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043A -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043A
KR20200088043A KR1020190004548A KR20190004548A KR20200088043A KR 20200088043 A KR20200088043 A KR 20200088043A KR 1020190004548 A KR1020190004548 A KR 1020190004548A KR 20190004548 A KR20190004548 A KR 20190004548A KR 20200088043 A KR20200088043 A KR 2020008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ase
coupled
support bar
vibration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9703B1 (ko
Inventor
최현용
김지수
윤대식
인우성
정현준
최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970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0454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89703B1/ko
Priority to US17/419,121 priority patent/US20220120330A1/en
Priority to PCT/KR2019/003303 priority patent/WO2020149455A1/ko
Publication of KR2020008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9Location, co-lo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제 1베이스 및 상기 제 1베이스에 결합되는 제 2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셈블리,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지지 바, 상기 제 1베이스에 설치되는 제 1진동 감쇄 유닛으로서, 상기 제 1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제 1진동 감쇄 유닛 및 상기 제 2베이스에 설치되는 제 2진동 감쇄 유닛으로서, 상기 제 2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에 이동성을 부여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제 2진동 감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STAND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 도형 등의 데이터 정보 및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는, 베이스 및 디스플레이패널이 거치되도록 베이스에 결합되는 지지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를 구성하는 베이스 및 지지 바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할 경우, 베이스에 결합된 지지 바가 흔들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바가 흔들릴 경우, 지지 바에 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패널 또한 흔들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은, 스탠드의 베이스 및 지지 바 사이의 견고하지 못한 결합으로 인해 바닥으로 떨어져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제 1베이스 및 상기 제 1베이스에 결합되는 제 2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셈블리,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지지 바, 상기 제 1베이스에 설치되는 제 1진동 감쇄 유닛으로서, 상기 제 1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제 1진동 감쇄 유닛 및 상기 제 2베이스에 설치되는 제 2진동 감쇄 유닛으로서, 상기 제 2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에 이동성을 부여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제 2진동 감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이동부재를 홀딩하도록 상기 제 1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부재 홀더 및 상기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부재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베이스는, 상기 이동부재가 관통하는 이동부재 관통공이 형성되는 바텀 아우터 프레임, 상기 바텀 아우터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 1베이스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텀 아우터 프레임에 결합되는 탑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바텀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탑 아우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 홀더는, 상기 스탠드의 상방을 향하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측벽의 내면에 고정되는 탑 홀더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측벽의 내면과 마주하는 상기 바텀 아우터 프레임의 하측벽의 내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제 1탄성체가 수용되도록 상기 탑 홀더와 결합하며, 상기 이동부재가 결합되는 이동부재 결합공을 포함하는 바텀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탄성체는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 1탄성체의 일 단부는 상기 탑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제 1탄성체의 타 단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베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 2베이스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베이스는 상기 스탠드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회전부재가 안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베이스에 결합되는 회전부재 홀더 및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부재 홀더에 안착되고, 상기 스탠드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회전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제 2베이스의 상측벽과 상기 회전부재 홀더 사이에 설치되는 제 2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탄성체는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 2탄성체의 일 단부는 상기 제 2베이스의 상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제 2탄성체의 타 단부는 상기 회전부재 홀더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탠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와 상기 지지 바를 연결하도록 일 단부는 상기 거치대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 바에 결합되는 제 1연결 브라켓으로서, 개구를 가지는 제 1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 1연결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바 사이의 갭을 줄이도록 마련되는 제 1유동 방지 유닛으로서, 상기 지지 바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 1연결 브라켓의 개구를 통해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제 1유동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유동 방지 유닛은, 상기 이동 블록이 따라 움직이는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스탠드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의 후방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을 가압 가능한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스탠드의 후방에서 가압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여 상기 제 1연결 브라켓의 개구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탠드는,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 바를 연결하도록 일 단부는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 바에 결합되는 제 2연결 브라켓으로서, 개구를 가지는 제 2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 2연결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바 사이의 갭을 줄이도록 마련되는 제 2유동 방지 유닛으로서, 상기 지지 바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 2연결 브라켓의 개구를 통해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제 2유동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유동 방지 유닛은, 상기 이동 블록이 따라 움직이는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스탠드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의 후방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을 가압 가능한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스탠드의 후방에서 가압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여 상기 제 2연결 브라켓의 개구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스탠드에 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 1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제 