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500A -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500A
KR20070029500A KR1020050084362A KR20050084362A KR20070029500A KR 20070029500 A KR20070029500 A KR 20070029500A KR 1020050084362 A KR1020050084362 A KR 1020050084362A KR 20050084362 A KR20050084362 A KR 20050084362A KR 20070029500 A KR20070029500 A KR 2007002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groove
screen
hole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광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8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9500A/ko
Publication of KR2007002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하방이 개방된 한 쌍의 개방홀이 배면에 형성되는 스크린과; 상기 개방홀에 삽입되어 스크린과 결합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하단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원형의 조절홈이 상측에 형성되고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를 통해, 두께가 얇고 대화면을 갖는 스크린이 한 쌍의 지지바가 받침부에 고정 설치되더라도, 상기 지지바가 받침부에서 조절홈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스크린의 좌우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디스플레이 장치, 회전, 스크린, 각도 조절, 스프링, 스탠드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A STAND STRUCTURE FOR ROTATION IN A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에 구비된 조절구가 조절홈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에 구비된 조절구가 고정홈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스크린 30 : 지지바
31 : 고정돌기 40 : 받침부
41 : 조절홈 42 : 고정홈
50 : 탄성부재 52 : 조절구
53 : 관통홀 54 : 고정핀
본 발명은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바가 지면에 안착된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스크린의 좌우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모니터, 텔레비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각도 조절을 위해 다양한 각도조절장치가 제안되었는바, 이들 중에서 한국공개번호 제1999-1797호는 LCD 모니터 스탠드의 결합영역에 힌지부를 마련하여 모니터의 상하 및 좌우 방향 스위블(swivel) 동작을 일체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힌지부를 이용한 각도조절장치는 힌지부 자체의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고, 기능성만을 고려한 제품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시각적인 외관의 품위가 저하되어 효과적인 수요증대를 창출하는데 다소 한계가 있다.
또한, 힌지부 자체에서 상하 및 좌우 회전을 동시에 구현하기 때문에 힌지부 자체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두께가 얇으면서 대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면에 설치하거나 별도의 스탠드에 의해 지면에 안착된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1)의 배면에는 하방이 개방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스탠드(12)가 삽입되되, 상기 스탠드(12)와 스크린(11)은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12)는 지면에 안착되되 상기 스크린(11)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면적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한 스탠드는 스크린에 나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 자체의 회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스크린의 회전을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를 들어서 이동을 시켜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체 회전이 가능한 스탠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방이 개방된 한 쌍의 개방홀이 배면에 형성되는 스크린과; 상기 개방홀에 삽입되어 스크린과 결합하는 지지바 와; 상기 지지바의 하단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원형의 조절홈이 상측에 형성되고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회전 구조는 두께가 얇고 대화면을 갖는 스크린이 한 쌍의 지지바가 받침부에 고정 설치되더라도, 상기 지지바가 받침부에서 조절홈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스크린의 좌우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에 구비된 조절구가 조절홈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에 구비된 조절구가 고정홈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0)의 배면에는 한 쌍의 개방홀(21)이 형성되는데, 상기 개방홀(21)이 하방이 개방된다.
상기 개방홀(21)에는 지지바(30)가 삽입되어 볼팅 결합하는데, 상기 지지바(30)의 하단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40)가 결합한다.
상기 받침부(40)는 상기 지지바(30)의 하단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원형의 조절홈(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30)는 받침부(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는데, 일예 로, 상기 조절홈(41)의 상부에는 걸림턱(4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30)의 하단에는 상측이 걸림턱(43)에 걸리기 위해 외경이 확장된 고정돌기(3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스탠드는 좌우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조절홈(41)의 저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홈(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30)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홈(42)에 삽입 가능한 탄성부재(5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일예로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지지바(30)의 하단면에 장착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51)에는 상기 조절홈(41)을 따라 회전하면서 지지바(30)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조절구(52)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52)가 탄성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구(52)와 장착홈(51) 사이, 즉 상기 조절구(52)의 상부에는 스프링(5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장착홈(51)에서 조절구(5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구(52)에는 관통홀(53)이 형성되고, 고정핀(54)이 상기 관통홀(53)을 관통한다.
