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029B1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029B1
KR102324029B1 KR1020190145740A KR20190145740A KR102324029B1 KR 102324029 B1 KR102324029 B1 KR 102324029B1 KR 1020190145740 A KR1020190145740 A KR 1020190145740A KR 20190145740 A KR20190145740 A KR 20190145740A KR 102324029 B1 KR102324029 B1 KR 102324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state
display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106A (ko
Inventor
홍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0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K35/223
    • B60K35/28
    • B60K35/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60K236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5Output devices or features thereof
    • B60K2370/152Displays
    • B60K2370/1533Flexible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6Type of information
    • B60K2370/175Autonomous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 하부 전면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고, 하부가 밴딩가능하게 형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상부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밴딩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 하부 후면에 결합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부 하부 전면이 상기 표시부 상부 전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접혀질 때,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Flexible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장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차량의 센터페시아는 네비게이션과 차량 공조 시스템,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합한 형태의 화면으로 구현된다. 또한 센터페시아는 대형 터치 디스플레이를 내장하여 기존의 AVN(Audio/Video/Navigation)과 공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센터페시아의 디자인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 종류는 상, 하로 길게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장착하여 물리적 버튼을 최소한으로 형성한 것이며, 두 번째 종류는 센터페시아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고 디스플레이 하단에 물리적 버튼을 배치한 것이다.
첫 번째 종류의 장점은 물리적 버튼을 따로 배치할 필요 없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보다 넓은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자율 주행 차량에서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수동모드시에는 보통 직관적인 물리적 버튼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두 번째 종류의 경우 첫 번째 종류와 정 반대의 장, 단점을 가진다.
최근 제공되는 자율 주행 차량에서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자율 주행 또는 수동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운전 모드에 따라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형태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106824호
본 발명은 주행 모드(자율주행 모드 또는 수동 운전 모드)의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형상을 변경하여 운전자의 주행 모드에 따라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형태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 하부 전면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고, 하부가 밴딩(bending)가능하게 형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상부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밴딩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 하부 후면에 결합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부 하부 전면이 상기 표시부 상부 전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접혀질 때,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제어부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로드(rod)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로드가 관통되며 상기 로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 상부 후면과 상기 이동부 간에는 가이드부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표시부 후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 하단에 결합되고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링크부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의 하단은 상기 제 2 링크부 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표시부 상부 후면의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되도록 상기 표시부 상부와 상기 표시부 하부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AVN 제어 버튼 또는 공조 시스템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 상부 후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링크부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타단이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표시부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될 때, 상기 제 1 링크부의 작동회전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링크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가 밴딩가능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모드가 자율주행 모드인지 수동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펼침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접힘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펼쳐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수동주행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펼침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접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접힘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접힘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이 수동주행 모드인 경우,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에서 영상을 표시하고, 접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후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조작가능한 조작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이 자동주행 모드인 경우, 펼쳐진 상기 디스플레이 상, 하부의 전면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AVN 제어 버튼 또는 공조 시스템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주행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자율 주행 모드 시에는 더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수동 운전 모드 시에는 운전자가 좀 더 운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메커니즘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내부 전면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센터페시아(1)가 마련되며, 상기와 같은 센터페시아(1)에는 네비게이션과 차량 공조 시스템,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0)가 형성되며, 표시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밴딩(bending)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는 센터페시아(1)에 고정된 표시부 상부(11)와 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표시부 하부(12)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표시부(10)는 상, 하부 전면에서 사용자(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에게 네비게이션 정보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센터페시아(1)를 장착한 차량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자율 주행 차량에서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자율 주행 모드 또는 수동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운전자가 고속도로 등에서 차량이 자율적으로 주행하도록 자율 주행 모드로 차량의 주행 모드를 설정한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되며 펼쳐진 표시부(10) 상, 하부의 전면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좀 더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2(a)의 상태에서 운전자 자신이 직접 운전할 수 있도록 수동 주행 모드를 선택한 경우,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가 접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2(a)의 상태에서 운전자가 자율 주행 모드를 종료하고 수동 주행 모드로 직접 운전할 경우, 도 2(b)에서 도 2(c)의 상태가 되도록 표시부 하부(12)의 전면이 표시부 상부(11)의 전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접혀질 수 있다.