1베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2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셈블리,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지지 바, 상기 복수의 제 1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으로서,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 1베이스의 하측벽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 및 상기 제 2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으로서,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에 이동성을 부여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스탠드의 좌우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베이스는, 상기 지지 바를 지나도록 상기 스탠드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우측 베이스 및 상기 지지 바를 지나도록 상기 스탠드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 중 다른 하나가 설치되는 좌측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이동부재를 홀딩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1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부재 홀더 및 상기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부재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베이스는 상기 스탠드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회전부재가 안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베이스에 결합되는 회전부재 홀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부재 홀더에 안착되고, 상기 스탠드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제 2베이스의 상측벽과 상기 회전부재 홀더 사이에 설치되는 제 2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에 적어도 하나의 유동 방지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제 1연결 브라켓 및 지지 바 사이의 갭 또는 제 2연결 브라켓 및 지지 바 사이의 갭을 줄여 스탠드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스탠드에 적어도 하나의 진동 감쇄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유동 방지 유닛과 함께 스탠드의 흔들림을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면의 상태와 관계 없이 스탠드를 설치면 상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있어서, 베이스 어셈블리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있어서, 제 1진동 감쇄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도 4의 A-A'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있어서, 제 2진동 감쇄 유닛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도 4의 B-B'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일 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있어서, 제 1유동 방지 유닛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다른 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있어서, 제 2유동 방지 유닛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서 전자칠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고 그 종류가 전자칠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과, 영상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과,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수용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이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11)에 광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백 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스탠드(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탠드(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있어서, 베이스 어셈블리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00)는 설치면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어셈블리(base assembly)(1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어셈블리(110)는 제 1베이스(120) 및 제 1베이스(120)에 결합되는 제 2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어셈블리(110)는 복수의 제 1베이스(120) 및 복수의 제 1베이스(120)에 결합되는 제 2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베이스(120)는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제 2베이스(13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복수의 제 1베이스(1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 2베이스(13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베이스(120)는, 우측 베이스(120a) 및 좌측 베이스(12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베이스(120a)는, 지지 바(140)를 지나도록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좌측 베이스(120b)는, 지지 바(140)를 지나도록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우측 베이스(120a) 및 좌측 베이스(120b)는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교차하여 설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우측 베이스(120a)는 지지 바(140)를 지나도록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에 대하여 우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좌측 베이스(120b)는 지지 바(140)를 지나도록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에 대하여 좌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바(140)를 지나도록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에 대하여 좌측 베이스(120b)가 기울어진 각도(θ1)와, 지지 바(140)를 지나도록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에 대하여 우측 베이스(120a)가 기울어진 각도(θ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좌측 베이스(120b) 및 우측 베이스(120a)는 지지 바(140)를 지나도록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좌측 베이스(120b) 및 우측 베이스(120a)의 배치 구조는 대칭 구조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지지 바(140)를 지나도록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에 대하여 좌측 베이스(120b)가 기울어진 각도(θ1)와 지지 바(140)를 지나도록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에 대하여 우측 베이스(120a)가 기울어진 각도(θ2)가 서로 상이하도록 좌측 베이스(120b) 및 우측 베이스(120a)가 설치면 상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제 1베이스(1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 2베이스(130)는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복수의 제 1베이스(12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제 1베이스(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베이스(130)는 복수의 제 1베이스(12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베이스(130)는 제 2연결 브라켓(170)을 매개로 복수의 제 1베이스(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베이스(130)는 스탠드(100)의 좌우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베이스(130)는 스탠드(100)의 좌우방향(Y)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바디(130a)와, 베이스 바디(130a)로부터 연장되어 제 2연결 브라켓(170)을 매개로 복수의 제 1베이스(120)에 결합되는 베이스 결합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100)는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되는 지지 바(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바(140)는 베이스 어셈블리(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바(140)는 제 2연결 브라켓(170)을 매개로 베이스 어셈블리(11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바(140)는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지지 바(14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스탠드(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150)는 지지 바(14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대(150)는 제 1연결 브라켓(160)을 매개로 지지 바(140)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거치대(150)에 장착될 수 있다.
