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441Y1 - 호스 분기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호스 분기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441Y1
KR200402441Y1 KR20-2005-0025612U KR20050025612U KR200402441Y1 KR 200402441 Y1 KR200402441 Y1 KR 200402441Y1 KR 20050025612 U KR20050025612 U KR 20050025612U KR 200402441 Y1 KR200402441 Y1 KR 200402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packing
connector
screw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일
Original Assignee
김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일 filed Critical 김춘일
Priority to KR20-2005-0025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질 재질의 용수호스에서 설치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기밀작업이 용이한 호스 분기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호스 분기용 연결구는, 분배호스나 분배호스에 결합한 아답타가 조립되는 연결구 몸체(10) 후단의 연결부(11)에는 상단에서 하향 상호 대칭된 복수의 로크홈이나 로크구멍(16)을 대향하여 일정깊이로 형성하고, 연결구 몸체 선단의 누름부(12)는 상기 연결구 몸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그 상부에 플랜지(32)를 구비한 패킹(30)과 와셔(40)를 결합하고 중앙부분에 형성된 나사(13)에 가압너트(20)로 구성하여 상기 원추형 누름부와 패킹의 플랜지를 제외한 원통몸체(31)가 공급호스이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너트(20)의 나사조임에 의한 와셔의 지지로 패킹의 플랜지가 공급호스의 외주면에 압착됨과 동시에 원추형 누름부가 후퇴하면서 상기 패킹의 원통몸체 하단 내경을 외향으로 확장하면서 상기 공급호스(H)의 구멍과 내주면에 밀착으로 기밀결합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호스 분기용 연결구{A CONNECTOR FOR BRANCHING A HOSE}
본 고안은 주 공급관인 용수호스의 적소에 장착되어 용수호스 내로 흐르는 용수를 재배작물에 공급하는 분배호스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질 재질의 용수호스에서 설치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기밀작업이 용이한 호스 분기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에 따른 재배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용수를 공급하여 주어야 한다.
이러한 농업분야의 관수공급라인에는 경제성과 설치작업에 따라서 경질 재질의 직경이 비교적 큰 주 공급라인인 공급호스(파이프)와, 이 공급호스로부터 분기되어 재배작물에 용수를 분기하여 공급하여 주는 비교적 직경이 작은 연질 재질의 분배호스는 상기 공급호스에 결합되는 분기용 연결구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분기용 연결구가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이러한 분기용 연결구는 종래에도 다양한 기술로 개시되고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일 예의 분기용 연결구를 참조하여 기본적인 기술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즉, 종래의 분기용 연결구는 일측에 걸림환(2a)이 돌출된 연결부(2)와 타측에 일체로 형성된 확장된 외경을 갖는 판형태의 누름부(3) 및 외주면에 나사(4)를 형성한 연결구 몸체(1)와, 상기 나사(4)에 결합되는 가압너트(5)와, 상기 누름부(3)과 가압너트(5) 사이에 고무재질의 패킹(6)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기용 연결구는 경질재질의 공급호스(H)의 적소에 상기 연결구 몸체(1)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구멍(7)을 관통하고, 상기 누름부(3)에 형성된 삽입안내홈(3a)을 이용하여 나사식 회전에 의해 강압적으로 삽입하고, 상기 가압너트(5)를 나사회전하여 경질호스(H)의 외주면에 밀착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패킹(6)이 가압너트(5)의 나사 조임에 의해 압착되면서 상기 경질호스(H)의 구멍(7)의 주변을 밀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분기용 연결구는 외부에서 밀착되는 패킹(6)의 가압에 의한 상기 구멍(7)을 밀봉하고 있기 때문에 확실한 기밀성을 보장하지 못하여 사용기간 중에 누수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상기 구멍(7)의 내경과 연결구 몸체(1)의 외주면과의 간격 부분의 기밀이 없이 단지 상기 경질호스(H)의 곡면인 외주면에 상기 패킹(6)을 가압너트(5)의 압착력에 의함으로 그 밀착력이 평면과는 달리 떨어지는 점으로 인하여 용수의 수압이 높을 경우에는 상기 구멍(7)을 통하여 그대로 누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결구 몸체(1)와 분배호스(H-1)의 연결은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연결부(2)의 걸림환(2a)에 연질의 분배호스(H-1)을 강압적으로 끼우고 체결밴드(B/T)에 의하여 체결하여 연결한다.