이 때, 표시부 하부(12) 후면에 결합된 조작부(70)가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될 수 있으며, 표시부 하부(12)가 접혀진 부분을 제외한 표시부 상부(11)에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0)는 AVN 제어 버튼 또는 공조 시스템 제어 버튼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표시부(10)에 표시되는 영상을 조작할 수 있는 물리적 버튼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수동 주행 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2(c)의 상태로 된 경우, 운전자는 주행 중에 큰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보다 직관적으로 상기 조작부(70)를 조작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를 조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 하부 전면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고, 하부가 밴딩가능하게 형성되는 표시부(10)와, 표시부 상부(11) 후면에 배치되고 표시부(10)의 밴딩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20) 및 표시부 하부(12) 후면에 결합되는 조작부(70)를 포함한다.
이 때 구동제어부(20)는 정역회전 조절이 가능한 정역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터페시아(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AVN 제어 버튼 또는 공조 시스템 제어 버튼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표시부(10)에 표시되는 영상을 조작할 수 있는 물리적 버튼일 수 있다.
또한 구동제어부(20)는 표시부(10)의 밴딩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구동제어부(20)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로드(32, rod)가 결합되며, 구동제어부(20)는 로드(32)가 관통되며 로드(32)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부(30)와 연결되고, 이 때 구동제어부(20)는 이동부(30)의 동작(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로드(32)는 구동제어부(20)로부터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하며 구동제어부(2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30)가 구동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 하부(12)의 접힘 동작과 펼침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이동부(30)가 상, 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부(31)가 표시부 상부(11) 후면과 이동부(30) 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31) 구성에 의해 이동부(30)의 일측은 가이드부(31)를 따라 상기 표시부 상부(11) 후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부(31)는 가이드 레일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30)의 일 면에는 가이드 레일과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a)와 같이 표시부(10)의 접힘 상태에서 이동부(30)는 표시부(10)의 후면에 배치되고 조작부(70)는 표시부의 전면에 배치되므로 도 3(a)에서 도 3(b) 내지 도 3(d)의 상태로 변경될 때(접힘 상태에서 펼침상태로 될 때), 이동부(30)의 상, 하 이동에 따라 표시부 하부(12)의 접힘 동작과 펼침 동작이 원활하게 가이드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동부(30)와 표시부 하부(12) 후면에 결합되는 조작부(70)는 연결부(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50)는 이동부(30)와 조작부(70) 간을 연결하여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상태로 될 때 표시부 하부(12)의 펼침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0)의 밴딩 또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표시부 상부(11)와 표시부 하부(12)가 접하는 부분에는 힌지부(80)가 형성되어 이동부(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표시부(10)가 접힘상태에서 펼침상태 또는 펼침상태에서 접힘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부(30)와 연결부(50) 및 조작부(70) 간의 연결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부(30) 하단에는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링크부(4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링크부(40) 하단에는 연결부(5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고, 연결부(50)의 타단에는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 링크부(6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70)의 하단에는 제 2 링크부(60) 하단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구동제어부(20)에 제어에 따라 이동부(30)의 표시부 상부(11) 후면의 상측방향으로의 수직 이동에 따라 제 1 링크부(40)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제 1 링크부(40)에 회전에 따라 제 1 링크부(40)에 연결된 연결부(50) 및 연결부(50)에 연결된 제 2 링크부(60) 또한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 1 링크부(40)는 제 2 링크부(6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연결부(50)가 표시부 상부(11) 후면 측으로 회전될 때 연결부(50) 하부측보다 연결부(50) 상부측의 회전 폭이 크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에 의해 이동부(30), 연결부(50), 표시부 하부(12) 후면에 결합된 조작부(7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수동 운전을 하다가 차량을 자동 