스탠드(100)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선반(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반은 지지 바(14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발표나 회의 시 필요한 노트북이나 DVD 플레이어 등의 전자제품을 선반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
스탠드(100)는 거치대(150)와 지지 바(14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제 1연결 브라켓(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연결 브라켓(160)의 일 단부는 거치대(150)에 결합되고, 제 1연결 브라켓(160)의 타 단부는 지지 바(140)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 바(1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연결 브라켓(16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스탠드(100)는 베이스 어셈블리(110)와 지지 바(14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제 2연결 브라켓(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연결 브라켓(170)의 일 단부는 베이스 어셈블리(110)에 결합되고, 제 2연결 브라켓(170)의 타 단부는 지지 바(140)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 바(1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연결 브라켓(170)은 복수의 제 1베이스(120) 및 제 2베이스(13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제 2연결 브라켓(17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스탠드(100)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감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감쇄 유닛은 제 1진동 감쇄 유닛(210) 및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진동 감쇄 유닛(210)은 제 1베이스(12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탠드(100)는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 중 어느 하나는 제 1베이스(120)의 우측 베이스(120a)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 중 다른 하나는 제 1베이스(120)의 좌측 베이스(120b)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은 제 2베이스(13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탠드(100)는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은 스탠드(100)의 좌우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제 2베이스(130)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 중 어느 하나는 제 1베이스(120)의 우측 베이스(120a)와 마주하는 제 2베이스(130)의 일 단부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 중 다른 하나는 제 1베이스(120)의 좌측 베이스(120b)와 마주하는 제 2베이스(130)의 타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은 스탠드(100)의 좌우방향(Y)으로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 사이의 거리(d2)는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 사이의 거리(d1)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 사이의 거리(d1) 및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 사이의 거리(d2)는 각각 스탠드(100)의 좌우방향(Y)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 사이의 거리(d2)와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 사이의 거리(d1)가 같은 것도 가능하다.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을 스탠드(100)의 좌우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 2베이스(130)의 양 단부에 설치할 경우, 제 2베이스(130)는 설치면 상에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100)는, 스탠드(100)에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후방을 향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제 1진동 감쇄 유닛(210) 및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스탠드(100)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방지 유닛은 제 1유동 방지 유닛(310)(도 9참고) 및 제 2유동 방지 유닛(320) (도 11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유동 방지 유닛(310)은 제 1연결 브라켓(160) 및 지지 바(140) 사이의 갭(gap)을 줄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유동 방지 유닛(310)은 제 1연결 브라켓(16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은 제 2연결 브라켓(170) 및 지지 바(140) 사이의 갭(gap)을 줄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은 제 2연결 브라켓(17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유동 방지 유닛(310) 및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거치대(150) 및 지지 바(140)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거나, 베이스 어셈블리(110) 및 지지 바(140)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할 경우, 스탠드(100)는 흔들릴 수 있다. 특히, 거치대(150) 및 지지 바(140)를 연결하는 제 1연결 브라켓(160) 및 지지 바(140) 사이의 갭이 클수록, 그리고 베이스 어셈블리(110) 및 지지 바(140)를 연결하는 제 2연결 브라켓(170) 및 지지 바(140) 사이의 갭이 클수록 스탠드(100)의 흔들림 정도는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탠드(100)의 흔들림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고,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동 방지 유닛은 제 1연결 브라켓(160) 및 지지 바(140) 사이의 갭 또는 제 2연결 브라켓(170) 및 지지 바(140) 사이의 갭을 최소화함으로써 스탠드(100)의 흔들림, 특히, 지지 바(140)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진동 감쇄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유동 방지 유닛과 함께 스탠드(100)의 흔들림을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면의 상태와 관계 없이 설치면에 대한 스탠드(100)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동 방지 유닛은 탄성 변형됨으로써 설치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스탠드(100)가 설치면 상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 감쇄 유닛은 스탠드(1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및 스탠드(100)의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여 스탠드(100)의 흔들림을 감쇄시키고, 설치면의 상태에 관계 없이 스탠드(100)가 설치면 상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있어서, 제 1진동 감쇄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도 4의 A-A'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은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복수의 제 1베이스(120)에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제 1베이스(1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121,123) 