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480A - 유색 하르방의 제조방법 및 유색 하르방 - Google Patents

유색 하르방의 제조방법 및 유색 하르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480A
KR20040110480A KR1020030039814A KR20030039814A KR20040110480A KR 20040110480 A KR20040110480 A KR 20040110480A KR 1020030039814 A KR1020030039814 A KR 1020030039814A KR 20030039814 A KR20030039814 A KR 20030039814A KR 20040110480 A KR20040110480 A KR 20040110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resin
product
mixing
f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1020030039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0480A/ko
Publication of KR20040110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48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4Colouring mat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76Deodoriz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7Bioc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색 하르방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색하르방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유색하르방의 제조방법은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천연 기능성 원료와 점토를 소정 크기로 분쇄하여 혼합하고 반죽하여 원료반죽이 형성되는 원료준비공정; 상기 원료반죽을 하르방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 후 압축 성형하여 성형제품이 형성되는 성형공정; 상기 성형제품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성형제품 내부 수분함량이 10% 내지 15%정도가 되도록 건조하여 건조제품이 형성되는 건조정리 공정; 상기 건조제품을 7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6일 동안 소성하여 제1차 소성제품이 형성되는 제1차 소성공정; 및 상기 제1차 소성제품을 12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10시간 정도 소성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제2차 소성공정;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색 하르방의 제조방법 및 유색 하르방{process for manufacturing colorful harbang and that products}
본 발명은 유색 하르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이 있는 유색 하르방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색 하르방에 관한 것이다.
하르방은 제주도의 특산품으로서 제주도에서 주로 산출되는 현무암을 연마하여 제조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 하르방 제조의 원료로 이용되는 현무암이 거의 고갈되어 감에 따라서 더이상 현무암 원석을 연마하여 하르방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재료로 하르방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무암 원석을 연마하여 하르방을 제조하는 방법외에 현무암을 분쇄한 분말과 다른 암석을 분쇄한 분말, 시멘트 등을혼합하여 제조되는 분말을 원료로 하여 형틀을 통해 성형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하르방도 기존의 현무암 연마에 의한 하르방의 다공성 모양을 모방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관상용이외에 새로운 기능을 가진 하르방의 제공이 요청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흑색이나 짙은 회색으로 천편일류적인 하르방의 색을 여러가지 다양한 색으로 제조하여 관광상품으로서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하르방의 제공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광상품으로서의 부가가치를 높인 유색 하르방 등의 제조방법 및 유색 하르방 등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르방 제조시 기능성 재료를 사용하여 기능성이 있는 하르방 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하르방 등의 제조방법과 달리 현무암 이외의 다른 원료로 하르방 등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의 제공에 있다.
도 1은 하르방의 일반적인 모양이다.
도 2는 물지게 여인상의 일반적인 모양이다.
본 발명은 유색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색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유색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의 제조방법은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천연 기능성 원료와 점토를 소정 크기로 분쇄하여 혼합하고 반죽하여 원료반죽이 형성되는 원료준비공정; 상기 원료반죽을 특정한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 후 압축 성형하여 성형제품이 형성되는 성형공정; 상기 성형제품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성형제품 내부 수분함량이 10% 내지 15%정도가 되도록 건조하여 건조제품이 형성되는 건조정리 공정; 상기 건조제품을 7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6일 동안 소성하여 제1차 소성제품이 형성되는 제1차 소성공정; 및 상기 제1차 소성제품을 12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10시간 정도 소성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제2차 소성공정;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유색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 제조방법은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천연 기능성 원료를 선별하고, 소정크기로 분쇄하여 천연기능성 원료의 분말을 준비하는 원료준비 공정;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열가소성 수지에 촉진제를 첨가하여 수지를 준비하는 수지준비 공정; 상기 천연 기능성 원료 분말과 상기 수지를 혼합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수지 원료 혼합물이 형성되는 혼합교반 공정; 및 상기 수지 원료 혼합물을 특정한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후 성형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성형공정; 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색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의 제조방법은 크게 도자방법을 이용하는 것과 수지에 자연 기능성 재료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방법, 수지에 염료를 넣어서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색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을 개시한다.
이하에서는 각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1. 도자방법.
