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713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713B1
KR102368713B1 KR1020200067966A KR20200067966A KR102368713B1 KR 102368713 B1 KR102368713 B1 KR 102368713B1 KR 1020200067966 A KR1020200067966 A KR 1020200067966A KR 20200067966 A KR20200067966 A KR 20200067966A KR 102368713 B1 KR102368713 B1 KR 102368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air
slider
bent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1321A (ko
Inventor
장준수
김흥수
박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71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05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integral with the apparatus or articles to be suppo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헤드; 상기 헤드를 지지하며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의 스탠드; 상기 헤드의 하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스텐드의 사이에 위치한 전장 박스; 상기 전장 박스의 양측에 결합되며 전후로 연장된 한 쌍의 제1레일; 상기 한 쌍의 스탠드에 결합되고 상기 제1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의 일 예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백라이트가 없고 응답 속도, 시야각 등에서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에 의해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탠드를 포함하지 않고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스탠드의 형상 또는 체결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디자인이 확연하게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 환경에 따라 전장 박스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헤드; 상기 헤드를 지지하며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의 스탠드; 상기 헤드의 하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스텐드의 사이에 위치한 전장 박스; 상기 전장 박스의 양측에 결합되며 전후로 연장된 한 쌍의 제1레일; 상기 한 쌍의 스탠드에 결합되고 상기 제1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슬라이더의 양측에는 한 쌍의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며 상기 스토퍼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복수개의 구속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더에 체결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 벤딩되는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에서 상기 구속홀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구속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벤딩부가 벤딩되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은,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박스의 양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레일이 수용되는 한 쌍의 제1레일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탠드에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이 수용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레일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레일 수용홈은 전방에 대해 폐쇄되고 후방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구속홀이 형성된 패널; 상기 패널의 양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한 쌍의 제1절곡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절곡부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2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사이에 위치한 본체; 상기 패널와 상기 제2절곡부 사이에 위치한 이너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절곡부의 사이를 통해 상기 본체와 상기 이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너부에 체결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 벤딩되는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에서 상기 구속홀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구속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와 상기 이너부의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에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의 사이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박스는, 상기 제1레일과 함께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1레일 및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에 대한 전장 박스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다. 이로써, 전장 박스가 콘센트 및 그에 연결된 케이블을 전방에서 가릴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이 깔끔해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에 구비된 한 쌍의 스토퍼는 각 레일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속홀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장 박스가 설치 위치에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의 벤딩부가 탄성 변형되므로, 스토퍼의 걸림홀이 구속홀에 대해 용이하게 구속/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별도의 작업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장 박스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의 벤딩부와 슬라이더의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므로, 상기 벤딩부가 슬라이더와 간섭하지 않고 원활하게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의 벤딩부가 벤딩되면, 벤딩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슬라이더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벤딩부의 벤딩 동작이 가이드될 수 있고, 벤딩부의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및 제2레일은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헤드가 벽에 기대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전장 박스에는 제1레일이 수용되는 제1레일 수용홈이 형성되고 스탠드에는 제2레일이 수용되는 제2레일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전방에서 제1,2레일이 보이지 않아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2레일이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제1레일 수용홈은 후방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이로써, 전장 박스 및 제1레일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 및 제2레일에 대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박스와 스탠드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 제2레일 및 커넥터 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커넥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11)를 갖는 헤드(10)와, 상기 헤드(1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에 연결된 전장 박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1)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10)는 대략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헤드(10)의 둘레는 가로로 연장된 한 쌍의 장변과, 세로로 연장된 한 쌍의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은, 헤드(20)가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21)과, 상기 장착 프레임(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스탠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프레임(21)은 환형일 수 있으며, 헤드(2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한 쌍의 스탠드(22)는 헤드(20) 및 장착 프레임(21)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탠드(22)는 장착 프레임(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스탠드(22)는 장착 프레임(21)과 별도로 형성되어 장착 프레임(21)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 쌍의 스탠드(22)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탠드(22)는 린 스탠드(lean stand)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22)는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10)의 배면이 벽(W)에 기대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스탠드(22)와 벽(W) 사이의 전후 거리는 하측으로 갈수록 멀어질 수 있다.
