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212A -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212A
KR20120061212A KR1020100122412A KR20100122412A KR20120061212A KR 20120061212 A KR20120061212 A KR 20120061212A KR 1020100122412 A KR1020100122412 A KR 1020100122412A KR 20100122412 A KR20100122412 A KR 20100122412A KR 20120061212 A KR20120061212 A KR 20120061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green tea
thickness
drying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형
Original Assignee
이원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형 filed Critical 이원형
Priority to KR102010012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1212A/ko
Publication of KR2012006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2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3Setting, e.g. drying, dehydrating or firing ceram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3/00Apparatus or methods for mixing clay with othe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 98~99.8중량%와 녹차분말 0.2~2.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재료와 녹차우린 물을 7: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재료를 성형틀에서 프레스로 가압성형하여 20㎜ 또는 30~50㎜ 두께를 갖는 황토판재를 얻는 단계; 상기 황토판재의 두께가 20㎜인 경우에는 건조실에서 70~90℃의 온도로 68~72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30~50㎜인 경우에는 그늘진 장소에서 48~72시간 동안 자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황토침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되 상기 황토에 소량의 녹차분말을 혼합하고 이를 녹차우린 물로 반죽하여 황토침대를 제조함으로써 황토의 특성에 의한 습도조절 및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성 냄새가 제거되는 탈취기능과 함께 원적외선 방사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열에너지 전달로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켜 혈액순환을 촉진, 발한작용촉진 및 통증완화 등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을뿐더러 녹차의 항암효과, 노화억제, 세균감염억제, 중금속해독, 피로회복, 숙취제거 등의 효능에 의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황토침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yellow soil bed}
본 발명은 황토침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되 상기 황토에 소량의 녹차분말을 혼합하고 이를 녹차우린 물로 반죽하여 황토침대를 제조함으로써 황토의 특성에 의한 습도조절 및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성 냄새가 제거되는 탈취기능과 함께 원적외선 방사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열에너지 전달로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켜 혈액순환을 촉진, 발한작용촉진 및 통증완화 등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을뿐더러 녹차의 항암효과, 노화억제, 세균감염억제, 중금속해독, 피로회복, 숙취제거 등의 효능에 의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황토침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인체와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곰팡이 및 세균 등의 서식을 억제시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각종 병균의 전염을 방지하여 건강한 생활공간을 만들어주며, 상온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원적외선의 방사열과 침투력에 의해 인체의 말초 모세혈관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혈액순환을 순조롭게 촉진시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상기 황토는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 그 이용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고, 건축물에서부터 일반생활용품, 화장품, 찜질방 등의 다방면에 널리 사용되며, 특히 침대의 경우 하루 일과를 마치고 휴식을 취하고 인체와 장시간 접하는 것이라 근래에 들어서는 황토침대에 대해 다양하게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황토침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황토에 적정량의 물을 혼합하여 황토 반죽물을 얻고, 그 황토 반죽물을 일정 크기와 두께로 성형하여 음지에 건조시키는데, 이때 황토의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황토 반죽물에 볏짚, 왕겨, 밀가루 등의 다양한 보강재료들을 첨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황토침대에 첨가되는 보강재료들은 단순히 황토침대의 강도향상을 위한 용도에 불과한 것이어서 상기 보강재료들에 의한 인체의 유익한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이 보강재료, 즉 결합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황토와 함께 인체에 다양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녹차분말을 이용한 황토침대를 수많은 연구와 노력 끝에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되 상기 황토에 소량의 녹차분말을 혼합하고 이를 녹차우린 물로 반죽하여 황토침대를 제조함으로써 황토의 특성에 의한 습도조절 및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성 냄새가 제거되는 탈취기능과 함께 원적외선 방사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열에너지 전달로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켜 혈액순환을 촉진, 발한작용촉진 및 통증완화 등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을뿐더러 녹차의 항암효과, 노화억제, 세균감염억제, 중금속해독, 피로회복, 숙취제거 등의 효능에 의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황토침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침대의 제조방법은, 황토 98~99.8중량%와 녹차분말 0.2~2.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재료와 녹차우린 물을 7: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재료를 성형틀에서 프레스로 가압성형하여 20㎜ 또는 30~50㎜ 두께를 갖는 황토판재를 얻는 단계; 상기 황토판재의 두께가 20㎜인 경우에는 건조실에서 70~90℃의 온도로 68~72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30~50㎜인 경우에는 그늘진 장소에서 48~72시간 동안 자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0㎜의 두께로 건조된 황토판재의 상면에는 마감재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되 상기 황토에 소량의 녹차분말을 혼합하고 이를 녹차우린 물로 반죽하여 황토침대를 제조함으로써 황토의 특성에 의한 습도조절 및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성 냄새가 제거되는 탈취기능과 함께 원적외선 방사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열에너지 전달로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켜 혈액순환을 촉진, 발한작용촉진 및 통증완화 등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을뿐더러 녹차의 항암효과, 노화억제, 세균감염억제, 중금속해독, 피로회복, 숙취제거 등의 효능에 의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침대의 제조방법은, 황토 98~99.8중량%와 녹차분말 0.2~2.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재료와 녹차우린 물을 7: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재료를 성형틀에서 프레스로 가압성형하여 20㎜ 또는 30~50㎜ 두께를 갖는 황토판재를 얻는 단계; 상기 황토판재의 두께가 20㎜인 경우에는 건조실에서 70~90℃의 온도로 68~72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30~50㎜인 경우에는 그늘진 장소에서 48~72시간 동안 자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황토는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한 분말상태로 소량의 녹차분말과 혼합되는데, 이때 상기 녹차분말은 상기 황토와 같이 미세하게 분쇄된 녹차가루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황토와 녹차분말은 98~99.8:0.2~2.0의 중량비로 혼합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황토침대의 강도유지와 함께 상기 녹차가 갖는 다양한 효능을 기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녹차분말이 함유된 황토침대는 상기 황토의 효능과 함께, 녹차의 항암, 염증 및 세균감염 억제, 혈당상승치 억제 및 완화, 항산화작용, 중금속 및 니코틴 해독작용, 피로회복 및 숙취제거, 체질의 산성화 예방, 노화방지 등의 다양한 효과로 인해 숙면을 취할 수 있을뿐더러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황토와 녹차분말이 혼합된 재료는 녹차우린 물에 7: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반죽되는데, 이때 상기 녹차우린 물은 일반 물에 비해 점성이 강해 황토침대의 강도유지를 위한 결합제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된 재료와 녹차우린 물을 7:3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은, 상기 혼합된 재료가 70%중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고른 반죽이 어렵고 상기 녹차우린 물이 30중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반죽이 너무 묽어 건조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상기 반죽된 재료를 성형틀에서 프레스로 가압성형하여 20㎜ 또는 30~50㎜ 두께를 갖는 황토판재를 얻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압성형공정에 의해 황토판재의 수분함량은 일정부분 줄어든 상태이므로 하기 건조공정에서 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황토판재의 두께가 20㎜인 경우에는 건조실에서 70~90℃의 온도로 68~72시간 동안 건조시키게 되는데, 이는 상기 건조실의 온도가 70℃ 미만인 경우에는 건조시간이 길어지고 90℃ 초과인 경우에는 급건조로 황토판재에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황토판재의 두께가 30~50㎜인 경우에는 통풍이 양호한 그늘진 장소에서 48~72시간 동안 자연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20㎜의 두께로 건조된 황토판재의 상면에는 마감재를 코팅하여 마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30~50㎜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인해 상대적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기 위해 마감재로 코팅처리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2)