및 아우터 프레임(121,123)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12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21,123)은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 및 탑 아우터 프레임(123)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에는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의 이동부재(211)가 관통하는 이동부재 관통공(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 관통공(125)은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의 하측벽(121a)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의 이동부재(211)는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의 이동부재 관통공(125)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탑 아우터 프레임(123)은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과 함께 복수의 제 1베이스(12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아우터 프레임(123)은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이 탑 아우터 프레임(12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 아우터 프레임(123)과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은, 탑 아우터 프레임(123)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26) 및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의 외벽에 형성되는 걸림홀(127) 사이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탑 아우터 프레임(123)은 이너 프레임(124)에 관통 결합되도록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보스(128)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아우터 프레임(123), 이너 프레임(124) 및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은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의 하측벽(121a)을 관통하여 결합 보스(128)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24)은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 및 탑 아우터 프레임(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24)은 결합 보스(128)가 관통 결합되는 보스 결합공(12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24)은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24)은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의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은 복수의 제 1베이스(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이동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211)는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으로 움직임에 따라 복수의 제 1베이스(120)의 하측벽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재(211)는 복수의 제 1베이스(1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제 1베이스(120)의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의 이동부재 관통공(125)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211)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동부재(211)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동부재(211)는 이동부재(21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동부재(21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21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211a)는 이동부재 홀더(212,213)의 이동부재 결합공(215)보다 더 큰 너비를 가짐으로써 이동부재(211)가 이동부재 홀더(212,21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각의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은 이동부재(211)를 홀딩하도록 복수의 제 1베이스(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부재 홀더(212,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 홀더(212,213)는 탑 홀더(212) 및 탑 홀더(212)와 결합하는 바텀 홀더(213)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홀더(212)는 스탠드(100)의 상방을 향하는 이너 프레임(124)의 상측벽(124a)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텀 홀더(213)는 이너 프레임(124)의 상측벽(124a)의 내면과 마주하는 바텀 아우터 프레임(121)의 하측벽(121a)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텀 홀더(213)는 내부에 제 1탄성체(216)가 수용되도록 탑 홀더(212)와 결합할 수 있다. 바텀 홀더(213)는 이동부재(211)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부재 수용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홀더(213)는 이동부재(211)가 결합되는 이동부재 결합공(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 결합공(215)은 이동부재 수용부(214)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210)은 이동부재(211)를 탄성 지지하도록 이동부재 홀더(212,213)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탄성체(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탄성체(216)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탄성체(216)는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 1탄성체(216)의 일 단부는 탑 홀더(212)에 결합되고, 제 1탄성체(216)의 타 단부는 이동부재(211)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탄성체(216)의 타 단부는 이동부재(211)의 이탈 방지부(211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있어서, 제 2진동 감쇄 유닛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도 4의 B-B'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은 제 2베이스(1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베이스(130)는 상측벽(131) 및 상측벽(131)과 함께 제 2베이스(1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벽(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베이스(130)는 하측벽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베이스(130)는 상측벽(131)으로부터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 보스(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은 제 2베이스(130)의 외부로 노출되어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회전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221)는 스탠드(100)에 이동성을 부여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은 회전부재(221)가 안착되도록 마련되고, 제 2베이스(130)에 결합되는 회전부재 홀더(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 홀더(222)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제 