전장 박스(30)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0)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장 부품은 셋톱 박스(Set-top-box), 와이파이 공유기 등과 같은 통신 모듈, 프로세서가 구비된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 박스(30)는 헤드(10)의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전장 박스(30)는 한 쌍의 스탠드(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장 박스(30)의 수평 방향 길이는 한 쌍의 스탠드(2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전장 박스(30)의 양측은 후술할 제1레일(40), 제2레일(50) 및 커넥터(60)(도 3 참조)에 의해 한 쌍의 스탠드(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장 박스(30)는 전후 방향 및 상기 스탠드(22)의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전장 박스(30)는 2 자유도(degree of freedom)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장 박스(3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전장 박스(30)가 벽(W)에 구비된 콘센트(WC)를 전방에서 가리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콘센트(WC) 및 상기 콘센트(WC)와 상기 전장 박스(30)를 연결하는 케이블(미도시)이 전방에 대해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박스와 스탠드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장 박스(30)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제1레일(40)과, 한 쌍의 스탠드(22)에 결합된 한 쌍의 제2레일(50)과, 제1레일(40) 및 제2레일(5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커넥터(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레일(40)은 전후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레일(40)는 전장 박스(30)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전장 박스(30)는 제1레일(40)과 함께 커넥터(60)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1레일(40)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구속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구속홀(44)은 전장 박스(30)의 전후 방향에 대한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넥터(60)의 후술할 제1스토퍼(80)는 제1레일(40)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속홀(44) 중 일 구속홀(44)에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장 박스(30) 및 제1레일(40)은 전후 방향에 대해 커넥터(60)에 구속될 수 있고, 상기 일 구속홀(44)의 위치에 따라 전장 박스(30)의 설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스토퍼(80)를 일 구속홀(44)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전장 박스(30) 및 제1레일(40)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제1스토퍼(80)는 타 구속홀(44)에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장 박스(30)의 전후 방향에 대한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장 박스(3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제1레일(40)이 수용되는 한 쌍의 제1레일 수용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레일 수용홈(31)은 전후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레일 수용홈(31)은 전방에 대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레일 수용홈(31)에 수용된 제1레일(40)은 전방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레일 수용홈(31)은 후방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장 박스(30) 및 제1레일(40)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커넥터(60)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2레일(50)은 제1레일(4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레일(50)은 스탠드(2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레일(50)은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레일(50)는 전장 박스(30)의 상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전장 박스(30)는 제1레일(40) 및 커넥터(60)와 함께 제2레일(50)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레일(50)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구속홀(5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구속홀(54)은 전장 박스(3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넥터(60)의 후술할 제2스토퍼(90)는 제2레일(50)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속홀(54) 중 일 구속홀(54)에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장 박스(30), 제1레일(40) 및 커넥터(70)는 상하 방향에 대해 제2레일(60)에 구속될 수 있고, 상기 일 구속홀(54)의 위치에 따라 전장 박스(30)의 설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2스토퍼(90)를 일 구속홀(54)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전장 박스(30), 제1레일(40) 및 커넥터(60)를 제2레일(50)에 대해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제2스토퍼(90)는 타 구속홀(54)에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장 박스(30)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탠드(22)에는 제2레일(50)이 수용되는 제2레일 수용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레일 수용홈(23)은 제2레일(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탠드(22)에 형성된 한 쌍의 제2레일 수용홈(23)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2레일(50)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한편, 커넥터(60)는 슬라이더(70)와, 슬라이더(70)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스토퍼(80)(9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70)는 제1레일(40) 및 제2레일(50)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80)(90)는 슬라이더(7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80)(90)는 제1레일(40)의 구속홀(44)에 구속되는 제1스토퍼(80)와, 제2레일(50)의 구속홀(54)에 구속되는 제2스토퍼(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 제2레일 및 커넥터 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커넥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레일(40)은, 복수개의 구속홀(44)이 형성된 패널(41)과, 패널(41)의 양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한 쌍의 제1절곡부(42)와, 한 쌍의 제1절곡부(42)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2절곡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41)은 전후로 길게 연장되며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패널(41)은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복수개의 구속홀(44)은 패널(4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절곡부(42)는 제1레일(40)의 상면 및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절곡부(42)는, 패널(41)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에서 절곡될 수 있다. 제1절곡부(42)는 패널(4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평할 수 있다. 제1절곡부(42)는 제1레일 수용홈(31)의 외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절곡부(43)는 상하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절곡부(43)는 제1절곡부(42)의 가장자리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절곡부(43)는 패널(4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직할 수 있다.
