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602Y1 -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 Google Patents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602Y1
KR200391602Y1 KR20-2005-0012604U KR20050012604U KR200391602Y1 KR 200391602 Y1 KR200391602 Y1 KR 200391602Y1 KR 20050012604 U KR20050012604 U KR 20050012604U KR 200391602 Y1 KR200391602 Y1 KR 200391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lve
cap
handle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화
Original Assignee
송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화 filed Critical 송준화
Priority to KR20-2005-0012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6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6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4Hand watering devices, e.g. watering c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호스(H)에 연결되어 내부로 물이 유통되고 파지 가능한 바디(111)와, 상기 호스(H)가 연결되도록 바디(111) 일측에 니플(112)이 형성되는 손잡이(110)와, 상기 손잡이(110)에 일단이 연결되어 내부로 물이 유통되는 파이프(120)와, 상기 파이프(120)의 일단 상대쪽에 조립되어 물을 방사형으로 분사하는 분사기(130)로 구성되는 물뿌리개(10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0)의 바디(111) 하단에 너트(N)가 장착된 호스(H)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수나사부(114)가 형성되어 호환성이 확대되고, 상기 바디(111)에 밸브(115)가 형성되어 수압의 조절 및 개폐가 가능하며, 파이프(120)에 돌기(123)가 형성된 너트(121)가 장착되어 손잡이(110)와 분사기(130)에 결합됨으로써 누수없는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고, 분사기(130)의 경우, 본체(131)의 돌기(138)가 캡(135)의 요홈(141)을 통해 슬로트(142)에 걸리는 방식이어서 착탈이 신속하고 견고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A sprinkling having a valve}
본 고안은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기의 캡을 착탈이 용이하도록 개선하고, 파이프에 너트가 구성되어 기밀성이 확보되며, 밸브에 의해 수압의 조절이 가능하고, 너트가 구성된 호스의 장착이 가능하여 큰 수압의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물뿌리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물뿌리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도 2의 C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너트가 장착된 호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니플이 장착된 호스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물뿌리개(10)는 호스(H)에 연결되어 수목이나 작물 등에 물을 뿌릴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호스(H)에 연결되어 내부로 물이 유통되는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에 일단이 연결되어 내부로 물이 유통되는 파이프(30)와, 상기 파이프(30)의 일단 상대쪽에 조립되어 물을 방상형으로 분사하는 분사기(4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손잡이(20)는 내부가 상하부로 연통되며 파지 가능한 바디(21)와 , 상기 바디(21) 일측에는 호스(H)가 연결되도록 외부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암나사부(23)가 형성된 니플(22)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의 상대측에는 파이프(30)가 결합되도록 암나사부(24)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30)는 손잡이(20)와 분사기(40)에 결합되도록 양단에 수나사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기(40)는 일측에 개방부(42)가 형성된 용기 형상이며 상기 개방부(42)를 캡(46)이 커버하도록 개방부(42)의 외측 둘레에 수나사부(43)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30)의 수나사부(31)가 결합하도록 암나사부(45)가 내측에 형성된 관 형상의 연결구(44)가 돌출되는 본체(41)와, 상기 본체(41)의 수나사부(43)에 나사 결합하도록 내측에 암나사부(47)가 형성되며, 분사공(48)이 다수개 형성된 캡(46)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0)와 파이프(30) 그리고 파이프(30)와 분사기(40)의 연결구(44) 및 분사기(40)를 구성하는 캡(46)과 본체(41) 상간에는 기밀 유지를 위해 패킹(P)이 개재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물뿌리개(10)의 사용예 및 작동을 살펴보면, 도 5에서처럼 호스(H)를 손잡이(20)의 니플(22) 외측으로 끼운 후, 상기 손잡이(20)를 잡고서 분사기(40)가 대상을 향하게 하면 손잡이(20)의 내부와 파이프(30) 그리고 분사기(40)의 내부를 거쳐 분사기(40)의 캡(46)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공(48)으로 물이 분출된다.
