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287Y1 -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 Google Patents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287Y1
KR200401287Y1 KR20-2005-0024446U KR20050024446U KR200401287Y1 KR 200401287 Y1 KR200401287 Y1 KR 200401287Y1 KR 20050024446 U KR20050024446 U KR 20050024446U KR 200401287 Y1 KR200401287 Y1 KR 200401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late
air
heater
h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방한
Original Assignee
(주)대명건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건해 filed Critical (주)대명건해
Priority to KR20-2005-0024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2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는, 복수의 히터가 구비된 히터프레임; 히터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열되며, 상면으로 놓여진 김이 간접가열되어 구워지는 돌판; 및 히터프레임과 돌판 사이에 배치되어 히터로부터의 열을 돌판으로 전달하는 열전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돌판 전역으로 균등하게 형성되는 간접열을 이용하여 김을 굽기 때문에 김의 표면 및 내부 전체로 골고루 열이 전달될 수 있어 김구이의 효율을 높이고 김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Laver roaster having stone}
본 고안은,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돌판 전역으로 균등하게 형성되는 간접열을 이용하여 김을 굽기 때문에 김의 표면 및 내부 전체로 골고루 열이 전달될 수 있어 김구이의 효율을 높이고 김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 중의 하나인 김(laver)은, 종류가 많고 모양도 다양하지만 대부분 길이는 14~25㎝, 너비 5~12㎝를 갖는다. 형태는 세포가 1층으로 된 댓잎 모양 또는 둥근 엽상체며 수온이 낮은 봄, 가을에 분체가 나타난다. 수온이 올라가는 여름에는 작고 긴 사상체로 되어 조가비 속에서 살다가 수온이 내려가면 비로소 보통 김으로 자란다.
김 양식을 위해서는 포자가 나오는 시기인 가을에 포자가 부착할 재료를 바다에 설치한 뒤 채묘해서 성장시킨다. 양식종은 주로 참김(Porphyra tenera)과 방사무늬김(P. vezoensis)으로 말린 김의 주원료가 된다. 이 중 참김은 달걀 모양 또는 작은 잎 모양으로 암홍색을 띠며, 방사무늬김은 배 모양 또는 곡옥 모양으로 흰색을 띤다. 이 외에 외해에 면한 바위 위에서 번식하는 돌김도 말린 김의 원료로 많이 사용된다.
김 양식법은 예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것으로 주로 나뭇가지를 세워서 양식하는 주립식조타홍 방법이 이용된다. 이는 어디에나 잘 부착하는 김의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현재에도 김 양식에는 대나무쪽을 엮은 대발과 합성섬유로 된 그물발(망총)이 주로 사용된다.
김의 발육에는 수온, 조도 등이 중요하므로 조석에 의한 수위 변동을 고려하여 발의 설치 수심을 정한다. 이렇게 양식된 김을 말리면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식품이 된다. 마른 김 5장에 들어 있는 단백질은 달걀 2개분에 해당되며, 이 밖에 비타민 B1, B2, B6, B12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채소에 비해 안정성이 높은 비타민 C 및 콜레스테롤을 체외로 배설시키는 성분이 들어 있어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자주 먹을 경우 암도 예방된다고 한다.
이러한 김은 부각을 만들어 먹기도 하지만, 보통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발라서 구워 먹는다. 예전에는 집에서 직접 김을 구워 먹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공장에서 구워서 포장한 포장김을 구입하는 예가 흔하다.
