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802B1 - 차량용 터치디스플레이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터치디스플레이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802B1
KR102449802B1 KR1020200125704A KR20200125704A KR102449802B1 KR 102449802 B1 KR102449802 B1 KR 102449802B1 KR 1020200125704 A KR1020200125704 A KR 1020200125704A KR 20200125704 A KR20200125704 A KR 20200125704A KR 102449802 B1 KR102449802 B1 KR 10244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play
slider
knob
leaf spr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2648A (ko
Inventor
송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to KR1020200125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8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60K37/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B60K2370/1438
    • B60K2370/1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면모드를 표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와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형상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입력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된 노브; 상기 노브와 연결된 슬라이더; 상기 노브가 회전가능토록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 이동가능토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좌우로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 기구가 배치되어,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의 화면모드 전환 및 메뉴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터치디스플레이 조작장치 {TOUCH DISPLAY OPERA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반 입력 장치의 주요 인터페이스를 물리 인터페이스로 구성하며,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적절한 조작감을 부여하고, 다양한 방식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차량용 터치디스플레이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차량의 설치되는 터치 디스플레이는 네비게이션과 차량 공조 시스템,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형태의 화면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그 디스플레이 사이즈 또한 점차 커지고 있으며, 센터페시아 뿐만 센터 콘솔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많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적용으로 가상 버튼이나 가상 다이얼의 적용이 증가하면서 물리 조작계(예컨대, 버튼이나 다이얼)의 개수도 감소하고 있다.
그런데,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는 가상 버튼이나 가상 다이얼은 평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물리 조작계에 비해 조작감이 떨어질 뿐 아니라 터치 오인식으로 인해 사용성에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편의성과 미관을 유지하면서도 물리 조작계의
장점은 그대로 가져갈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 디스플레이와 입력부의 마찰면적을 최소화하는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노브의 이동과 복원에 최적화된 구조를 갖는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노브의 위치에 따라 터치디스플레이의 화면 모드가 전환되는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는,
화면모드를 표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와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형상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입력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된 노브;
상기 노브와 연결된 슬라이더;
상기 노브가 회전가능토록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 이동가능토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좌우로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 기구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 바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기구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이 각각 권취되는 스프링 케이싱을 구비하는 한 쌍의 롤러형 스프링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의 자유단과 상기 슬라이더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의 자유단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저면에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형 스프링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패널 각각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케이싱에는 상기 장공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패널의 양단부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판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슬라이더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홀더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판스프링과 결합되는 후크부재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터치 디스플레이와 입력부 간의 마찰 면적을 최소화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및 입력부의 상호 훼손을 방지하고, 노브의 회전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롤러형 스프링과 홀더가 구비되어, 노브의 자유로운 이동 및 복원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노브에 의해 터치 디스플레이의 화면모드 전환과 메뉴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가 적용된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롤러형 스프링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노브의 저면도이다.
도 6은 (a)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위치할 때, (b)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의 좌측에 위치할 때, (c)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 우측에 위치할 때,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의 제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a)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위치할 때, (b)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의 좌측에 위치할 때, (c)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 우측에 위치할 때,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환되는 화면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가 적용된 제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롤러형 스프링의 평면도, 도 5는 노브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는, 화면 모드를 표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10), 터치 디스플레이(10)와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21)가 저면에 형성되고, 터치디스플레이(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한 노브(20) 및 노브(20)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고, 터치 디스플레이(10) 상에서 직선 이동가능토록 배치된 슬라이더(30) 및 터치 디스플레이(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슬라이더(30)가 직선 이동가능토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0)을 포함한다.