2베이스(130)의 체결 보스(133)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재 홀더(222)는 제 2베이스(1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부재 홀더(222)는 회전부재(221)가 안착되는 회전부재 안착부(222a) 및 회전 샤프트(223)가 안착되는 샤프트 안착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 안착부(222a) 및 샤프트 안착부(222b)는 회전부재 홀더(222)의 하측벽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은 회전부재(2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부재 홀더(222)에 안착되는 회전 샤프트(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221)는 회전 샤프트(223)에 관통 결합될 수 있고, 회전 샤프트(223)는 회전부재 홀더(222)의 샤프트 안착부(222b)에 안착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23)는 스탠드(100)의 좌우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전 샤프트(223)는 제 2베이스(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220)은 회전부재(221)를 탄성 지지하도록 제 2베이스(130)의 상측벽(131) 및 회전부재 홀더(222) 사이에 설치되는 제 2탄성체(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2탄성체(224)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탄성체(224)는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 2탄성체(224)의 일 단부는 제 2베이스(130)의 상측벽(131)에 결합되고, 제 2탄성체(224)의 타 단부는 회전부재 홀더(22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일 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있어서, 제 1유동 방지 유닛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도 2의 C-C'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유동 방지 유닛(310)은 제 1연결 브라켓(16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연결 브라켓(160)은 거치대(150)와 지지 바(14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연결 브라켓(160)은 아우터 브라켓(161) 및 아우터 브라켓(161)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브라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브라켓(162)은 아우터 브라켓(16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아우터 브라켓(161)의 측벽 및 이너 브라켓(162)의 측벽을 관통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아우터 브라켓(16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고정부재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브라켓(161)의 일 단부는 거치대(150)에 결합되고, 아우터 브라켓(161)의 타 단부는 지지 바(140)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 바(14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우터 브라켓(161)의 타 단부는 고정부재(163)에 의해 지지 바(14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지지 바(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고정부재(163)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63)는 스탠드(100)의 후방에서 지지 바(140) 및 아우터 브라켓(16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지지 바(140) 및 아우터 브라켓(161)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너 브라켓(162)은 제 1유동 방지 유닛(310)이 수용되는 제 1유동 방지 유닛 수용공간(1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연결 브라켓(160)은 개구(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165)는 제 1연결 브라켓(16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165)는 제 1연결 브라켓(160)의 아우터 브라켓(161)의 측벽(161a)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브라켓(161)에 형성된 개구(165)에 대응하는 이너 브라켓(162)의 측벽은 개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유동 방지 유닛 수용공간(164)은 개방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유동 방지 유닛(310)은 지지 바(14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제 1연결 브라켓(160)의 개구(165)를 통해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블록(31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유동 방지 유닛(310)은 복수의 이동 블록(31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블록(311)은 스탠드(100)의 좌우방향(Y)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 1유동 방지 유닛(310)은 이동 블록(311)이 따라 움직이는 경사면(313)을 가지는 가이드 블록(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312)은 복수의 이동 블록(3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312)의 경사면(313)은, 이동 블록(311)과 이웃하는 가이드 블록(312)의 후단부(P)를 지나도록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L)에 대하여 가이드 블록(312)의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유동 방지 유닛(310)은 스탠드(100)의 후방에서 가이드 블록(312)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핀(3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핀(314)은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가이드 블록(312)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핀(314)은 스탠드(100)의 후방에서 지지 바(140)의 후벽, 제 1연결 브라켓(160)의 아우터 브라켓(161)의 후벽, 제 1연결 브라켓(160)의 이너 브라켓(162)의 후벽 및 가이드 블록(31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 1연결 브라켓(160)의 이너 브라켓(162)의 전벽에 형성되는 핀 결합공(166)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핀(314)에는 제 1나사산(314a)이 형성될 수 있고, 핀 결합공(166)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핀(314)의 제 1나사산(314a)에 대응하는 제 2나사산(166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핀(314)이 이너 브라켓(162)의 핀 결합공(166)에 결합되는 경우, 가이드 핀(314)의 제 1나사산(314a)은 핀 결합공(166)의 제 2나사산(166a)에 치합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스탠드(100)의 후방에서 제 1유동 방지 유닛(310)의 가이드 핀(314)을 가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공구는 육각 렌치를 포함할 수 있고, 공구는 가이드 핀(314)에 형성된 체결홈(315)에 체결될 수 있다. 