또한, 도 7에서처럼 수나사부가 형성된 니플(F)이 연결된 호스(H)를 장착할 경우에는 상기 니플(F)의 수나사부를 손잡이(20)의 니플(22)에 형성된 암나사부(23)에 체결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구성과 작동에 의한 의한 종래의 물뿌리개(10)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데, 상기 손잡이(20)의 바디(21) 하부에 도 6에서처럼 너트(N)가 장착된 호스(H)를 연결할 수 없어서 호환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고, 수압을 조정 및 개폐하는 기능이 없어서 일일이 수도까지 가서 상기 기능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그리고 파이프(30)와 손잡이(20), 파이프(30)와 분사기(40) 상간에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데, 그 이유는 조립 시, 한 손으로 분사기(40) 또는 손잡이(20)를 잡고서 다른 손으로 파이프(30)를 잡고 돌릴 경우, 파이프(30)가 손에서 슬립되어 기밀이 유지될 정도로 죌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분사기(40)를 구성하는 본체(41)와 캡(46)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착탈됨으로써 내부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 보수의 목적으로 조립 또는 분리 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잠글 때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세게 잠그게 되는 데, 이 때, 나사산이 파손되어 착탈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제기능을 못하게 됨으로써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잡이 하단에 너트가 장착된 호스의 결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확대되고, 손잡이에 밸브를 형성하여 수압의 조절 및 개폐가 가능하며, 손잡이와 분사기에 파이프를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분사기를 구성하는 본체와 캡의 착탈이 보다 간편하고 견고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구성과 실시예 및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D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구성하는 분사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구성하는 분사기로서 캡의 회전에 의해 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구성하는 분사기로서 캡의 회전에 의해 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구성하는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도 8의 E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6은 도 8의 F부를 도시한 확대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물뿌리개(100)는 호스(H)에 연결되어 수목이나 작물 등에 물을 뿌릴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호스(H)에 연결되어 내부로 물이 유통되는 손잡이(110)와, 상기 손잡이(110)에 일단이 연결되어 내부로 물이 유통되는 파이프(120)와, 상기 파이프(120)의 일단 상대쪽에 조립되어 물을 방상형으로 분사하는 분사기(13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10)는 내부가 상하부로 연통되며 파지 가능한 바디(111)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111) 일측에는 호스(H)가 연결되도록 외부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암나사부(113)가 형성된 니플(112)이 형성되며, 분사기(130)는 일측에 개방부(132)가 형성된 용기 형상이며, 관 형상의 연결구(133)가 돌출된 본체(131)와, 상기 본체(131)의 개방부(132)를 커버하도록 본체(131)에 결합되며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공(136)이 다수개 형성된 캡(135)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손잡이(110)의 바디(111) 하방에 너트(N)가 장착된 호스(H)의 연결이 가능하고, 수압의 조절 및 개폐가 가능하며, 파이프(120)와 손잡이(110), 파이프(120)와 분사기(130) 상간에 기밀이 유지될 정도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분사기(130)의 캡(135)과 본체(131)의 용이한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110)의 바디(111)와 니플(112) 상간에 수나사부(114)를 형성하여 너트(N)가 장착된 호스(H)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이 확대되도록 하며, 상기 바디(111) 상부에 수압의 조절 및 개폐가 가능하도록 밸브(115)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115) 상부에는 파이프(120)를 연결하도록 수나사부(116)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데, 상기 밸브(115)와 수나사부(116)는 손잡이(110)의 바디(111)와 일체로 구비하여 밸브(115)를 장착하는 번거러움이 방지된다.
상기 파이프(120)는 손잡이(110)와 분사기(130)에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양쪽에 너트(121)를 끼우는 데, 상기 너트(12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파이프(120)의 양단에 플랜지(124)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124)가 안착하는 단(122)을 상기 너트(121) 내부에 형성하며, 상기 너트(121)는 손으로 죌 경우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부에 다수 개의 돌기(123)를 형성한다.