터치 디스플레이(10)는 상면 배치되는 터치패널(11)과; 터치 디스플레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1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노브(20)의 입력부(21)와 터치패널(11)의 상면이 접촉하여, 입력부(21)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하우징(12)은 터치패널(11)을 고정시키고, 터치 디스플레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노브(20)는 중심부가 관통된 환형으로 형성되며, 터치 디스플레이(10)의 상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부(21)는 터치 패널(11)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노브(20)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2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노브(20)가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입력부(21)가 터치 패널(11)에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부(21)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형상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21)와 터치 패널(11)이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되어 노브(20)의 회전 및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소음과, 입력부(21)와 터치 패널(11)의 상호훼손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노브(20)의 회전력이 향상되어 사용자에게 향상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노브(20)와 연결되는 지지 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2)는 일측이 노브(20)와 연결되어 노브(20)를 회전가능토록 지지하고, 타측이 슬라이더(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30)는 노브(20)-지지 플레이트(22)-슬라이더(30) 순으로 연결된 일체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직선이동 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2)는 노브(20)가 터치 디스플레이(10)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중앙부에 계단식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한 쌍의 슬라이드홀(32)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슬라이딩 바(46)가 한 쌍의 슬라이드홀(32)에 삽입되어 슬라이더(30)의 좌우이동을 안내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0)는 하면 중앙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한 쌍의 슬라이더 돌기(3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판스프링(53)의 형성된 홈(54)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더(30)는 좌우로 이동된 슬라이더(3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며, 슬라이더(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롤러형 스프링(50a) 및 제 2 롤러형 스프링(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롤러형 스프링(50a)은 슬라이더(30)의 하부 좌측에 배치되며, 탄성부재인 제 1 판스프링(53a)과, 제 1 판스프링(53a)이 권취되는 제 1 롤러 스프링 케이싱(5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판스프링(53a)은 우측으로 이동된 슬라이더(3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며, 한 쌍의 슬라이더 돌기(31)가 형성된 방향, 즉 슬라이더(30)의 내측 중앙 방향으로 자유단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판스프링(53a)의 자유단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 돌기(31)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 1 홈(54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스프링 케이싱(51a)은 중앙부에 제 1 판스프링(53a)이 권취되며, 양측면에 소정거리 돌출된 제 1 돌기(5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롤러형 스프링(50a)은 슬라이더(30)의 하부 우측에 배치되며, 탄성부재인 제 2 판스프링(53b)과, 제 2 판스프링(53b)이 권취되는 제 2 롤러 스프링 케이싱(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판스프링(53b)은 좌측으로 이동된 슬라이더(3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며, 한 쌍의 슬라이더 돌기(31)가 형성된 방향, 즉 슬라이더(30)의 내측 중앙 방향으로 자유단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판스프링(53b)의 자유단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 돌기(31)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제 2 홈(54b)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스프링 케이싱(51b)은 중앙부에 제 2 판스프링(53b)이 권취되며, 양측면에는 소정거리 돌출된 제 2 돌기(52b)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40)은, 가이드레일(40)의 외관을 구성하는 한 쌍의 패널(41), 연결판(44) 및 슬라이딩 바(46)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바(46)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더(40)의 양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홀(32)에 삽입되어 슬라이더(40)의 직선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한 쌍의 패널(4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 패널 중앙부(42)와, 좌측으로부터 패널 중앙부(42)까지 연장 형성된 제 1 장공(43a) 및 우측으로부터 패널 중앙부(42)까지 연장 형성된 제 2 장공(43b)이 형성될 수 있다.
패널 중앙부(42)는 제 1 장공(43a) 및 제 2 장공(43b)을 좌우로 분리 구분 할 수 있다.
제 1 장공(43a)은 제 1 롤러형 스프링(50a)의 돌기(52a)가 삽입되어, 제 1 롤러형 스프링(50a)이 제 1 장공(43a)을 따라 슬라이더(30)와 이동 될 수 있다.
제 2 장공(43b)는 제 2 롤러형 스프링(50b)의 돌기(52b)가 삽입되어, 제 2 롤러형 스프링(50b)이 제 2 장공(43b)을 따라 이 슬라이더(30)와 이동 될 수 있다.