공구가 가이드 핀(314)의 체결홈(315)에 체결된 상태에서 공구를 회전시키면, 가이드 핀(314)은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전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가이드 블록(312)은 가이드 핀(314)과 일체로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가이드 블록(312)과 이웃하는 복수의 이동 블록(311)은 가이드 블록(312)의 경사면(313)을 따라 움직여 제 1연결 브라켓(160)의 개구(165)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제 1연결 브라켓(160)의 개구(165)를 통해 돌출된 복수의 이동 블록(311)은 지지 바(14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이동 블록(311)이 지지 바(140)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제 1연결 브라켓(160) 및 지지 바(140) 사이의 갭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의 다른 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에 있어서, 제 2유동 방지 유닛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도 2의 D-D'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은 제 2연결 브라켓(17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연결 브라켓(170)은 베이스 어셈블리(110) 및 지지 바(14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연결 브라켓(170)은 복수의 제 1베이스(120) 및 지지 바(14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연결 브라켓(170)은 우측 베이스(120a) 및 지지 바(14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우측 연결 브라켓(171) 및 좌측 베이스(120b) 및 지지 바(14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좌측 연결 브라켓(172)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연결 브라켓(171) 및 좌측 연결 브라켓(172)은, 우측 연결 브라켓(171) 및 좌측 연결 브라켓(17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173)가 우측 연결 브라켓(171) 및 좌측 연결 브라켓(172)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174)에 결합됨으로써 일차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연결 브라켓(171) 및 좌측 연결 브라켓(172)은, 우측 연결 브라켓(171)의 지지 바 결합부(176)의 내면 및 좌측 연결 브라켓(172)의 지지 바 결합부(176)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173)가 우측 연결 브라켓(171)의 지지 바 결합부(176)의 내면 및 좌측 연결 브라켓(172)의 지지 바 결합부(176)의 내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174)에 결합됨으로써 일차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우측 연결 브라켓(171) 및 좌측 연결 브라켓(172)은 스탠드(100)의 좌우방향(Y)으로 결합되는 고정부재(175)에 의해 이차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고정부재(175)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연결 브라켓(170)은, 고정부재(179)에 의해 지지 바(140)에 결합되는 지지 바 결합부(176)와,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베이스 어셈블리(110)의 복수의 제 1베이스(120)에 결합되는 베이스 결합부(177)와, 지지 바 결합부(176) 및 베이스 결합부(177)를 연결하는 연결부(17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연결 브라켓(170)의 지지 바 결합부(176)는, 지지 바(140)에 삽입된 상태로 스탠드(100)의 후방에서 지지 바(140)의 후면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부재(179)에 의해 지지 바(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고정부재(179)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연결 브라켓(170)의 베이스 결합부(177)는 고정부재에 의해 복수의 제 1베이스(120)의 이너 프레임(124)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연결 브라켓(170)의 연결부(178)는 복수의 제 1베이스(120)의 탑 아우터 프레임(123)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 2연결 브라켓(170)은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이 안착되는 제 2유동 방지 유닛 안착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유동 방지 유닛 안착부(180)는 제 2연결 브라켓(170)의 지지 바 결합부(176)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유동 방지 유닛 안착부(180)는 우측 연결 브라켓(171)의 지지 바 결합부(176) 및 좌측 연결 브라켓(172)의 지지 바 결합부(17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은 우측 연결 브라켓(171)의 지지 바 결합부(176) 및 좌측 연결 브라켓(172)의 지지 바 결합부(17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연결 브라켓(170)은 개구(18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181)는 제 2연결 브라켓(170)의 지지 바 결합부(176)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구(181)는 제 2연결 브라켓(170)의 지지 바 결합부(176)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은 지지 바(14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제 2연결 브라켓(170)의 개구(181)를 통해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블록(32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은 복수의 이동 블록(3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블록(321)은 스탠드(100)의 좌우방향(Y)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은 이동 블록(321)이 따라 움직이는 경사면(323)을 가지는 가이드 블록(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322)은 복수의 이동 블록(3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322)의 경사면(323)은, 이동 블록(321)과 이웃하는 가이드 블록(322)의 후단부(P)를 지나도록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L)에 대하여 가이드 블록(322)의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은 스탠드(100)의 후방에서 가이드 블록(322)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핀(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핀(324)은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가이드 블록(322)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핀(324)은 스탠드(100)의 후방에서 지지 바(140)의 후벽, 제 2연결 브라켓(170)의 후벽 및 가이드 블록(32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 2연결 브라켓(170)의 내면에 형성되는 핀 결합공(18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핀 결합공(182)은 제 2연결 브라켓(170)의 지지 바 결합부(176)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핀 결합공(182)은 우측 연결 브라켓(171)의 지지 바 결합부(176)의 내면 및 좌측 연결 브라켓(172)의 지지 바 결합부(176)의 내면 중 어느 하나의 돌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핀(324)에는 제 1나사산(324a)이 형성될 수 있고, 핀 결합공(182)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핀(324)의 제 1나사산(324a)에 대응하는 제 2나사산(182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핀(324)이 제 2연결 브라켓(170)의 핀 결합공(182)에 결합되는 경우, 가이드 핀(324)의 제 1나사산(324a)은 핀 결합공(182)의 제 2나사산(182a)에 치합될 수 있다.