 후부에서 세워 설치하여 양측판에 걸리는 후판(25c)과, 양측판(25b, 25b)에 설치된 대소의 큰 직경 변형부착공(25d)과 작은 직경 변형부착공(25e)으로 구성되어 있다.
힌지축(24)의 큰 직경 변형축부(24b)와 작은 직경 변형축부(24d)를 큰 직경 변형부착공(25d)과 작은 직경 변형부착공(25e)에 삽입하여 부착시키고, 힌지축(24)의 축부(24c)에 지지부재(23)의 원형상인 연결공(23d, 23d)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하여 힌지축(24)의 축부(24c)를 캠수단(22)의 삽입통과공(22a)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삽입시키고 있다.
그 밖의 탄성수단(26)의 형상과 그 취부수단은 실시예 1의 것과 동일하다.
또한, 지시기호 27은 큰 직경 변형 삽입통과공(27a)을 가진 마찰와셔이고, 지시기호 28은 작은 직경 변형 삽입통과공(28a)을 가진 와셔이고, 지시기호 29는 삽입통과공(29a)을 가진 스프링와셔이다.
그리하여 캠수단(22)과 탄성수단(26)으로 회전제어수단(21)의 흡입기구(30)를 구성하고, 마찰와셔(27), 와셔(28), 및 스프링와셔(29)와 힌지축(24)의 코킹부(24e)로 회전제어수단(21)의 마찰기구(31)를 구성하고 있는 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 2의 경우, 힌지축(24)의 축부(24c)와 캠수단(22)의 삽입통과공(22a)사이에 점성그리스를 충전시킴으로서 댐퍼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9는 개폐장치의 탄성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 3에 관한 개폐장치(38)의 탄성수단(35)은 그의 부착 바닥부(35a)를 취부부재(36)의 바닥판(36a)상에 부착나사(37)를 사용함으로서 고정되어 있고, 취부부재(36)의 후판은 생략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실시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구성하면 취부부재(36)에 실시예 1과 같은 후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 밖의 상기 실시예에 관한 전자기기의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캠수단을 지지부재의 측판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힌지축과 일체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재는 실시예 2의 지지부재(23)와 같이 천정판(23a)과 이 천정판(23a)의 양측부에서 절곡되어 늘어뜨린 양측판(23b, 23b)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10 내지 도16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예 4에 관한 전자기기의 개폐장치(40)는 바닥판(41a)과 이 바닥판(41a)의 양측부에서 절곡되어 세워 설치된 양측판(41b, 41b)으로 구성되는 취부부재(41)와, 이 취부부재(41)의 양측판(41b, 41b)사이에 수용 고정된곳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반원형상인 만곡부(42a)를 가진 합성수지제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베이스부재(42)와, 이 베이스부재(42)의 만곡부(42a)에 끼워진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으로 예를들면 SUS 등의 금속제의 슬리브(43)와, 취부부재(41)의 양측판(41b, 41b)에 설치된 축받이공(41c, 41c)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통과된 힌지축(44)과, 이 힌지축(44)의 일측부에 부착나사(45, 45)로 고정부착된 단면이 앵글형상의 지지부재(46)와, 베이스부재(42)의 일측 상단부에 부착나사(47, 47, 47)로 그의 일측 단부측을 고정부착하여 힌지축(44)의 상부측에 누름접합하고 있는 스프링용 강제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48)과, 힌지축(44)의 빠짐을 방지하는 예를들면 스프링핀으로 구성된 빠짐 방지수단(49)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취부부재(41)는 예를들면 제1하우징(50)측에 부착되는 것이어서 SUS와 같은 금속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한 것이 있다.