제1스토퍼(80)는 제1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슬라이더(70)는 제1레일(40)의 한 쌍의 제2절곡부(43)의 사이를 통해 제1스토퍼(8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절곡부(43)는 슬라이더(70)를 상하 방향에 대해 구속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레일(50)은, 복수개의 구속홀(54)이 형성된 패널(51)과, 패널(51)의 양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한 쌍의 제1절곡부(52)와, 한 쌍의 제1절곡부(52)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2절곡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51)은 상하 방향, 좀 더 상세히는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는 경사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패널(51)은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복수개의 구속홀(54)은 패널(5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절곡부(52)는 제2레일(50)의 전면 및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절곡부(52)는, 패널(51)의 전방측 및 후방측 가장자리에서 절곡될 수 있다. 제1절곡부(52)는 패널(5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따. 제1절곡부(52)는 제2레일 수용홈(23)의 외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절곡부(53)는 전후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절곡부(53)는 제2절곡부(52)의 가장자리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절곡부(53)는 패널(5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스토퍼(90)는 제2레일(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슬라이더(70)는 제2레일(50)의 한 쌍의 제2절곡부(53)의 사이를 통해 제1스토퍼(9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절곡부(53)는 슬라이더(70)를 전후 방향에 대해 구속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슬라이더(7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슬라이더(70)는 본체(71)와, 제1이너부(72a)와, 제2이너부(72b)와, 제1연결부(73a)와, 제2연결부(73b)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7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71)는 제1레일(40) 및 제2레일(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71)는 대략 수직 판형일 수 있다.
본체(71)는 전장 박스(30)의 제1레일 수용홈(31) 내에 위치한 제1본체(71a)와, 스탠드(22)의 제2레일 수용홈(23) 내에 위치한 제2본체(7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본체(71a) 및 제2본체(71b)는 서로 단차진 판형일 수 있다.
따라서, 본체(71)가 전장 박스(30) 및 스탠드(22)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전장 박스(30) 및 스탠드(22) 사이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에서 슬라이더(70)의 본체(71)가 보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이너부(72a)는 제1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이너부(72a)는 제1스토퍼(80)와 체결될 수 있다.
제1이너부(72a)는 제1레일(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이너부(72a)는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이너부(72a)는 제1레일(40)의 패널(41)와 제2절곡부(4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이너부(72a)의 단면은 대략 'ㄱ'자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이너부(72a)는 제1본체(71a)와 나란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가장자리에서 제1레일(40)의 패널(41)를 향해 절곡된 수평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판은 제1레일(40)의 제1절곡부(42)에 인접할 수 있다.
제1본체(71a)와 제1이너부(72a)의 사이에는 제1레일(40)의 제2절곡부(43)가 삽입되는 홈(74a)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기 홈(74a)은 제1이너부(72a)의 수직판과 제1본체(71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73a)는, 제1레일(40)의 한 쌍의 제2절곡부(43)의 사이를 통해 제1본체(71a)와 제1이너부(72a)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부(73a)는 제1레일(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연결부(73a)는 제1본체(71a)와 한 쌍의 제1이너부(72a)를 연결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연결부(73a)는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연결부(73a)의 사이에는 제1스토퍼(80)의 후술할 돌출부(84)가 삽입되는 삽입홈(75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너부(72b)는 제2레일(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이너부(72b)는 제2스토퍼(90)와 체결될 수 있다.