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은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동 방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은 스탠드(100)의 높이방향(Z)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유동 방지 유닛 및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유동 방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의 개수는 하나 이상이면 충분하고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스탠드(100)의 후방에서 제 2유동 방지 유닛(320)의 가이드 핀(324)을 가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공구는 육각 렌치를 포함할 수 있고, 공구는 가이드 핀(324)에 형성된 체결홈(325)에 체결될 수 있다. 공구가 가이드 핀(324)의 체결홈(325)에 체결된 상태에서 공구를 회전시키면, 가이드 핀(324)은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전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가이드 블록(322)은 가이드 핀(324)과 일체로 스탠드(100)의 전후방향(X)으로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가이드 블록(322)과 이웃하는 복수의 이동 블록(321)은 가이드 블록(322)의 경사면(323)을 따라 움직여 제 2연결 브라켓(170)의 개구(181)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제 2연결 브라켓(170)의 개구(181)를 통해 돌출된 복수의 이동 블록(321)은 지지 바(14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이동 블록(321)이 지지 바(140)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제 2연결 브라켓(170) 및 지지 바(140) 사이의 갭이 줄어들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모듈
11: 디스플레이 패널 12: 프레임
100: 스탠드 110: 베이스 어셈블리
120: 제 1베이스 120a: 우측 베이스
120b: 좌측 베이스 121: 바텀 아우터 프레임
121a: 하측벽 123: 탑 아우터 프레임
124: 이너 프레임 124a: 상측벽
125: 이동부재 관통공 126: 걸림부
127: 걸림홀 128: 결합 보스
129: 보스 결합공 130: 제 2베이스
130a: 베이스 바디 130b: 베이스 결합부
131: 상측벽 132: 측벽
133: 체결 보스 140: 지지 바
150: 거치대 160: 제 1연결 브라켓
161: 아우터 브라켓 161a: 측벽
162: 이너 브라켓 163: 고정부재
164: 제 1유동 방지 유닛 수용공간 165: 개구
166: 핀 결합공 166a: 제 2나사산
170: 제 2연결 브라켓 171: 우측 연결 브라켓
172: 좌측 연결 브라켓 173: 결합 돌기
174: 결합홈 175: 고정부재
176: 지지 바 결합부 177: 베이스 결합부
178: 연결부 179: 고정부재
180: 제 2유동 방지 유닛 안착부 181: 개구
182: 핀 결합공 182a: 제 2나사산
210: 제 1진동 감쇄 유닛 211: 이동부재
211a: 이탈 방지부 212: 탑 홀더
213: 바텀 홀더 214: 이동부재 수용부
215: 이동부재 결합공 216: 제 1탄성체
220: 제 2진동 감쇄 유닛 221: 회전부재
222: 회전부재 홀더 222a: 회전부재 안착부
222b: 샤프트 안착부 223: 회전 샤프트
224: 제 2탄성체 310: 제 1유동 방지 유닛
311: 이동 블록 312: 가이드 블록
313: 경사면 314: 가이드 핀
314a: 제 1나사산 315: 체결홈
320: 제 2유동 방지 유닛 321: 이동 블록
322: 가이드 블록 323: 경사면
324: 가이드 핀 324a: 제 1나사산
325: 체결홈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제 1베이스 및 상기 제 1베이스에 결합되는 제 2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셈블리;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지지 바;
    상기 제 1베이스에 설치되는 제 1진동 감쇄 유닛으로서, 상기 제 1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제 1진동 감쇄 유닛; 및
    상기 제 2베이스에 설치되는 제 2진동 감쇄 유닛으로서, 상기 제 2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에 이동성을 부여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제 2진동 감쇄 유닛;을 포함하는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이동부재를 홀딩하도록 상기 제 1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부재 홀더; 및
    상기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부재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베이스는,
    상기 이동부재가 관통하는 이동부재 관통공이 형성되는 바텀 아우터 프레임;
    상기 바텀 아우터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 1베이스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텀 아우터 프레임에 결합되는 탑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바텀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탑 아우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탠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 홀더는,
    상기 스탠드의 상방을 향하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측벽의 내면에 고정되는 탑 홀더;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측벽의 내면과 마주하는 상기 바텀 아우터 프레임의 하측벽의 내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상기 제 1탄성체가 수용되도록 상기 탑 홀더와 결합하며, 상기 이동부재가 결합되는 이동부재 결합공을 포함하는 바텀 홀더;를 포함하는 스탠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탄성체는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 1탄성체의 일 단부는 상기 탑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제 1탄성체의 타 단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스탠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베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 2베이스의 전방에 위치하는 스탠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베이스는 상기 스탠드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회전부재가 안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베이스에 결합되는 회전부재 홀더; 및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부재 홀더에 안착되고, 상기 스탠드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회전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제 2베이스의 상측벽과 상기 회전부재 홀더 사이에 설치되는 제 2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체는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 2탄성체의 일 단부는 상기 제 2베이스의 상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제 2탄성체의 타 단부는 상기 회전부재 홀더에 결합되는 스탠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와 상기 지지 바를 연결하도록 일 단부는 상기 거치대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 바에 결합되는 제 1연결 브라켓으로서, 개구를 가지는 제 1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 1연결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바 사이의 갭을 줄이도록 마련되는 제 1유동 방지 유닛으로서, 상기 지지 바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 1연결 브라켓의 개구를 통해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제 1유동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스탠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동 방지 유닛은,