통상적인 김은 생김에 기름과 소금을 발라 굽는 것이 보통이고, 숙성김은 생김에 기름과 소금을 발라 일정시간 숙성한 후, 굽는다. 어떠한 형태일지라도 김을 구워 포장하는 제조업체나 혹은 소비자가 많은 할인점, 백화점 등에서는 별도의 김구이용 장치를 이용하여 김을 구워 포장하게 된다. 김구이용 장치는 보통 직화열을 이용한다. 즉, 상대적으로 약한 화염 상에서 직접 김을 굽거나 혹은 화염 위로 프라이팬 등을 올려두고 프라이팬에서 김을 굽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종래의 김구이기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직화열을 이용하여 김을 굽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김의 표면 전체로 열이 골고루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어느 일부분은 극히 빨리 구워져 타고 다른 부분은 구워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김의 표면만 구워지고 김의 내부는 구워지지 않는다. 이처럼 종래의 김구이용 장치를 통해서는 김이 골고루 구워지지 않기 때문에 김의 맛이 떨어져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돌판 전역으로 균등하게 형성되는 간접열을 이용하여 김을 굽기 때문에 김의 표면 및 내부 전체로 골고루 열이 전달될 수 있어 김구이의 효율을 높이고 김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히터가 구비된 히터프레임; 상기 히터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열되며, 상면으로 놓여진 김이 간접가열되어 구워지는 돌판; 및 상기 히터프레임과 상기 돌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로부터의 열을 상기 돌판으로 전달하는 열전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내부에 소정의 부품수용공간을 갖는 본체캐비넷을 더 포함하며, 상기 히터프레임, 상기 열전달판 및 상기 돌판이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캐비넷 내에 장착된다.
상기 본체캐비넷의 일측 상면으로 기립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소정의 높이에서 가로방향으로 공기분사에 의한 공기커튼막을 형성하는 공기분사덕트; 및 상기 돌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덕트의 대향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분사덕트에서 분사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흡입하는 흡입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단이 각각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공기분사덕트에 연통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순환관 내에는 송풍팬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과 상기 흡입덕트 사이에 마련되어 냄새나 연기를 제거하는 카본필터와, 상기 카본필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기름 연기나 진을 제거하는 프리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과 상기 공기분사덕트 사이의 공기순환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순환관과 상기 분기관이 접하는 영역에는 상기 송풍팬을 통해 상기 공기순환관 및 상기 분기관으로 향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부재가 더 마련되어 있다.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공기순환관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브래킷부재; 상기 브래킷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순환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댐퍼핸들; 및 상기 댐퍼핸들의 핸들축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순환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순환관 및 상기 분기관으로 향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판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부재에는 상기 댐퍼핸들의 이동을 안내하는 핸들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판은 화강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판은 측방향을 따라 상호 면접촉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돌판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히터프레임 내에는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프레임의 내면에는 상기 히터로부터의 열을 상기 돌판으로 반사시키는 열반사판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판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돌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캐비넷에 마련되어 상기 히터 및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김구이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구이기(1)는 본체캐비넷(10)을 갖는다.
본체캐비넷(10)은 통상의 싱크대와 같은 가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캐비넷(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구름이동용 휠(1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캐비넷(10)의 위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휠(12)에는 본체캐비넷(10)의 위치를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미도시)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체캐비넷(10)의 내부에는 소정의 부품수용공간(14, 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부품수용공간(14)에는 후술할 공기순환관(35), 송풍팬(37), 댐퍼부재(40) 등이 갖춰진다. 부품수용공간(14)의 전면개구는 도어(16)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댐퍼부재(40) 등의 조작을 위해, 필요시 도어(16)는 개방될 수 있다. 도어(16)의 판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부품수용공간(14)으로 순환되는 복수의 공기통공(17)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캐비넷(10)의 전면 일측에는 종방향을 따라 길게 컨트롤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컨트롤부(20)는 후술할 히터(21) 및 송풍팬(37)의 동작 외에 각종 기기부품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위로부터 온도표시램프(20a), 온도조절기(20b), 히터스위치(20c), 송풍팬램프(20d), 송풍팬스위치(20e), 전원램프(20f), 누전차단기(20g)가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컨트롤부(20)의 위치와 구조, 각 부의 기능 등은 사용상 편의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체캐비넷(10)의 상면 중앙영역에는 실제로 김이 놓여져 구워지는 돌판(28)이 마련되어 있다. 돌판(28)의 하부에는 열전달판(26) 및 히터프레임(22)이 갖춰진다. 이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김구이기에서 돌판, 열전달판 및 히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캐비넷(10)의 내부에는 사각박스 형상의 히터프레임(22)이 마련되어 있다. 히터프레임(22) 내에는 복수의 히터(21)가 갖춰져 있다.