제2이너부(72b)는 제2레일(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이너부(72b)는 전후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이너부(72b)는 제2레일(50)의 패널(51)와 제2절곡부(5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이너부(72b)의 단면은 대략 'ㄱ'자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이너부(72b)는 제2본체(71b)와 나란한 제1판과, 상기 제1판의 가장자리에서 제2레일(50)의 패널(51)를 향해 절곡된 제2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판은 제2레일(50)의 제1절곡부(52)에 인접할 수 있다.
제2본체(71b)와 제2이너부(72b)의 사이에는 제2레일(50)의 제2절곡부(53)가 삽입되는 홈(74b)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기 홈(74b)은 제2이너부(72b)의 수직판과 제2본체(71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73b)는, 제2레일(50)의 한 쌍의 제2절곡부(53)의 사이를 통해 제2본체(71b)와 제2이너부(72b)를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부(73b)는 제2레일(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연결부(73b)는 제2본체(71b)와 한 쌍의 제2이너부(72b)를 연결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연결부(73b)는 전후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연결부(73b)의 사이에는 제2스토퍼(90)의 후술할 돌출부(94)가 삽입되는 삽입홈(7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1스토퍼(8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1스토퍼(80)는 체결부(81)와, 벤딩부(82)와, 걸림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토퍼(80)는 돌출부(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81)는 슬라이더(70)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체결부(81)는 슬라이더(70)의 제1이너부(72a)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81)는 제1이너부(72a)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C)는, 체결부(81)에 형성된 관통공(81a)을 관통하여 제1이너부(72a)에 형성된 체결공(76)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C)의 헤드는 체결부(81)에 대해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81)에 형성된 관통공(81a)은 내둘레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81)는 한 쌍의 제1이너부(72a)를 연결하는 판형일 수 있다. 체결부재(C)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부재(C) 중 일부는 체결부(81)를 어느 하나의 제1이너부(72a)에 체결시킬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체결부(81)를 다른 하나의 제1이너부(72a)에 체결시킬 수 있다.
벤딩부(82)는 체결부(81)에서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 벤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벤딩부(82)는 체결부(81)에서 제1레일(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벤딩부(82)는 체결부(81)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스토퍼(80)의 전방에서 벤딩부(82)를 벤딩시킬 수 있다.
걸림부(83)는, 벤딩부(82)에서 제1레일(40)의 구속홀(44)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상기 구속홀(44)에 삽입되어 제1레일(4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걸릴 수 있다.
벤딩부(82)가 변형되지 않으면 걸림부(83)는 제1레일(40)의 구속홀(44)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벤딩부(82)가 슬라이더(70)를 향해 탄성 변형되면 걸림부(83)는 제1레일(40)의 구속홀(44)에서 이탈할 수 있다.
벤딩부(82)와 슬라이더(70)의 사이, 좀 더 상세히 벤딩부(82)와 제1이너부(72a)의 사이에는 갭(g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부(82)는 제1이너부(72a)와 간섭되지 않고 탄성 벤딩될 수 있다.