따라서 분배호스(H-1)의 연결을 위한 작업이 매우 힘들고, 이러한 분배호스의 분리 이동은 다시 상기 체결밴드(B/T)를 푼 다음에 연결구 몸체(1)에서 분배호스(H-1)을 빼 낸 다음에, 상기 연결구 몸체(1)의 연결부(2)를 다시 별도의 마감호스(미도시 함)를 끼우고 다시 체결밴드(B/T)로 체결하여 급수로(1a)를 차단하는 분리작업 및 급수로의 차단작업의 번거로움에 의한 작업의 신속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연결부(2)의 걸림환(2a) 대신에 나사를 형성하여 분배호스(H-1)에 결합된 아답터를 나사조립하여 연결하는 구조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 역시 연결작업이 나사조립에 의해 번거롭고, 장기간 사용시에 나사부분에 모래나 이끼 등이 끼어 나사가 풀리지 않는 단점으로 강제적이 분리에 의한 망실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분기용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효과적인 기밀성 보장과 분배호스의 연결작업의 신속성이 보장하는 것에 있다.
즉, 본 고안은 경질호스의 구멍과 연결구 몸체간에 형성된 누수 틈을 완벽하게 기밀처리하여 기밀성을 극대화한 구조의 호스 분기용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고안은 연결구 몸체의 연결부에 로크홈을 형성하여 이 로크홈에서 분배호스의 아답터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의하여 간편한 연결작업 및 분리작업이 보장되어 연결작업의 신속성 및 작업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호스 분기용 연결구는,
분배호스나 분배호스에 결합된 아답타가 조립되는 연결구 몸체 후단의 연결부에는 상단에서 하향 상호 대칭된 복수의 로크홈이나 로크구멍을 대향하여 일정깊이로 형성하고, 연결구 몸체 선단의 누름부는 상기 연결구 몸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그 상부에 플랜지를 구비한 패킹과 와셔를 결합하고 중앙부분에 형성된 나사에 가압너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원추형 누름부와 패킹의 플랜지를 제외한 원통몸체가 공급호스이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너트의 나사조임에 의한 와셔의 지지로 패킹의 플랜지가 공급호스의 외주면에 압착됨과 동시에 원추형 누름부가 후퇴하면서 상기 패킹의 원통몸체 하단측 내경을 외향으로 확장하면서 상기 공급호스의 구멍과 내주면에 밀착으로 기밀결합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호스 분기용 연결구는 연결구 몸체(10)와 가압너트(20), 패킹(30), 와셔(40), 손잡이(50)의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 몸체(10)는 종래 구성과 동일하게 연질의 분배호스(H-1)가 연결되거나 이 연질호스가 결합된 아답터(60)가 연결되는 연결부(11)가 일측에 형성되고, 용수의 주 공급라인의 공급호스(H)의 적소에 관통되는 구멍(70)에 끼움 결합되는 누름부(12)가 타측에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나사(13)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 몸체(10)의 나사(13)의 상부에는 육면체 형상의 각형부(14)가 일체 형성되고 이러한 각면 중 대향의 각면에 결합돌기(15)가 대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나사(13)에는 상기 누름부의 상면에 밀착하여 가압하는 가압너트(20)가 조립되고, 이 가압너트와 상기 누름부(12) 사이로 연결구 몸체(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패킹(30)과 와셔(40)가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형부(14)에는 내면이 동일한 각형부(54)로 손잡이(50)가 끼움되되, 상기 결합돌기(15)에 결합홈(55)으로 맞 결합된다.
상기 각형부(14)는 본 고안에서 육각면체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각면체나 팔각면체의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각형부(14)에 조립되는 손잡이(50)는 양측에 파지편(51)이 구성된다.