히터프레임(22)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구조체로 형성된다. 히터(21)에 의한 열이 손실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히터프레임(22)의 내부에는 단열재(23)가 충전되어 있다. 단열재(23)로는 석면이나 세라믹울 등이 될 수 있다. 단열재(23)로 인해 히터(21)에 의한 열이 외부로 손실되지 않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히터(21)가 배치된 히터프레임(22)의 내면에는 열반사판(25)이 더 마련되어 있다. 열반사판(25)은 히터(21)의 열이 히터프레임(22)의 하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돌판(28)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열반사판(25)은 단열재(23)와 더불어 전력소비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히터프레임(22)의 상면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판상의 열전달판(26)이 배치되어 있다. 알루미늄으로 만들 수 있는 열전달판(26)은 히터(21)에 의한 열을 그 상부에 배치된 돌판(28)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열전달판(26)은 돌판(28)을 형성하는 단위돌판부분(28a)들 사이의 틈새로 떨어진 기름이나 수분 등이 히터(21)로 전해져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겸한다.
열전달판(26)의 상면에는 실제로 김을 굽는 돌판(28)이 마련되어 있다. 돌판(28)은 본체캐비넷(10)의 상면과 단차없이 거의 평평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돌판(28)은 검은색을 형성하는 화강석으로 채용될 수 있다. 물론, 화강석 외에도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게루마늄석, 옥석 등이 될 수도 있다.
참고로, 화강석은 용암이 지하 속 깊은 곳에서 서서히 굳어져서 생성된 암석이다. 석영, 장석, 운모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질적 특성이 강하다. 입자가 성글고 회백색에 검은 점이 있다. 그러나 산지에 다라 분홍색을 띠는 것도 존재한다. 이러한 특성 외에도 화강석은 인체에 유익한 소정의 원적외선을 방사한다고 알려져 있어 외장재로 널리 사용된다.
화강석으로 채용될 수 있는 돌판(28)은 열전달판(26)의 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재단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도면과 같이 수 개의 단위돌판부분(28a)을 측방향으로 상호 면접촉 배열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후자의 방식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8개의 단위돌판부분(28a)을 이용하여 돌판(28)을 형성하고 있다.
돌판(28)은 열전달판(26)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에서 열전달판(26)을 통해 히터(21)의 열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히터(21)가 온(ON)되어 일정시간이 지나면, 돌판(28)은 전체적으로 균등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구이의 최적 온도인 230℃ 내지 250℃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돌판(28)의 전영역이 균등하게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김이 돌판(28)의 상면에 놓여져 구워지기 때문에 김의 표면 및 내부 전체로 골고루 열이 전달될 수 있어 김구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종래기술과 같이, 직화열이 아닌 돌판(28) 전역으로 균등하게 형성되는 간접열에 의해 김이 구워지기 때문에 김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화강석을 이용하여 김을 굽고 있기 때문에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건강적인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돌판(28)이 김구이의 최적 온도인 230℃ 내지 250℃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돌판(28)에는 돌판(28)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9)를 더 마련되어 있다. 온도센서(29)는 돌판(28)에 형성되는 온도를 체크한다. 기준 온도보다 높거나 낮으면 사용자가 컨트롤부(20)에 마련된 온도조절기(20b)를 통해 히터(21)의 세기를 조절하면 된다. 별도의 히터컨트롤러(미도시)를 더 두어 돌판(28)에 형성되는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더 높으면, 히터(21)가 자동으로 오프(OFF)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김구이기의 개략적인 부분 절취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A 영역 내부에 마련된 댐퍼의 동작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도 2를 포함하여 도 5를 참조할 때, 본체캐비넷(10)의 후면에는 돌판(28)이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흡입덕트(30)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캐비넷(10)의 전면에는 흡입덕트(30)에 비해서는 높이가 낮고 부피가 작게 형성된 공기분사덕트(32)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덕트(30)는 본체캐비넷(10)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기립된 수직연통관(3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대략적인 사다리꼴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전면, 배면 및 저면에 각각 흡기구(30a)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전면 및 배면에 형성된 흡기구(30a)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다. 돌판(28)을 통해 김이 구워지는 가운데 발생한 냄새나 연기는 흡기구(30a)를 통해 흡입덕트(30)로 흡입된다.