연결판(44)은 한 쌍의 패널(41)의 양단부 각각을 연결하고, 슬라이딩 바(46)의 양단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슬라이더(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시, 슬라이더(30)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홀더(45)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45)는 한 쌍의 롤러형 스프링(50)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더(3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롤러형 스프링(50)에 권취된 판스프링(53)의 양단에 후크결합되어 슬라이더(30)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롤러형 스프링(50) 중 나머지 하나로부터 권출된 판스프링(53)에 의해 이동된 슬라이더(30)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45)는 마그넷으로 이루어지고, 롤러형 스프링(50)의 롤러 케이싱(51) 내부에 홀더(45)의 마그넷과 다른 극성의 마그넷을 포함시켜, 후크결합이 아닌 마그넷결합에 의해 슬라이더(3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a)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위치할 때, (b)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의 좌측에 위치할 때, (c)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 우측에 위치할 때에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노브(20)의 위치에 따른 슬라이더(30)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노브(20)는 터치 디스플레이(10) 중앙에 위치한다.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상태로 노브(30)의 이동이 없고, 슬라이더(30) 또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더(30)에 제 1 롤러형 스프링(50a) 또는 제 2 롤러형 스프링(50b)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도 6(b)를 참조하면, 노브(20)는 터치 디스플레이(10) 좌측에 위치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노브(20)가 좌측으로 이동되며, 슬라이더(30) 또한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0)에 결합된 제 2 롤러형 스프링(50b)의 판스프링(53b)이 권출되어 슬라이더(30)에 복원력이 작용하나, 슬라이더(30)에 결합된 제 1 롤러형 스프링(50a)을 연결벽(44)에 배치된 홀더(45)에 고정시켜, 슬라이더(30)는 원위치(도6a에서의 슬라이더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노브(20)는 터치 디스플레이(10) 우측에 위치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노브(20)가 우측으로 이동되며, 슬라이더(30) 또한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0)에 결합된 제 1 롤러형 스프링(50a)의 판스프링(53a)이 권출되어 슬라이더(30)에 복원력이 작용하나, 슬라이더(30)에 결합된 제 2 롤러형 스프링(50b)을 연결벽(44)에 배치된 홀더(45)에 고정시켜, 슬라이더(30)는 원위치(도 6(a)에서의 슬라이더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b) 및 도 6(c)의 경우, 슬라이더(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홀더(45)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30)에 롤러형 스프링(50)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는 제어부(60), 터치모듈(70) 및 햅틱모듈(80)을 포함한다.
제어부(60)는 터치 디스플레이(10) 내부에 배치되고, 노브(20)의 위치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화면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터치모듈(70)은 터치패널(11)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부(21)가 터치패널(11)에 접촉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부(21)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햅틱모듈(80)은 터치모듈(70)의 하부에 위치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노브(20)의 입력부(21)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터치패널(11)에 접촉되면, 입력부(21)가 접촉된 위치에 따라 다른 전기적 신호가 발생한다. 입력부(21)로부터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터치모듈(70)을 통해 제어부(60)로 전달되며, 제어부(60)는 햅틱모듈(80)의 액츄에이터가 진동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브(20) 조작 시, 진동을 전달받아 조작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노브(20)의 위치를 판단하여 터치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화면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도 8은 (a)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위치할 때, (b)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의 좌측에 위치할 때, (c) 노브가 터치 디스플레이 우측에 위치할 때, 노브의 위치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환되는 화면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노브(20)의 위치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10)에서 전환되는 화면모드를 설명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노브(20)는 터치 디스플레이(10)의 중앙에 위치하며, 터치 디스플레이(10)는 차량 내 공조시스템에 관한 화면모드를 표시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노브(20)가 회전됨에 따라, 차량 내 공조시스템에 관한 화면모드의 메뉴 간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노브(20)가 가압됨에 따라, 메뉴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메뉴 선택 이후 설정값(설정온도, 풍량 등)은 노브(20)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노브(20)는 터치 디스플레이의(10)의 좌측에 위치하며, 차량 내부 조명시스템에 관한 화면모드를 표시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노브(20)가 회전됨에 따라, 차량 내부 조명시스템에 관한 화면모드의 메뉴 간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노브(20)가 가압됨에 따라, 메뉴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메뉴 선택 이후 설정값(조명밝기 등)은 노브(20)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노브(20)는 터치 디스플레이의(10)의 우측에 위치하며, 차량시트 각도 조절시스템에 관한 화면모드를 표시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노브(20)가 회전됨에 따라, 차량시트 각도 조절시스템에 관한 화면모드의 메뉴 간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노브(20)가 가압됨에 따라, 메뉴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메뉴 선택 이후 설정값(시트의 각도조절)은 노브(20)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노브(20)의 위치에 따라 전환되는 화면모드는 이상에서 설명된 화면모드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터치 디스플레이