이러한 파지편(51)을 잡고 회전하면, 연결구 몸체(10)와 손잡이(50)는 상호간이 각면 조립으로 되어 있어 연결구 몸체(10)는 손잡이(50)의 회전방향과 동기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돌기(15)와 결합홈(55)의 결합은 억지조립에 의해 가능하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연결구 몸체(10)의 연결부(11) 측으로 강제적이지 않으면 이탈이 방지되어 분실의 소지가 없다.
더욱이, 이러한 손잡이(50)의 분리 결합은 연결구 몸체(10)의 나사(13)에 나사조립하는 가압너트(20)의 조립이 연결부(11) 방향에서 가능함으로 필수적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12)는 상기 연결구 몸체(10)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갖는 원추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누름부(12)의 가장 큰 직경의 크기는 상기 공급호스(H)에 관통되는 구멍(70) 보다 동일 또는 약간 적게 형성되어, 종래와 같이 억지끼움의 결합이 필요없이 곧바로 조립이 가능하다.
상기 가압너트(20)는 상기 패킹(30)과 와셔(40)가 순차 결합된 후에 나사조립으로 결합되고, 그 이후에 상기 손잡이(50)가 각형부(14)에 결합되어 조립된다.
상기 패킹(30)은 도 4의 분해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원통몸체(31)의 상부에 외향으로 돌출된 플랜지(32)가 돌출 구성되고, 이러한 플랜지는 상기 와셔(40)가 가압너트(20)의 조임에 의해 압착될때, 공급호스(H)의 외주면 곡률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는 두께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호스(H)의 외주면의 곡률과 더욱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랜지(32)는 만곡홈면(33)을 하부에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패킹(30)의 원통몸체(31)는 하단의 내주면에 하부로 확장되는 경사면(31a)을 형성하여 상기 누름부(12)의 경사도에 밀착됨은 물론 누름부(12)의 압착에 의해 외부로 용이하게 확장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원통몸체(31)는 가압너트(20) 및 와셔(40)에 의하여 압착으로 수축될 때 상기 공급호스(H)의 구멍을 충분히 기밀할 수 있는 축선방향의 길이가 요구된다.
상기 와셔(40)는 상기 가압너트(20)이 나사 회전할 때, 연질의 패킹(30)이 가압너트(20)의 하부면과 마찰에 의해 유동이나 일부에 편중하여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와셔(40)의 재질은 금속재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이면서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강한 것으로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a는 본 고안에 있어 누름부(12)의 변형 예로서, 상기 공급호스(H)의 내경 곡률을 갖는 만곡돌출부(12a)가 상부에 형성하여 패킹(30)의 원통몸체(31)의 외향 확장과 동시에 밀착효과를 더욱 높이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7b와 같이, 상광하협의 단턱구조의 누름부(12b)의 형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8a에서 보여주는 패킹(30)은 상기 플랜지(32)의 대향 측인 원통몸체(31)의 하단 외주면에 외향으로 돌출된 제2플랜지(33)를 형성하여 상기 누름부(12)가 내경을 파고 들면서 압착될 때, 더욱 확장하여 공급호스(H)의 구멍(70)의 확실한 기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킹(30)은 도 8b와 같이, 플랜지(32)가 없이 두께를 갖는 원통몸체(31)의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에 있어 다른 하나의 핵심기술은 연결부(11)의 구성이다.