상기 파이프(120)에 장착된 너트(121)에 결합 가능하도록 분사기(130)의 본체(131)에 형성된 연결구(133)의 외측에는 수나사부(134)를 형성하며, 상기 분사기(130)를 구성하는 본체(131)와 캡(135)의 용이한 착탈을 위해, 본체(131)의 개방부(132) 외측 둘레면(137)에 캡(135)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돌기(138)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131)의 개방부(132) 외측 둘레면(137)과 접하는 캡(135)의 내측면(139)에는 상기 돌기(138)가 삽입되도록 캡(135)의 개방된 종단(140)에서 내측으로 요홈(141)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41)에 삽입된 돌기(138)가 위치하도록 요홈(141)과 직각으로 연통되는 슬로트(142)가 내측면(139)에서 외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체(131)의 돌기(138)를 캡(135)의 요홈(141)을 통해 캡(135)의 슬로트(142)까지 밀어넣을 수 있는 데, 이 상태에서 캡(135)을 돌리게 되면, 돌기(138)가 슬로트(142)에 걸리게 되어 캡(135)은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캡(135)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138)와 접하는 슬로트(142)의 슬립면(143)에 경사면(144)을 형성함으로써 캡(135)을 돌리게 되면, 돌기(138)가 상기 경사면(144)에 접하여 어느정도 올라가게 되어 본체(131)와 캡 (135) 상간에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결합된다,
상기 결합을 해체하게 위해서는 상기 인장력을 초과하는 힘을 가하여 캡(135)을 역회전시키면, 상기 요홈(141)을 통해 돌기(138)가 이탈 가능하게 되어 본체(131)가 캡(135)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에서 손잡이(110)와 파이프(120), 파이프(120)와 분사기(130)의 연결구(133), 분사기(130)의 본체(131)와 캡(135) 상간에 패킹(P)이 개재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예를 살펴보면, 수도에 연결된 호스(H)를 손잡이(110)의 바디(111) 하방에 연결한 후, 수도를 개방한 상태에서 손잡이(110)의 상부에 형성된 밸브(115)를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110)를 잡고서 분사기(130)를 대상물에 향하게 한 후, 밸브(115)를 조금씩 개방하면서 적당한 수압을 조정한 후, 적정 수압이 되었을 때, 대상을 향해 계속 분사 가능하도록 하며, 작업을 멈출 때에는 밸브(115)를 폐쇄하여 용이하게 분사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구성과 작동에 의한 본 고안은 손잡이(110)의 바디(111)와 니플(112) 상간에 수나사부(116)가 형성되어 너트(N)가 장착된 호스(H)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다양한 호스(H)에 대한 호환성이 확대되고, 손잡이(110)의 바디(111) 상부에 밸브(115)가 형성되어 수압 조절 및 개폐를 위해 수도까지 가서 실행하는 불편이 없으며, 파이프(120)에 돌기(123)가 형성된 너트(121)를 장착하여 손잡이(110)와 분사기(130)에 체결하는 방식이어서 누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며, 분사기(130)의 경우, 본체(131)의 돌기(138)가 캡(135)의 요홈(141)을 통해 슬로트(142)에 걸리는 방식이어서 착탈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견고한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 하단에 너트가 장착된 호스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호환성이 확대되고, 손잡이에 밸브가 형성되어 수압의 조절 및 개폐가 가능하며, 파이프에 돌기가 형성된 너트가 장착되어 손잡이와 분사기에 결합됨으로써 누수없는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고, 분사기의 경우, 본체의 돌기가 캡의 요홈을 통해 슬로트에 걸리는 방식이어서 착탈이 신속하고 견고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물뿌리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물뿌리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도 2의 C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너트가 장착된 호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니플이 장착된 호스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D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구성하는 분사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구성하는 분사기로서 캡의 회전에 의해 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구성하는 분사기로서 캡의 회전에 의해 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를 구성하는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도 8의 E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6은 도 8의 F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4, 116, 134: 수나사부 115: 밸브
121: 너트 123, 138: 돌기
124: 플랜지 141: 요홈
142: 슬로트

Claims (4)

  1. 호스(H)에 연결되어 내부로 물이 유통되고 파지 가능한 바디(111)와, 상기 바디(111) 일측에 호스(H)가 연결되도록 니플(112)이 형성되는 손잡이(110)와,
    상기 손잡이(110)에 일단이 연결되어 내부로 물이 유통되는 파이프(120)와,