돌출부(84)는, 벤딩부(82)에서 슬라이더(7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돌출부(84)는 걸림부(83)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84)는 슬라이더(70)의 한 쌍의 제1연결부(73a)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75a)으로 삽입될 수 있다. 벤딩부(82)가 탄성 변형되면, 돌출부(84)는 슬라이더(70)의 삽입홈(75a)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84)의 폭은 삽입홈(75a)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84)는 삽입홈(75a)의 사이에 피팅될 수 있다. 이로써, 벤딩부(82)의 탄성 벤딩이 가이드될 수 있고, 벤딩부(82)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2스토퍼(9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2스토퍼(90)는 체결부(91)와, 벤딩부(92)와, 걸림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토퍼(80)는 돌출부(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91)는 슬라이더(70)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체결부(91)는 슬라이더(70)의 제2이너부(72b)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91)는 제2이너부(72b)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C)는, 체결부(91)에 형성된 관통공(91a)을 관통하여 제2이너부(72b)에 형성된 체결공(76)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C)의 헤드는 체결부(91)에 대해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91)에 형성된 관통공(91a)은 내둘레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91)는 한 쌍의 제2이너부(72b)를 연결하는 판형일 수 있다. 체결부재(C)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부재(C) 중 일부는 체결부(91)를 어느 하나의 제2이너부(72b)에 체결시킬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체결부(91)를 다른 하나의 제2이너부(72b)에 체결시킬 수 있다.
벤딩부(92)는 체결부(91)에서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 벤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벤딩부(92)는 체결부(91)에서 제2레일(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벤딩부(92)는 체결부(91)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스토퍼(90)의 상방에서 벤딩부(92)를 벤딩시킬 수 있다.
걸림부(93)는, 벤딩부(92)에서 제2레일(50)의 구속홀(54)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상기 구속홀(54)에 삽입되어 제2레일(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걸릴 수 있다.
벤딩부(92)가 변형되지 않으면 걸림부(93)는 제2레일(50)의 구속홀(54)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벤딩부(92)가 슬라이더(70)를 향해 탄성 변형되면 걸림부(93)는 제2레일(50)의 구속홀(54)에서 이탈할 수 있다.
벤딩부(92)와 슬라이더(70)의 사이, 좀 더 상세히 벤딩부(92)와 제2이너부(72b)의 사이에는 갭(g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부(89)는 제2이너부(72b)와 간섭되지 않고 탄성 벤딩될 수 있다.
돌출부(94)는, 벤딩부(92)에서 슬라이더(7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돌출부(94)는 걸림부(93)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94)는 슬라이더(70)의 한 쌍의 제2연결부(73b)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75b)으로 삽입될 수 있다. 벤딩부(92)가 탄성 변형되면, 돌출부(94)는 슬라이더(70)의 삽입홈(75b)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94)의 폭은 삽입홈(75b)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94)는 삽입홈(75b)의 사이에 피팅될 수 있다. 이로써, 벤딩부(92)의 탄성 벤딩이 가이드될 수 있고, 벤딩부(92)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제1레일(40), 제2레일(50) 및 커넥터(6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는 전장 박스(30)를 제1레일(4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전장 박스(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스토퍼(80)의 걸림부(83)가 제1레일(40)의 일 걸림홀(44)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스토퍼(80)의 벤딩부(82)를 벤딩시켜 상기 걸림부(83)를 상기 일 걸림홀(44)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제1스토퍼(80)의 벤딩부(82)가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장 박스(30)를 제1레일(40)과 함께 커넥터(60)에 대해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레일(40)의 제2절곡부(43)는 좌우 방향에 대해 슬라이더(70)의 제1본체(71a)와 제1이너부(72a)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1레일(40)은 슬라이더(70)에 제1레일(40)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작업자는 전장 박스(3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스토퍼(80)의 벤딩부(82)를 릴리즈할 수 있고, 벤딩부(8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83)가 제1레일(40)의 타 걸림홀(44)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전장 박스(30)를 제2레일(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전장 박스(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스토퍼(90)의 걸림부(93)가 제2레일(50)의 일 걸림홀(54)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2스토퍼(90)의 벤딩부(92)를 벤딩시켜 상기 걸림부(93)를 상기 일 걸림홀(54)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제2스토퍼(90)의 벤딩부(92)가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장 박스(30)를 제1레일(40) 및 커넥터(60)과 함께 제2레일(50)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레일(50)의 제2절곡부(53)는 좌우 방향에 대해 슬라이더(70)의 제2본체(71b)와 제2이너부(72b)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슬라이더(70)는 제2레일(50)에 대해 제2레일(50)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작업자는 전장 박스(3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2스토퍼(90)의 벤딩부(92)를 릴리즈할 수 있고, 벤딩부(9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93)가 제2레일(50)의 타 걸림홀(54)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스크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탠드(22)에 대한 전장 박스(30)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헤드 11: 디스플레이