상기 연결구 몸체(10)의 후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11)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서 하향 상호 대칭된 복수의 로크홈이나 로크구멍(16)을 대향하여 일정깊이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연결부(11)는 상기 아답터(60)의 삽입부(61)에는 대향으로 돌출된 로크돌기(62)를 이용하여 상기 로크홈이나 로크구멍(16)에 끼움하고 일정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길이방향(용수의 수압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분리시에는 다시 역회전하고 빼내는 작업과정에 의해 간편하게 분리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연결구 몸체(10)의 연결부(11)에 연결되는 연질의 분배호스(H-1)의 연결을 체결밴드를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성이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1)의 차단은 별도로 제작된 마감캡(80)을 상기의 작업과 동일하게 조립하여 용수의 분배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몸체(10)에 패킹(30), 와셔(40)를 조립하고 가압너트(20) 및 손잡이(50)을 조립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급호스(H)의 구멍(70)에 원추형 누름부(12)를 밀어 넣게되면 상기 패킹(30)의 원통몸체(31)가 공급호스(H)의 구멍(70)을 통하여 내부로 삽입하고 플랜지(31)의 하부 만곡홈면(33)을 공급호스(H)의 외주면에 밀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50)을 한쪽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가압너트(20)를 나사회전시켜 하부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너트(20)의 나사조임에 의한 와셔(40)의 지지로 상기 패킹(30)의 플랜지(32)가 공급호스(H)의 외주면에 더욱 압착됨과 동시에 원추형 누름부(12)가 원통몸체(31)의 하단에서 내경을 파고 들면서 하단을 외향으로 확장하면 원통몸체(31)를 길이방향으로 더욱 수축하게 된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상기 원통몸체(31)는 상기 공급호스(H)의 구멍(70) 및 하단부분이 절곡상태로 내주면에 밀착되어 기밀되고 상기 누름부(12)는 상기 원통몸체(31)의 수축 두께 및 하단 절곡부분에 상부면이 걸림되어 외부 이탈이 없이 견고하게 조립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구적인 원리는 도 11 및 도 12의 다른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 몸체(10)의 나사는 원형 나사(13a)로 형성되고, 이 나사의 상부에는 회전손잡이(50a)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원형나사(13a)가 패킹(30)의 원통몸체(31)의 내주면에 나사조립되면서 나사산에 의한 상기 원통몸체(31)의 외경을 확장하여 공급호스(H)의 구멍(70)을 밀착하여 기밀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패킹(30)의 원통몸체(31)는 하단부에 내경이 협소한 경사두께부(30b)를 형성하여 사용하여 상기 공급호스(H)의 내주면에 상기 경사두께부(30b)의 더욱 절곡효과에 의한 기밀처리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구 몸체(10)에 구성되는 연결부(11)는 복수의 연결부와 회전손잡이(50a)를 일체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압너트(20)의 조립을 위하여 상기 나사(13)의 직경이 상기 누름부(12,12a,12b)의 가장 큰 직경보다 그 이상의 크기로 형성하고 이에 맞는 나사 직경을 갖는 가압너트(20)의 조립에 의하여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11)는 본 고안에서는 1개 짜리와 2개 짜리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3개의 연결부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렇게 상기 연결부(11)를 2~3개의 구성은 분배호스(H-1)를 두개~세개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용수 공급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해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11)에 성형되는 상기 로크홈이나 로크구멍(16)은 본 고안과 같은 경질호스에 적용은 물론 연질호스의 분기용 연결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소한 구조로서 설치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공급호스의 용수 분기에 따른 연결구 몸체와의 기밀이 보다 확실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고, 분배호스의 연결 및 분리작업의 신속성 및 편리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 분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설치 과정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 누름부의 다른 실시 예의 발췌 조립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패킹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연결부와 분배호스의 아답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발췌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연결구 몸체와 분배호스의 다른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발췌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1은 분해도이고, 도 12는 조립상태도 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조립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연결구 몸체 11: 연결부
12: 원추형 누름부 13: 나사
20: 가압너트 30: 패킹
31: 원통몸체 32: 플랜지
40: 와셔 50: 손잡이
60: 아답타 70: 구멍

Claims (11)