한편, 돌판(28)이 230℃ 내지 250℃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돌판(28)의 상부영역은 상대적으로 뜨겁다. 따라서 작업자가 김을 파지하여 돌판(28)에 내려놓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분사덕트(32)를 이용하여 돌판(28)의 상측으로 이격된 소정의 높이에서 가로방향으로 공기분사에 의한 공기커튼막(도 5의 이점쇄선 화살표 참조)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공기커튼막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열기가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김구이의 작업이 편해진다. 공기커튼막을 형성한 일부의 공기는 흡입덕트(30)의 흡기구(30a)를 통해 흡입된다.
공기커튼막을 형성하는 공기분사덕트(32)는 본체캐비넷(10)의 전면에서 소정높이 돌출되어 있으며, 복수의 공기분사구(32a)를 가지고 있다. 공기분사구(32a)는 돌판(28) 측을 향한 공기분사덕트(32)의 경사면(33)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커튼막은 수평방향이 아닌 상측으로 일정하게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분사덕트(32)의 하부에는 공기분배관(34)이 상호 이격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할 공기순환관(35)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공기분배관(34)을 통해 공기가 분할되어 공기분사덕트(3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분사덕트(32)의 일측으로 공기가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어 공기분사덕트(32)를 통한 공기커튼막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흡입덕트(30)의 수직연통관(31)과 공기분사덕트(32)의 공기분배관(34)은 각각 공기순환관(35)에 의해 상호 연통되어 있다. 공기순환관(35) 내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송풍팬(37)이 마련되어 있다. 송풍팬(37)이 동작하면 흡입덕트(30)의 흡기구(30a)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수직연통관(31)을 통해 공기순환관(35)으로 이동한 후, 공기분배관(34)을 통해 공기분사덕트(32)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이 때, 송풍팬(37)과 흡입덕트(30) 사이의 공기순환관(35)에는 필터(38a,38b)가 마려되어 있다. 하나는 냄새나 연기를 제거하는 카본필터(38a)이고 다른 하나는 기름 연기나 진을 제거하는 프리필터(38b)이다. 도면에는 카본필터(38a)와 프리필터(38b)가 모두 마련되어 있지만 이들 중 어느 하나만이 채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공기분사덕트(32)의 공기분사구(32a)를 통해 공기가 분사되어 공기커튼막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풍량이 너무 세면 김이 바람에 날려 김구이의 작업이 불편해질 뿐만 아니라 돌판(28)의 열이 쉽게 식는다. 반대로 풍량이 너무 약하면 공기커튼막으로서의 역할이 미비하다. 따라서 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이는 댐퍼부재(40)가 담당한다.
댐퍼부재(40)는 도 5의 "A"영역에 마련된다. "A"영역을 보면, 공기순환관(35)으로부터 분기되고 단부가 개방된 분기관(39)이 더 마련되어 있는데, 댐퍼부재(40)는 공기순환관(35)과 분기관(39)이 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공기순환관(35) 및 분기관(39)으로 향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A 영역 내부에 마련된 댐퍼의 동작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부재(40)는 공기순환관(35)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브래킷부재(41)와, 브래킷부재(41)에 결합되어 공기순환관(35)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댐퍼핸들(42)과, 댐퍼핸들(42)의 핸들축(44)에 결합되고 공기순환관(35) 내에 배치되어 공기순환관(35) 및 분기관(39)으로 향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판(45)을 갖는다. 브래킷부재(41)에는 바나나 형상으로 이루어져 댐퍼핸들(42)의 이동을 안내하는 핸들가이드(43)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핸들(42)이 위치하면, 댐퍼판(45)이 분기관(39) 영역을 차폐하고 있으므로 분기관(39) 측으로는 공기가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7과 같이, 댐퍼핸들(42)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댐퍼핸들(42)이 회전하는 만큼 댐퍼판(45)이 움직이면서 공기순환관(35)의 중앙영역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공기의 일부는 공기순환관(35)을 거쳐 공기분배관(34)을 통해 공기분사덕트(32)로 향하고 나머지는 분기관(39)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댐퍼핸들(42)은 공기커튼막의 풍량을 보면서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김구이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히터스위치(20c)를 작동하여 히터(21)를 온(ON)시킨다. 일정시간 히터(21)가 동작하면 히터(21)에 의한 열은 열전달판(26)을 통해 돌판(28)을 가열한다. 소정 시간이 지나면 돌판(28)의 온도가 김구이에 적합한 230℃ 내지 250℃에 이르면 온도조절기(20b)를 이용하여 히터(21)의 세기를 조절한다.