주행 모드로 설정할 경우, 구동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이동부(30)가 표시부 상부(11) 후면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부(10) 상, 하부 전면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30)의 표시부 상부(11) 후면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 1 링크부(40)가 회동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될 때, 제 1 링크부(40)가 제 2 링크부(60)보다 길이가 길기 때문에 연결부(50) 상부측의 회전 폭이 연결부(50) 하부측보다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부(50)가 표시부 상부(11)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 상부(11) 후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제 1 링크부(40)와 연결부(50)가 연결되는 부분에 타단이 결합되는 탄성부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90)는 표시부(10)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될 때, 제 1 링크부(40)의 작동회전 방향(표시부 상부(11) 후면 방향)에 대응되도록 제 1 링크부(4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부(10)가 펼쳐질 때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연결부(50)가 표시부 상부(11) 후면에 근접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를 기초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3(a)의 상태는 사용자가 차량의 주행 모드를 수동 주행 모드로 설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표시부 하부(12)가 접혀진 상태)
도 3(a)의 상태에서는 표시부 하부(12) 후면에 결합된 조작부(70)가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될 수 있으며, 표시부 하부(12)가 접혀진 부분을 제외한 표시부 상부(11)에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차량의 주행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로 설정하면, 도 3(b)의 상태와 같이 구동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이동부(3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부 하부(12)가 펼쳐지기 시작한다.
이후, 도 3(c)의 상태를 거쳐 도 3(d)의 상태에서 표시부(10)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조작부(70)는 표시부(10)의 후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려지며, 펼쳐진 표시부(10) 상, 하부의 전면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좀 더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메커니즘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센터페시아(1)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 모드 또는 수동주행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후면에 배치되는 구동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 차량의 자율 주행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먼저 판단한다(S10 단계). S10 단계에서 차량의 자율 주행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면, 디스플레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단계).
상기 S10 단계 및 S11 단계에서, 차량의 자율 주행 기능 및 디스플레이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판단한 경우 차량의 주행 모드가 자율주행 모드인지 수동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2 단계).
상기 S12 단계에서 사용자가 차량의 주행 모드를 자율주행 모드로 설정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13 단계).
이 때 상기 S13 단계에서,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펼침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S20 단계).
한편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접힘 상태인 경우, 접혀진 디스플레이를 펼칠 수 있다.(S14 단계).
이 때, 상기 S14 단계에서 펼쳐진 상기 디스플레이 상, 하부의 전면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펼쳐진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에 네비게이션, 공조기능 관련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S15 단계).
반면, 상기 S12 단계에서 사용자가 차량의 주행 모드를 수동주행 모드로 설정한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16 단계).
이 때 상기 S16 단계에서,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접힘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가 접혀진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S20 단계).
한편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펼침 상태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S17 단계).
상기 S17 단계에서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속성 판단에따라 펼쳐진 디스플레이를 접을 수 있다(S18 단계).
상기 S18 단계에서 접혀진 디스플레이의 상부에는 기존에 S17 단계에서 표시되고 있던 콘텐츠 정보를 연속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접혀진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공조 시스템 제어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 버튼을 노출시킬 수 있다(S19 단계).