이 취부부재(41)의 축받이공(41c, 41c)의 외측에 위치하여 각 한쌍의 보스부(41d, 41d, 41d, 41d)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재(42)는 그의 만곡부(42a)의 양측 상단둘레에 상측단부(42b, 42b)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의 양단부에 양단측 요입부(42c, 42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양단측 단부(42c, 42c)는 베이스부재(42)를 취부부재(41)의 양측판(41b, 41b)사이로 끼워넣을 때에 그 양측판(41b, 41b)의 축받이공(41c, 41c)의 외측에 설치된 보스부(41d, 41d, 41d, 41d)를 안내하여 베이스부재(4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베이스부재(42)에는 또 그의 하면에 취부부재(41)의 바닥판(41a)을 받아들이는 요입부(42d)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43)은 예를들면 SUS와 같은 금속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한 것이어서 만곡 요입부(43a)의 양단 둘레에 설치된 절곡편(43b, 43b)을 베이스부재(42)의 상단측 단부(42b, 42b)에 끼워 넣고, 베이스부재(42) 상면이 균일하게 되도록 연구되고 있다.
힌지축(44)은 일측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44a)와, 이 플랜지부(44a)를 포함한 바깥둘레의 일부를 삭제하여 설치한 평탄부로 구성된 캠부(44b)와, 이 캠부(44b)의 종단부에 설치된 부착공(44c)과, 캠부(44b)에 연이어 설치된 평탄부로 구성된 부착부(44d)로 구성되고, 축받이공(41c, 41c)에 축 걸침(軸架)시켰을 때에 플랜지부(44a)와 부착공(44c)에 삽입된 스프링핀으로 구성된 빠짐 방지수단(49)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되고 있어 스프링(43)의 만곡 요입부(43a)와 미끄럼 접합되고 있다.
지지부재(46)는 상면측의 제1 부착 플레이트부(46a)에 설치된 부착공(46b, 46b)을 통해 부착나사(45, 45)를 힌지축(44)의 부착부(44d)에 설치된 암나사부(44e, 44e)에 나사부착시킴으로서 힌지축(44)에 부착되고, 제1 부착 플레이트부(46a)에서 절곡되어 늘어뜨린 제2 부착 플레이트부(46c)에 설치된 부착공(46d, 46d)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은 부착나사를 개재하여 제2하우징(51)에 부착되는 것이다.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48)은 대략 중앙부에 절곡부(48a)를 가지고, 그의 일측부에 설치된 부착공(48b, 48b, 48b)를 통해 베이스부재(42)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된 암나사부(42e, 42e, 42e)에 나사부착시킨 부착나사(47, 47, 47)로서 베이스부재(42)에 그의 일측부에 있어서 부착되고, 그의 하면측을 힌지축(44)의 바깥둘레에 누름 접합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 4에 관한 개폐장치(40)는 도12에 나타낸 제1하우징(50)에 대하여 제2하우징(51)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개폐장치(40)의 힌지축(44)의 캠부(44b)가 탄성수단(48)의 하면에 누름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제2하우징(51)이 열리는 방향의 힘을 받아도 쉽게 열리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제2하우징(51)의 제1하우징(50)에 대하여 이것을 열기 위하여 그 제2하우징(51)의 가장 가까운쪽을 상방으로 밀어서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열면, 제하우징(51)은 함께 회전하는 개폐장치(40)의 힌지축(44)을 통해 탄성수단(48)의 밀어누르는 힘에 저항하여 회전함으로서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려진다.
또한, 제2하우징(5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하우징(51)은 힌지축(44)과 함께 도14 내지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리고, 180°의 열림 각도로 정지된다.
이때는 힌지축(44)의 캠부(44b)는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을 향하는 것이 된다.
열려진 제2하우징(51)은 이것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하우징(50)에대하여 닫히게 되고, 닫힘 각도의 약간 못미치는 위치에서 캠부(44b)와 탄성수단(48) 사이에 흡입작용이 발생하여 닫히게 되어 0°에서 힌지축(44)의 캠부(44b)가 탄성수단(48)의 하면에 누름 접합되어 닫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 4에 관한 전자기기의 개폐장치(40)는 부품점수가 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제2하우징(51)의 제1하우징(50)에 대한 닫힌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다른 록크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게다가 제2하우징(51)의 제1하우징(50)에 대한 임의의 개폐각도로 힌지축(44)에 누름 접합되는 탄성수단(48)에 의해 안정적으로 정지상태가 유지된다.