다음, 송풍팬스위치(20e)를 동작시켜 송풍팬(37)을 온(ON)시킨 후, 돌판(28)에 김을 올려놓으면서 굽는다. 김을 굽는 과정에서 발생한 냄새나 연기 등은 흡입덕트(30)의 흡기구(30a)를 통해 수직연통관(31)으로 향한다. 그리고는 공기순환관(35) 내에 마련된 카본필터(38a) 및 프리필터(38b)에 의해 필터링된다. 필터링된 공기는 다시 공기순환관(35)을 따라 공기분배관(34)을 통해 공기분사덕트(32)로 향한다. 그리고는 공기분사덕트(32)의 경사면(33)에 형성된 공기분사구(32a)를 통해 방출되어 공기커튼막을 형성한다.
만일, 공기커튼막의 풍량이 너무 세거나 약하면, 도어(16)를 개방하여 댐퍼핸들(42)을 조작한다. 댐퍼핸들(42)의 조작에 의해, 공기의 일부는 공기순환관(35)을 거쳐 공기분배관(34)을 통해 공기분사덕트(32)로 향하여 공기커튼막을 형성하고, 나머지 공기는 분기관(39)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물론, 방출되는 공기는 이미 필터링된 상태이므로 깨끗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돌판(28) 전역으로 균등하게 형성되는 간접열을 이용하여 김을 굽기 때문에 김의 표면 및 내부 전체로 골고루 열이 전달될 수 있어 김구이의 효율을 높이고 김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돌판 전역으로 균등하게 형성되는 간접열을 이용하여 김을 굽기 때문에 김의 표면 및 내부 전체로 골고루 열이 전달될 수 있어 김구이의 효율을 높이고 김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김구이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김구이기에서 돌판, 열전달판 및 히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김구이기의 개략적인 부분 절취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A 영역 내부에 마련된 댐퍼의 동작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김구이기 10 : 본체캐비넷
20 : 컨트롤부 21 : 히터
22 : 히터프레임 26 : 열전달판
28 : 돌판 29 : 온도센서
30 : 흡입덕트 30a : 흡기구
32 : 공기분사덕트 32a : 공기분사구
35 : 공기순환관 37 : 송풍팬
38a,38b : 필터부재 39 : 분기관
40 : 댐퍼부재 42 : 댐퍼핸들

Claims (12)

  1. 복수의 히터가 구비된 히터프레임;
    상기 히터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열되며, 상면으로 놓여진 김이 간접가열되어 구워지는 돌판; 및
    상기 히터프레임과 상기 돌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로부터의 열을 상기 돌판으로 전달하는 열전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부품수용공간을 갖는 본체캐비넷을 더 포함하며,
    상기 히터프레임, 상기 열전달판 및 상기 돌판이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캐비넷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캐비넷의 일측 상면으로 기립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소정의 높이에서 가로방향으로 공기분사에 의한 공기커튼막을 형성하는 공기분사덕트; 및
    상기 돌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덕트의 대향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분사덕트에서 분사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흡입하는 흡입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양단이 각각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공기분사덕트에 연통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순환관 내에는 송풍팬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상기 흡입덕트 사이에 마련되어 냄새나 연기를 제거하는 카본필터와, 상기 카본필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기름 연기나 진을 제거하는 프리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상기 공기분사덕트 사이의 공기순환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순환관과 상기 분기관이 접하는 영역에는 상기 송풍팬을 통해 상기 공기순환관 및 상기 분기관으로 향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부재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는,
    상기 공기순환관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브래킷부재;
    상기 브래킷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순환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댐퍼핸들; 및