(1) 원료준비 공정
본 공정은 도자방법에 사용되는 원료를 준비하는 공정으로서, 도자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원료는 기본적인 도자기 원료인 점토와 천연 기능성 재료인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등의 분말을 혼합하여 준비된다.
황토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출하고, 탈취작용 방충작용이 있기 때문에 자고로 이를 이용한 생활이기와 구조물이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황토속에는 다량의 철분(통상 5.9 내지 6.9 %범위)이 함유되고 있다.
머드는 진흙을 말하는 것으로서 피지류의 흡착, 제거, 피부수축을 촉진하는 기능을 가지며, 피부에 탄력성을 준다.
맥반석은 예로부터 정수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기중의 중금속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며, 탈취작용, 항균작용, 방충작용을 한다.
숯은 다공성 물질로 탈취작용이 강하며, 제습작용과 살균작용을 수행한다.
옥은 유익한 파장대의 원적외선을 방출해 집중력을 향상시키며, 숙면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옥돌에는 인체에 극히 필요한 칼슘, 철분, 마그네슘이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당뇨병, 순환기장애, 심장병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주성분인 마그네슘은 모든 엽록소의 구성물이다.
상기의 작용을 수행하는 각 천연 기능성 물질을 분말화하여 각 천연기능성 물질 분말을 준비하고, 점토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천연기능성 물질의 분말과 점토는 350에서 500 메쉬(mesh)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준비된 원료를 점토와 각 천연 기능성 물질의 분말별로 혼합하고 반죽하여 각각 준비한다.
(2) 성형공정
본 공정은 상기 원료준비공정에서 준비된 원료 반죽을 특정한 형틀에 투입한 후 압축 성형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는 소정의 모양으로 하르방의 본을 떠서 형틀을 준비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하르방 모양은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하르방 모양은 도 2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물지게 여인상의 모양으로 준비할 수도 있다. 이렇게 물지게 여인상 형틀을 이용하면 도자 유색 물지게 여인상이 제조된다.
상기 형틀에 상기 원료준비공정에서 준비된 각 원료 반죽을 투입한 후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 형태로 성형한다.
(3) 건조 정리 공정
본 공정은 상기 성형 공정에서 생산된 성형 제품을 1시간 정도 건조하고, 필요없는 부분을 등을 제거하고 정리하여, 다시 건조하는 공정이다. 이때, 건조된 제품의 수분함량은 10 에서 15% 정도가 되도록 건조한다.
(4) 제1차 소성공정
본 공정은 상기 건조정리 공정에서 생산된 건조제품을 1차적으로 고온에서 소성하는 공정이다. 즉, 상기 건조제품을 700℃ 내지 800℃ 의 온도에서 5일 내지6일 정도 가열하여 소성하는 공정이다.
(5) 제2차 소성공정
본 공정은 상기 제1차 소성공정에서 소성된 제품을 식힌 후에 필요없는 티 등을 제거 정리하고, 다시 제1차 소성공정보다 고온으로 2차 소성하는 공정이다.
즉, 제1차 소성된 제품을 정리한 후 1200℃ 내지 1300℃의 온도하에서 약 10시간 정도 2차 소성하는 공정이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은 혼합되는 천연 기능성 재료별로 독특한 색채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은 유색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이 된다.
2. 수지 성형 방법
(1) 원료준비 공정
본 공정은 천연 기능성 원료를 선별하고, 소정크기로 분쇄하여 천연기능성 원료의 분말을 준비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는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등의 천연 기능성 원료를 선별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상기 원료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350 내지 500 메쉬(mesh)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여 천연 기능성 원료 분말을 준비한다.
(2) 수지준비 공정
본 공정은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열가소성 수지에 촉진제를 첨가하여 수지를 준비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는 열가소성 수지인 불포화 폴리 에스테르 수지 등을 사용한다.상기 불포화 폴리 에스테르 수지는 상온에서 액체상태이고, 경화촉진제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3) 혼합교반 공정
본 공정은 상기 천연 기능성 원료 분말과 상기 수지를 혼합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수지 원료 혼합물이 형성되는 공정이다.
(4) 성형 공정
본 공정은 상기 수지 원료 혼합물을 하르방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공정이다.