상기 고정핀(54)은 양단이 장착홈(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조절구(52)가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절구(52)가 스프링(53)에 의해 상하 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53)은 고정핀(54)의 외경보다 크도록 설계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지지바(30)의 고정돌기(31) 상측이 바닥면에 안착된 받침부(40)의 걸림턱(43)에 걸리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크린(20)이나 지지바(30)를 잡고 좌우 회전을 시키면, 지지바(30)의 하단부는 받침부(40)의 원형 조절홈(41) 내부를 따라 회전 가능하여 스크린(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홈(41) 저면에 다수의 고정홈(42)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30)의 하단에 형성된 탄성부재(50)가 조절홈(41)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고정홈(4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크린(20)의 회전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50)의 조절구(52) 및 수축되지 않은 스프링(53)의 설치 길이가 장착홈(51)과 조절홈(41) 사이의 간격 보다 길도록 설계하면, 상기 조절구(52)는 스프링(53)을 압축시키면서 조절홈(41)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52)가 고정홈(42)에 위치하면 스프링(5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조절구(52)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홈(42)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스크린(20)은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절구(52)가 고정홈(42)에서 이탈 가능한 회전력을 주면, 상기 조절구(52)는 고정홈(42)에서 이탈되어 조절홈(41)을 따라 회전하다가 인접한 고정홈(42)에 삽입되는바,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지에 따른 스크린(20)의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조절구(52)는 장착홈(51)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 하게 장착되어야 되는바, 상기 조절구(52) 내부에는 관통홀(5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3)을 관통하는 고정핀(54)이 장착홈(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54)은 자체 탄성을 가지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조절구(52)는 장착홈(51)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조절구(52)의 이탈방지를 위한 다른 실시예로, 고정핀(54)이 상기 장착홈(51)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조절구(52)의 관통홀(53) 직경이 상기 고정핀(54)의 직경보다 크도록 하면, 상기 관통홀(53)과 고정핀(54)의 유격에 의해 상기 조절구(52)는 장착홈(51)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는 스크린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바가 받침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지지바가 받침부에서 회전을 함으로써, 스크린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지지바에 형성된 탄성부재가 받침부에 형성된 조절홈 및 고정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특정 위치에 선택 고정 가능하여, 스크린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하방이 개방된 한 쌍의 개방홀이 배면에 형성되는 스크린과;
    상기 개방홀에 삽입되어 스크린과 결합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하단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원형의 조절홈이 상측에 형성되고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하단에는 상측이 걸림턱에 걸리기 위해 외경이 확장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의 저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 가능한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바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조절홈을 따라 회전하여 지지바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조절구와;
    상기 조절구와 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고정핀의 양단이 장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고정핀의 외경보다 커 조절구가 유격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KR1020050084362A 2005-09-09 2005-09-09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KR20070029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362A KR20070029500A (ko) 2005-09-09 2005-09-09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362A KR20070029500A (ko) 2005-09-09 2005-09-09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500A true KR20070029500A (ko) 2007-03-14

Family

ID=3810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362A KR20070029500A (ko) 2005-09-09 2005-09-09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95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482B1 (ko) * 2012-05-03 2014-01-27 삼현테크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14542884A (zh) * 2022-03-08 2022-05-27 杜剑波 一种基于计算机系统的可实现动态视觉追踪的监控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482B1 (ko) * 2012-05-03 2014-01-27 삼현테크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14542884A (zh) * 2022-03-08 2022-05-27 杜剑波 一种基于计算机系统的可实现动态视觉追踪的监控设备
CN114542884B (zh) * 2022-03-08 2024-01-23 杜剑波 一种基于计算机系统的可实现动态视觉追踪的监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8195U (ja) モニター支持装置
KR100743746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CN105556589B (zh) 一种击鼓装置
EP1626223B1 (en) Mount for image display apparatus
JP5783483B2 (ja) 旋回可能に保持された仕切り要素の変位装置及び家具製品
KR10125356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US20070023599A1 (en) Adjustable display mount apparatus and system
AU2006255679A1 (en) Self-balancing adjustable mounting system with friction adjustment
WO2008113860A2 (en) Flat-screen monitor support
KR101729484B1 (ko) 링크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JP2009533703A (ja) モニター支持アーム
JP4472144B2 (ja) ディスプレイモニター
KR101701558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070029500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KR20100012517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US7891887B1 (en) Camera stand
WO2006033494A1 (en) An angle regulating apparatus of a display device
KR10135348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GB2467614A (en) Camera stand with ball joint
KR20050122869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회전구조
JP3735801B2 (ja) ヒンジ装置
KR1008385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회전용 스탠드
KR101334764B1 (ko)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KR200354170Y1 (ko) 모니터 지지장치
KR100607207B1 (ko) 벽걸이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