11 : 터치 패널 12 : 하우징
20 : 노브
21 : 입력부 22 : 지지 플레이트
30 : 슬라이더
31 : 슬라이더 돌기 32 : 슬라이더 홀
40 : 가이드레일
41 : 패널
42 : 패널 중앙부 43 : 장공
44 : 연결판 45 : 홀더
46 : 슬라이딩 바
50 : 롤러형 스프링
51 : 스프링 케이싱 52 : 돌기
53 : 판스프링 54 : 홀
60 : 제어부
70 : 터치모듈
80 : 햅틱모듈

Claims (10)

  1. 화면모드를 표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와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형상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입력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된 노브;
    상기 노브와 연결된 슬라이더;
    상기 노브가 회전가능토록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 이동가능토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좌우로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기구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이 각각 권취되는 스프링 케이싱을 구비하는 한 쌍의 롤러형 스프링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자유단과 상기 슬라이더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자유단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저면에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바를 포함하는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 바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화면모드를 표시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와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형상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입력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된 노브;
    상기 노브와 연결된 슬라이더;
    상기 노브가 회전가능토록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 이동가능토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의 위치에 따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좌우로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기구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이 각각 권취되는 스프링 케이싱을 구비하는 한 쌍의 롤러형 스프링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자유단과 상기 슬라이더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형 스프링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 각각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케이싱에는 상기 장공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의 양단부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판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슬라이더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홀더가 배치되는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판스프링과 결합되는 후크부재인 차량용 터치 디스플레이 조작장치.

KR1020200125704A 2020-09-28 2020-09-28 차량용 터치디스플레이 조작장치 KR102449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704A KR102449802B1 (ko) 2020-09-28 2020-09-28 차량용 터치디스플레이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704A KR102449802B1 (ko) 2020-09-28 2020-09-28 차량용 터치디스플레이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648A KR20220042648A (ko) 2022-04-05
KR102449802B1 true KR102449802B1 (ko) 2022-09-30

Family

ID=8118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704A KR102449802B1 (ko) 2020-09-28 2020-09-28 차량용 터치디스플레이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8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3718A1 (en) * 2015-12-01 2017-06-01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Position-based reconfigurable control knob
WO2019073538A1 (ja) * 2017-10-11 2019-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847A (ko) * 2009-11-03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KR101353482B1 (ko) * 2012-05-03 2014-01-27 삼현테크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3718A1 (en) * 2015-12-01 2017-06-01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Position-based reconfigurable control knob
WO2019073538A1 (ja) * 2017-10-11 2019-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648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411B2 (en) Operating panel
JP4920837B2 (ja) 複数の切換えエレメントの手作動のために設計されたスイッチ
US11726520B2 (en) Modular input interface device with multi-axial interaction
JP5930226B2 (ja) 多方向入力操作装置及び該多方向入力操作装置を用いた車両用シフト装置
KR102449802B1 (ko) 차량용 터치디스플레이 조작장치
US6710707B2 (en) Vehicle-mounted input device
CN111164550A (zh) 触摸面板式显示器装置
KR102571093B1 (ko)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유닛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모듈
JP2003069920A (ja) パネル装置
JP2021054391A (ja) 操作装置
KR102324029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606750B2 (ja) 空間操作系生成システム
JP4199624B2 (ja) トラックボー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載機器操作装置
KR101855445B1 (ko)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CN211684663U (zh) 中控屏、汽车中控台及汽车
EP2083348A1 (en) Touch screen switching assembly
US11865919B2 (en) Vehicle display device
CN113734268B (zh) 用于转向盘的控制装置、转向盘及车辆
JP6921237B2 (ja)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224149A (ja) 操作パネル
JPS62101565A (ja) 車輌搭載装置用集中コントロ−ル装置
WO2023100537A1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4007636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3029535A (ja) 入力装置
JP2005011746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