이때의 마찰토크는 힌지축(44)의 외주와 탄성수단(48), 힌지축(44)의 외주와 스프링(43)사이에서 발생한다.
또한, 스프링(43)은 이 부재를 생략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있으면 보다 마찰토크를 창출하기 쉽고, 또한 마모에 의해 마찰토크가 수시로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4에 관한 개폐장치(40)는 마찰토크를 창출하는 수단을 힌지축(44)과 취부부재(41)의 측판(41b, 41b)사이에 설치된 공지의 틸트기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프링핀이나 플랜지부는 이것을 E링 또는 걸림링으로 대체하여도 좋다.
또한,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수단(48)은 플랫(flat)형상이어도 좋으나, 제2하우징(51)의 닫힘 시에 힌지축(44)과 탄성수단(48)의 하면 사이의 여유 공간이 크게 되어 스무즈(smooth)한 닫힘 동작을 저해하는 것이어서 절곡부(48a)를 설치하여 이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탄성수단(48)은 실시 예에서는 1개이지만, 다수개이어도 좋다.
탄성수단(48)은 또한 판스프링의 개수, 두께, 재질을 변경함으로서 힌지축(44)의 마찰토크의 증감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1: 노트형 피시(PC) 2: 제1 하우징
2a: 10개 키 또는 키보드 2b: 부착 요입부
3: 제2 하우징 3a: 디스플레이장치
4: 실시예1의 개폐장치 5: 취부부재
5a: 바닥판 5b: 양측판
5c: 후판 5d: 부착공
5e: 연결공 5f: 걸림편
5g: 걸어맞춤홈 5h: 부착부
6: 지지부재 6a: 측판
6b: 부착판 6c: 변형 연결공
6d: 부착공 7: 힌지축
7a: 플랜지부 7b: 큰 직경 변형축부
7c: 작은 직경 변형축부 7d: 코킹부
8: 회전제어수단 9: 마찰기구
10: 흡입기구 11: 마찰와셔
12: 와셔 12a: 변형 삽입통과공
13: 스프링와셔 14: 캠수단
14a: 변형 삽입통과공 14b: 캠부
14c; 만곡외주 15: 탄성수단
15a: 일단부 15b: 탄성접합부
20: 실시예2의 개폐장치 21: 회전제어수단
22: 캠수단 22a: 삽입통과공
22b: 캠부 22c: 걸림돌기
23: 지지부재 23a: 천정판
23b: 양측판 23c: 걸어맞춤공
23d: 연결공 24: 힌지축
24a: 플랜지부 24b: 큰 직경 변형축부
24c: 축부 24d: 작은 직경 변형축부
24e: 코킹부 25: 취부부재
25a: 바닥판 25b: 양측판
25c: 후판 25d: 큰 직경 변형부착공
25e: 작은 직경 변형부착공 26: 탄성수단
27: 마찰와셔 27a: 큰 직경 변형 삽입통과공
28: 와셔 28a: 작은 직경 변형 삽입통과공
29: 스프링와셔 29a: 삽입통과공
30: 흡입기구 31: 마찰기구
35: 탄성수단 35a: 바닥부
36: 취부부재 36a: 바닥판
37: 부착나사 38: 실시예3의 개폐장치
40: 실시예4의 개폐장치 41: 취부부재
41a: 바닥판 41b: 양측판
41c: 축받이공 41d: 보스부
42: 베이스부재 42a: 만곡부
42b: 상측단부 42c: 양단측 요입부
42d: 요입부 42e: 암나사부
43: 스프링 43a:만곡요입부
43b: 절곡편 44: 힌지축
44a: 플랜지부 44b: 캠부
44c: 부착공 44d: 부착부
44e: 암나사부 46: 지지부재
46a: 제1 부착플레이트부 46b: 부착공
46c: 제2 부착플레이트부 46d: 부착공 47: 부착나사
48: 탄성수단 48a: 절곡부
48b: 부착공 49: 빠짐 방지수단
50: 제1하우징 51: 제2하우징

Claims (10)

  1.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에 대하여 제2하우징을 개폐가 가능하게 연결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하우징에 부착되는 취부부재와, 이 취부부재에 대하여 힌지축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제2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힌지축의 측에 설치한 캠수단과, 상기 취부부재의 측에 상기 캠수단과 접촉하여 설치된 탄성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캠수단을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기재의 개폐장치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00089872A 2009-09-25 2010-09-14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전자기기 KR101253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20824 2009-09-25
JP2009220824 2009-09-25
JPJP-P-2010-195011 2010-08-31
JP2010195011A JP5889522B2 (ja) 2009-09-25 2010-08-31 電子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781A KR20110033781A (ko) 2011-03-31
KR101253832B1 true KR101253832B1 (ko) 2013-04-12

Family