    상기 파이프(120)의 일단 상대쪽에 조립되어 물을 방사형으로 분사하는 분사기(130)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기(130)는 일측에 개방부(132)가 형성된 용기 형상이며, 상기 파이프(120)에 연결되는 관 형상의 연결구(133)가 돌출된 본체(131)와,
    상기 본체(131)의 개방부(132)를 커버하도록 본체(131)에 결합되며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공(136)이 다수개 형성된 캡(135)으로 구성된 물뿌리개(100)에 있어서,
    상기 바디(111)와 니플(112) 상간에 너트(N)가 장착된 호스(H)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수나사부(114)와,
    상기 바디(111) 상부에 형성되어 수압을 조절 및 개폐하는 밸브(115)와,
    상기 밸브(115) 상부에 형성되어 파이프(12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수나사부(116)와,
    상기 본체(131)의 연결구(133)에 형성되어 파이프(12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수나사부(134)와,
    상기 각 수나사부(116, 134))에 파이프(120)가 결합되도록 상기 파이프(120)에 장착한 너트(121)와,
    상기 분사기(130)를 구성하는 본체(131)의 개방부(132) 외측 둘레면(137)에 캡(135)과의 결합을 위해 형성한 다수개의 돌기(138)와,
    상기 돌기(138)에 의해 캡(135)이 본체(131)에 결합되도록 개방부(132)의 외측 둘레면(137)과 접하는 캡(135)의 내측면(139)에 상기 돌기(138)가 삽입되도록 캡(135)의 개방된 종단(140)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요홈(141)과,
    상기 요홈(141)에 삽입된 돌기(138)가, 캡(135)을 밀어넣어 회전함으로써 걸리도록 상기 요홈(141)에 직각으로 연통되고 내측면(139)에서 외측으로 관통하여 형성한 슬로트(142)와,
    상기 슬로트(142)에 걸린 돌기(138)가 캡(135)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돌기(135)와 접하는 슬로트(142)의 슬립면(143)에 형성되는 경사면(144)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121)는 슬립되지 않도록 외측면에 다수개의 돌기(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121)는 파이프(120)에 장착되도록 파이프(120)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124)와,
    상기 플랜지(124)가 안착하도록 너트(121) 내부에 형성한 단(12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15)와 수나사부(116)가 손잡이(110)의 바디(1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KR20-2005-0012604U 2005-05-04 2005-05-04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KR200391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604U KR200391602Y1 (ko) 2005-05-04 2005-05-04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604U KR200391602Y1 (ko) 2005-05-04 2005-05-04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602Y1 true KR200391602Y1 (ko) 2005-08-04

Family

ID=4369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604U KR200391602Y1 (ko) 2005-05-04 2005-05-04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6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6063A (zh) * 2019-01-16 2019-03-22 中国工程物理研究院流体物理研究所 一种四通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6063A (zh) * 2019-01-16 2019-03-22 中国工程物理研究院流体物理研究所 一种四通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764B1 (en) Adjustable water-guiding rod for a cleaning brush
TWI710407B (zh) 構件接頭及使用其之噴霧噴嘴單元
US4275908A (en) Fluid coupling assembly
CA2007371C (en) Safety connection into passages in a tubular body
KR200452046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101059660B1 (ko) 탱크로부터의 액체공출용 커넥터
KR200391602Y1 (ko) 밸브가 구성된 물뿌리개
JP3881642B2 (ja) 継手の接続構造及びこれを設けたガス栓
KR20170002509U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배관밸브용 결합체
KR20080025520A (ko) 라인밸브
JP2008144523A (ja) ボウルの排水構造
KR200439589Y1 (ko) 라인밸브
KR200402441Y1 (ko) 호스 분기용 연결구
JP2022154065A (ja) 噴管用ノズルユニット
US20060214424A1 (en) Coupling for faucet
EP3757440B1 (en) Rotatable connection assembly for metal water tubes
WO2005121612A1 (ja) プラグ用シールリング
KR200396604Y1 (ko) 농업용 분기관 연결구
KR101118503B1 (ko) 라인밸브의 호스연결구 연결부
KR20210110917A (ko) 스프링쿨러 헤드와 밸브의 연결장치
KR200225053Y1 (ko) 급수호스 연결용 소켓
KR200150035Y1 (ko) 농업용 밸브
KR900009954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
CN211145656U (zh) 一种软管锁紧金属防水快速接头
WO1991000469A1 (en) Universal fluid line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