상기 하르방 모양의 형틀은, 물지게 여인상 모양의 형틀로 교환하여 사용되면 유색 물지게 여인상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유색 물지게 여인상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교반 공정에서 천연 기능성 원료 분말 대신 일반적인 염료를 수지에 첨가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때에도 유색하르방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은 첨가되는 천연 기능성 물질에 따라 독특한 색채를 띠게 되므로 상품성이 우수한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이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은 천연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므로 상기 천연 기능성 물질이 나타내는 각종 유용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르방 또는 물지게 여인상을 실내에 비치하면 탈취작용, 제습작용, 살균작용 등의 유용한 작용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하르방을 제조하면 기존의 하르방 제조방법과 달리 현무암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원료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10)

  1. 천연 기능성 원료인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중 하나와 점토를 각각 소정 크기로 분쇄한 후, 혼합하고 반죽하여 원료반죽이 형성되는 원료준비 공정;
    상기 원료반죽을 하르방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 후 압축 성형하여 성형제품이 형성되는 성형공정;
    상기 성형제품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성형제품 내부 수분함량이 10% 내지 15% 정도가 되도록 건조하여 건조제품이 형성되는 건조정리 공정;
    상기 건조제품을 7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6일 동안 소성하여 제1차 소성제품이 형성되는 제1차 소성공정; 및
    상기 제1차 소성제품을 12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10시간 정도 소성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제2차 소성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하르방 제조방법.
  2. 천연 기능성 원료인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중 하나와 점토를 각각 소정 크기로 분쇄한 후, 혼합하고 반죽하여 원료반죽이 형성되는 원료준비공정;
    상기 원료반죽을 하르방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 후 압축 성형하여 성형제품이 형성되는 성형공정;
    상기 성형제품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성형제품 내부 수분함량이 10% 내지 15% 정도가 되도록 건조하여 건조제품이 형성되는 건조정리 공정;
    상기 건조제품을 7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6일 동안 소성하여 제1차 소성제품이 형성되는 제1차 소성공정;
    상기 제1차 소성제품을 12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10시간 정도 소성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제2차 소성공정;
    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도자 유색 하르방.
  3. 천연 기능성 원료인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중 하나를 선별하고, 소정크기로 분쇄하여 천연기능성 원료의 분말을 준비하는 원료준비 공정;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열가소성 수지에 촉진제를 첨가하여 수지를 준비하는 수지준비 공정;
    상기 천연 기능성 원료 분말과 상기 수지를 혼합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수지 원료 혼합물이 형성되는 혼합교반 공정; 및
    상기 수지 원료 혼합물을 하르방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후 성형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성형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하르방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교반 공정은,
    염료와 수지를 혼합하여 수지 혼합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하르방 제조방법.
  5. 천연 기능성 원료인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중 하나를 선별하고, 소정크기로 분쇄하여 천연기능성 원료의 분말을 준비하는 원료준비 공정;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열가소성 수지에 촉진제를 첨가하여 수지를 준비하는 수지준비 공정;
    상기 천연 기능성 원료 분말과 상기 수지를 혼합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수지 원료 혼합물이 형성되는 혼합교반 공정; 및
    상기 수지 원료 혼합물을 하르방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후 성형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성형공정;
    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색 하르방.
  6. 천연 기능성 원료인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중 하나와 점토를 각가 소정 크기로 분쇄한 후, 혼합하고 반죽하여 원료반죽이 형성되는 원료준비공정;
    상기 원료반죽을 물지게 여인상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 후 압축 성형하여 성형제품이 형성되는 성형공정;
    상기 성형제품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성형제품 내부 수분함량이 10% 내지 15% 정도가 되도록 건조하여 건조제품이 형성되는 건조정리 공정;
    상기 건조제품을 7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6일 동안 소성하여제1차 소성제품이 형성되는 제1차 소성공정;
    상기 제1차 소성제품을 12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10시간 정도 소성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제2차 소성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 유색 물지게 여인상 제조방법.
  7. 천연 기능성 원료인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중 하나와 점토를 각각 소정 크기로 분쇄한 후, 혼합하고 반죽하여 원료반죽이 형성되는 원료준비공정;
    상기 원료반죽을 물지게 여인상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 후 압축 성형하여 성형제품이 형성되는 성형공정;
    상기 성형제품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성형제품 내부 수분함량이 10% 내지 15% 정도가 되도록 건조하여 건조제품이 형성되는 건조정리 공정;
    상기 건조제품을 7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6일 동안 소성하여 제1차 소성제품이 형성되는 제1차 소성공정;
    상기 제1차 소성제품을 12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10시간 정도 소성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제2차 소성공정;
    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도자 유색 물지게 여인상.