20: 지지 프레임 21: 장착 프레임
22: 스탠드 30: 전장 박스
40: 제1레일 50: 제2레일
60: 커넥터 70: 슬라이더
80: 제1스토퍼 90: 제2스토퍼

Claims (15)

  1. 디스플레이를 갖는 헤드;
    상기 헤드를 지지하며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의 스탠드;
    상기 헤드의 하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스텐드의 사이에 위치한 전장 박스;
    상기 전장 박스의 양측에 결합되며 전후로 연장된 한 쌍의 제1레일;
    상기 한 쌍의 스탠드에 결합되고 상기 제1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각 슬라이더의 양측에는 한 쌍의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며 상기 스토퍼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복수개의 구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더에 체결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 벤딩되는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에서 상기 구속홀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구속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벤딩부가 벤딩되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은,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박스의 양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레일이 수용되는 한 쌍의 제1레일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탠드에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이 수용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레일 수용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레일 수용홈은 전방에 대해 폐쇄되고 후방에 대해 개방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구속홀이 형성된 패널;
    상기 패널의 양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한 쌍의 제1절곡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절곡부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사이에 위치한 본체;
    상기 패널와 상기 제2절곡부 사이에 위치한 이너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절곡부의 사이를 통해 상기 본체와 상기 이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너부에 체결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 벤딩되는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에서 상기 구속홀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구속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와 상기 이너부의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에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의 사이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박스는,
    상기 제1레일과 함께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1레일 및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67966A 2020-06-05 2020-06-05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966A KR102368713B1 (ko) 2020-06-05 2020-06-05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966A KR102368713B1 (ko) 2020-06-05 2020-06-0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321A KR20210151321A (ko) 2021-12-14
KR102368713B1 true KR102368713B1 (ko) 2022-02-28

Family

ID=7893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966A KR102368713B1 (ko) 2020-06-05 2020-06-0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7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204462U (zh) * 2018-04-12 2018-12-07 泰州汇锦电子有限公司 一种可扩大支撑面积的电视机支架装置
CN208457498U (zh) * 2018-06-28 2019-02-01 北京兆维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光源角度调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0273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스탠드를 스피커박스로 사용 가능한 평판디스플레이장치
KR101040999B1 (ko) * 2009-08-31 2011-06-16 신경철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204462U (zh) * 2018-04-12 2018-12-07 泰州汇锦电子有限公司 一种可扩大支撑面积的电视机支架装置
CN208457498U (zh) * 2018-06-28 2019-02-01 北京兆维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光源角度调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321A (ko)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4702B2 (en) KVM switch, mounting bracket and system
CN109996103B (zh) 显示设备
US20160308313A1 (en) Cage assembly
US7918428B2 (en) Suppor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TWI583331B (zh) 用於機架系統的滑軌總成
US20090294393A1 (en) Slide assembly for a rack
US20140211440A1 (en) Cabinet for thin display device and thin display device
US20210212460A1 (en) Connection device
US9095042B2 (en) Display apparatus
KR10236871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265641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10853017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multiple displays
KR202100032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0381693B (zh) 用于机架的滑轨安装配件总成
CN110770493B (zh) 托件
WO2020137333A1 (ja) 支持体および表示装置
JP5997429B2 (ja)
US11347278B2 (en) Display device
US84671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ponent
JP2013010461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ディスプレイチルト調整部品
US8059413B2 (en) Computer housing
JP2018182110A (ja) 電子機器の取付構造
JP2023048015A (ja) 電子機器
JP6651248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箱
JP3073770U (ja) キャビネットおよびビデ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