ID=4388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872A KR101253832B1 (ko) 2009-09-25 2010-09-14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3832B1 (ko)
CN (1) CN1020322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3278B (zh) * 2017-07-04 2021-07-20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机箱
CN110589206B (zh) * 2019-09-02 2024-04-05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连接机构及包装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38U (ko) * 1997-04-21 1998-11-25 가토오 치아키 개폐체의 개폐장치
US20080151476A1 (en) 2006-12-21 2008-06-26 Jr-Jiun Chern Hinge for laptop computer
US20090144936A1 (en) 2007-12-11 2009-06-11 Jr-Jiun Chern Hing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79638Y (zh) * 1999-03-04 2000-05-24 林文祺 定位铰链
JP3517384B2 (ja) * 2000-04-04 2004-04-1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CN200969064Y (zh) * 2006-11-15 2007-10-31 陈致军 笔记型计算机枢轴结合结构
CN101424298B (zh) * 2007-10-31 2011-04-20 兆利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转轴装置的扭力调整结构、调整构件及其调整方法
CN201166049Y (zh) * 2007-12-24 2008-12-17 大典轴业股份有限公司 补强包覆式枢轴结构
CN201228719Y (zh) * 2008-07-25 2009-04-29 兆利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兼具开轻关重及自动落下的枢纽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38U (ko) * 1997-04-21 1998-11-25 가토오 치아키 개폐체의 개폐장치
US20080151476A1 (en) 2006-12-21 2008-06-26 Jr-Jiun Chern Hinge for laptop computer
US20090144936A1 (en) 2007-12-11 2009-06-11 Jr-Jiun Chern Hin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781A (ko) 2011-03-31
CN102032266A (zh) 2011-04-27
CN102032266B (zh)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240B1 (ko)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US9778704B2 (en) Biaxial hing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TWI518479B (zh) 雙軸鉸鏈
JP6893688B2 (ja) 開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開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被開閉体
JP6355233B2 (ja) 2軸ヒンジ及び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端末機器
JP2007086756A (ja) ヒンジ装置
JPH10319856A (ja) 開閉体の開閉装置
US10113344B2 (en) Stay
KR101253832B1 (ko)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전자기기
JP6525233B2 (ja) 2軸ヒンジ及び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端末機器
JP2015105693A5 (ko)
JP2005163965A (ja) ヒンジ装置
TWI491810B (zh) 傾斜鉸鏈及具有傾斜鉸鏈之電子裝置
JP5889522B2 (ja) 電子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17181598A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備えた事務機器
TWI448626B (zh) 電子裝置的雙軸鉸鏈
US118092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s with integrated support
KR102429508B1 (ko) 마찰 힌지장치
JP6497771B2 (ja) チルトヒンジ及び電子機器
JP2016037979A (ja) チルトヒンジ並びにこのチルトヒンジを用いたノートパソコン
JP6061460B2 (ja)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349129Y1 (ko) 도어용 힌지장치
JP5415913B2 (ja) ヒンジ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JP2006189135A (ja) ヒンジ装置
JP5512866B2 (ja) ヒンジ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