  1. 황토 98~99.8중량%와 녹차분말 0.2~2.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재료와 녹차우린 물을 7: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재료를 성형틀에서 프레스로 가압성형하여 20㎜ 또는 30~50㎜ 두께를 갖는 황토판재를 얻는 단계;
    상기 황토판재의 두께가 20㎜인 경우에는 건조실에서 70~90℃의 온도로 68~72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30~50㎜인 경우에는 그늘진 장소에서 48~72시간 동안 자연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0㎜의 두께로 건조된 황토판재의 상면에는 마감재를 코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KR1020100122412A 2010-12-03 2010-12-03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KR20120061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412A KR20120061212A (ko) 2010-12-03 2010-12-03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412A KR20120061212A (ko) 2010-12-03 2010-12-03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212A true KR20120061212A (ko) 2012-06-13

Family

ID=4661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412A KR20120061212A (ko) 2010-12-03 2010-12-03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12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9345A (zh) * 2020-09-14 2020-12-25 安徽军松现代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采集的土壤监测的环境监测系统
KR102587796B1 (ko) * 2022-04-18 2023-10-11 주식회사 코어 가구용 친환경 흙보드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9345A (zh) * 2020-09-14 2020-12-25 安徽军松现代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采集的土壤监测的环境监测系统
KR102587796B1 (ko) * 2022-04-18 2023-10-11 주식회사 코어 가구용 친환경 흙보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48116A2 (ko) 기능성 천연염색 라텍스 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4282B1 (ko)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신발창용 우레탄 발포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61212A (ko) 황토침대의 제조방법
KR101204297B1 (ko) 황토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황토 플레이트
KR102191656B1 (ko) 다양한 용도가 부여된 건강에 유익한 성형체 조성물
KR100702527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분말 제조 방법
CN102199880A (zh) 一种用于生产防治脚裂的热能袜子液体胶
KR100586633B1 (ko) 저온촉매를 이용한 합지 제조용 천연 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02182B1 (ko) 건축재용 황토 엑기스 및 이를 원료로 하는 황토타일,황토몰탈, 황토벽돌 및 황토 구들 그리고 이들의 각제조방법
KR20130052817A (ko) 수면장애 치료기
KR20070018750A (ko) 가구용 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침대
KR20060125973A (ko) 수면촉진 숨쉬는 베개용볼 및 베개 제작방법
KR100825126B1 (ko) 자력,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의료용 이온 단자제조방법
KR20050099337A (ko) 양구사토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건축구조물또는 일상용품의 제조방법
KR101196733B1 (ko) 옻칠을 이용한 온돌침대용 황토판 및 그 황토판 제조방법
KR100830125B1 (ko) 황토비누 제조방법과 그 황토비누
KR20180003795A (ko) 황토와 소나무 껍질을 활용한 건축 내장재
KR20100019593A (ko) 가구 제작용 황토 보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제조된 황토 보드
KR20060104346A (ko) 목탄필터
KR20050040996A (ko) 생황토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587796B1 (ko) 가구용 친환경 흙보드의 제조방법
KR102136027B1 (ko) 쑥뜸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188536A (zh) 一种卫生间用地砖
KR19990009883A (ko) 약재가 함유된 건축용 황토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바닥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방의 시공방법
KR101103320B1 (ko) 황토 및 뽕나무와 갑오징어 뼈 가루를 이용한 찜질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