    상기 댐퍼핸들의 핸들축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순환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순환관 및 상기 분기관으로 향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댐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재에는 상기 댐퍼핸들의 이동을 안내하는 핸들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판은 화강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판은 측방향을 따라 상호 면접촉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돌판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프레임 내에는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프레임의 내면에는 상기 히터로부터의 열을 상기 돌판으로 반사시키는 열반사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판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돌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캐비넷에 마련되어 상기 히터 및 상기 송풍팬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KR20-2005-0024446U 2005-08-24 2005-08-24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KR200401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46U KR200401287Y1 (ko) 2005-08-24 2005-08-24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46U KR200401287Y1 (ko) 2005-08-24 2005-08-24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287Y1 true KR200401287Y1 (ko) 2005-11-15

Family

ID=4370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446U KR200401287Y1 (ko) 2005-08-24 2005-08-24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2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333B1 (ko) * 2010-11-12 2013-01-11 박향희 맥반석 손김구이 부스
KR200465085Y1 (ko) 2010-08-20 2013-02-01 (주)해담솔이십일 냄새 및 연기 제거기능을 구비한 수정돌판 김구이기
KR101343006B1 (ko) * 2011-11-22 2013-12-18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맥반석 손김구이 부스의 연기 제거장치
KR101689813B1 (ko) * 2016-07-26 2016-12-27 신상호 직화구이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직화구이물 습기 제거장치
KR200490441Y1 (ko) * 2018-10-15 2019-11-12 (주)금성티케이 즉석 김구이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85Y1 (ko) 2010-08-20 2013-02-01 (주)해담솔이십일 냄새 및 연기 제거기능을 구비한 수정돌판 김구이기
KR101221333B1 (ko) * 2010-11-12 2013-01-11 박향희 맥반석 손김구이 부스
KR101343006B1 (ko) * 2011-11-22 2013-12-18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맥반석 손김구이 부스의 연기 제거장치
KR101689813B1 (ko) * 2016-07-26 2016-12-27 신상호 직화구이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직화구이물 습기 제거장치
KR200490441Y1 (ko) * 2018-10-15 2019-11-12 (주)금성티케이 즉석 김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287Y1 (ko) 돌판을 이용한 김구이기
CN106132256A (zh) 多区域的蛤壳式烤炉
CN109431305A (zh) 一种全功能厨用烧烤炉
KR20090010615A (ko) 기능성 조리가열장치
CN104337410A (zh) 一种智能炭炉
CN108903679B (zh) 一种具有循环加热风道结构的烤箱
KR102049540B1 (ko) 맥반석과 같은 천연복사열판을 이용한 농축수산물 건조 및 구이장치
CN102397016B (zh) 炭烤炉
CN204207621U (zh) 一种智能炭炉
KR101671637B1 (ko) 적외선 히터 및 전기식 조리기구
KR100903720B1 (ko) 오리 통구이기
CN205409415U (zh) 豆皮烘干机
KR101117330B1 (ko) 근적외선 전기 오븐
CN104633715A (zh) 一种多功能环保节能柴火烧烤炉
KR200403697Y1 (ko) 원적외선 구이기
KR101494082B1 (ko)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KR102008011B1 (ko) 숯불 로스터
KR200474981Y1 (ko) 육류 구이장치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EP2769654B1 (en) Gas grill and method thereof
KR20070035247A (ko) 원적외선 구이기
CN205729146U (zh) 一种电炭两用无烟烧烤炉
KR20090011323U (ko) 자동 구이기
KR100841392B1 (ko) 고기 구이 전열판
CN205338692U (zh) 一种新型无烟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