    상기 이동 블록이 따라 움직이는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스탠드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의 후방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을 가압 가능한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는 스탠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스탠드의 후방에서 가압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여 상기 제 1연결 브라켓의 개구를 통해 돌출되는 스탠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 바를 연결하도록 일 단부는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지지 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 바에 결합되는 제 2연결 브라켓으로서, 개구를 가지는 제 2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 2연결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바 사이의 갭을 줄이도록 마련되는 제 2유동 방지 유닛으로서, 상기 지지 바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 2연결 브라켓의 개구를 통해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제 2유동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스탠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동 방지 유닛은,
    상기 이동 블록이 따라 움직이는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스탠드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의 후방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을 가압 가능한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는 스탠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스탠드의 후방에서 가압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여 상기 제 2연결 브라켓의 개구를 통해 돌출되는 스탠드.
  16. 영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거치되도록 마련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스탠드에 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 1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제 1베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2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셈블리;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지지 바;
    상기 복수의 제 1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으로서,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 1베이스의 하측벽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 및
    상기 제 2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으로서, 상기 스탠드의 높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에 이동성을 부여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스탠드의 좌우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의 외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베이스는,
    상기 지지 바를 지나도록 상기 스탠드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우측 베이스; 및
    상기 지지 바를 지나도록 상기 스탠드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 중 다른 하나가 설치되는 좌측 베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 1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이동부재를 홀딩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1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부재 홀더; 및
    상기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부재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베이스는 상기 스탠드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 2진동 감쇄 유닛은,
    상기 회전부재가 안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베이스에 결합되는 회전부재 홀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부재 홀더에 안착되고, 상기 스탠드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제 2베이스의 상측벽과 상기 회전부재 홀더 사이에 설치되는 제 2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04548A 2019-01-14 2019-01-14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8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48A KR102689703B1 (ko) 2019-01-14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7/419,121 US20220120330A1 (en) 2019-01-14 2019-03-21 Stand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CT/KR2019/003303 WO2020149455A1 (ko) 2019-01-14 2019-03-21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48A KR102689703B1 (ko) 2019-01-14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43A true KR20200088043A (ko) 2020-07-22
KR102689703B1 KR102689703B1 (ko) 2024-07-31

Family

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712A1 (ko) * 2022-08-11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712A1 (ko) * 2022-08-11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20330A1 (en) 2022-04-21
WO2020149455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20330A1 (en) Stand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193627B2 (en) Stand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7077747B2 (ja) ディスプレイホルダー
JPH10301095A (ja) 液晶表示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689703B1 (ko)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1777453A2 (en) Display device
JP4536099B2 (ja) テレビボード
JP3130870U (ja) 緩衝材を備えたスタンド付き表示装置
JP6562537B2 (ja) 仕切体、什器
KR202200789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00038536A (ko) 엘씨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엘씨디 모니터 장치
JP2009116189A (ja) 表示装置
KR200501093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523335B2 (ja) 表示装置
KR1015978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402048B2 (ja) 電子機器及び支持構造
JP4551358B2 (ja) 機器用スタンドおよび薄型テレビ
CN216718856U (zh) 显示装置
JP7348462B2 (ja) 感震式物品落下防止装置
JP6823278B1 (ja) 表示装置
KR202300992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249924A (ja) スタンド装置
KR20100034593A (ko) 엘씨디모니터용 컴퓨터책상
KR20060112110A (ko)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0710331B1 (ko)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