  8. 천연 기능성 원료인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중 하나를 선별하고, 소정크기로 분쇄하여 천연기능성 원료의 분말을 준비하는 원료준비 공정;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열가소성 수지에 촉진제를 첨가하여 수지를 준비하는 수지준비 공정;
    상기 천연 기능성 원료 분말과 상기 수지를 혼합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수지 원료 혼합물이 형성되는 혼합교반 공정; 및
    상기 수지 원료 혼합물을 물지게 여인상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후 성형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성형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물지게 여인상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준비 공정에서,
    상기 천연 기능성 원료 대신에 염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물지게 여인상 제조방법.
  10. 천연 기능성 원료인 황토, 머드, 맥반석, 숯, 옥, 셀레늄 중 하나를 선별하고, 소정크기로 분쇄하여 천연기능성 원료의 분말을 준비하는 원료준비 공정;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열가소성 수지에 촉진제를 첨가하여 수지를 준비하는 수지준비 공정;
    상기 천연 기능성 원료 분말과 상기 수지를 혼합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수지 원료 혼합물이 형성되는 혼합교반 공정; 및
    상기 수지 원료 혼합물을 물지게 여인상 모양의 형틀에 투입한후 성형하여 완성품이 형성되는 성형공정;
    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색 물지게 여인상.
KR1020030039814A 2003-06-19 2003-06-19 유색 하르방의 제조방법 및 유색 하르방 KR20040110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814A KR20040110480A (ko) 2003-06-19 2003-06-19 유색 하르방의 제조방법 및 유색 하르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814A KR20040110480A (ko) 2003-06-19 2003-06-19 유색 하르방의 제조방법 및 유색 하르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480A true KR20040110480A (ko) 2004-12-31

Family

ID=3738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814A KR20040110480A (ko) 2003-06-19 2003-06-19 유색 하르방의 제조방법 및 유색 하르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04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703A (ko) * 2014-12-09 2016-06-17 주식회사 송이산업 제주화산석을 이용한 괄약근 운동기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703A (ko) * 2014-12-09 2016-06-17 주식회사 송이산업 제주화산석을 이용한 괄약근 운동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680B1 (ko) 수분 흡수율에 의해 층별 색상 구배를 갖는 치아 보철용 지르코니아 블록의 제조방법
CN105478003A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新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288684A (zh) 一种云香及其制作工艺
CN107352960A (zh) 一种新型陶瓷及其制备方法
WO2005113463A1 (en) Deodorizing and mothproofing composition using wood flour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40110480A (ko) 유색 하르방의 제조방법 및 유색 하르방
CN1403013A (zh) 保健黑米酥
KR100402182B1 (ko)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KR102089798B1 (ko) 흑임자를 포함하는 떡의 제조방법
KR100383895B1 (ko) 다시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KR100319245B1 (ko) 황토를 이용한 다목적 벽돌 제조방법
KR101378104B1 (ko) 숯가루를 함유한 침대용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KR19980072300A (ko) 패각류를 이용한 생체 재료와 이를 이용한 인공 생체 경조직 및 그들의 제조방법
KR20120061212A (ko)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KR100302668B1 (ko) 도자기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화장토와 그 화장토로 만들어진 도자기
KR20100019593A (ko) 가구 제작용 황토 보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제조된 황토 보드
KR101043131B1 (ko) 인테리어용 탈취제 블럭 조성물 및 탈취제 블럭 제조방법
KR102514276B1 (ko) 노란 참외색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9507A (ko) 황토 조성물
KR20090089016A (ko) 고화도 소성 가능한 황토 도자기 소지
KR100557892B1 (ko) 황토 지렁이 분말, 이를 이용하는 의약부외품 및 이들의제조방법
KR20010054313A (ko) 벽돌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432804B1 (ko) 브래지어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그 브래지어
KR19990065774A (ko) 계란껍질이나 패각류 또는 대리석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20190061909A (ko) 옥한지 및 옥한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