  1. 연질의 분배호스가 연결되거나 연질호스가 결합된 아답터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공급호스의 적소에 관통되는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누름부가 타측에 형성됨은 물론 중앙부분에 나사를 형성한 연결구 몸체와, 상기 나사에 나사 조립되어 상기 누름부의 상면에 밀착하여 가압하는 가압너트와, 이 가압너트와 누름부 사이에 연결구 몸체의 외주면에 끼움되는 판형태의 패킹이 조립된 호스 분기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갖는 원추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누름부의 상부면에서 상기 나사에 걸치는 축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패킹의 상부와 가압너트 사이에는 와셔가 조립되어 구성되되,
    상기 원추형 누름부와 패킹의 원통몸체가 공급호스이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너트의 나사조임에 의한 와셔의 지지로 패킹의 상부가 공급호스의 외주면에 압착됨과 동시에 원추형 누름부가 상기 패킹의 하단 내경을 외향으로 확장하면서 공급호스의 구멍 및 내주면에 밀착으로 기밀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누름부는 상기 공급호스의 내경 곡률을 갖는 만곡돌출부가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누름부는 상광하협의 단턱구조의 누름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원통몸체의 상부에 플랜지가 돌출되고, 이 플랜지는 상기 공급 호스의 외주면의 곡률을 갖는 만곡홈면을 하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원통몸체는 내주면에 하부로 확장되는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플랜지의 대향 측인 원통몸체의 하단에 외향으로 돌출된 제2플랜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단에서 하향 상호 대칭된 복수의 로크홈이나 로크구멍을 대향하여 일정깊이로 형성하고, 상기 아답터의 삽입부에는 상기 로크홈이나 로크구멍에 끼움 되어 회전에 의한 이탈자재로 조립되는 대향의 로크돌기를 돌출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몸체의 나사 상부에는 각형부가 일체 형성되어 대향의 각면에 결합돌기가 대향으로 돌출되고, 이 각형부에는 내면이 동일한 각형부로 끼움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홈으로 결합된 회전손잡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몸체의 나사는 원형 나사로 형성되고, 이 나사의 상부에는 회전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원형나사가 패킹의 원통몸체의 내주면에 나사조립 되면서 나사산에 의한 원통몸체의 외경을 확장하여 공급호스의 구멍을 밀착하여 기밀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분기용 연결구.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원통몸체는 하단부에 내경이 협소한 경사두께부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
  1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손잡이가 연결구 몸체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분기용 연결구.
KR20-2005-0025612U 2005-09-06 2005-09-06 호스 분기용 연결구 KR200402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12U KR200402441Y1 (ko) 2005-09-06 2005-09-06 호스 분기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12U KR200402441Y1 (ko) 2005-09-06 2005-09-06 호스 분기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441Y1 true KR200402441Y1 (ko) 2005-11-30

Family

ID=4370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612U KR200402441Y1 (ko) 2005-09-06 2005-09-06 호스 분기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4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029B1 (ko) 2004-10-01 2011-09-07 최용원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CN109341962A (zh) * 2018-11-13 2019-02-15 霍山嘉远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测毛坯外形带光孔的柱状阀盖密封性的试压工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029B1 (ko) 2004-10-01 2011-09-07 최용원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CN109341962A (zh) * 2018-11-13 2019-02-15 霍山嘉远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测毛坯外形带光孔的柱状阀盖密封性的试压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2441Y1 (ko) 호스 분기용 연결구
US7506901B2 (en) Resilient locking connection
KR100864283B1 (ko) 수도관 연결장치의 스토퍼 링
CN112145830B (zh) 一种消防管件的安装方法
KR200455212Y1 (ko)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KR20110002990A (ko) 중공관 형상의 패킹을 이용한 이음관
KR20190021677A (ko) 이탈 방지용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CN210510591U (zh) 不锈钢波纹管多密封快插型接头
KR200429394Y1 (ko) 연질배관용 관 연결구
KR200302163Y1 (ko) 이중수밀유지용 관
KR200390468Y1 (ko) 벌어지는 파이프 이음관용 홀더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940011859B1 (ko) 분기 파이프 이음새
KR200391602Y1 (ko)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KR100864053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이중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CN210196699U (zh) 接头总成
KR200373716Y1 (ko) 합성수지이중벽관의 클립형 연결장치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910009017Y1 (ko) 편수관
KR101118503B1 (ko) 라인밸브의 호스연결구 연결부
CN215410812U (zh) 一种活接由令式丝堵
JP2005195065A (ja) パイプ連結具
JPH022145Y2 (ko)
KR200343993Y1 (ko) 연질 배관용 관 연결구
KR20110009602A (ko) 수도꼭지의 호스 연결용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