따라서, 차량이 수동주행 모드인 경우 상기 S19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된 디스플레이의 상부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접혀진 디스플레이의 하부 후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조작가능한 조작부(70)를 노출시켜 운전자가 운전 중에 보다 직관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70)는 AVN 제어 버튼 또는 공조 시스템 제어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주행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자율 주행 모드 시에는 더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수동 운전 모드 시에는 운전자가 좀 더 운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센터페시아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0 : 표시부
11 : 표시부 상부
12 : 표시부 하부
20 : 구동제어부
30 : 이동부
31 : 가이드부
32 : 로드
40 : 제 1 링크부
50 : 연결부
60 : 제 2 링크부
70 : 조작부
80 : 힌지부
90 : 탄성부재

Claims (14)

  1. 상, 하부 전면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고, 하부가 밴딩(bending)가능하게 형성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 상부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밴딩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 하부 후면에 결합되는 물리적 버튼인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부 하부 전면이 상기 표시부 상부 전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접혀질 때,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된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 상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로드(rod)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로드가 관통되며 상기 로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상부 후면과 상기 이동부 간에는 가이드부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표시부 후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하단에 결합되고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부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2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하단은 상기 제 2 링크부 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상기 표시부 상부 후면의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되도록 상기 표시부 상부와 상기 표시부 하부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AVN 제어 버튼 또는 공조 시스템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상부 후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링크부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타단이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표시부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될 때, 상기 제 1 링크부의 작동회전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링크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하부가 밴딩가능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모드가 자율주행 모드인지 수동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접힘 상태인지 펼침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펼침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접힘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펼쳐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수동주행 모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펼침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접혀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가 접힘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접힘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이 수동주행 모드인 경우,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 전면에서 영상을 표시하고, 접혀진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 후면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조작가능한 조작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된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자동주행 모드인 경우, 펼쳐진 상기 디스플레이 상, 하부의 전면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AVN 제어 버튼 또는 공조 시스템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145740A 2019-11-14 2019-11-1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4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40A KR102324029B1 (ko) 2019-11-14 2019-11-1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40A KR102324029B1 (ko) 2019-11-14 2019-11-1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106A KR20210059106A (ko) 2021-05-25
KR102324029B1 true KR102324029B1 (ko) 2021-11-09

Family

ID=7614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740A KR102324029B1 (ko) 2019-11-14 2019-11-1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6988A1 (ko) * 2022-03-14 2023-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21B1 (ko) * 2006-12-12 2007-12-26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차량용 슬라이딩 듀얼 모니터 장치
JP2008230353A (ja) * 2007-03-19 2008-10-02 Kenwood Corp 車載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416B1 (ko) * 2004-07-20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가 구비된 스크린 구조체
KR101871716B1 (ko) * 2012-05-14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09091B1 (ko) 2015-03-02 2021-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오토모티브 표시 장치
KR102656574B1 (ko) * 2017-01-10 2024-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21B1 (ko) * 2006-12-12 2007-12-26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차량용 슬라이딩 듀얼 모니터 장치
JP2008230353A (ja) * 2007-03-19 2008-10-02 Kenwood Corp 車載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106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8727B2 (en) Vehicular accessory control panel
JP5273286B1 (ja) 映像表示ミラー
KR100909984B1 (ko) 전자 기기
US4831366A (en) Head up display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US7671851B1 (en) Reconfigurable tactile controls and displays
US6593667B1 (en) Car-mounted input device
US5034732A (en) Head up display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US10639993B2 (en) Vehicle shade assembly
JP2017530904A (ja) 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マウント
US20140095031A1 (en) Sunroof Control Interface Utilizing Position Presets
KR102324029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227045B2 (en) Inside mirror assembly of vehicle
JPWO2012026402A1 (ja) 車両用操作装置
CN211166676U (zh) 用于车辆的显示屏组件和车辆
JP4811447B2 (ja) パネル姿勢変更装置及びパネル姿勢変更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1030849A (ja) 車載用モニター作動装置
JP2003069920A (ja) パネル装置
JP3728553B2 (ja) 自動車用入力装置
CN110316078B (zh) 车辆、基于车载显示终端的控制系统和控制方法
JP4967985B2 (ja) 画像表示装置
US20180178726A1 (en) Rear 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CN211684663U (zh) 中控屏、汽车中控台及汽车
CN113195283B (zh) 显示装置和包括该显示装置的机动车
JP4385854B2 (ja) 移動体用タッ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2243485A (ja) ナビゲーション用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